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551Y1 -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 - Google Patents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1551Y1 KR200141551Y1 KR2019960045997U KR19960045997U KR200141551Y1 KR 200141551 Y1 KR200141551 Y1 KR 200141551Y1 KR 2019960045997 U KR2019960045997 U KR 2019960045997U KR 19960045997 U KR19960045997 U KR 19960045997U KR 200141551 Y1 KR200141551 Y1 KR 2001415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l
- support plate
- hanger
- plate
- tool hang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공구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지지판(30)에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표시수단(P)이 부착되는 표시부(33)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할 후 다시 걸어 보관할 시에는 정해진 위치에 사용한 공구를 걸어두게 되어 공구가 항상 제 위치에 보관할 수 있고, 작업조건이 달라져 공구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도 스티커(P)가 부착된 공구걸이구(20)를 공구걸이판(10)에서 빼내 옮겨주면 되므로 공구걸이판(10)의 외관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지지판(30)의 끼움공(31) 양측으로 성형공(32)을 형성하여 지지판(3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도 지지판(30)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공구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공구명이나 그림이 그려진 표기수단을 공구걸이구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하여 각종공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확개부(2a)와 협소부(2b)로 이루어진 공구걸이구(2)이 다수 형성된 공구걸이판(1)에 공구걸이구(3)를 상기 공구걸이공(2)의 협소부(2b)에 끼워지게 취부한 한 공구를 공구걸이구(3)에 걸어 보관 하였다가 필요시에는 공구걸이구(3)에 걸려진 공구를 빼내 사용하였다.
그러나 작업자가 공구를 상요한 후 다시 걸어 보관할 경우에는 공구걸이구(3)에 보관 되었던 공구를 표시해주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임의의 위치에 사용한 공구를 걸어두게 되어 공구가 항상 제 위치에 보관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공구의 분실 여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공구걸이구(1)의 공구걸이구(3)주위에 공구명이나 그림이 그려진 스티커(p)를 부착하여 사용해왔으나 이 또한 작업조건이 달라져 공구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이 스티커(p)를 공구걸이판(1)으로부터 떼어내 옮겨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구걸이판(1)에 스티커(p) 자국이 남아있게 되어 공구걸이판(1)의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구가 걸리게되는 공구걸이구(3)의 지지판(4)에 공구명이나 그림을 표기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으나 종래의 공구걸이구(3)는 지지판(4)과 체결돌부(5) 사이에 이격홈부(5a)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금형이 에 걸이봉(6)에 대하여 양쪽으로 분리되는 작업방식을 취할 수 밖에 없었고, 이러한 작업방식에서 지지판(4)의 크기를 만들게 되면 금형 분리시 지지판(4)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지지판(4)의 크기를 일정크기이상 제작할 수 없어 지지판(4)에 공구명이나 그림을 표기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공구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스티커 및 표기수단을 공구걸이구에 제공하여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한 후 다시 걸어 보관할 수 있고, 작업조건이 달라져 공구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도 스티커가 부착된 공구걸이구를 공구걸이판에서 빼내 옮겨 주면되므로 공구걸이판의 외관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지지판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도 지지판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는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확개부와 협소부로 이루어진 공구걸이공 이 다수 형성된 공구걸이판과; 상기 공구걸이공에 취부되도록 지지판의 후방에 이격돌부를 사이에 두고 체결돌부가 돌설되고, 상기 지지판의 끼움공에 공구걸이봉이 끼워 결합되는 공구걸이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끼움공 양측에 두 개의 성형공을 이격돌부의 폭만큼 떨어지게 형성하고, 지지판의 하부에 표시부가 형성된 공구걸이구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제1도는 종래의 공구걸이구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공구걸이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가-가'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구걸이판 11 : 공구걸이구
11a : 확개부 11b : 협소부
20 : 공구걸이구 30 : 지지판
31 : 끼움공 32 : 성형공
33 : 표시부 40 : 체결돌부
41 : 이격돌부 50 : 공구걸이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확개부(11a)와 협소부(11b)로 이루어진 공구걸이공(11)이 다수 형성된 공구걸이판(10)과; 상기 공구걸이공(11)에 취부되도록 지지판(30)의 후방에 이격돌부(41)를 사이에 두고 체결돌부(40)가 돌설되고, 상기 지지판(30)의 끼움공(31)에 공구걸이봉(50)이 끼워 결합되는 공구걸이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의 끼움공(31) 양측에 두 개의 성형공(32) 이격돌부(41)의 폭만큼 떨어지게 형성하고, 지지판(30)의 하부에 표시부(33)가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판(30)의 하단부에 위치한 표시부(33)는 공구의 명칭 또는 그림이 그려진 표기수단(P)이 부착되는 곳이다.
상기 끼움공(31) 양측에 형성된 성형공(32)은 금형이 지지판(30)과 이격돌부(41)가 돌설된 체결돌부(40)를 양쪽으로 분리되는 작업방식을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공구걸이구(20)를 공구걸이판(10)에 취부시에는 우선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스티커(P)를 지지판(30)의 표시부(33)에 부착하고 이 표시부(33)에 스티커(P)가 부착된 공구걸이구(20)를 공구걸이판(10)에 취부시킨후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공구걸이구(20)에 공구를 걸어 보관하면 된다.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할 때에는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스티커(P)가 부착된 공구걸이구(20)에서 공구를 빼내 사용하면 된다.
도한, 작업조건에 의해 자주사용되는 공구를 변경할 경우에는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스티커(P)가 부착된 공구걸이구(20)를 공구걸이판(10)에서 빼내 옮겨주면 된다.
한편, 지지판(3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경우에는 금형작업시 상기 성형공(32)의 형상에 맞는 보강편을 지지판(30)에서부터 체결돌부(40)에 이르는 이격거리까지 삽입하여 금형이 일측으로는 지지판(30)을 타측으로는 이격돌부(41)가 형성된 체결돌부(40)를 양쪽으로 분리되는 작업을 취할 수 있어, 상기 성형공(32)에 의해 지지판(30)의 크기를 얼마든지 크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공구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표기수단(P)이 부착되는 표시부(33)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거나 보관시 공구를 항상 제위치에 보관할 수 있고, 작업조건이 달라져 공구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도 공구걸이구(20)만 공구걸이판(10)에서 빼내 옮기면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금형시 성형공(32)에 의해 지지판(3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도 지지판(30)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구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지지판(30)에 공구의 명칭이나 그림이 그려진 표기수단(P)이 부착되는 표시부(33)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한 후 다시 걸어 보관할 시에는 정해진 위치에 사용한 공구를 걸어두게 되어 공구가 항상 제 위치에 보관할 수 있고, 작업조건이 달라져 공구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도 스티커(P)가 부착된 공구걸이구(20)를 공구걸이판(10)에서 빼내 옮겨주면 되므로 공구걸이판(10)의 외관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지지판(30)의 끼움공(31) 양측으로 복수개의 성형공(32)을 형성하여 지지판(30)의 크기를 크게 제작하여도 지지판(30)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확개부(11a)와 협소부(11b)로 이루어진 공구걸이공(11)이 다수 형성된 공구걸이판(10)과; 상기 공구걸이공(11)에 취부되도록 지지판(30)의 후방에 이격돌부(41)를 사이에 두고 체결돌부(40)가 돌설되고, 상기 지지판(30)의 끼움공(31)에 공구걸이봉(50)이 끼워 결합되는 공구걸이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의끼움공(31) 양측에 두 개의 성형공(32)을 이격돌부(41)의 폭만큼 떨어지게 형성하고, 지지판(30)의 하부에 표시부(33)가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5997U KR200141551Y1 (ko) | 1996-12-06 | 1996-12-06 |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5997U KR200141551Y1 (ko) | 1996-12-06 | 1996-12-06 |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3092U KR19980033092U (ko) | 1998-09-05 |
KR200141551Y1 true KR200141551Y1 (ko) | 1999-05-01 |
Family
ID=1947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45997U KR200141551Y1 (ko) | 1996-12-06 | 1996-12-06 |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155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4860B1 (ko) * | 2012-05-07 | 2014-03-17 | 신흥세진(주) | 항공기제작정비용 공구전용 수납박스 및 그 제조방법 |
-
1996
- 1996-12-06 KR KR2019960045997U patent/KR20014155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3092U (ko) | 1998-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09213A (en) | Picture hanger aid and aligning device | |
US6536611B2 (en) | Wrench suspension rack assembly | |
US20070144020A1 (en) | Level with adjustable fastener locators | |
US5730303A (en) | Hand tool rack | |
KR200141551Y1 (ko) | 명찰기능을 갖는 공구걸이구 | |
KR200152341Y1 (ko) | 탈.부착이 용이한 명찰판을 갖는 공구걸이구 | |
KR200172247Y1 (ko) | 거치대용 걸이간 | |
KR200148767Y1 (ko) | 걸이용 공구보관대 | |
JPH04162326A (ja) | 回路遮断器の取付装置 | |
GB2377631A (en) | Garment hanger | |
JP4808043B2 (ja) | 衣類整形装置の人型構造 | |
KR200333258Y1 (ko) | 공구 걸이대 | |
KR200177895Y1 (ko) | 자석이 구비된 공구걸이구 | |
JPH10108995A (ja) | 洗濯竿の端部固定具、及びそれを取付けた物干し台 | |
KR950009752Y1 (ko) | 스위치의 취부장치 | |
KR200147095Y1 (ko) | 공구박스 | |
KR200260833Y1 (ko) | 넥타이 걸이 | |
KR200173603Y1 (ko) | 벽 붙임용 걸이구 | |
KR900007773Y1 (ko) | 차량용 무선기기 착탈 장치 | |
JP4086358B2 (ja) | 商品陳列具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商品吊下げ体 | |
JP2520068Y2 (ja) | 工具用のハンガー | |
JP3134531U (ja) | 商品陳列フック用カードホルダー及び商品陳列器具 | |
KR19980029587U (ko) | 작업용 공구 걸이구 | |
JP4660878B2 (ja) | 吊下げ具および吊下げ容器 | |
JP2001315076A (ja) | 工具ホルダ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