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519U -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519U
KR19980030519U KR2019960043622U KR19960043622U KR19980030519U KR 19980030519 U KR19980030519 U KR 19980030519U KR 2019960043622 U KR2019960043622 U KR 2019960043622U KR 19960043622 U KR19960043622 U KR 19960043622U KR 19980030519 U KR19980030519 U KR 199800305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ignal
alcohol
vehicle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지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519U/ko
Publication of KR19980030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51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시동시 운전자의 음주 상태에 따라 시동 상태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음주 상태일시에는 차량 운행이 불가능하도록 한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음주 측정으로 시동 모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음주 상태일 시에는 차량시동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알콜 측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시동 유무가 결정되므로 음주운전은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음주 단속을 위한 인력 낭비가 감소되며, 운전자의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Description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본 고안은 차량 시동시 운전자의 음주 상태에 따라 시동 상태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음주 상태일시에는 차량 운행이 불가능하도록 한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음주를 한 상태에서도 자신의 운전 실력을 믿고 과감하게 운전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밤마다 음주운전을 단속해야 하는데, 이는 운전자 스스로 지킬 수 있는 일을 법규에 의해 강제적으로 행하는 것이므로 일단 인력 낭비에 따른 문제점이 제기되고, 또한 음주운전 단속 시기가 끝나게 되면 예전과 같은 현상이 똑같이 반복되어 음주운전 단속이 별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의 음주 측정으로 시동 모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음주 상태일 시에는 차량시동이 불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는, 점화 스위치의 시동 접점에 의해 엔진을 구동시키는 시동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전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입김을 불어 넣는 입김 모음부와; 상기 입김 모음부에서 모아진 운전자의 입김 중에서 알콜 성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알콜 센서와; 상기 알콜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의 출력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 알콜 농도에 대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입력된 신호가 보다 작으면 이에 따른 제어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한 운전자의 현재 알콜 농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온 접점 되어 점화 스위치의 시동 접점으로부터 시동 모터측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서 제어가 없을 시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화 스위치 2 : 시동 모터
10 : 입김 모음부 20 : 알콜 센서
30 : 전압 검출부 40 : A/D(Analog Digital) 변환기
50 : 제어부 60 : 디스플레이부
70 : 릴레이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그 구성은 입김 모음부(10)와, 알콜 센서(20)와, 전압 검출부(30)와, A/D 변환기(40)와, 제어부(50)와, 디스플레이부(60)와, 릴레이(70)를 포함한다.
상기 입김 모음부(10)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시동을 걸기 전에 입김을 불어 넣는 곳이다. 이는 특별한 장비가 필요없이 입김을 모아주기만 하면 된다.
상기 알콜 센서(20)는 상기 입김 모음부(10)에서 모아진 입김 중에서 알콜 성분을 검출하는 것으로, 검출된 알콜 농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상기 전압 검출부(30)는 상기 알콜 센서(20)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A/D 변환기(40)는 상기 전압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전압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A/D 변환기(40)에서 변환된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 알콜 농도에 대한 신호를 비교하여 입력된 신호가 보다 크면 이에 따른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알콜 농도는 운전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알콜 농도에 대한 디지탈 신호값을 나타낸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입력한 현재 운전자의 알콜 농도를 제어부(50)에 의해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알린다. 즉, 이는 현재 알콜 농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음주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릴레이(70)는 정상 상태에서는 점화 스위치(1)의 시동 접점에서 시동 모터(2)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있다가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의해 온 접점 되어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이 릴레이(70) 동작에 의하면 알콜 측정을 해야만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차실내에 탑승하여 시동을 걸고자 점화 스위치(1)를 시동 접점으로 하면 릴레이(70)의 오프 상태로 인해 시동 모터(2)가 구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에 운전자는 입김 모음부(10)로 입김을 불어 넣어 현재 혈중 알콜이 어느 정도인지, 운전을 해도 되는 것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입김 모음부(10)로 입김을 불어 넣게 되면 알콜 센서(20)에서는 모아진 입김 내에서 알콜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측정된 알콜 농도는 전압 검출부(30)에서 그 크기에 따른 전압으로 검출되고, 이어 A/D 변환기(40)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디지탈 신호는 제어부(50)로 입력되고, 제어부(50)에서는 기설정된 기준 알콜 농도에 대한 신호와 비교하게 된다.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운전자의 알콜 농도가 기준 알콜 농도 보다 작으면 제어부(50)는 릴레이(70)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온 동작을 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점화 스위치(1)의 시동 접점에 의한 시동 모터(2)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50)에서 측정한 현재 운전자의 알콜 농도가 기준 알콜 농도 보다 크면 제어부(50)는 오프 접점 상태에 있는 릴레이(70)로 어떤 제어 신호도 보내지 않게 된다.
이에 점화 스위치(1)의 시동 접점에서 시동 모터(2)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운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60)는 제어부(50)에서 측정한 현재 운전자의 알콜 농도를 나타내게 된다.
이 또한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 알콜 농도에 따라 운전 가능성의 유무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여 음주 운전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알콜 측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시동 유무가 결정되므로 음주운전은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음주 단속을 위한 인력 낭비가 감소되며, 운전자의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Claims (1)

  1. 점화 스위치(1)의 시동 접점에 의해 엔진을 구동시키는 시동 모터(2)를 포함하는 차량시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전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입김을 불어 넣는 입김 모음부(10)와;
    상기 입김 모음부(10)에서 모아진 운전자의 입김 중에서 알콜 성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알콜 센서(20)와;
    상기 알콜 센서(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30)와;
    상기 전압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40)와;
    상기 A/D 변환기(40)의 출력 신호와 기설정된 기준 알콜 농도에 대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입력된 신호가 보다 작으면 이에 따른 제어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에서 입력한 운전자의 현재 알콜 농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에게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60)와;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온 접점 되어 점화 스위치(1)의 시동 접점으로부터 시동 모터(2)측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서 제어가 없을 시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릴레이(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KR2019960043622U 1996-11-29 1996-11-29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KR199800305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622U KR19980030519U (ko) 1996-11-29 1996-11-29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622U KR19980030519U (ko) 1996-11-29 1996-11-29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519U true KR19980030519U (ko) 1998-08-17

Family

ID=5398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622U KR19980030519U (ko) 1996-11-29 1996-11-29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51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162A (ko) * 1998-10-08 2000-05-06 이진경 정전기 소멸회로를 내장한 원격시동제어 겸용 음주 측정기 및이를 이용한 원격시동제어 방법
KR20040009435A (ko) *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752400B1 (ko) * 2006-02-24 2007-08-28 주식회사 미디언 알코올농도 검출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항법장치
KR100943326B1 (ko) * 2008-07-31 2010-02-18 주식회사 자티전자 차량용 위성항법장치를 이용한 음주측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162A (ko) * 1998-10-08 2000-05-06 이진경 정전기 소멸회로를 내장한 원격시동제어 겸용 음주 측정기 및이를 이용한 원격시동제어 방법
KR20040009435A (ko) * 2002-07-23 2004-01-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752400B1 (ko) * 2006-02-24 2007-08-28 주식회사 미디언 알코올농도 검출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항법장치
KR100943326B1 (ko) * 2008-07-31 2010-02-18 주식회사 자티전자 차량용 위성항법장치를 이용한 음주측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4609A (en) Sobriety interlock with time-locked interlock mode
KR19980030519U (ko) 음주측정에 의한 차량시동 제어장치
KR20040009435A (ko) 차량용 음주측정 장치 및 방법
JPS59220421A (ja) 飲酒運転防止用自動車
KR0128477Y1 (ko) 자동차의 과속시 경고장치
KR0178909B1 (ko) 자동차의 속도 경보 장치
KR19980023537U (ko) 차량운전자의 음주운전방지회로
KR100187421B1 (ko) 차량용 음주운전방지회로
KR960005998Y1 (ko) 거리별 정비지시코드 표시장치
KR100190325B1 (ko) 디지탈 온도조절기를 이용한 열차 화재감지장치
KR19980032912U (ko) 차량운전자의 음주운전방지회로
KR19980050217U (ko) 차량용 배터리의 저전압표시기능이 구비된 카오디오
KR20010011208A (ko) 음주운전시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및 방법
KR970065231A (ko) 운전자의 졸음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6968546A (zh) 车辆酒精锁的控制系统、方法及车辆
KR970036012A (ko) 자동차 음주운전 방지 장치
KR0150320B1 (ko) 자동차의 경보장치
KR970037684A (ko) 비상등 자동 작동 장치 및 그 방법
KR970020809A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60005997Y1 (ko) 자동차의 과속시 경고장치
KR0119405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KR970062318A (ko) 자동차 원격시동 시스템의 기어 유무 감지장치
KR950022319A (ko) 자동차용 운전자를 위한 체조안내 방송장치 및 방법
KR19980048732U (ko) 사고 차량의 위치 표시 장치
KR19980026782U (ko) 자동차의 퓨즈 단선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