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561A - 도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561A
KR20010113561A KR1020010034788A KR20010034788A KR20010113561A KR 20010113561 A KR20010113561 A KR 20010113561A KR 1020010034788 A KR1020010034788 A KR 1020010034788A KR 20010034788 A KR20010034788 A KR 20010034788A KR 20010113561 A KR20010113561 A KR 2001011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key member
opening
box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야마마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츠야마 마스히로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8296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5162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야마 마스히로,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filed Critical 미츠야마 마스히로
Publication of KR2001011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14Applications of locks, e.g. of permutation or key-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대여상품이나 각종 판매상품을 수납한 케이스가 상품의 절도의 목적으로 개방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또한 상품이 들어있는 케이스가 점포 밖으로 반출되는 일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반출을 방지하는 태그를 점포측에 남겨 놓음으로써, 실드작업이 필요 없어지는 도난방지장치이다.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힌지를 통해 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한 뚜껑체로 케이스를 형성하고, 이 케이스의 서로 겹치는 둘레벽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키부재를 끼워넣음으로써, 케이스의 개방을 어렵게 한다.

Description

도난방지장치 {COMMODITY ANTITHEFT IMPLEMENT}
본 발명은, 예컨대,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CD 카세트의 음악이나 영상이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나 비디오 테이프, 게임 소프트 등의 대출상품이나 각종 판매상품이 케이스내에서 빼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들 상품이 케이스와 함께 점포 밖으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리고 케이스내에 수납한 각종 판매상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대여점에서는 점포의 선반에 대여상품이 들어 있는 수납케이스를 진열해 두면, 종래의 케이스는 개방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케이스내에서 대여상품이 빼내져서 도난을 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점포의 선반에 빈 케이스를 나란히 진열해 두고, 고객이 진열되어 있는 원하는 대여상품명의 빈 케이스를 선반에서 꺼내서 카운터로 가져 오면, 카운터내의 점원에 의해 빈 케이스에 표시된 대여상품을 보관장소에서 꺼내고, 또한 소정 대여처리를 마치고 대출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택하면, 대여처리를 마칠 때까지 고객이 직접 대여상품에 손을 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대여상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점원이 보관장소에서 대여상품을 고르거나 정리하여 보관하는 등 손이 많이 가서 원활한 대출이 어려워짐과 동시에, 넓은 보관장소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점포의 선반에 대여상품의 수납케이스를 진열하고, 고객이 진열되어 있는 원하는 대여상품을 케이스에서 꺼내 카운터로 가져와서 대여절차를 거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객이 직접 대여상품을 만지기 때문에, 점포 밖으로 대여상품이 반출되어 도난을 당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 대여점에서는 대여상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여상품의 임의의 위치에 고유의 ID 코드를 갖는 도난방지태그를 부착해 두고, 점포의 출입구에는 소정의 고주파전자계를 발생시켜 두어, 무단으로 반출된 대여상품이 출입구를 통과할 때에 상기 ID 코드의 공진회로가 공진하여 고유의 ID 코드를 발신하고, 고주파전자계가 변조함으로써 이것을 검출하여 대여상품의 통과를 검출하고, 이것을 점원이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은, 카운터에서의 대여절차시에 상기 도난방지태그의 ID 코드를 어떠한 방법으로든 실드하지 않으면, 소정의 절차를 거쳐 대출된 대여상품이어도 무단으로 반출된 것과 동일하게 검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드절차와 같은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해짐과 동시에, 실드용 비품으로 인해 비용이 대폭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술한 대여상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의류, 장신구, 일용품 등의 각종 상품의 도난방지대책으로서 상기 도난방지태그를 사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특히, 예컨대 상자체와, 이 상자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수납한 물품은, 개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품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되어,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개방저지 키부재나 슬라이더를 사용한 케이스에 있어서도, 케이스에 무리하게 개방방향의 힘을 가하면, 키부재나 슬라이더에 걸어맞춤관계에 있는 부위가 파손되거나 또는 벗겨져서 개방될 우려도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자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형성된 케이스의, 도 53 에 나타낸 상자체 (102) 및 뚜껑체 (104) 의 내측 둘레벽 (106) 과 외측 둘레벽 (106) 과의 안밖에서 겹치는 부분에는, 도 5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 (102) 와 뚜껑체 (104) 에 도시 화살표방향의 외압을 가하면, 외측 둘레벽 (106) 에 외측을 향해 넓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은 외압이 강할수록 커진다.
그러면, 외측 둘레벽의 확장부분의 내측으로 손가락 끝이나 드라이버 등을 밀어넣기가 쉬워지고, 밀어넣어짐에 따라 외측 둘레벽을 넓혀서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둘레벽 (106) 이 넓어짐에 따라 외측 둘레벽 (106) 과 내측 둘레벽 (106) 과의 사이에 손가락 끝을 밀어넣고, 밀어넣은 손가락 끝을 외측이나 내측 둘레벽의 개방 가장자리에 걸어 잡아당기면서 무리하게 케이스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여상품이나 도난방지 대상물이 꺼내지는 일이 없도록 케이스의 개방을 저지함과 동시에, 점포 밖으로의 반출을 방지하는 태그를 점포측에 남겨서 실드가 불필요해지도록 하고, 또한 케이스에 무리하게 개방방향의 힘을 가해도 개방될 우려가 없는 도난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상동 일부절결정면도.
도 3 은 동 종단측면도.
도 4 는 관통구멍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관통구멍의 예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도 6 은 관통구멍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도 7 은 키부재의 스토퍼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도 8 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상동 사용예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도 10 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상동 요부를 나타낸 종단정면도.
도 12 는 동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정면도.
도 13 은 키부재의 사시도.
도 14 는 걸림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절결정면도.
도 15 는 상동 종단측면도.
도 16 은 상동에 해제구를 삽입한 일부절결정면도.
도 17 은 상동 종단측면도.
도 18 은 키부재를 삽입한 일부절결정면도.
도 19 는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 은 상동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 은 동 일부절결평면도.
도 22 는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 은 키부재를 삽입한 일부절결정면도.
도 24 는 상동 종단측면도.
도 25 는 상동에 해제구를 삽입한 종단측면도.
도 26 은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 은 케이스에 슬라이더를 삽입한 종단정면도.
도 28 은 상동 횡단저면도.
도 29 는 상동에 해제구를 삽입한 종단정면도.
도 30 은 상동 횡단저면도.
도 31 은 동 종단측면도.
도 32 는 제 8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3 은 키부재와 케이스의 사시도.
도 34 는 케이스에 키부재를 삽입한 종단측면도.
도 35 는 동 횡단평면도.
도 36 은 상동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7 은 해제구의 사용을 나타낸 일부절결정면도.
도 38 은 동 종단측면도.
도 39 는 동 종단측면도.
도 40 은 제 9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1 은 상동 종단측면도.
도 42 는 상동 요부를 나타낸 확대평면도.
도 43 은 요철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4 는 다른 요철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5 는 다른 요철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6 은 요철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일부절결사시도.
도 47 은 제 10 실시형태를 나타낸 케이스의 사시도.
도 48 은 상동 닫힌 케이스의 사시도.
도 49 는 상동 요부를 나타낸 횡단평면도.
도 50 은 다른 예를 나타낸 횡단평면도.
도 51 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2 는 상동 요부를 나타낸 횡단평면도.
도 53 은 종래의 케이스의 횡단평면도.
도 54 는 케이스에 외압을 가한 횡단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케이스 a : 상품
1 : 개구 2 : 상자체
3 : 힌지 4 : 뚜껑체
5 : 주벽 6 : 둘레벽
7 : 관통구멍 8 : 키부재
9 : 돌출벽 10 : 굴곡벽
11 : 가이드 수단 12 : 레일조
13 : 빠짐방지조 14 : 스토퍼
15 : 브림 16 : 표면오목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과 특징은, 일례로서 도해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설명에 의해 상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도난방지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 1 실시형태의 케이스 (A) 는, 내부에 상품 (a) 을 수납함과 동시에, 이 상품 (a) 의 출입용 개구 (1) 를 갖는 얕은 각형의 상자체 (2) 와, 이 상자체 (2) 에 힌지 (3) 를 통해 개구 (1) 를 개폐하도록 설치한 뚜껑체 (4)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자체 (2) 는, 각형 주벽 (主壁 : 5) 의 4 둘레가장자리에 둘레벽 (6) 을 설치하여 형성되고, 또한 뚜껑체 (4) 는 각형 주벽 (5) 의 3 둘레 가장자리에 둘레벽 (6) 을 설치하고, 그 주벽 (5) 의 하측 가장자리를 상자체 (2) 의 하부 둘레벽으로부터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자체 (2) 와 뚜껑체 (4) 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성형되어 있다.
상기 힌지 (3)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 (2) 의 주벽 (5) 에 있어서의 하측 가장자리와 하부 둘레벽의 코너부분, 및 뚜껑체 (4) 의 주벽 (5) 에 있어서의 하측 가장자리와 하부 둘레벽의 코너부분에 실시한 하프컷으로 형성되고, 상자체 (2) 에 대하여 뚜껑체 (4) 는, 플랫하게 완전히 열린 상태로부터 개구 (1) 를 폐쇄하는 상태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자체 (2) 의 개구 (1) 를 뚜껑체 (4) 로 폐쇄하였을 때, 뚜껑체 (4) 의 둘레벽 (6) 이 상자체 (2) 의 둘레벽 (6) 에 대하여 외측에서 끼워맞춰진다.
상기 상자체 (2) 와 뚜껑체 (4) 의 양 둘레벽 (6,6) 에는, 뚜껑체 (4) 로 상자체 (2) 를 닫았을 때, 서로 합치되는 관통구멍 (7,7)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합치된 관통구멍 (7,7) 에는, 키부재 (8) 가 외부로부터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이 키부재 (8) 를 관통구멍 (7,7) 에 삽입함으로써, 상자체 (2) 에 대한 뚜껑체 (4) 의 폐쇄상태가 유지되고, 키부재 (8) 를 빼냄으로써, 뚜껑체 (4) 를 개방위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이 상자체와 뚜껑체와의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의 소정 부분에,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에서 내측으로의 외압에 따른 외측 둘레벽 개방 가장자리부의 외측 확장을 저지하는 압입수단을 설치한 케이스를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이 케이스의 상기 상자체와 뚜껑체와의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의 적어도 한쪽 개방 가장자리의 소요 부분에 손가락에 상처를 입히도록한 요철부를 형성한 케이스를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3) 는 반드시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별도 부품의 경첩이나 구멍과 돌출축과의 끼워맞춤방식의 핀 힌지 등으로 개폐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부재 (8) 는 도시된 판형상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축이나 환축 등이어도 된다.
당연히 관통구멍 (7) 도, 도시의 경우 판형상의 키부재 (8) 를 사용하는 관계상, 판형상체의 주위형상에 합치되는 장공 (長孔) 으로 형성하였으나, 키부재 (8) 의 주위형상에 합치되는 형상으로 하면 된다.
물론, 관통구멍 (7) 의 형상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부재 (8) 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걸어맞춰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요컨대, 합치된 관통구멍 (7,7) 에 키부재 (8) 를 삽입함으로써 상자체 (2)에 대한 뚜껑체 (4) 의 개방을 저지하는 것이다.
상기 관통구멍 (7,7) 의 위치는, 도시된 힌지 (3) 에 대향하는 둘레벽 (6,6) 의 상변측 중앙부분에 형성하였으나, 치수 등에 따라 상변측 양단부나, 둘레벽 (6,6) 의 양측변 등에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관통구멍 (7,7) 을 갖는 서로 겹치는 안밖의 둘레벽 (6,6) 이외에,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벽 (6) 에 대향하여 병렬하도록 일측 또는 양 주벽 (5) 으로부터 돌출벽 (9) 을 형성하여, 이 돌출벽 (9) 에 둘레벽 (6,6) 의 관통구멍 (7) 에 합치되는 관통구멍 (7) 을 형성하여 둘레벽 (6) 및 돌출벽 (9) 의 양 관통구멍 (7) 에 키부재 (8) 를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주벽 (5,5) 의 변 가장자리로부터 이어져서 관통구멍 (7) 을 갖는 둘레벽 (6) 의 외측에 후크 모양의 굴곡벽 (10,10) 을 형성하여, 이 굴곡벽 (10,10) 사이로부터 관통구멍 (7) 으로 키부재 (8) 를 삽입하도록 해 두면, 삽입한 키부재의 단말을 은폐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A) 내에는, 삽입하는 키부재 (8) 의 가이드수단 (11) 을 설치하면, 관통구멍 (7) 을 통해 삽입하는 키부재 (8) 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 (11) 은, 도시의 경우 상자체 (2) 측의 주벽 (5) 의 내면에 키부재 (8) 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레일조 (rail strings : 12) 와, 이 레일조 (12) 로부터 주벽 (5) 에 대하여 키부재 (8) 의 두께보다 약간 큰 간격을 갖고 돌출함과 동시에, 키부재 (8) 의 측가장자리부 판면을 향하는 빠짐방지조 (slip-off preventing strings : 13) 로 형성하였으나, 이 가이드수단 (11) 은 뚜껑체 (4) 측의 주벽 (5) 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형상도 레일조 (12) 와 빠짐방지조 (13) 에 의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형상, 예컨대 통형상체 등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때, 레일조 (12) 의 종단에 키부재 (8) 의 삽입선행단 가장자리의 양측이 맞닿는 스토퍼 (stoppers : 14) 를 설치하여, 삽입 키부재 (8) 의 말단 가자장리와 외측 둘레벽 (6) 의 표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 (14) 는, 레일조 (12) 에 형성하는 것 이외에, 예컨대 주벽 (5) 의 내면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부재 (8) 의 말단에 브림 (brim : 15) 을 형성하고, 이 브림 (15) 를 외측 둘레벽 (6) 의 표면오목부 (16) 에 끼워넣고, 은폐를 위하여 브림 (15) 의 표면과 둘레벽 (6) 의 표면을 동일면이 되도록 한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 (11) 에 의해, 키부재 (8) 의 삽입로가 확립되고, 케이스 (A) 에 수납한 상품 (a) 이 미포장이어도 상품 (a) 과 키부재 (8) 가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그 결과 미포장 상품 (a) 과 키부재 (8) 의 접촉으로 인해 상품 (a) 이 손상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일이 전혀 없게 된다.
예컨대, 상품이 미포장 디스크여도 기록면이나 인쇄면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음과 동시에, 상품의 미포장에 의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 (A) 에 가사카드 등의 부속물이 수납되어 있어도, 삽입 키부재 (8) 에 의한 부속물의 파손 등도 없다.
도 8 과 도 9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케이스(A) 에 삽입되어 있는 키부재 (8) 를 점포측에서 뽑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인발수단은,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 (7) 의 가장자리에 인발구 (drawing tool : 19) 의 삽입구로서의 절결 (notch : 20) 을 형성하고, 또한 절결 (20) 에 삽입하는 인발구 (19) 와 삽입된 키부재 (8) 와의 대향면이나 대향 가장자리에, 1 쌍의 걸어맞춤부 (latch portion : 21) 를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 (21) 는, 도시의 경우, 일측에 돌기 (22) 를, 타측에 돌기 (22) 가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춰지는 구멍 (23) 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인발구 (19) 의 삽입에 따라 구멍 (23) 과 돌기 (22) 가 합치되면, 구멍 (23) 에 돌기 (22) 가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춤상태로 되고, 이 걸어맞춤상태후에 인발구 (19) 를 뽑으면, 동시에 키부재 (8) 가 뽑혀서, 케이스 (A) 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뽑은 인발구 (19) 와 키부재 (8) 는 점포측에 남겨 놓고 재사용한다. 따라서, 키부재 (8) 가 존재하지 않는 케이스 (A) 는 판매 케이스나 대여점에서는 대출케이스로 된다.
그리고, 도시의 경우 인발구 (19) 에 구멍 (23) 을, 키부재 (8) 에 돌기 (22) 를 형성한 것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22) 의 돌출방향 단면 (端面) 에 삽입선행방향을 향할수록 돌출정도가 큰 테이퍼면부를 형성해 두면, 인발구 (19) 의 삽입이 원활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키부재 (8) 에 점착이나 매입 등에 의해 도난방지 태그 (antitheft tag : 24) 를 부착한 것이다.
도 8 과 도 9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 (24) 는, 공지의 고유의 ID 코드를 갖는 것으로서, 태그 (24) 가 부착된 삽입 키부재 (8) 가 설치된 케이스 (A) 가 점포의 출입구를 통과할 때에, 출입구에 설치된 ID 코드의 공진회로가 공진하여 고유의 ID 코드를 발신하고, 고주파전자계가 변조함으로써 이것을 검출하여 케이스 (A) 의 통과를 검출함으로써, 케이스 (A) 가 무단으로 반출된 것임을 점원이 감시하여 도난을 방지한다.
물론, 태그 (24) 가 부착된 키부재 (8) 는 뽑아서 점원에게 건네주고, 미포장 상품 (a) 을 수납하고 있는 상태의 케이스 (A) 는, 판매케이스나 대출케이스로 된다.
당연히 판매나 대출 이전에는, 키부재 (8) 에 의한 케이스 (A) 의 개방저지나, 태그 (24) 에 의해 미포장 상품 (a) 의 절도나 도난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도 10 내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케이스 (A) 에 삽입한 키부재 (8) 와 케이스 (A) 측에, 키부재 (8) 의 삽입에 따라 걸어맞춤관계로 되는 걸림수단 (31) 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 걸림수단 (31) 은, 케이스 (A) 에 끼워넣는 해제구 (releasing tool : 32) 에 의해 걸어맞춤관계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수단 (31) 은, 도시의 경우, 키부재 (8) 의 측가장자리에 외측 가장자리가 키부재 (8) 의 말단방향으로 돌출정도가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한 걸어맞춤돌기 (33) 와, 가이드수단 (11) 의 레일조 (12) 의 도중에 걸어맞춤돌기 (33) 가 끼워넣어지고 걸려서 키부재 (8) 의 뽑힘을 저지하는 걸어맞춤구멍 (34) 으로 구성하고, 키부재 (8) 의 삽입에 따라 레일조에 걸어맞춤돌기 (33) 가 접촉하면 걸어맞춤돌기 (33) 가 밀어 눌려져서, 키부재 (8) 의 삽입종료에 따라 걸어맞춤돌기 (33) 와 걸어맞춤구멍 (34) 이 합치되기 때문에, 레일조 (12) 와 걸어맞춤돌기 (33) 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밀어 누름 (pushing back) 이 해제된 걸어맞춤돌기 (33) 가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구멍 (34) 에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춤상태로 되어, 키부재 (8) 의 뽑힘을 저지한다.
상기 걸어맞춤돌기 (33) 및 걸어맞춤구멍 (34) 은, 키부재 (8) 와 가이드수단 (11) 에 형성하는 것 이외에, 예컨대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부재 (8) 와 케이스 (A) 와의 대향면에서 상자체 (2) 의 주벽 (5) 내면에 형성하거나, 뚜껑체 (4) 의 주벽 (5) 내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걸림수단 (31) 을 구성하는 걸어맞춤돌기 (33) 와 걸어맞춤구멍 (34) 과의 걸어맞춤구멍 (34) 대신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A) 의 내면,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체 (2) 및 뚜껑체 (4) 의 적어도 한쪽 주벽 (5) 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조나 돌기 등의 돌출부 (51) 를 형성하고, 키부재 (8) 의 삽입 도중에 돌출부 (51) 에 걸어맞춤돌기 (33) 가 접촉하고, 접촉에 따라 걸어맞춤돌기 (33) 를 밀어 누르고, 걸어맞춤돌기 (33) 가 돌출부 (51) 를 완전히 통과하면 밀어누름이 해제된 걸어맞춤돌기 (33) 가 복귀됨과 동시에, 복귀된 걸어맞춤돌기 (33) 의 끝이 돌출부 (51) 에 걸려서 키부재 (8) 의 뽑힘을 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돌출부 (51) 가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조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 14 나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부재 (8) 의 관통부 (52) 는 절결 관통구멍 등에 의해 형성해 두면 된다.
상기 걸어맞춤돌기 (33) 는, 도시의 경우 키부재 (8) 의 판면에 コ 자형상의 슬릿 (slit : 53) 을 넣고, 이 슬릿 (53) 의 내측을 밀어내서 형성하였으나, 예컨대 별도 부품의 걸어맞춤돌기를 키부재에 고착하거나, 합성수지의 성형판 등에 의해, 키부재 (8) 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요컨대, 키부재 (8) 의 삽입종료시점에 자동적으로 키부재 (8) 와 케이스 (A) 가 걸어맞춤관계로 되어 키부재 (8) 의 뽑힘을 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해제구 (32) 는, 도 11 및 도 12 의 경우, 삽입구로서의 관통구멍 (7) 을 통해 걸어맞춤돌기 (33) 를 향해 삽입하면, 이 판형상의 해제구 (32) 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끝이 가느다란 돌편 (35) 이 걸어맞춤돌기 (33) 로부터 키부재 (8) 의 말단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 (36) 의 외측 가장자리와 레일조 (12) 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지고, 계속 끼워넣음으로써 걸어맞춤구멍 (34) 으로부터 걸어맞춤돌기 (33) 를 탈출시키도록 밀어 해제시킴과 동시에 걸어맞춤관계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해제구 (32) 가 뽑히면, 밀려 해제된 걸어맞춤돌기 (33) 의 복원력에 의한 돌출편 (36) 의 돌편 (35) 으로의 압접에 의한 마찰력으로, 해제구 (32) 와함께 키부재 (8) 를 뽑을 수 있다.
그리고, 마찰력이 발생하는 부분에 가령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키부재 (8) 와 해제구 (32) 에,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돌기 (22) 와 구멍 (23) 이 조합된 걸어맞춤부 (21) 를 형성해 두면 된다.
또한,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면에 걸림수단 (31) 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 (33) 의 돌출방향의 중앙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절결부 (54) 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 (54) 에 관통구멍 (7) 의 가장자리의 삽입구용의 절결 (20) 로부터 끼워넣은 해제구 (32) 의 돌편 (35) 을 끼워넣고, 계속 끼워넣음으로써 걸어맞춤돌기 (33) 를 밀어눌러서 걸어맞춤돌기 (33) 와 돌출부 (51) 와의 걸어맞춤관계를 해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물론, 키부재 (8) 와 해제구 (32) 와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 (21) 의 돌기 (22) 와 구멍 (23) 의 끼워넣음에 의한 걸어맞춤에 의해 해제구 (32) 와 키부재 (8) 를 모두 뽑는다.
상기 걸어맞춤부 (21) 의 구성 및 작용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제구 (32) 와 함께 뽑은 키부재 (8) 는 점포측에 남겨 두고, 상품 (a) 이 들어간 케이스 (A) 는 대출케이스나 판매케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고, 진열시 등에는 케이스 (A) 에 삽입되어 있는 키부재 (8) 에 의해 케이스 (A) 의 개방을 저지하고, 또한 걸림수단 (31) 에 의해 키부재 (8) 의 뽑힘을 방지한다.
물론,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걸림수단 (31) 이 설치된 키부재 (8) 에 도난방지 태그 (24) 를 부착해 둘 수도 있다.
도면중 39 는 해제구 (32) 에 형성한 돌기 (22) 의 밀어 해제시키기 위한 관통창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A) 에 수납한 미포장 상품 (a), 예컨대 센터지지부재 (40) 에 의해 가지지한 디스크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하여, 케이스 (A) 내에 삽입한 키부재 (8) 의 삽입선행단을 떨어진 위치에서 스톱시켜, 키부재 (8) 와 디스크의 판면을 접촉하지 않게 하면, 디스크의 인쇄면이나 기록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하면, 상술한 가이드수단 (11) 이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도 19 내지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난방지 대상물 (B) 의 구멍이나 삽입통과부 등의 걸어맞춤부 (41) 에 삽입통과부재 (42) 를 삽입통과시킴과 동시에, 이 삽입통과부재 (42) 를 2개로 접은 상태로 하여 그 양 자유단을 집합시키고, 잠금장치 (C) 에 의해 집합유지와 집합유지의 해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난방지 대상물 (B) 과 그 걸어맞춤부 (41) 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은, 바지와 벨트 걸이 외에, 단추 구멍, 진열케이스의 예컨대 블리스터-팩 (blister-pack) 방식의 대지 (臺紙) 의 구멍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요컨대 선형상이나 띠형상의 삽입통과부재 (42) 를 삽입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상기 잠금장치 (C) 로서는, 도시한 경우, 합성수지를 사용해서 2개로 접을수 있게 성형한 삽입통과부재 (42) 의 양단에, 안밖에서 끼워맞춰지는 편평한 케이스체 (43,43) 를 설치하고, 끼워맞춰진 양 케이스체 (43,43) 의 겹치거나 또는 대향하는 둘레벽에 상술한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관통구멍 (7) 을 형성하고, 이 합치된 관통구멍 (7) 에 제 1, 제 2, 제 4 실시형태의 키부재 (8) 를 삽입함과 동시에, 삽입한 키부재 (8) 를 걸림수단 (31) 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하고, 뺄 때에는 해제구 (32) 를 사용하도록 한다.
물론, 잠금장치 (C) 의 케이스체 (43) 내나 키부재 (8) 이외에, 상기 삽입통과부재 (42) 에 제 1, 제 2,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난방지 태그 (24) 를 부착해 둔다.
상기 삽입통과부재 (42) 의 장착에 의해, 점포 밖으로의 반출로 인한 도난을 방지하고, 판매시에는 도난방지 대상물 (B) 로부터 분리하여 점포측에 남겨둠과 동시에, 이것을 다시 사용한다.
그리고, 잠금장치 (C) 는, 상기 이외의 방식, 예컨대 점포측의 키를 꽂아넣고, 또한 조작하여 자물쇠를 열거나 잠글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가이드수단 (11), 관통구멍 (7), 키부재 (8), 걸림수단 (31), 해제구 (32), 태그 (24) 는, 제 1, 제 2,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도 22 내지 도 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키부재 (8) 의 말단에, 키부재 (8) 의 삽입종료에 따라 케이스 (A) 의 변의 외측에 끼워맞춰져서, 케이스 (A) 의 무리한 개방을저지하는 끼워맞춤부재 (61) 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끼워맞춤부재 (61) 는, 케이스 (A) 의 변 가장자리인 둘레벽 (6) 또는 양 주벽 (5) 의 외측을 덮는 단면 홈형의 바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시한 바와 같은 1 개의 변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끼워맞춰지는 직선형상 이외에, 관통구멍 (7) 을 갖는 변 가장자리의 코너를 끼우는 2 변의 L 자형상이나 코너를 끼우는 3 변의 コ 자형상, 또는 키부재 (8) 로부터 상반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2 개의 끼워맞춤부재 (61) 로 형성한 구조를 채택하여도 된다.
요컨대, 키부재 (8) 의 삽입종료에 따라, 케이스 (A) 의 변 가장자리 외측에 끼워맞춤부재 (61) 를 끼워맞춤으로써, 상자체 (2) 및 뚜껑체 (4) 에 개방방향의 무리한 힘을 가해도, 끼워맞춤부재 (61) 에 의해 개방을 저지하는 것이다.
물론, 키부재 (8) 의 관통 걸어맞춤부분의 파손 등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한 키부재 (8) 의 걸림수단 (31) 이나, 해제구 (32) 에 의한 걸림수단 (31) 의 걸어맞춤관계의 해제, 및 해제구 (32) 와 키부재 (8) 를 일체적으로 뽑는 조작, 태그 (24), 가이드수단 (11) 등의 구성이나 작용은, 제 1, 제 3,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중 62 는 끼워맞춤부재 (61) 에 형성한 해제구 (32) 의 삽입구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도 26 내지 도 3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 (a) 의 출입용 개구 (1) 를 갖는 상자체 (2) 와, 이 상자체 (2) 에 적절한 힌지 (3) 를 통해 개구 (1) 를 개폐하도록 설치한 뚜껑체 (4) 로 케이스 (A) 를 형성하고, 이 케이스 (A) 의 상자체 (2) 와 뚜껑체 (4) 의 변 가장자리에걸어맞춤벽 (71,71) 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 걸어맞춤벽 (71,71) 에 대하여, 상기 케이스 (A) 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상태에서, 또한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슬라이더 (72) 를 끼워넣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벽 (71) 은, 도 3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 (2) 와 뚜껑체 (4) 를 구성하는 주벽 (5) 으로부터 이어져서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벽 (71,71) 에 횡단면이 H 형인 슬라이더 (72) 의 양측벽 상측 가장자리가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춰지고, 슬라이더 (72) 를 통해 상자체 (2) 와 뚜껑체 (4) 와의 개방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벽 (71) 및 슬라이더 (72) 의 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컨대 끼워넣는 슬라이더 (72) 에 의해 슬라이더 (72) 와 걸어맞춤벽 (71) 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케이스 (A) 의 개방을 저지하는 것이면 된다.
상기 케이스 (A)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슬라이더 (72) 와 케이스 (A) 또는 걸어맞춤벽 (71) 에는, 슬라이더 (72) 를 끼워넣음에 따라 밀려 눌리고, 슬라이더 (72) 의 끼워넣음이 종료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걸어맞춤관계로 되어 슬라이더 (72) 의 뽑힘을 저지하는 걸림수단 (31) 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수단 (31) 은 걸어맞춤돌기 (33) 와 걸어맞춤구멍 (34) 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걸림수단 (31) 의 걸어맞춤상태의 해제에는, 도 29 및 도 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 (33) 를 향해 끼워넣는 해제구 (32) 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상기 해제구 (32) 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 이외에, 도 29, 도 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 (72) 의 삽입방향의 전후에 2 개의 걸어맞춤돌기 (33) 를 배치한 관계상, 2 갈래 형상의 긴 조각 (73) 으로 전방의 걸어맞춤돌기 (33) 를, 짧은 조각 (74) 으로 바로 앞의 걸어맞춤돌기 (33) 를 밀어 눌러서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해제구 (32) 의 삽입은, 걸어맞춤벽 (71) 의 슬라이더 (72) 의 삽입구를 통해 행해지고, 슬라이더 (72) 와 케이스 (A) 의 둘레벽 (6) 과의 간극, 즉 걸어맞춤돌기 (33) 와 걸어맞춤구멍 (34) 과의 사이를 향해 삽입한다.
그리고, 해제구 (32) 와 슬라이더 (72) 를 일체적으로 뽑기 위하여 겹침면의 마찰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돌기 (22) 와 구멍 (23) 과의 조합에 의한 걸어맞춤부 (21) 를 형성해 두면 된다.
또한, 케이스 (A) 와 슬라이더 (72) 나, 걸어맞춤벽 (71) 과 슬라이더 (72) 에는, 슬라이더 (72) 의 끼워넣음 종료에 따라 걸어맞춤상태로 되어 케이스 (A) 에 무리하게 상자체 (2) 와 뚜껑체 (4) 의 상반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개방하려는 행위를 저지하는 걸어맞춤수단 (75)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수단 (75) 은, 도시의 경우 슬라이더 (72) 의 삽입방향의 선행단의 돌출축 (76) 과, 상자체 (2) 와 뚜껑체 (4) 와의 주벽 (5) 으로부터 이어져서 안밖에서 겹치는 겹침벽 (77) 의 일측의 관통구멍 (78) 과 타측의 구멍 (79) 으로이루어지고, 슬라이더 (72) 의 삽입종료시에 돌출축 (76) 을 관통구멍 (78) 을 통해 구멍 (79) 에 끼워넣는 방식이나, 슬라이더 (72) 의 말단 양측에 평면이 L 자형인 걸림편 (80) 을 형성하여, 이 걸림편 (80) 을 양 걸어맞춤벽 (71) 에 외접시키는 방식 중 어느 것을 채택하여도 되며, 또한 적어도 슬라이더 (72) 의 한쪽 단의 걸어맞춤수단 (75) 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물론, 슬라이더 (72) 에 태그 (24) 를 부착해 두면 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도 32 내지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 (a) 의 출입용 개구 (101) 를 갖는 상자체 (102) 와, 이 상자체 (102) 에 힌지 (103) 를 통해 개구 (101) 를 개폐하도록 설치한 뚜껑체 (104) 로 케이스 (A1) 를 형성하고, 상자체 (102) 와 뚜껑체 (104) 와의 각 주벽 (105) 의 둘레가장자리에는,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 (106,106) 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 (103) 는, 도시의 경우 상자체 (102) 의 하변측 둘레벽 (106) 에 하프컷의 힌지 (103) 를 통해 뚜껑체 (104) 의 주벽 (105) 을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 (102) 및 뚜껑체 (104) 의 양 둘레벽 (106,106) 의 소정 위치에는, 합치되는 관통구멍 (107,107)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합치된 관통구멍 (107,107) 에는,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키부재 (108) 가 삽입되고, 삽입된 키부재 (108) 에 의해 상자체 (102) 에 대한 뚜껑체 (104) 의 개방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 둘레벽 (106,106) 의 합치되는 관통구멍 (107,107) 으로서는, 도시의 경우, 내측 둘레벽 (106) 측에 장공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외측 둘레벽 (106) 에 뚜껑체 (104) 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주벽 (105) 측을 향해 절결함과 동시에, 뚜껑체 (104) 측 주벽 (105) 의 내면으로 삽입하는 키부재 (108) 의 삽입 가이드로 되고, 또한 키부재 (108) 의 양측 가장자리를 거는 L 자형 걸어맞춤편 (127) 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2 및 도 3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 (102) 및 뚜껑체 (104) 의 주벽 (105) 의 내면에, 삽입하는 키부재 (108) 의 가이드수단 (109) 을 설치해 둠으로써 키부재 (108) 를 원활하게 끼웠다 뺄 수 있다.
또한, 키부재 (108) 의 삽입방향의 반대측 말단 둘레가장자리와 관통구멍 (107) 의 개방 가장자리와의 대향면의 소요 범위에는, 맞물림상태로 끼워넣어지는 연속하는 요철부 (11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 (107) 과 키부재 (108) 와의 끼워맞춤부분에 마이너스 드라이브와 같은 공구 (K) 의 끝을 밀어넣고자 하여도, 공구 (K) 의 끝이 요철부 (110) 의 요철 가장자리에 걸려서 밀어넣는 것이 저지되기 때문에, 공구 (K) 를 밀어넣어 둘레벽 (6) 을 비집어 엶음로써 발생한 무리한 개방이나 끼워맞춤부분의 파손 등을 없앨 수 있다.
상기 요철부 (110) 의 돌출길이, 오목깊이 및 오목부 및 볼록부의 폭을, 공구 (K) 선단의 편평하고 날카로운 가장자리의 길이보다 작게 해 두면, 공구 (K) 를 찔러넣는 조작을 보다 유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요철부 (110) 의 형상은, 도 36 에 한정되지 않고, 도 44 에 나타낸 톱날형상이나, 도 45 에 나타낸 물결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대향면에 형성하는 요철부 (110) 의 범위는, 도시의 경우 끼워맞춤부분의 전체 둘레에 형성하였으나, 끼워맞춤부분의 양단 이외의 평행한 장변 가장자리 등에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요철부 (110) 의 형성 대향면으로서는, 키부재 (108) 의 판면과 관통구멍 (107) 의 가장자리나, 키부재 (108) 와 케이스 (A1) 의 주벽 (105), 예컨대 도 4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벽 (105) 의 내면 관통구멍 (107) 으로부터 하측으로 들어가는 단부 (161) 의 상면과 키부재 (108) 의 말단 단부 (161) 에 끼워넣었을 때에 겹치는 하면의 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키부재 (108) 에 예컨대 접착재에 의한 고착수단이나 성형시의 매입수단 등에 의해 도난방지 태그 (111) 를 부착해 두도록 한다.
상기 태그 (111) 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고유의 ID 코드를 갖는 것으로서, 태그 (111) 가 부착된 키부재 (108) 가 삽입된 케이스 (A1) 가 점포의 출입구를 통과할 때에, 출입구에 설치한 IC 코드의 공진회로가 공진하여 고유의 ID 코드를 발신하고, 고주파전자계가 변조함으로써 이것을 검출하여 케이스 (A1) 의 통과를 검출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한다.
이어서, 키부재 (108) 의 점포측으로의 회수 및 삽입한 키부재 (108) 를 케이스 (A1) 에 걸어맞추는 수단을 설명한다.
도 3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부재 (108) 의 말단에는, 키부재 (108) 의 삽입종료에 따라 관통구멍 (107) 에 끼워넣어지는 플랜지 (112) 가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요철부 (110) 는 플랜지 (112) 와 관통구멍 (102) 의 양자에 형성해 둔다.
그리고, 상술한 플랜지 (112) 는 키부재 (108) 의 양 판면 및 판면의 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였으나, 키부재 (108) 의 판면 한쪽에만 이 플랜지 (112) 를 돌출시켜도 된다.
이 때, 키부재 (108) 의 플랜지 (112) 를 갖지 않는 판면에 요철부 (110) 를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112) 의 폭이 크기 때문에, 외측 둘레벽 (106) 의 관통구멍 (107) 의 주벽 (105) 과 뚜껑체 (104) 의 개구와의 사이의 폭을, 관통구멍 (107) 이 장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랜지 (112) 가 끼워넣어지는 폭으로 하고, 또한 관통구멍 (107) 이 상술한 절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결에 플랜지 (112) 를 끼워넣으면 된다.
또한, 케이스 (A1) 와 키부재 (108) 와의 대향면에는, 키부재 (108) 의 삽입에 따라 밀려 눌리고, 삽입종료에 따라 자동적으로 걸어맞춤관계로 되는 걸림수단 (B1) 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수단 (B1) 은, 도 33, 도 34 및 도 3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부재 (108) 에 양단이 하측을 향하는 コ 자형상의 슬릿 (121) 을 넣고, 이 슬릿 (121) 의 내측을 뚜껑체 (104) 의 주벽 (105)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키부재 (108)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의 특성이용에 의해 복원력을 얻도록 형성한 걸림돌기 (122) 와, 키부재 (108) 의 삽입종료 직전부터 관통구멍 (107) 의 가장자리에 의해 걸림돌기 (122) 를 밀어 누르고, 키부재 (108) 의 삽입종료에 따라 밀어누름이 해제된 걸림돌기 (122) 의 돌출방향단이 걸어맞춰지기 위한, 걸어맞춤부 (123) 로서의 내측 둘레벽 (106) 의 내면으로 구성하였으나, 이 걸림수단 (B1) 은, 키부재 (108) 에 별도 부품의 걸어맞춤돌기를 접착재 등으로 장착하여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며, 걸어맞춤부 (123) 도 상자체 (102) 의 주벽 (105) 에 돌부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걸림돌기 (122) 의 개수도 도시한 좌우 2 개소로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개수를 결정하고, 또한 뚜껑체 (104) 측에 걸어맞춤부 (123) 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케이스 (A1) 에 있어서, 뚜껑체 (104) 에 의해 상자체 (102) 의 개구 (101) 를 폐쇄한 후, 합치되는 관통구멍 (107,107) 에 키부재 (108) 를 삽입한다.
삽입에 따라 관통구멍 (107) 의 가장자리에 의해 걸림돌기 (122) 가 밀려 눌리고, 외측 둘레벽 (106) 의 관통구멍 (107) 이 끼워넣어지는 삽입종료에 따라, 관통구멍 (107) 의 가장자리로부터 벗겨진 걸림돌기 (122) 는 밀어누름의 해제에 의해 복원되어 걸어맞춤부 (123) 에 걸리고, 도 3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 (123) 와 걸림돌기 (122) 가 걸어맞춤상태로 된다.
이 걸어맞춤상태에 의해 점원 이외의 사람이 키부재 (108) 를 뽑는 것이 저지되어, 케이스 (A1) 내의 상품 (a) 의 도난을 방지한다.
이어서, 점원이 해제구 (C1) 를 사용해서 키부재 (108) 를 뽑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 도 38, 도 3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구 (C1) 를 플랜지 (112) 의 걸림돌기 (122) 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또한 관통구멍 (107) 에 합치되는 장공 (131) 을 형성하고, 이 장공 (131) 에 그립 (132) 이 설치된 플레이트 (133) 로부터 돌출하는 돌편 (134) 을 찔러넣는다.
찔러넣은 돌편 (134) 은, 걸림돌기 (132) 의 돌출방향단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절결 (135) 내를 통과할 때에, 절결 (135) 의 바닥가장자리와, 돌편 (134) 의 돌출방향단에서 한쪽 면 측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퍼면부 (136) 와의 맞닿음에 의해 걸림돌기 (122) 를 밀어누른다.
그러면, 도 34 에 나타낸 걸림돌기 (122) 와 걸어맞춤부 (123) 와의 걸어맞춤상태가, 도 3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 (123) 로부터 걸림돌기 (122) 가 벗겨져서 해제되기 때문에, 해제구 (C1) 를 도 39 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키부재 (108) 를 뽑을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 (122) 의 걸어맞춤상태 해제에 따라, 밀려 눌려진 걸림돌기 (122) 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돌편 (134) 에 걸림돌기 (122) 를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에, 밀어붙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해제구 (C1) 와 함께 키부재 (108)를 뽑을 수 있다.
확실히 뽑기 위하여, 도 3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 (112) 의 장공 (131) 근처에 관통구멍 (107) 에 합치되는 관통창 (137) 을 형성하고, 이 관통창 (137) 및 관통구멍 (107) 에 플레이트 (133) 로부터 돌출하는 돌출편 (138) 을 찔러넣도록 한다.
이 돌출편 (138) 에는, 양단이 하측을 향하는 コ 자형상의 슬릿 (139) 을 넣고, 이 슬릿 (139) 의 내측을 걸림돌기 (122) 와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키부재 (108) 측으로 돌출시켜 걸림돌기 (140) 를 형성한다.
그리고, 키부재 (108) 에는, 돌출편 (138) 의 찔러넣음 종료시에 걸림편 (140) 의 돌출방향 선단이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춰지는 오목 또는 관통구멍의 걸어맞춤부 (141) 를 형성해 둔다.
물론, 키부재 (108) 에 걸림편 (140) 을, 돌출편 (138) 에 걸어맞춤부 (141) 를 형성해도 된다.
그러면, 돌출편 (138) 을 찔러넣는 도중에 키부재 (108) 에 맞닿는 걸림편 (140) 이 밀려 눌리고, 걸림돌기 (122) 와 걸어맞춤부 (123) 와의 걸어맞춤상태 해제시에 걸림편 (140) 과 걸어맞춤부 (141) 가 합치되기 때문에, 도 39 와 같이 밀어누름이 해제된 걸림편 (140) 이 복귀하여 걸어맞춤부 (141) 에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춤상태로 된다.
따라서, 해제구 (C1) 를 뽑으면, 키부재 (108) 도 확실하게 뽑힌다.
뽑은 키부재 (108) 는, 점포측에 남겨두고 재사용함과 동시에, 키부재 (108) 가 회수된 케이스 (A1) 는, 판매케이스나 대출케이스로서 사용한다.
물론, 케이스 (A1) 에는, 태그 (111) 가 부착된 키부재 (108) 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A1) 의 실드가 필요 없어진다.
그리고, 도 32, 도 33,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공 (131) 이나 관통창 (137) 의 변 가장자리 내측에 둘레벽 (106) 으로부터 돌출하는 조각 (142) 을 끼워넣어, 이 조각 (142) 과 장공 (131) 이나 관통창 (137) 의 개방 가장자리와의 대향면에 상술한 요철부 (110) 를 형성하고, 이 요철부 (110) 를 맞물림상태로 끼워맞춤으로써, 공구 (K) 에 의해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시켜도 된다.
그리고, 해제구 (C1) 에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는 돌편 (134) 과, 키부재 (108) 의 인발걸림편 (140) 을 갖는 돌출편 (138) 을 나란히 형성하였으나, 케이스 (A1) 와 키부재 (108) 에 걸림수단 (B1) 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걸림편이 형성된 돌출편을 갖는 전용 인발구에 의해 키부재 (108) 를 뽑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장공 (131) 이나 관통창 (137) 에 조각 (142) 을 삽입하였을 때, 돌편 (134) 이나 돌출편 (138) 의 관통을 허용하는 간극을 형성해 둔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도난방지장치는, 도 40 내지 도 42 및 제 8 실시형태의 도 32 및 도 33 에 나타낸 상자체 (102) 와, 이 상자체 (102) 의 개구 (101) 를 개폐하도록 상자체 (102) 에 힌지 (103) 를 통해 설치한 뚜껑체 (104) 로이루어진 케이스 (A1) 에 있어서, 이 케이스 (A1) 의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 (106) 의 개방 맞닿음 대향면 또는 외측 둘레벽 (106) 의 개구 (101) 와 상자체 (102), 뚜껑체 (104) 중 어느 한쪽의 대향면의 소정 범위에는, 맞물림상태로 끼워넣어지는 연속한 요철부 (11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 (110) 를 형성하는 범위는, 제 8 실시형태 및 제 9 실시형태의 경우, 힌지 (103) 를 갖는 둘레벽 (106) 이외에 형성하였으나, 적절히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의 둘레벽 (106) 에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요철부 (110) 는, 제 9 실시형태의 경우, 상자체 (102) 및 뚜껑체 (104) 의 양 둘레벽 (106,106) 의 표면이 동일면으로 되는 관계상, 도 42, 도 4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둘레벽 (106,106) 의 개구부분에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단을 형성하고, 이 단이 형성된 부분의 끼워맞춤 맞닿음부분의 대향면에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제 8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외측 둘레벽 (106) 의 개구 가장자리면과 주벽 (105) 의 변의 이면에 요철부 (110)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요철부 (110) 의 형상도 제 8 실시형태에 설명한 톱날형상이나 물결형상이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구를 찔러넣어 비집어 엶으로써 케이스 (A1) 를 개방시키려고 하여도, 맞물려 있는 요철부 (110) 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도면중 151 은 탄성편 방식이며, 또한 오목부와 돌부와의 끼워맞춤방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걸어맞춤수단이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도 47, 도 4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 (102) 와, 이 상자체 (102) 의 개구 (101) 를 개폐하도록 상자체 (102) 에 힌지 (103) 를 통해 설치한 뚜껑체 (104) 로 케이스 (A1) 를 형성한다.
이 케이스 (A1) 에 있어서의 상자체 (102) 와 뚜껑체 (104) 의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 (106,106) 의 소요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 (A1) 의 대향면, 즉 상자체 (102) 와 뚜껑체 (104) 의 대향하는 주벽 (105,105) 의 적어도 한쪽에서 내측으로의 외압에 따른, 외측 둘레벽 (106) 의 개방 가장자리부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확장을 저지하는 압입수단 (161) 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자체 (102), 뚜껑체 (104) 및 힌지 (103) 는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A) 에는, 도시의 경우 제 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힌지 (103) 에 대향하는 양 둘레벽 (106,106) 에 관통구멍 (107,107) 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 (107,107) 에 키부재 (108) 를 삽입하여 케이스 (A1) 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점원 이외의 사람이 뽑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수단 (B1), 점원이 해제구 (C1) 를 사용해서 키부재 (108) 를 뽑는 것은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수납상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 (A1) 의 개방저지수단은, 키부재 (108) 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외측 둘레벽의 개방 가장자리부의 외측 확장을 저지하는 압입수단 (161) 은, 도 4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둘레벽 (106) 의 개방 가장자리부의 외압으로 인한 외측으로의 확장을 저지하기 위하여, 내측 둘레벽 (106) 을 갖는 뚜껑체 (104) 의 주벽 (105) 으로부터 이어져서 외측 둘레벽 (106) 의 개방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 (162) 를 형성하고, 또한 외측 둘레벽 (106) 의 돌출부 (162) 와의 대향면에 서로 오버랩하여 겹치는 테이퍼면부 (163) 를 형성하여, 그 겹치는 테이퍼면부 (163) 의 돌출부 (162) 의 외측 테이퍼면부 (163) 에 의해 외측 둘레벽 (106) 의 내측 테이퍼면부 (163) 를 압입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테이퍼면부 대신에 입자방식, 즉 대향면의 돌출조를 안밖에서 겹치도록 끼워넣는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도 5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둘레벽 (106) 의 내측에 돌출조 (164) 를 나란히 형성하고, 외측 둘레벽 (106) 과 돌출조 (164) 와의 사이에 내측 둘레벽 (106) 을 끼워넣도록 해 두면 역시 목적 달성에 한층 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케이스 (A1) 에 도 54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측으로의 외압을 가해도, 압입수단 (161) 에 의해 서로 겹치는 둘레벽 (106,106) 의 외측으로의 확장을 저지한다.
그리고 상기 압입수단 (161) 은, 도시의 경우 둘레벽 (106,106) 의 힌지(103) 및 키부재 (108) 의 삽입관통구멍 (107,107) 을 갖지 않는 평행한 2 변에만 설치하였으나, 2 변 이외에 삽입관통구멍 (107,107) 을 갖는 변에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도 51, 도 5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 (102) 와, 이 상자체 (102) 의 개구 (101) 를 개폐하도록 상자체 (102) 에 힌지 (103) 를 통해 설치한 뚜껑체 (104) 로 케이스 (A1) 를 형성한다.
이 케이스 (A1) 에 있어서의 상자체 (102) 와 뚜껑체 (104) 의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 (106,106) 의 적어도 한쪽 개방 가장자리의 소요 부분에는, 손가락에 상처를 입히는 요철부 (17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 (171) 는, 도시의 경우 톱날형상조로 되어, 둘레벽 (106) 의 개방 가장자리에 손가락 끝을 걸어 둘레벽 (106) 에 무리한 개방방향의 힘을 가했을 때, 손가락 끝으로 파고 들어가서 손가락에 상처를 입히고, 그 결과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톱날 이외의 형상, 예컨대 요철로 손가락 끝을 파고 들어가는 것이면 된다.
또한 요철부 (171) 는, 도시의 경우 양 둘레벽 (106,106) 의 개방 가장자리에 형성하였으나, 한쪽 둘레벽 (106) 의 개방 가장자리 (외측 둘레벽 (106) 만 또는 내측 둘레벽 (106) 만) 에 형성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리고 제 10 실시형태의 압입수단 (161) 을 병설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케이스 (A1) 를 구성하면, 상자체 (102), 힌지 (103) 및 뚜껑체 (104)는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케이스 (A1) 에는, 제 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힌지 (103) 에 대향하는 양 둘레벽 (106,106) 에 관통구멍 (107,107) 과, 이 관통구멍 (107,107) 에 키부재 (108) 를 삽입하여, 케이스 (A1) 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 (a) 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 (107,107), 키부재 (108), 삽입한 키부재 (108) 를 점원 이외의 사람이 꺼내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수단 (B1), 점원이 해제구 (C1) 를 사용해서 키부재 (108) 를 뽑는 것은, 제 8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수납상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 (A1) 의 개방방지수단은, 키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철부 (171) 는, 도시의 경우 케이스 (A1) 의 힌지 (103) 및 관통구멍 (107,107) 을 갖지 않는 평행한 2 변에만 형성하였으나, 관통구멍 (107) 을 갖는 변에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도난방지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내의 상품을 훔치거나 상품의 수납케이스 또는 도난방지 대상물의 점포 밖으로의 반출을 저지하여 도난을 없앨 수 있다.
또한, 판매나 대출시에, 점포측에 태그가 부착된 키부재를 남겨두기 때문에, 번거로운 실드가 필요 없어짐과 동시에, 점포측의 키부재를 다시 사용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수단에 의해 키부재의 정확한 또한 일정 선상의 삽입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내의 수납물과 키부재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수납물의 손상이나 파손 등을 없앨 수도 있다.
또한, 키부재와 일체인 끼워맞춤부재나 슬라이더의 걸어맞춤수단에 의해 케이스에 무리하게 개방방향의 힘을 가해도 개방을 저지함과 동시에, 키부재의 관통부분이나 슬라이더의 걸어맞춤부재의 파손을 없앨 수도 있다.
그리고, 압입수단에 의해 서로 겹치는 둘레벽의 외측 둘레벽의 외압으로 인한 밖으로의 확장을 저지하기 때문에, 둘레벽을 무리하게 넓혀서 케이스를 개방하는 행위를 없앨 수도 있다.
또한, 둘레벽에 손가락을 걸어서 케이스를 무리하게 개방시키려고 하여도, 손가락에 요철부가 파고 들어가서 상처가 생기기 때문에, 케이스의 무리한 개방을 저지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8)

  1.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한 뚜껑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와 뚜껑체의 서로 겹치거나 또는 대향하는 둘레벽의 소요 위치에, 케이스의 폐쇄상태에서 서로 합치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합치된 상기 관통구멍에 키부재를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내에, 관통구멍으로 삽입하는 키부재의 가이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삽입한 키부재에, 상기 키부재의 삽입에 따라 밀려 눌리고, 또한 삽입종료에 따라 걸어맞춤상태로 되는 걸림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삽입한 키부재에, 상기 키부재의 삽입에 따라 밀려 눌리고, 또한 삽입종료에 따라 걸어맞춤상태로 되는 걸림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의 둘레벽에 상기 걸림수단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구를 끼워넣는 삽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삽입한 키부재에, 상기 키부재의 삽입에 따라 밀려 눌리고, 또한 삽입종료에 따라 걸어맞춤상태로 되는 걸림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의 키부재 삽입용 관통구멍을 통해 끼워넣어 상기 걸림수단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는 해제구를 설치하고, 이 해제구와 상기 키부재에 상기 해제구에 의한 걸어맞춤상태의 해제에 따라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삽입한 키부재에, 상기 키부재의 삽입에 따라 밀려 눌리고, 또한 삽입종료에 따라 걸어맞춤상태로 되는 걸림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키부재의 삽입관통구멍의 소요 위치에 키부재의 인발구의 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삽입한 인발구와 상기 키부재와의 대향위치에 끼워넣어져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부재에 도난방지 태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8.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한 뚜껑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와 뚜껑체의 서로 겹치거나 또는 대향하는 둘레벽의 소요 위치에, 케이스의 폐쇄상태에서 서로 합치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케이스.
  9. 제 8 항에 기재된 도난방지용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대하여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삽입하는 키부재에, 도난방지 태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키부재.
  10. 제 8 항에 기재된 도난방지용 케이스의 관통구멍에 대하여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삽입하는 키부재에, 삽입시에 밀려 눌리고, 삽입종료시에 상기 케이스측의 걸림수단에 걸어맞춤상태로 되는 걸림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키부재.
  11. 제 10 항에 기재된 케이스에 삽입한 키부재를 향해 끼워넣음과 동시에, 끼워넣은 선행단에 걸림수단을 밀어 누르는 걸어맞춤상태 해제용의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해제구.
  12. 도난방지 대상물의 구멍이나 삽입통과부 등의 걸어맞춤부에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부재와, 이 삽입통과부재의 양단부를 집합유지시키고 그 집합유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잠금장치와, 상기 삽입통과부재 또는 상기 잠금장치에 설치한 도난방지용 태그로 이루어진 도난방지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부재의 말단에, 상기 키부재의 삽입종료에 따라케이스의 외측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케이스의 무리한 개방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4.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한 뚜껑체로 형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기 상자체와 뚜껑체와의 변 가장자리에 나란히 형성한 걸어맞춤홈과, 이 걸어맞춤홈에 상기 케이스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상태에서 또한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끼워넣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 또는 걸어맞춤홈에 상기 슬라이더를 끼워넣음에 따라 밀려 눌리고 또한 끼워넣음 종료에 따라 걸어맞춤관계로 되도록 설치한 걸림수단으로 이루어진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또는 슬라이더와 케이스에 상기 슬라이더의 끼워넣음 종료에 따라 걸어맞춤관계로 되는 상기 케이스의 무리한 개방을 저지하도록한 걸어맞춤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5.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케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상자체와 뚜껑체의 서로 겹치거나 또는 대향하는 둘레벽의 소요 위치에, 케이스의 폐쇄상태에서 합치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합치된 관통구멍에 상기 케이스의 개방저지 키부재를 자유롭게 끼우고 빼낼 수 있게 삽입한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부재의 삽입방향의 반대측 말단 둘레가장자리와 상기 관통구멍의 개방 가장자리와의 대향면 소요 범위에 맞물림상태로 끼워넣어져서 연속하는 요철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
  16.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이 케이스의 서로 겹치는 둘레벽의 개방 맞닿음 대향면 또는 상기 외측 둘레벽의 개방면과 상기 상자체, 뚜껑체 중 어느 한쪽의 대향면 소정 범위에, 맞물림상태로 끼워넣어져서 연속하는 요철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케이스.
  17.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이 케이스의 상기 상자체와 뚜껑체와의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의 소정 부분에, 상기 케이스의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의 내측으로의 외압에 따른 외측 둘레벽 개방 가장자리부의 외측 확장을 저지하도록한 압입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케이스.
  18. 상품의 출입용 개구를 갖는 상자체와, 이 상자체에 적절한 힌지를 통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체로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이 케이스의 상기 상자체와 뚜껑체와의 안밖에서 서로 겹치는 둘레벽의 적어도 한쪽 개방 가장자리의 소요 부분에 손가락에 상처를 입히도록한 요철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용 케이스.
KR1020010034788A 2000-06-19 2001-06-19 도난방지장치 KR20010113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3096 2000-06-19
JP2000223096 2000-06-19
JP2000-382969 2000-11-10
JP2000382969A JP3565162B2 (ja) 2000-06-19 2000-11-10 盗難防止装置
JP2001-142438 2001-04-04
JP2001142438 2001-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561A true KR20010113561A (ko) 2001-12-28

Family

ID=2734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788A KR20010113561A (ko) 2000-06-19 2001-06-19 도난방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10113561A (ko)
CN (1) CN1328947A (ko)
CA (1) CA2350889A1 (ko)
TW (1) TW5464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264B1 (ko) * 2020-04-17 2021-01-14 박순식 마스크 제습기능을 갖는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5689B2 (ja) * 2007-02-21 2012-03-28 村田機械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10119304B2 (en) * 2016-01-28 2018-11-06 The Gillette Company Llc Point of sale assembly having antitheft functionality and method thereof
CN112904066B (zh) * 2021-04-08 2022-09-27 扬州万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盗型智能电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264B1 (ko) * 2020-04-17 2021-01-14 박순식 마스크 제습기능을 갖는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8947A (zh) 2002-01-02
TW546437B (en) 2003-08-11
CA2350889A1 (en)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484B2 (en) Security device for information storage media
US4381836A (en) Anti-theft point-of-sale container
US7344025B2 (en) Lockable media storage box with lock and key
US7552822B2 (en) Lockable media storage box with lock and key
US5944185A (en) Lockable media storage box with lock and key
US6694782B2 (en) Commodity antitheft implement
US20040163977A1 (en) Security container with linked primary and secondary security features
US20060118439A1 (en) Antitheft case
KR20010113561A (ko) 도난방지장치
JP3394728B2 (ja) ケース
GB2369348A (en) Security Device for Information Storage Media
JP3545741B2 (ja) ケース
JP3435406B2 (ja) 盗難防止装置
JP2000142863A (ja) 盗難防止機能付のケース
KR100495853B1 (ko) 케이스
JP2001331877A (ja) 盗難防止装置
JP2009298474A (ja) ケース
JP2500537Y2 (ja) 万引き防犯ケ―ス
JP4014796B2 (ja) 盗難防止装置
GB2364526A (en) Antitheft cases
GB2601567A (en) Security tag
JP2006182368A (ja) レンタル用盗難防止対象物
JP2002115435A5 (ko)
JP2007284102A (ja) Dvd等の貸出しケースのロック機構
JP2006052011A (ja) レンタル用盗難防止対象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