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013Y1 - 금속적층형 가스킷 - Google Patents

금속적층형 가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013Y1
KR200142013Y1 KR2019920002018U KR920002018U KR200142013Y1 KR 200142013 Y1 KR200142013 Y1 KR 200142013Y1 KR 2019920002018 U KR2019920002018 U KR 2019920002018U KR 920002018 U KR920002018 U KR 920002018U KR 200142013 Y1 KR200142013 Y1 KR 200142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metal
gasket
laminated
protrud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0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896U (ko
Inventor
요시오 미야오오
카쯔지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신이치로우
이시카와 가스킷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신이치로우, 이시카와 가스킷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카와 신이치로우
Publication of KR920016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0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15/0825Flat gaskets la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43Flat gaskets with an edge portion folded over the plate itself

Abstract

가스킷의 표면에 복수개의 고정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이 고정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돌출편을 형성하며, 이 돌출편을 고정구멍을 거쳐서 접어 올리므로써, 적층되는 가스킷을 서로 고정시킨다.
돌출편의 접어 올리는 방향을 적어도 2개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므로써, 적층되는 금속판을 확실하게 고정하여, 고정위치에서 서로 어긋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금속적층형 가스킷
제1도는 본 고안의 금속적층형 가스킷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실시예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서 있어서의 A-A선을 따르는 확대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금속적층형 가스킷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6도는 제2실시예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르는 확대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의 금속적층형 가스킷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가스킷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종래예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르는 파단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21,22,23,31,32,33,34,35 : 금속판
15a,15b,15c,15d,24,36 : 고정구멍
16a,16b,16c,16d,22a,32a : 돌출편 25,37 : 절결부
T1,T2: 절결부를 형성한 중앙금속판의 적층두께 t1,t2: 돌출편의 두께
본 고안은, 금속적층형 가스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연기관의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에 끼워지는 금속적층형 가스킷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에 끼워지는 금속적층형 가스킷은, 일반적으로, 2장이나 또는 3장 이상의 금속판을 적층시켜서 형성하며, 적층된 각 금속판은, 적층된 위치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서로 고정시키고 있다.
제10도와 제11도는, 3장의 금속판(1),(2),(3)으로 구성된 가스킷에 있어서의 각 금속판의 고정방법을 표시하는 것이며, 이 가스킷은 2장의 외측금속판(1),(2) 사이에 중앙금속판(3)을 끼운 상태로 하여 적층시키며, 한쪽의 외측금속판(2)의 외주부 일부에 돌출편(2a)을 형성하여, 이 돌출편(2a)을 다른 한쪽의 외측금속판(1)의 위로 접어 올리므로써, 각 금속판(1),(2),(3)을 서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전기한 종래의 금속적층형 가스킷에서의 금속판의 고정방법은, 외측금속판(1),(2)과 중앙금속판(3)을 서로 고정시키는 돌출편(2a)을 외측금속판(2)의 끝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이므로, 이 돌출편(2a)이 돌출하는 것만큼 외금속판(2)의 면적이 커져서, 판금재료의 사용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판금재료를 재단할 때에 낭비를 하기 쉽고, 수율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과제는, 금속적층형 가스킷에 있어서, 돌출편을 형성하므로써, 판금재료의 상요량의증가나, 재단에 따르는 낭비를 없애고, 수율이 높은 방법을 사용하여 각 금속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전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복수장의 금속판을 적층하여 구성하는 금속적층형 가스킷에 있어서, 가스킷의 표면에 각 금속판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구멍을 뚫어 형성하며, 최외측의 금속판 중에서 어느 한쪽의 금속판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돌출편을 형성하여, 그 돌출편을 고정구멍을 거쳐서 다른 한쪽의 금속판 위로 접어 올리므로써, 적층된 각 금속판을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적층된 금속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각 금속판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돌출편을 적어도 2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장 이상의 금속판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중간에 위치하는 금속판의 구멍 가장자리에, 접어 올리는 돌출편보다 약간 크게 파내는 절결부(切欠部)를 형성하여, 절결부를 형성한 금속판의 적층두께를 돌출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약간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다.
가스킷의 표면에 고정구멍을 뚤어 형성하고, 그 고정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돌출편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돌출편을 금속판의 외주에 돌출시켜서 형성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판금재료의 사용량이 많아진다고 하는 일이 없고, 그것을 재단할 때에도 판금재료를 낭비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 각 돌출편은 적어도 두방향을 향하여 성형되어 있으므로, 방향이 다른 이들 돌출편에 의해 금속판은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각 금속판은 그 위치에서 서로 어긋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제1도-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2장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금속적층형 가스킷을 표시하고 있다.
이 가스킷은, 실린더홀(13)의 주위에 밀봉용 보어접철부(bore 摺綴部)(14)를 형성한 제1금속판(11)과 비이드부(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를 형성한 제2금속판으로 구성되며, 그 제2금속판을 제1금속판(11)의 보어접철부의 내부로 끼워넣지 않고 적층시킨 것으로서, 가스킷으로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지만, 양 금속판(11),(12)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것과는 다르다.
즉, 전기한 가스켓에서는, 가스켓의 4군데의 모퉁이 근처에 양 금속판(11),(12)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구멍(15a-15d)를 뚫고, 제1금속판(11)에서는 각 고정구멍(15a-15d)의 구멍 가장자리에 돌출편(16a-16d)을 형성하여, 각 돌출편(16a-16d)을 각각의 고정구멍(15a-15d)의 안을 거쳐서 제2금속판(12)의 위로 접어 올리므로써, 양 금속판(11),(12)을 서로 고정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는, 각 돌출편(16a-16d)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그것들을 적어도 2방향으로, 방향이 다른 복수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형성하는 것이 좋지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제1도에 표시하듯이 거의 90°씩 방향이 서로 다른, 4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형성하는 것이다. 즉, 제1도에 표시하는 것은, 4개의 돌출편(16a-16d)을 거의 90°씩 방향이 다르도록 4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형성하고 있으며,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돌출편(16a와 16c 및 16b와 16d)은 서로 180°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또한, 인접하는 돌출편은 서로 90°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전기한 돌출편(16a-16d)을 4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제4도에 표시하듯이,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돌출편(16a와 16c 및 16b와 16d)을 서로 90°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돌출편은 서로 180°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이와 같이, 가스켓면에 고정구멍(15a-15d)을 뚫고, 각 고정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형성한 돌출편(16a-16d)을 고정구멍을 거쳐서 접어 올려서 양 금속판(11),(12)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그 돌출편(16a-16d)을 금속판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그 돌출편의 형성에 의한 금속판의 면적이 증가하여, 판금재료의 사용량이 증가하거나 판금재료의 재단에 있어서의 낭비를 한다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수율이 향상된다.
또, 각 돌출편(16a-16d)을 적어도 2방향으로 방향이 다르도록 형성하므로써, 양 금속판(11),(12)의 각 돌출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고정되어, 서로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 전기한 고정구멍(15a-15d)의 가스켓에서의 형성위치는 가스킷 전체의 크기에 따라 경험적으로 정할 수 있지만, 각 돌출편(16a-16d)의 가스킷의 표면에서 돌출하고 있으므로, 그 돌출에 의한 영향을 없애기 위하여, 제1도에서, 쇄선으로 표시하듯이, 각 돌출부재가 실린더블록의 절결부에 자리잡을 수 있는 위치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제2실시예의 금속적층형가스킷은, 2장의 외축금속판(21),(22)과 이들 외측금속판(21),(22)의 사이에 끼워지는 중앙금속판(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가스킷의 표면에는 외측금속판(21),(22)과 중앙금속판(23)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고정구멍(24)을 뚫어 형성하고, 이면에 위치하는 외측금속판(22)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돌출편(22a)을 설치하여, 그 돌출편(22a)을 고정구멍(24)의 거쳐서 표면쪽의 외측금속판(21)의 위로 접어올리므로써, 적층된 각 금속판을 서로 고정시키고 이다.
이때, 전기한 중앙금속판(23)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접어 올리는 돌출편(22a)보다 약간 크게 파낸 절결부(25)를 형성하여, 전기한 돌출편(22a)을 접어 올리면, 그 돌출편(22a)은 표면의 외측금속판(21)을 중앙금속판(23)의 절결부(25)로 눌러넣게 되어, 그 외측금속판(21)의 표면과 돌출편(22a)의 표면이 거의 동일평면상에 있도록 하여, 이들 외측금속판(21),(22)과 중아금속판(23)을 고정시키고 있다.
전기한 돌출편(22a)을 접어 올려서 적층판을 고정시킬 때에는, 절결부(25)를 형성하고 있는 중앙금속판(23)의 두께(T1)를 돌출편(22a)의 두께(t1)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약간 두껍게 형성하고, 그 가스킷을 엔진의 조립에 사용하여 체결했을 때, 돌출편(22a)의 두께와는 관계없이 가스킷표면을 균일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지만, 제5도의 일부에서 쇄선으로 표시하듯이, 각 돌출편(22a)이 실린더블록의 절결홈(26)의 안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면, 특별히 표면의 균일화를 생각할 필요는 없다.
또, 전기한 돌출편(22a)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도 좋지만, 적층되는 외측금속판(21),(22)과 중앙금속판(23)을 각 돌출편(22a)에서 확실하게 고정시켜서, 서로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기한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일부의 돌출편을 다른 돌출편과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돌출편을 적어도 2방향으로, 방향이 다른 복수의 군으로 나누어서 형성하면 좋지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제5도에 표시하듯이, 거의 90°식 방향이 다른 4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전기한 고정구멍(24)의 가스킷표면에서의 형성위치와 형성갯수는, 가스킷 전체의 크기와 적층판의 수량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가스킷 전체의 강성을 높히고, 적층판에서의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하는 등의, 필요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경험적으로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8도에 표시하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2장의 외측금속판(31),(32) 사이에 복수장의 중앙금속판(33).(34),(35)을 끼워넣으며, 이면의 외측금속판(32)의 구멍 가장자리에 돌출편(32a)을 형성하여, 그 돌출편(32a)을 표면의 외측금속판(31)의 위로 접어 올리는 것으로, 일부 중앙금속판(33),(34)의 구멍 가장자리에 절결부(37)를 형성하며, 절결부(37)가 형성된 중앙금속판(33),(34)의 적층두께(T2)를 돌출편(32a)의 두께(t2)와 같거나, 또는 그것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제9도 참조). 이 경우에, 전기한 절결부(37)에 있어서, 그 절결부(37)가 형성되지 않은 중앙금속판(35)에는 외측금속판(31)의 내면과 그 선단에 맞닿을 수 있는 정도의 비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비이드는, 절결부에서, 외측금속판(31)과 돌출편(32a)을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시키는데 유효한 역할을 한다.
또, 이와 같이 복수장의 중앙금속판(33),(34),(35)을 사용하는 경우에, 모든 중앙금속판에 전기한 절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또, 전기한 돌출편(22a),(32a)을 표면의 외측금속판(21)(31)에 형성하여, 그것을 이면의 외측금속판(22),(32)의 위로 접어올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금속적층형가스킷에 의하면, 가스킷표면에 고정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그 고정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 돌출편을 형성하도록 했으므로, 그 돌출편을 가스킷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판금재료의 사용량이 증가하거나, 판금재료를 재단할 때에 낭비되는 일이 없으며, 수율이 향상된다.
그 뿐만 아니라, 적층된 외측금속판과 중앙금속판을 전기한 돌출편으로 서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가스킷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면서, 동시에 중앙금속판의 불균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가 좋은 가스킷을 얻을 수가 있으며, 또,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 사이에서 눌러지는 접합면에서는 균일한 면압이 작용되므로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각 돌출편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들 돌출편에 의해 금속판은 각 방향으로 확실하게 고정되어, 각 금속판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복수의 금속판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금속적층형 가스킷에 있어서, 가스킷에 있어서, 가스킷 면 중의 4모서리 부에 각 금속판(11),(12)을 관통하는 고정구멍(15a),(15b),(15c),(15d)을 뚫어 설치하며, 앞 뒤 쪽 중의 어느 한 쪽의 금속판에 있어서의 각 고정구멍(15a),(15b),(15c),(15d)의 구멍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편을 설치하고, 이들 돌출편은 이웃한 돌출편끼리 서로 90°씩 방향으로 달리하여 형성하며, 그 각 돌출편(16a),(16b),)(16c),(16d)을 다른 쪽 금속판의 고정구멍(15a),(15b),(15c),(15d)내로 상기한 돌출편을 삽입한 후, 되접어 꺾는 것에 의하여, 적층된 각 금속판(11),(12)을 구속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층형 가스킷.
  2. 제1항에 있어서, 적층하는 금속판의 장 수를 3장 이상으로 하며, 중간에 위치하는 중앙금속판(23)의 구멍구멍(24)의 가장자리에, 접어 올린 돌출편(22a)보다 약간 크게 절단한 절결부(25)를 형성하며, 그 절결부(25)를 형성한 중앙금속판(23)의 적층두께(T1)를 돌출편(22a)의 두께(t1)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적층형 가스킷.
KR2019920002018U 1991-02-19 1992-02-12 금속적층형 가스킷 KR2001420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031722U JP2539275Y2 (ja) 1991-02-19 1991-02-19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JP91-31722 1991-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896U KR920016896U (ko) 1992-09-17
KR200142013Y1 true KR200142013Y1 (ko) 1999-06-01

Family

ID=1233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2018U KR200142013Y1 (ko) 1991-02-19 1992-02-12 금속적층형 가스킷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39275Y2 (ko)
KR (1) KR2001420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9289B2 (ja) * 1995-01-20 1999-07-12 日本ラインツ株式会社 メタルガスケット
KR100827685B1 (ko) * 2006-07-28 2008-05-07 동아공업 주식회사 컬링에 의한 적층형 가스켓의 체결수단
KR101384679B1 (ko) 2012-06-29 2014-04-14 동아공업 주식회사 볼트부 조립 구조를 가지는 가스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348U (ko) * 1988-09-13 1990-03-19
JP2547698Y2 (ja) * 1989-01-20 1997-09-10 石川ガスケット 株式会社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39275Y2 (ja) 1997-06-25
KR920016896U (ko) 1992-09-17
JPH04105267U (ja) 199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472B1 (ko) 개스킷 및 그 제조방법
JP2691805B2 (ja) 多気筒金属ガスケット
US5348311A (en) Metal laminate gasket with fixing devices
EP1811162B1 (en) Metal gasket for cylinder head
EP0230804B2 (en) Metallic gasket
KR100690263B1 (ko) 금속적층형 실린더 헤드 개스킷
KR970001574Y1 (ko) 금속적층형 가스킷
KR0180549B1 (ko) 다윌을 맞무는 장치를 가진 강박판 적층 개스킷
US7306236B2 (en) Cylinder head gasket
US5979905A (en) Metal sealing gasket
KR200142013Y1 (ko) 금속적층형 가스킷
JP3113642B2 (ja)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KR100474038B1 (ko) 금속 개스킷
KR100605400B1 (ko) 개스킷
JP3751786B2 (ja)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JPH0258501B2 (ko)
KR20020010083A (ko) 금속 가스켓
KR100320314B1 (ko) 실린더 헤드 가스킷
KR100267480B1 (ko) 금속 적층형 개스킷
JP4519055B2 (ja) シリンダーヘッド用メタルガスケット
KR0114904Y1 (ko) 금속 적층형 가스킷
JP3098734B2 (ja) 金属積層形ガスケット
JP2580303Y2 (ja) 金属積層形ヘッドガスケット
JP3294534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H05164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