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065Y1 -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065Y1
KR200142065Y1 KR2019960042452U KR19960042452U KR200142065Y1 KR 200142065 Y1 KR200142065 Y1 KR 200142065Y1 KR 2019960042452 U KR2019960042452 U KR 2019960042452U KR 19960042452 U KR19960042452 U KR 19960042452U KR 200142065 Y1 KR200142065 Y1 KR 200142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xygen
warning sound
alarm
compar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389U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2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06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3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차한 자동차내에 유아가 잔류한 상태가 감지되고서 차내의 산소 요구량이 외부의 산소량보다 크게 부족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구조요청지로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경보음성메시지를 송출함과 더불어,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하여 유아의 질식상태를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차내에 승차한 승차인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승차여부를 인지시키기 위한 움직임감지수단과, 차내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량감지수단, 이그니션스위치(2)의 시동정지에 따른 스위칭해제되고 상기 움직임감지수단에 의해 승차인의 움직임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산소량감지수단에 의해 차내의 산소량 부족상태가 감지되면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의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경보음성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20),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지정된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을 행하여 미리 저장된 경보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전화수단(22) 및,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경고음을 발생하기 위한 경고음발생수단(38,40,42)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차한 자동차내에 유아가 잔류한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부족한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다이얼링를 행함과 더불어, 경고음을 발생하여 외부에 유아의 질식상태를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주행하고 있는 자동차에서는 젊은층의 자동차 구매비율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유아 등과 같은 저연령층의 승차인을 동석시키고 주행하는 빈도가 많아지게 되어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게 되는 바, 주행중 유아의 동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유아용 안전벨트나, 자동차의 주행중에 유아가 임의적으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방지하기 위한 유아보호용 차일드로크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차에 있어서는 주차를 완료하여 도어와 파워윈도우를 로크시킨 상태에서 유아 등과 같은 저연령층의 승차인을 차내에 잔류시키고 하차하는 경우에는 차내 산소량의 감소에 따른 유아 질식사망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지만, 이에 대한 안전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차한 자동차내에 유아가 잔류한 상태가 감지되고서 차내의 산소요구량이 외부의 산소량보다 크게 부족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소정의 구조요청지로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경보음성메시지를 송출함과 더불어,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하여 유아의 질식상태를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에 의하면, 차내에 승차한 승차인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승차여부가 인지되도록 다수의 CCD 이미지센서와, 상기 각 CCD 이미지센서로부터의 촬상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비교기로 구성된 움직임감지수단과; 자동차의 뒷좌석측 소정부에 설치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내에 질코니아소자를 갖추어 구성된 질코니아관, 상기 질코니아관의 내측에서 외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외기측 전극, 상기 질코니아관의 외측에서 차내의 내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내기측 전극 및, 상기 내기측 전극과 외기측 전극으로부터의 전압차이에 따른 전압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기로 구성되어 차내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량 감지수단; 이그니션스위치의 시동정지에 따라 스위칭해제되고 상기 움직임감지수단의 비교기로부터의 출력신호간의 차이에 의해 승차인의 움직임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산소량감지수단의 비교기로부터의 출력신호 차이에 의해 산소량의 부족상태가 검지되면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의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경보음성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지정된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을 행하여 미리 저장된 경보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전화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경고음을 발생하기 위한 경고음발생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가 정차한 상태에서 차내부에 설치된 움직임감지센서에 의해 유아 등과 같은 저연령층의 승차인이 잔류한 것이 감지되고서 차내의 산소량이 차외부의 대기와 비교하여 부족한 것으로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착신이 이루어지면 미리 저장된 경보음성메시지를 송출함과 더불어, 차외부에도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채용되는 움직임감지센서가 자동차의 루프측에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채용되는 산소센서가 자동차의 뒷좌석측 소정부에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그니션스위치 4 : 움직임감지센서(CCD 이미지센서)
6,8,10,12,16,18 : 비교기 14 : 산소센서
20 : ECU 22 : 전화장치
24 : 후크제어부 26 : 다이얼링부
28 : 후크스위치 30 : 정류부
32 : 착신감지부 34 : 음성메모리
36 : 신호변환부 38 : 구동소자
40 : 릴레이스위치 42 : 경고부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에 채용되는 움직임감지센서가 자동차의 루프측에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차내에 잔류하는 승차인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감지센서(4)가 4개의 CCD 이미지센서(4A~4D)로 이루어져서 차내의 루프측에 설치되는 바, 차내 운전석(또는 조수석)의 루프측에 제1 및 제2CCD 이미지 센서(4A,4B)가 나란히 설치되고 차내 뒷좌석의 푸프측에 제3 및 제4CCD 이미지센서(4C, 4D)가 나란히 설치되고 차내 뒷좌석의 루프측에 제3 및 제4CCD 이미지센서(4C, 4D)가 나란히 설치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채용되는 산소센서가 자동차의 뒷좌석측 소정부에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따르면 차내 뒷좌석 후측의 뒷선반에 설치된 하우징(14A)내에 관내외의 산소농도차이에 따른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질코니아소자가 충진된 질코니아관(14B)이 내삽되고, 그 질코니아관(14B)의 내측으로 외기측(B)으로부터의 대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외기측 전극(14C)이 형성되며, 그 질코니아관(14B)의 외측으로 차량내의 내기측(A)으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갖춘 내기측 전극(14D)이 형성된 산소센서(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기측(B)의 대기와 내기측(A)의 공기간의 산소농도 차이가 발생되어 질코니아관(14B)에서 화학반응이 발생되면 상기 외기측 전극(14C)과 내기측 전극(14D)간에 전압차이가 발생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질식방지를 위한 윈도우구동제어장치를 나타낸 회로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6,8,10,12는 상기 제1 과 제2 및 제3과 제4CCD 이미지센서(4A~4D)로부터의 차량내의 움직임 감지에 따라 광전변환한 전압신호를 각 비반전단자(+)에 입력받아 각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기준 신호(Vref2)와 차동비교하는 제1~제4차동비교기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6은 상기 내기측 전극(14D)과 연결된 분압저항(R12, R13)단 사이에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그 비반전단자(+)에 인가받아 그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신호(Vref1)와 비교하는 제5비교기를 나타내고, 18은 상기 외기측 전극(14C)과 연결된 분압저항(R10, R11)단 사이에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그 비반전단자(+)에 인가받아 그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기준신호(Vref1)와 비교하는 제6비교기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20은 시동정지에 따른 이그니션스위치(2)의 스위칭오프상태에서 상기 제1~제4차동비교기(6, 8, 10, 12)로부터의 출력변동에 의해 상기 제1~제4CDD 이미지센서(4A~4D)로부터 차내의 승차인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상기 제5 및 제6비교기(16, 18)로부터의 출력차이에 의해 대기와 차내와의 산소농도 차이가 발생되는 것으로 검지되면, 후술하는 전화장치(22)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을 행하여 착신이 감지되면 미리 저장된 경보음성메시지가 착신호를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차외부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22는 상기 ECU(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착신된 전화번호에 대해 미리 저장된 음성경보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한 전화장치로서, 상기 전화장치(22)는 상기 ECU(20)로부터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다이어링하는 다이얼링부(26)와, 상기 ECU(20)의 제어에 의한 후크제어부(24)의 후크오프동작을 통해 후크오프되어 통화가능한 상태를 형성하는 후크스위치(28), 통화라인(L1, L2)을 통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통화신호에 대한 정류동작을 행하는 정류부(30), 상대측 전화번호와의 착신을 감지하여 착신감지신호를 상기 ECU(20)로 출력하는 착신감지부(32), 상기 ECU(20)의 독취제어에 의해 미리 저장된 경보음성메시지의 데이터가 독취되는 음성메모리(34), 상기 음성메모리(34)로부터 독취된 음성경보메시지의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신호변환하여 통화라인(L1, L2)을 통해 송출가능하게 출력하는 신호변환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참조부호 38은 상기 ECU(2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그 베이스단에 인가받아 도통되는 예컨대 NPN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구동소자를 나타내고, 40은 상기 구동소자(38)의 도통에 의해 그 여자코일이 여자되어 스위칭되는 릴레이스위치를 나타내며, 42는 자동차 외부의 소정부위에 설치되고서 상기 릴레이스위치(40)의 스위칭에 의해 동작전원을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부저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주행하던 자동차가 정차하면서 이그니션스위치(2)가 스위칭오프되어 시동이 정지되고서 주차한 상태에서 저연령의 유아가 차내에 잔류하는 경우에, 차내의 전/후에 각각 설치된 제1~제4CCD 이미지센서(4A~4D)에서는 유아의 움직임 감지에 따라 광전변환을 행하여 각각 가변된 전압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제1~제4차동비교기(6, 8, 10, 12)에서는 상기 제1~제4CCD 이미지센서(4A~4D)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전압신호를 각 비반전단자(+)에 입력받아 각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기준신호(Vref2)와 각각 차동비교한 결과로 출력상태가 변동된는 신호전압을 발생하게 되고, ECU(20)에서는 상기 제1~제4차동비교기(6, 8, 10, 12)로부터의 신호전압의 변동을 인식하여 차내에 승차인이 잔류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소정시간의 경과에 따라 산소센서(14)내의 외기측(B) 대기와 내기측(A) 공기와의 산소농도 차이가 발생되면서 질코니아관(14B)이 화학반응을 일으키기게 됨에 따라 외기측 전극(14C)과 내기측 전극(14D)간의 전압차이가 발생되면, 상기 ECU(20)는 제5 및 제6비교기(16, 18)로부터의 외기측 전극(14C)의 분압저항(R10,R11)과 내기측 전극(14D)의 분압저항(R12, R13)단 사이의 전압신호를 기준신호(Vref1)와 비교한 결과에 따른 출력신호의 차이를 인식하여 차내의 산소농도가 부족한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ECU(20)는 전화장치(22)의 후크제어부(24)를 제어하여 후크스위치(28)가 후크오프되도록 하고서 다이얼링부(26)가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도록 하는 한편, 착신감지부(32)에 의해 상대방 전화번호와의 착신이 감지되면 음성메모리(34)를 독취제어하여 미리 저장된 소정의 경보음성메시지의 데이터가 독취되어 신호변환부(36)를 통해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로 신호변환되도록 한 다음에, 통화라인(L1, L2)을 통해 상대측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구동소자(38)를 도통시킴에 의해 릴레이스위치(40)를 스위칭시켜서 경고부저(42)를 통해 경고음이 차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정차한 자동차내부에 유아 등과 같은 저연령층의 승차인이 잔류한 상태를 감지하고서 차내의 산소량이 부족한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긴급상황을 음성메시지의 형태로 경보함과 더불어, 차외부에도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차내의 산소량 부족에 의한 유아 등과 같은 저연령층 승차인의 질식사태를 효과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2)

  1. 차내에 승차한 승차인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승차여부가 인지되도록 다수의 CCD 이미지센서(4A~4D)와, 상기 각 CCD 이미지센서(4A~4D)로부터의 촬상신호를 기준신호(Vref2)와 비교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비교기(6,8,10,12)로 구성된 움직임감지수단과; 자동차의 뒷좌석측 소정부에 설치된 하우징(14A)과, 그 하우징(14A)내에 질코니아소자를 갖추어 구성된 질코니아관(14B), 상기 질코니아관(14B)의 내측에서 외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외기측 전극(14C), 상기 질코니아관(14B)의 외측에서 차내의 내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내기측 전극(14D) 및, 상기 내기측 전극(14D)과 외기측 전극(14C)으로부터의 전압차이에 따른 전압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기준신호(Vref1)와 비교하는 복수의 비교기(16,18)로 구성되어 차내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량감지수단; 이그니션스위치(2)의 시동정지에 따라 스위칭해제되고 상기 움직임감지수단의 비교기(6,8,10,12)로부터의 출력신호간의 차이에 의해 승차인의 움직임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산소량감지수단의 비교기(16,18)로부터의 출력신호 차이에 의해 산소량의 부족상태가 검지되면 미리 지정된 전화번호로의 자동 다이얼링을 행하여 경보음성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20);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지정된 전화번호로의 다이얼링을 행하여 미리 저장된 경보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전화수단(22) 및;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경고음을 발생하기 위한 경고음 발생수단(38,40,42)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감지수단의 CCD 이미지센서(4A~4D)는 차내의 루프(Roof)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KR2019960042452U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KR200142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452U KR200142065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452U KR200142065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389U KR19980029389U (ko) 1998-08-17
KR200142065Y1 true KR200142065Y1 (ko) 1999-06-01

Family

ID=1947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452U KR200142065Y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0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695B1 (ko) 2018-12-21 2020-05-12 주식회사 이에스피 초광대역 임펄스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잔류 동승자를 감지하고 알리는 알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1927A (zh) * 2017-12-28 2018-06-15 广东松山职业技术学院 汽车护童安全报警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695B1 (ko) 2018-12-21 2020-05-12 주식회사 이에스피 초광대역 임펄스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 내 잔류 동승자를 감지하고 알리는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389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53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from a measurement station of an occupant protection system in a motor vehicle to an air bag control unit
US6489889B1 (en) Occupant sensing system
US6605877B1 (en) Restraint system interface arrangement for a seat belt tension sensor
US4588935A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mobile device when sensor output is abnormal
US20020065112A1 (en) Vehicle-installed telephone apparatus
KR200142065Y1 (ko) 자동차의 유아질식경보장치
JP3829372B2 (ja) 車両盗難対策装置
US20050001413A1 (en) Airbag system for a vehicle
JPH10108263A (ja) 無線通信機
KR19980029687U (ko) 자동차의 질식방지를 위한 윈도우구동제어장치
KR100200149B1 (ko) 자동차의 질식방지장치
US71678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ision recognition
US10507790B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usage of seat belt
JP3871830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緊急通報システム
CN212267385U (zh) 一种防止儿童遗忘车内的提醒系统及车辆
KR960011578B1 (ko) 엘리베이터의 직접통화장치
JP4266922B2 (ja) 回線極性検出方式及び回線極性検出方法
KR19980030519U (ko)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KR100187421B1 (ko) 차량용 음주운전방지회로
CN115556697A (zh) 一种车内儿童遗忘报警方法、装置及系统
JP3057930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444799B2 (ko)
JPH0444797B2 (ko)
JPH0444798B2 (ko)
JP4014768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ひ緊急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