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490A - 배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490A
KR20010113490A KR1020010033470A KR20010033470A KR20010113490A KR 20010113490 A KR20010113490 A KR 20010113490A KR 1020010033470 A KR1020010033470 A KR 1020010033470A KR 20010033470 A KR20010033470 A KR 20010033470A KR 20010113490 A KR20010113490 A KR 2001011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r
storage tank
wastewater treatment
series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668B1 (ko
Inventor
아카마츠고조
다무라도시히로
다니모토요시히로
후지모토게이이치
요네다이사오
다카미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11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2Small separation devices for domestic application, e.g. for canteens, industrial kitchen, wash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스포저 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시키는 저류조를 통해서 배수처리장치로 반송할 경우에 배수처리장치 본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디스포저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11)와, 디스포저(2)와 배수처리장치(11)사이에 있어서 디스포저 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7)와, 저류조(7)에 저류된 배수를 배수처리장치(11)로 반송하는 반송수단(압송펌프(8))과, 배수처리장치(11)의 상태에 따라서 디스포저(2)의 운전의 가부나 반송수단(압송펌프(8))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배수처리 시스템{SYSTEM FOR CONTROL DRAIN WATER}
본 발명은, 디스포저와 배수처리장치 사이에 있어서 디스포저 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와, 이 저류조에 저류된 배수를 배수처리장치로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비한 배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싱크대의 싱크에 장치된 디스포저로부터의 배수를 옥외에 설치된 배수처리장치로 흘려 보낼 경우, 디스포저의 배출구보다 배수처리장치의 유입구가 낮을 경우에는, 디스포저의 배출구와 배수처리장치 유입구를 직접 배관에 접속하면, 디스포저 배수를 자연 흘러내림에 의해 배수처리장치로 흘려 보낼 수 있다.
그러나, 디스포저의 배출구보다 배수처리장치의 유입구 쪽이 높을 경우에는 자연 흘러내림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사이에 압송장치를 개재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압송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개평5-311715호 공보(E03C 1/30)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경우, 디스포저의 배출구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저류조를 설치하고, 이 저류조내에 압송펌프와 플로우트 스위치를 설치한다.
상기에 있어서, 디스포저의 배수가 배관을 통해 자연 흘러내림에 의해서 저류조 내로 유입되고, 저류조내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 되면, 플로우트 스위치가 온되어 압송펌프가 운전되며, 저류조 내의 배수가 배관을 통해 배수처리장치로 압송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배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는, 배수처리장치의 상태에 상관없이, 플로우트 스위치의 온으로 압송펌프가 운전되기 때문에, 처리능력 이상의 배수가 배수처리장치로 보내지면, 배수처리장치 본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배수처리장치가, 디스포저 사용시 이외의 생활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1차 유량조정조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2차 유량조정조를 갖는 것일 경우, 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에 있어서, 생활배수와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분리하여 배수처리장치로 압송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저류조의 잔유물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디스포저 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를 통해 배수처리장치로 반송할 경우에 배수처리장치 본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류조에 있어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를 경감시킬 수 있고, 생활배수와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분리함으로써, 배수처리장치 본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배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된 배수처리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배수처리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배수처리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포저 사용이 가능한 조건에 대해서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의 수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7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펌프 운전시의 저류조의 하한 수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마찬가지로, 펌프 정지 시의 저류조의 수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마찬가지로, 펌프 정지 시의 수량 Q2와 펌프 자동운전 개시수량 Q3의 중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싱크 2:디스포저
3:급수관 4:급수밸브
5:유량 스위치 6:배수관
6a:트랩 7:저류조
8:압송펌프 9:플로우트 스위치
10:배수배관 11:배수처리장치
12:유로절환장치 15:고액분리장치
13:잡배수 유량조정조(1차 유량조정조)
14: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2차 유량조정조)
16:담체유동조 17:응집침전조
18:콤포스트 장치 21, 22, 23:에어 리프트 펌프
24:산기관 25, 26:수위센서
27:통상 배수 유로스위치 28:디스포저 배수 유로스위치
29:조작부 30:유로절환 모터
31:표시부 100:제어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디스포저와, 상기 디스포저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와, 상기 디스포저와 배수처리장치 사이에 있어서 디스포저 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배수를 상기 배수 처리장치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수처리장치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포저의 운전의 가부와 상기 반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처리장치는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1차 유량조정조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2차 유량조정조를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2차 유량조정조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배수량과 저류조 내의 잔류배수량을 받아들일 수 있을 때에 디스포저의 운전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수처리장치는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1차 유량조정조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2차 유량조정조를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에 앞서서 상기 저류조의 잔류배수를 상기 1차 유량조정조로 소정의 시간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 후 또는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 후에 있어서 저류조에 장치된 플로우트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부터 적어도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는, 저류조로부터 배수처리장치로의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추가급수를 행하고, 이 추가급수의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시간으로서, 상기 디스포저로부터 저류조까지의 배관의 길이에 따른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추가급수에 의한 급수량으로서, 상기 저류조로부터 배수처리장치까지의 배관의 길이 및 관의 직경에 따른 급수량을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상기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소정시간의 반송동작으로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오프되지 않을 때, 또는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온되지 않을 때는 이상을 검출함과 동시에, 그 뜻을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의 유량이나 전류, 온도 등의 상태를검출하는 수단에 의해서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는 디스포저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음과 동시에 이상이라는 뜻을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배수처리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옥내의 싱크(1)의 배수구에는 디스포저(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디스포저(2)에 급수관(3)이 접속되며, 이 급수관(3)에는 유량을 2단계로 제어가능한 급수밸브(4)와 유량 스위치(5)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포저(2)의 배수구에 접속된 배수관(6)에는, 물의 밀봉을 위한 트랩(6a)이 형성되고, 옥외에 매설된 압송장치의 저류조(7)내에 배관되어 있다. 저류조(7)내에는 압송펌프(8)와 플로우트 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송펌프(8)의 토출구에 접속된 배수배관(10)이 배수처리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저류조(7)에 있어서, Q1은 펌프 운전시의 하한 수량(도 7참조), Q2는 펌프 정지시의 수량(배수배관분 수위상승; 도 8참조), Q3은 펌프 자동운전 개시수량을 나타내며, 또, 디스포저(2)의 급수관(3)에 있어서 Q4는 추가급수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상기 Q2와 Q3의 중간수량 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수처리장치(11)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송펌프(8)로부터의 배수배관(10)이 접속되는 유로절환장치(12)를 통해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부엌에서 사용한 생활배수가 유입되는 잡배수 유량조정조(1차 유량조정조)(13)와, 상기 유로절환장치(12)를 통해서 입력되는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배수와 후술할 응집침전조(17)로부터 에어 리프트 펌프(23)에 의해 반송되는 오니가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2차 유량조정조)(14)와, 이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로부터 에어 리프트 펌프(21)에 의해 이송되는 고액혼합물을 고체분과 액체분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15)와, 이 고액분리장치(15)로 분리된 액체분이 투입됨과 동시에 상기 잡배수 유량조정조(13)로부터 에어 리프트 펌프(22)에 의해 이송되는 생활배수가 투입되는 담체유동조(폭기조)(16)와, 이 담체유동조(16)로부터 자연 흘러내림에 의해 유입되는 처리수중의 오니분을 응집시켜 침전 분리하는 응집침전조(17)와, 상기 고액분리장치(15)로 분리되어 투입되는 고액분과 미리 수납된 미생물담체를 교반체에 의해 교반혼합하고, 담체에 생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퇴비화하는 콤포스트장치(18)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에어 리프트 펌프란, 수중에 삽입된 파이프 속으로 공기를 불어넣고, 그 공기의 상승력에 의해 물과 고체를 들어올려, 이송시키는 원리의 펌프로서, 에어 리프트관과 블로어 펌프로 이루어지고 블로어 펌프는 다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절환함으로써 공용화할 수 있다. 또, 유로절환장치(12)는, 유로절환모터로 절환밸브를 회동시켜,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생활배수를 잡배수 유량조정조(13)로 흐르는 통상배수 유로로부터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배수를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로 흐르게 하는 디스포저 배수유로로 절환하는 것으로, 절환밸브의 각각의 절환위치를 검출하는 통상배수 유로 스위치와 디스포저 배수 유로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에는 조의 내부를 교반 폭기하기 위한 산기관(散氣管)(24)이 설치되고, 잡배수 유량조정조(13)와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에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후술할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각 유량조정조(13),(14)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플로우트식이나 정전용량식 등의 수위센서(25),(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담체유동조(16)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블로어펌프로부터의 공기를 산기시키는 산기관이 저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산기관으로부터의 산기에 의해 호기성 미생물이 생식하는 담체가 유동하고 있다. 또, 응집침전조(17)에서 침전 분리된 오니는, 에어 리프트 펌프(23)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로 반송되도록 되어, 반송된 오니는 분쇄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에어 리프트 펌프(21)에 의해 고액분리장치(15)로 보내진 후에 고체분으로서 분리회수되어, 콤포스트장치(18)로 처리된다. 콤포스트장치(18)로 처리된 콤포스트(퇴비)는 유기비료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배수처리 시스템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로,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100)는, 상기 유량스위치(5), 플로우트 스위치(9), 각 수위센서(25),(26), 통상배수 유로 스위치(27) 및 디스포저 배수 유로스위치(28), 부엌의 싱크(1) 근방에 설치된 조작부(29) 등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후술할 타이밍 차트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포저(2), 급수밸브(4), 압송펌프(8), 유로절환모터(30) 등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29)에 병설된 표시부(31)에 해당 배수처리 시스템의 상태표시나 후술할 이상표시 등을 실행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타이밍 차트는 조작부(29)에 있는 디스포저(2)의 스타트키가 사용자에 의해 온되는 점에서부터 표시되어 있지만, 사용자는 표시부(31)에 디스포저 사용가능이 표시되어 있을 때 스타트키를 누르게 되므로, 우선 디스포저가 사용가능으로 되는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포저 운전시의 배수가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량조정조(2차 유량조정조)(14)에는, 디스포저 운동배수에 더해져서 저류조(7)의 잔류배수가 유입되므로, 그들의 합계를 1회의 디스포저 운전시의 배수량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 상한 수위로부터 제한 수위를 디스포저 운전허가 상한수위로 한다. 따라서, 제어장치(100)는 수위센서(26)에 의해 검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의 수위가 상기 디스포저 운전허가 상한수위 이하일 때, 디스포저가 사용가능하다는 뜻을 표시부(31)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가 넘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배수처리장치(11)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표시부(31)에 디스포저 사용가능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포저(2)의 스타트키를 누르면, 제어장치(100)는 디스포저(2)의 운전에 앞서서 압송펌프(8)를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30초) 구동한다. 이 시점에서, 유로절환모터(30)는 아직 구동되지 않고, 유로절환장치(12)는 잡배수 유량조정조(13) 쪽의 통상배수 유로로 절환된 그대로이며, 통상배수 유로 스위치(27)가 온,디스포저 배수 유로스위치(28)가 오프로 되어 있다. 이 때 저류조(7)의 잔류배수는 통상의 생활배수이므로, 디스포저 운전배수가 유입되기 전에 잔류배수를 가능한 한 잡배수 유량조정조(13) 쪽으로 들여보내어, 배수처리장치(11)내에서 생활배수와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배수를 분리함으로써, 배수처리장치(11)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소정시간의 압송펌프(8)의 구동이 종료되면, 유로절환모터(30)가 구동되고, 유로절환장치(12)의 절환밸브가 회동되어, 통상배수 유로 스위치(27)는 즉시 오프되지만, 디스포저 배수 유로스위치(28)는, 절환밸브의 회동시간을 두고 유로절환장치(12)가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 쪽으로 확실히 절환된 후에 온으로 된다.
제어장치(100)는, 상기 디스포저 배수 유로스위치(28)가 온으로 된 것을 확인하고, 급수밸브(급수밸브①)(4)를 열어서, 일정시간 T1의 예비세정을 실행한다. 이 예비세정은, 디스포저(2)로부터의 배관(6)을 분쇄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기 전에 세정함과 동시에 적셔서 분쇄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행해진다. 상기의 급수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는 것은, 유량 스위치(5)가 온되는 것을 보고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이 예비세정의 개시와 함께 압송펌프(8)를 구동시킨다.
일정시간 T1의 예비세정이 끝나면, 그 상태의 급수량으로 디스포저(2)를 일정시간 T2 운전하여 투입된 음식 쓰레기를 분쇄한다. 분쇄 음식물 쓰레기는, 급수된 수류로 흘려 보내지게 되어 배관(6)을 통해 저류조(7)로 유입된다. 이 때, 이미압송펌프(8)는 구동되어 있으므로, 저류조(7)내로 유입된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는 곧바로 배수처리장치(11)의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로 압송된다.
일정시간 T2의 디스포저 운전이 종료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저류조(7)로 보내지면, 분쇄 음식물 쓰레기가 잔류되기 쉬운 트랩(6a)을 세정하기 위해, 추가로 급수밸브(급수밸브②)(4)를 열어서 급수량을 약 2배로 늘려서 일정시간 T3의 트랩 세정을 실행한다. 이 트랩 세정이 종료되면, 급수밸브(급수밸브②)(4)를 원래 상태로 되돌려서, 일정시간 T4만큼 저류조(7)까지의 배관(6) 전체의 배관세정을 실행하며, 일단 급수밸브(4)을 완전개방한다.
그리고, 일정한 정지시간 T5를 두고, 압송펌프(8)에 의해 저류조(7)내의 디스포저 배수가 압송된 후, 급수밸브(급수밸브①, ②)(4)를 완전개방하여, 일정시간 T6의 추가급수를 실행한다. 이 추가급수는, 압송펌프(8)로부터 배수처리장치(11)까지의 배관(10) 내에 있는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배수를 깨끗한 추가급수를 내보내어 음식물 쓰레기 유량조정조(14)로 배출시킴으로써, 압송펌프(8)가 정지했을 때 저류조(7) 내로 돌아가는 잔류배수에 분쇄 음식물 쓰레기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여, 악취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실행된다. 또한, 이에 따라, 저류조에 있어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를 더욱 줄일 수 있고, 잡배수 유량조정조(13)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혼입을 더욱 줄여서, 배수처리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추가급수의 급수량 설정은, 해당 배수처리 시스템의 설치공사 완료 시에, 미리 배관의 길이 및 관의 직경에 따라서 복수 종류 준비하여 어떤 급수량 중에서실제 배관(10)의 길이 및 관의 직경에 맞는 급수량을 예를 들면 로터리 스위치 등에 의해 선택하여 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실행함으로써, 해당 배수처리 시스템의 설치공사 완료시에, 각 가정마다 다른 배관(10)의 길이 및 관의 직경에 따라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정시간 T6의 추가급수가 종료되면, 급수밸브(급수밸브①, ②)(4)가 완전개방되고, 소정 시간 T7 후에 압송펌프(8)의 운전이 정지된다. 추가급수가 정지되고 나서부터 소정 시간 T7후에 압송펌프(8)를 정지시키는 것은, 급수밸브(4)를 완전폐쇄하고 나서부터 추가급수의 전량이 저류조(7)로 유입되기까지는 디스포저(2)로부터 저류조(7)까지의 배관(6)의 길이 만큼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 소정 시간 T7의 설정은, 해당 배수처리 시스템의 설치공사 완료시에, 미리 배관의 길이에 따라 복수 종류로 준비되어 있는 시간 중에서 실제 배관(6)의 길이에 맞는 시간을 예를 들면 로터리 스위치 등에 의해 선택함에 따라 행해진다. 이와 같이 시행함으로써, 배수처리 시스템의 설치공사 완료 시에, 각 가정마다 다른 배관(6)의 길이에 따라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압송펌프(6)의 운전이 정지된 후에는, 통상의 생활배수의 유입에 대비하여 유로절환모터(30)를 오프시키면, 유로절환장치(12)는 가압수단에 의해 잡배수 유량조정조(13) 쪽으로 절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예비세정 등의 급수를 포함하는 디스포저(2)의 일련의 동작 동안, 압송펌프(8)를 구동시키고 있으므로, 디스포저 분쇄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배수처리장치(11) 쪽으로 압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저류조(7)에 있어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를 경감시킬 수 있고, 잡배수 유량조정조(13)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 혼입을 보다 경감시켜, 배수처리장치(11)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제어에서는, 저류조(7)의 수위가 그다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플로우트 스위치(9)는 온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포저(2)의 일련의 동작개시와 함께 압송펌프(8)를 구동시켜 압송을 개시하도록 하였으나, 디스포저(2)의 일련의 동작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압송을 개시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고, 상기 실시예의 타이밍 차트와 다른 점은, 압송펌프(8)와 플로우트 스위치(9) 뿐이며, 그 외에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디스포저(2)의 일련의 동작개시와 함께 압송펌프(8)를 구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디스포저(2)의 일련의 동작이 개시되고, 플로우트 스위치(9)가 온되면 압송펌프(8)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압송펌프(9)의 정지시기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추가급수 종료 후, 소정 시간 T7 경과 후라도 좋지만, 압송펌프(8)의 압송 속도가 추가급수의 급수속도 보다 빠른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급수 도중에 플로우트 스위치(9)가 오프될 수도 있으므로, 이 플로우트 스위치(9)가 오프되고 나서 소정 시간 T8 경과 후에 압송펌프(8)를 정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에 있어서, 제어장치(100)는, 디스포저(2)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저류조(7)의 플로우트 스위치(9)가 온되지 않을 때,또는 디스포저(2)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소정 시간의 반송동작으로 플로우트 스위치(9)가 오프되지 않을 때에는, 플로우트 스위치(9) 또는 압송펌프(8)의 이상을 검출함과 동시에, 그 뜻을 표시부(31)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메인터넌스의 필요성을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압송펌프(8)로부터 배수처리장치(11)의 유로절환장치(12) 사이의 배관(10)에 유량검출기를 설치하거나, 압송펌프(8)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를 구비하거나, 압송펌프(8)의 모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제어장치(100)가 그들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는, 디스포저(2)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음과 동시에 이상이라는 뜻을 표시부(31)에 표시하도록 하면, 압송펌프(8)의 이상 시에 디스포저(2)가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문제를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는 정확하게 압송펌프(8)의 메인터넌스의 필요성을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의 배수처리장치(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배수처리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통상의 생활배수도 정화처리하고 나서 하수도 등으로 방류함으로써, 배수의 오탁량의 더욱 저감화를 꾀하고 있지만,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통상의 생활배수는 하수도 등으로 직접 방류하며, 디스포저 사용 시의 배수만을 처리하도록 한 것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포저와, 상기 디스포저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와, 상기 디스포저와 배수처리장치 사이에 있어서 디스포저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배수를 상기 배수처리장치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수처리장치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포저의 운전의 가부와 상기 반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춤에 따라, 배수처리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처리장치는,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1차 유량조정조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2차 유량조정조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2차 유량조정조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배수량과 저류조 내의 잔류배수량을 받아들일 수 있을 때에 디스포저의 운전을 허가함으로써, 2차 유량조정조가 넘쳐나는 바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배수처리장치 본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수처리장치는,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1차 유량조정조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2차 유량조정조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에 앞서서, 상기 저류조의 잔류배수를 상기 1차 유량조정조로 소정의 시간에 반송함에 따라, 디스포저 운전배수가 유입되기 전에 잔류배수를 가능한 한 1차 유량조정조 쪽으로 보내어, 배수처리장치 내에서의 생활배수와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분리시킴으로써, 배수처리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 후 또는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 후에 있어서 저류조에 설치된 플로우트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부터 적어도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는, 저류조에서 배수처리장치로의 반송동작을 계속함에 따라, 저류조에 있어서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되며, 1차 유량조정조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혼입을 경감시켜, 배수처리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함으로써, 저류조에 있어서 분쇄물의 잔류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으며, 1차 유량조정조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혼입을 보다 경감시켜, 배수처리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 종료 후 추가급수를 행하며, 이 추가급수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함으로써, 반송수단이 정지했을 때에 저류조 내부로 되돌아오는 잔류배수에 분쇄 음식물 쓰레기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여, 악취 발생 등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저류조에 있어서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잔류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어, 1차 유량조정조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혼입을 보다 경감시켜, 배수처리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시간으로서, 상기 디스포저로부터 저류조까지의 배관의 길이에 따른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당 배수처리 시스템의 설치공사 완료 시에, 각 가정마다 다른 배관의 길이에 따라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추가급수에 의한 급수량으로서, 상기 저류조로부터 배수처리장치까지의 배관의 길이 및 관의 직경에 의한 급수량을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당배수처리 시스템의 설치공사 완료 시에, 각 가정마다 다른 배관의 길이 및 관의 직경에 따라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상기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오프되고 나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함에 따라서도, 저류조에 있어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경감시킬 수 있고, 1차 유량조정조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의 혼입을 경감시켜, 배수처리장치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소정시간의 반송동작으로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오프되지 않을 때, 또는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에 있어서 소정시간이 경과해도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온되지 않을 때는 이상을 검출함과 동시에, 그 뜻을 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메인터넌스의 필요성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의 유량이나 전류, 온도 등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서 이상을 검출했을 때는 디스포저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음과 동시에 이상이라는 뜻을 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반송수단의 이상 시에 디스포저가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는 정확하게 반송수단 메인터넌스의 필요성을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디스포저와,
    상기 디스포저 배수를 처리하는 배수처리장치와,
    상기 디스포저와 배수처리장치 사이에 있어서 디스포저 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에 저류된 배수를 상기 배수처리장치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배수처리장치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포저의 운전의 가부와 상기 반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처리장치는,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1차 유량조정조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2차 유량조정조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2차 유량조정조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배수량과 저류조 내의 잔류배수량을 받아들일 수 있을 때에 디스포저의 운전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디스포저 사용 시 이외의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1차 유량조정조와, 디스포저 사용 시의 분쇄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배수를 저류하기 위한 2차 유량조정조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에 앞서서 상기 저류조의 잔류배수를 상기 1차 유량조정조로 소정의 시간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 후 또는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개시 후에 있어서,
    저류조에 장치된 플로우트 스위치가 온(ON)되었을 때부터 적어도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는, 저류조로부터 배수처리장치로의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추가급수를 행하고, 이 추가급수의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으로서, 상기 디스포저로부터 저류조까지의 배관의 길이에 따른 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급수에 의한 급수량으로서, 상기 저류조로부터 배수처리장치까지의 배관의 길이 및 관의 직경에 따른 급수량을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상기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오프되고 나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반송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종료 후, 소정시간의 반송동작으로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오프되지 않을 때, 또는 디스포저의 일련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저류조의 플로우트 스위치가 온되지 않을 때는 이상을 검출함과 동시에, 그 뜻을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의 유량이나 전류, 온도 등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는 디스포저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음과 동시에, 이상이라는 뜻을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처리 시스템.
KR10-2001-0033470A 2000-06-16 2001-06-14 배수처리 시스템 KR100404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1246A JP2002004402A (ja) 2000-06-16 2000-06-16 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0-181246 2000-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490A true KR20010113490A (ko) 2001-12-28
KR100404668B1 KR100404668B1 (ko) 2003-11-07

Family

ID=1868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470A KR100404668B1 (ko) 2000-06-16 2001-06-14 배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004402A (ko)
KR (1) KR100404668B1 (ko)
CN (1) CN1140677C (ko)
TW (1) TWI2258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887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1120B2 (ja) * 2005-06-01 2011-01-12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水リサイクルシステム
CN106193221A (zh) * 2016-07-25 2016-12-07 柳州合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厨房垃圾处理机
CN106223426A (zh) * 2016-07-25 2016-12-14 柳州合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发电的厨房垃圾处理机械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887A (ko) * 2003-11-18 2005-05-23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0190A (zh) 2002-01-09
KR100404668B1 (ko) 2003-11-07
JP2002004402A (ja) 2002-01-09
TWI225848B (en) 2005-01-01
CN1140677C (zh)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4946A (en) Aerob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partial reuse and infrequent dosing to soil
EP0495019B1 (en) Sanitation system
KR10037260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0404668B1 (ko) 배수처리 시스템
EP1079033B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394701B1 (ko) 배수처리 시스템
KR10097511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미생물 공급장치
KR10150795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52815B1 (ko) 가축분뇨 처리공정
JP2001121021A (ja) 厨芥処理システム
JP2001276644A (ja) ディスポーザ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2186987A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1104815A (ja) 生ごみ処理システム
JP2001025787A (ja) ディスポーザ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2011303A (ja) 排水処理装置
JP3566077B2 (ja) 有機性排水の生物化学的処理装置
JPH0985217A (ja) 生ごみ処理装置
JP3473377B2 (ja) 生ごみ処理装置の制御構造
JP2001025750A (ja) 生ゴミ処理システム
JP2003126898A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1104710A (ja) 水処理システム
JP2000051838A (ja) 水処理システム
JP2004114006A (ja) ディスポーザ排水処理システム
CZ2799U1 (cs) Čistírna odpadních vod s přerušovaným průtokem aktivační nádrže
JP2001062466A (ja) 廃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