KR200142171Y1 -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171Y1
KR200142171Y1 KR2019940006572U KR19940006572U KR200142171Y1 KR 200142171 Y1 KR200142171 Y1 KR 200142171Y1 KR 2019940006572 U KR2019940006572 U KR 2019940006572U KR 19940006572 U KR19940006572 U KR 19940006572U KR 200142171 Y1 KR200142171 Y1 KR 200142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passage
lever
air
air outlet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832U (ko
Inventor
남용섭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06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171Y1/ko
Publication of KR950027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52Opening a special valve-controlled intake passage (by-pass) during sta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함과 아울러 난기 운전시 흡기소음을 줄여주기 위하여, 스로틀 바디(4)에 공기 유입홀(10) 및 공기 유출홀(12)을 뚫고 이들 홀을 연통하는 제1바이패스 통로(14)에 엔진의 냉각수에 의해 신장, 수축하는 서모 스태트(8)를 설치하여 제1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공기유입홀 또는 공기 유출홀과는 별도로 또다른 공기 유입홀(34)과 공기 유출홀(36)을 뚫어 이들 홀이 제2바이패스 통로(38)에 의해 연통하도록 하고, 이 제2바이패스 통로(38)에 탄성부재(30)로 설치된 밸브체(24)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이 밸브체에 제1레버(28)를 설치하여 이 제1레버가 가속페달에 의해 연동하는 제2레버에 의해 제2바이패스 통로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Description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회전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회전 조절장치와 스로틀 바디의 결합 상태 측단면도로서, (a)는 서모스태트 부위의 단면도이고, (b)는 개폐밸브 부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개폐밸브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스로틀 바디 6 : 공기조절부
8 : 서모 스태트 10,34 : 공기 유입홀
12,36 : 공기 유출홀 14 : 제1바이패스 통로
24 : 밸브체 28 : 제1레버
30 : 탄성부재 46 : 제2레버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냉각수온에 따라 공회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공회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시동시 초기 워엄을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는데, 동절기에는 난기를 빨리 진행시키기 위하여 패스트 아이들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회기 방식의 차량에서는 바이메탈을 사용한 패스트 아이들 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작금에 이르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인젝터 설치차량은 흡입공기의 온도와 수온을 센싱하여 공회전을 조절하고 있다.
인젝터를 구비한 차량은 공기조절기를 이용한 방식과, 서보 모터를 이용한 방식의 아이들 조절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공기조절기를 이용하는 방식은 공기조절기가 엔진실과 운전석 사이에 설치되어 난기시 흡입공기를 바이패스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량 조절시 소음이 운전석내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서보 모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상기한 방식에 비하여 고가의 부품이 사용되므로 고급차량에서만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상기한 방식들의 공회전 조절장치는, 난기중에 일정한 통로만을 통하여 흡입공기를 연소실로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밸브가 닫혀진 상태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이 충분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난기시 충분항 공기를 공급하여 난기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난기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스로틀 바디에 공기 유입홀 및 공기 유출홀을 뚫고 이들 홀을 연통하는 제1바이패스 통로에 엔진의 냉각수에 의해 신장, 수축하는 서모 스태트를 설치하여 제1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공기유입홀 또는 공기 유출홀과는 별도로 또다른 공기 유입홀과 공기 유출홀을 뚫어 이들 홀이 제2바이패스 통로에 의해 연통하도록 하고, 이 제2바이패스 통로에 탄성부재로 설치된 밸브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이 밸브체에 제1레버를 설치하여 이 제1레버가 가속페달에 의해 연동하는 제2레버에 의해 제2바이패스 통로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회전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가속페달(도시생략)에 의해 당겨지는 와이어(2)에 의해 흡입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를 보유하는 스로틀 바디(4)와, 이 바디의 아래측에 고정설치되는 공기량 조절부(6)를 보여주고 있다.
제2도는 상기한 공기량 조절부(6)의 측단면도로서, (a)는 서머 스태트(8)가 설치된 부위를 절단하고 있으며, (b)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부위를 절단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스로틀 바디(4)는 일측면에 공기 유입홀(10)과 공기 유출홀(12)이 뚫려져 있으며, 이들 홀은 제1바이패스 통로(14)와 연통하고 있다.
상기한 서머 스태트(8)는 펠릿 왁스가 내장된 통상적인 구조로서 하단부가 공기조절부(6)측으로 위치하고, 상단부가 제1바이패스 통로(14)측ㅇ즈로 위치하여 신축작용으로 제1바이패스 통로(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공기조절부(6)는 엔진의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냉각수 유입관로(16)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곳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냉각수 유출관로(18)를 통하여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난기운전시 서모 스태트(8)가 냉각수 온도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신장하게 되므로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면서 제1바이패스 통로(14)는 차단된다.
그리고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서모 스태트(8)와 인접하여 공기조절부(6)에 설치되는 개폐밸브(20)는, 공기조절부의 하우징(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체(24)와, 이 밸브체(24)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6)과, 이 축(26)에 고정되는 제1레버(28), 그리고 상기한 밸브체(24)가 항시 열림상태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탄성부재(30)는 비틀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일측단은 밸브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제1레버(28)에 고정되어 밸브체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밸브체(24)는 반원상으로 이루어진 개폐판(32)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개폐판(32)이 스로틀 바디(4)에 뚫려진 또 다른 공기 유입홀(34)과 공기 유출홀(36)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2바이패스 통로(38)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1레버(18)는 스로틀 바디(4) 내측에 설치되어 가속페달에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40)의 개폐작동시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작용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축(42)에 고정된 와이어 홀더판(44)에 제2레버(46)를 부착하여 이 제2레버의 종단부가 상기한 제1레버(28)와 간섭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제1레버(28)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레버(46)가 지지하고 있다가 가속페달이 밟혀지면 와이어(2)를 당기면서 와이어 홀더판(44)을 회전시켜 제1레버(28)로 부터 제2레버(46)가 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공회전 조절장치는, 먼저 엔진 시동초기에는 냉각수온이 낮은 상태이므로 서모 스태트(8)가 수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제1바이패스 통로(14)가 열려져 이 통로를 통하여 공회전에 필요한 공기가 연소실로 흡입되는데, 이러한 작용이 진행되면서 냉각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서서리 서모 스태트(8)가 신장하여 제1바이패스 통로(14)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제2바이패스 통로(38)는 밸브체(24)가 탄성부재(30)에 의해 열려진 상태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실제로 공회전에 필요한 공기는 제2바이패스 통로(38)만을 통하여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출발하기 위하여 가속페달을 밟게 되면 와이어(2)에 의해 와이어 홀더판(44)이 회동하면서 스로틀 밸브(40)를 개방하여 많은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스로틀 밸브(40)가 열려지면서 함께 회동하는 와이어 홀더판(44)에 의해 이곳에 부착된 제2레버(46)가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레버(46)가 제1레버(28)로 부터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으로 개폐밸브(20)의 축(20)이 탄성부재(30)의 비틀림 복원력에 의해 제3b도의 상태로 되면서 제2바이패스 통로(38)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제1바이패스 통로(14)와 제2바이패스 통로(38)가 모두 차단된 상태이므로 스로틀 바디(4)의 내측으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공회전 조절장치는, 난기시 제1바이패스 통로를 서서히 차단하면서 제2바이패스 통로측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통로가 부분적으로 차단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저항의 소음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출발시 또는 가속시에 스로틀 밸브가 열리면서 부분적으로 제2바이패스 통로가 열려있는 상태가 되므로 스로틀 바디내측으로 만 흐르는 공기량보다 많은 공기량이 유입될 수 있어 가속성능이 좋아지는 장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아이들 엄업수단은 대부분 스텝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그러한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스로틀 바디에 설치되어 공회전 난기시 공기량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스로틀 바디(4)에 공기 유입홀(10) 및 공기 유출홀(12)을 뚫고 이들 홀을 연통하는 제1바이패스 통로(14)에 엔진의 냉각수에 의해 신장, 수축하는 서모 스태트(8)를 설치하여 제1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공기유입홀 또는 공기 유출홀과는 별도로 또다른 공기 유입홀(34)과 공기 유출홀(36)을 뚫어 이들 홀이 제2바이패스 통로(38)에 의해 연통하도록 하고, 이 제2바이패스 통로(38)에 탄성부재(30)로 설치된 밸브체(24)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이 밸브체에 제1레버(28)를 설치하여 이 제1레버가 가속페달에 의해 연동하는 제2레버에 의해 제2바이패스 통로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KR2019940006572U 1994-03-30 1994-03-30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KR200142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572U KR200142171Y1 (ko) 1994-03-30 1994-03-30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572U KR200142171Y1 (ko) 1994-03-30 1994-03-30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832U KR950027832U (ko) 1995-10-18
KR200142171Y1 true KR200142171Y1 (ko) 1999-06-01

Family

ID=1938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572U KR200142171Y1 (ko) 1994-03-30 1994-03-30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1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70B1 (ko) * 2000-05-12 2007-10-3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개질된 콜로포니 수지를 갖는 안료 제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70B1 (ko) * 2000-05-12 2007-10-3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개질된 콜로포니 수지를 갖는 안료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832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4733B1 (en) Cool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4524742A (en) Carburetor hav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elements for maintaining engine idling speed at a constant level and for controlling choke-valve position during a warm-up phase
US6634334B1 (en) Engine idle speed control device
KR200142171Y1 (ko) 자동차의 공회전 조절장치
US7490584B1 (en) Fuel enrichment cold start/run circuit
JP2004143976A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ガソリン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US6966307B2 (en) Fuel drain structure in fuel line
JP4109788B2 (ja) スロットルボディにおけるバイパス路制御装置
US6990940B2 (en) Engine starting device and saddle-type traveling vehicle
US6042088A (en) Changeable venturi carburetor including a cold start and high loading auxiliary fuel duct
US6895914B2 (en) Automatic engine priming system for rotary mowers
US6899072B2 (en) Vacuum-operated choke system and method
JP2002089370A (ja) 気化器の自動始動装置
JP2600188Y2 (ja) エンジンの補助空気調整バルブ
WO200004788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regulation de la temperature d'air aspire
CA1185494A (en) Carburetor
JPH0450209B2 (ko)
JPS6124538B2 (ko)
JP3124075U (ja) 自動車省燃費用構造
JPS6254988B2 (ko)
JPS6027806Y2 (ja) 温水式オ−トチヨ−ク付車両用エンジンの温水通路装置
KR19980040136U (ko) 자동차 엔진의 드로틀 밸브
KR100356065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를 위한 공기 조절 장치
RU16612U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оборотов холостого хода в двигателе
JP4010672B2 (ja) 気化器における混合気空燃比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