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750A -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 Google Patents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750A
KR20010112750A KR1020000032942A KR20000032942A KR20010112750A KR 20010112750 A KR20010112750 A KR 20010112750A KR 1020000032942 A KR1020000032942 A KR 1020000032942A KR 20000032942 A KR20000032942 A KR 20000032942A KR 20010112750 A KR20010112750 A KR 20010112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inorganic material
mixing
water
veget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구
이상정
장성완
Original Assignee
장성완
이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완, 이상정 filed Critical 장성완
Priority to KR102000003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2750A/ko
Publication of KR2001011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7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8Organic compounds mixed with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polymerisation catalysts
    • C09K17/50Organic compounds mixed with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polymerisation catalysts the organic compound being of natural origin, e.g. cellulose deriva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용토, 종자, 비료, 혼화재, 그리고 물과 혼합하여 철망 등이 설치된 비탈면에 소정의 두께로 뿜어 붙여 환경복원하는데 사용되는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에 관한 것으로, 풀라이애쉬 50 - 80%와, 무수석고 5 - 20%와, 시멘트 5 - 20%와, 황산알루미늄 1 - 10%와, 탄산칼륨 1 - 5%를 혼합하여 무기질재료를 얻은 다음, 객토 40 - 80%, 플라이애쉬 20 - 40%, 무수석고 1 - 10%, 토탄 1 - 10%를 혼합한 토양에 상기의 무기질재료 1 - 30%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A inorganic material for acclimation use of male chemosterilant mineral}
본 발명은 녹화 및 토양 안정화를 위한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화용토, 종자, 비료, 혼화재, 물 등과 혼합하여 철망 등이 설치된 대상 비탈면에 소정의 두께로 뿜어 붙여 녹화하는데 사용되는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국토개발과 산업화의 발전에 따른 각종 건설공사로 인해 발생되는 비탈면을 녹화시키기 위하여 무기질재료를 이용한 식생기반재 뿜어 붙이기 녹화공법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법에 사용되는 종래의 무기질재료를 이용한 식생기반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1) 종래공법에서 사용되는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는 대체로 건조경화반응형으로 건조경화안정화되는 시간이 길어 시공 두께에 따라 편차는 있으나 시공 후 2 - 3일 정도의 양생기간이 소요되므로, 시공 후 양생기간 내에 강우가 있을 경우에는 신설된 식생기반이 유실되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2) 종래의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는 단립형성을 위해서는 별도의 단립화제를 사용하여야 하나 배합비율에 따라 편차가 많아 불균일한 단립이 형성되고 표면경도지(산중식경도계에 의한 측정)가 30에 가까워 충분한 강우가 있어야 시공면의 수분 흡수에 의한 연화로 종자 등이 발아되므로 녹화기간이 오래 걸리는 폐단이 있었다.
(3) 종래의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는 각종 혼화재를 사용하여 시공하여야 시공면이 안정화되므로 고비용(高費用)과 불확실성으로 얇은 층(THK 1 - 3㎝) 식생재 뿜어 붙이기 공법을 이용할 때 형성되는 피막이 불안정하여 받아 불량현상과, 면의 균열과, 우수에 의한 세굴이 많이 발생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 후 2 - 3 시간내에 투여된 식생기반재가 물과 수화반응하여 내수성 단립화가 진행되므로 보통의 강우에는 유실될 염려가 없고, 안정된 내수성 단립은 다공질이며 보수성과 토양통기성이 우수하여 일시에 두꺼운 피막이나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도 안정된 피막면 전체에서 식물종자의 발아율이 높게 형성되고 월등한 생육조건을 조성, 조기녹화를 이룰 수 있으며 겨울철 방결동상현상도 발생되지 아니한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풀라이애쉬 50 - 80%,무수석고 5 - 20%, 시멘트 5 - 20%, 황산알루미늄 1 - 10%, 탄산칼륨 1 - 5%을 혼합하여 무기질재료를 얻은 후, 객토 40 - 80%와 플라이애쉬 20 - 40%와 무수석고 1 - 10%와 토탄(PEAT) 1 - 10%를 혼합한 토양에 각종 비료와 섬유소를 투여한 다음, 이에 상기 무기질재료 1 - 30%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우선, 주성분이 Sio₂50 - 60%, Al₂O₃25 - 35%와 기타 성분이 약 15%로 구성되고 입경 0.3 ∼ 1㎜ 정도의 미세분말로서 물에 의해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되면서 수화반응을 일으키며 에드린가이트, 규산칼슘 수화물 등의 광물질 수화반응물로 경화되며 포조란 활성을 지배하여 유동성에 큰 영향을 주고, 알칼리성 물질로 산성토양을 중성화 시키며 토양의 불리성 개선에 일조하는 등의 물성을 지닌 풀라이애쉬(Flyash) 50 - 80% 와;
주성분이 Sio₂22%, Al₂O₃+ FeO₃9%, CaO + MgO 65%, 기타 4% 정도로서 물과 반응, 수화물로 경화규산화 수화반응과 표조란반응 촉진으로 에드린가이트(3CaO, Al₂O₃+ 3CaOSO₄, 32H₂O)를 생성시키고 강도유지기능이 있는 통상의 시멘트 5 - 20% 와;
물과 반응하여 모노에드린가이트를 생성, 시멘트와 함께 강도유지에 일조하는 무수석고( CaSO₄) 5 - 20% 와;
혼합시 물에 용해되어 전해질로 되면서 물에 의해 콜로이도상으로 분산된 각성분 사이에서 알루미늄의 중숙합이온이 고분 자체로 생성되어 토양입자를 결집시키는 황산알루미늄( Al₂O₃) 1 - 10% 과;
플라이애쉬에 함유되어 있는 난용성규산( SiO₂)을 유효화시켜 토양을 산성화 하지 않으면서 규산칼리비료화 하는 탄산칼륨 1 - 5% 와;를 혼합하여 무기질재료를 얻는다.
그리고, 객토 40 - 80%, 플라이애쉬 20 - 40%, 무수석고 1 - 10%, 토탄(PEAT) 1 - 10%를 혼합한 토양에 필요에 따라 각종 비료와 섬유소를 투여한 다음, 이에 상기에서 얻은 무기질재료 1 - 30%를 혼합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식생기반재는 우리나라 전면적의 ⅔를 차지하는 화강암대의 풍화토인 마사질토양의 주 구성성분인 규산(SiO₂)과 황산알루미늄(Al₂O₃)과의 동일한 친화적 구성원소로서 본 발명의 식생기반재와의 혼합에 의해 수화합반응과 내수성 단립화, 적정 강도가 유지되는 특성을 지닌다.
또, 본 발명의 식생기반재는 물과 수화반응를 하면서 식생기반재상의 미사질토양입자를 결합하는 Net상 결정을 형성하여 다공질 공극을 만들어 각 입자가 접착 경화하는 단립이 아닌 입자표면을 감싸는 에드린가이트 형성에 의한 수화화합물의 다수 입자간 공극에 충전이 형성되는 복잡한 다공질 단립이 되어 그 자체의 경도와 강도를 유지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완성된 단립은 강도와 일정경도(경도치 24 이내)가 유지되는 다공질로 토양 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있어 통기성과 보수성이 우수하고 비료성분을 감싼형태의 단립으로 비료가 오래 지속되는 이점과 수화반응성분 자체가 칼리비료화 되는 톡성도 지닌다.
[실시예 1]
(1) 플라이애쉬(서천화력 산출분) 75㎏, 시멘트(현대시멘트(주)제) 15㎏, 무수석고 5㎏, 황산알루미늄 3㎏, 탄산칼륨 2㎏을 혼합하여 마사토식생기반재 안정화용 무기질재료 100㎏씩 300㎏을 제조 포장한 후
(2) 마사토 3㎥(1,700㎏/㎥*3=5,100㎏)에 플라이애쉬 1,000㎏, 무수석고 100㎏, 토탄(PEAT) 200㎏, 유기질비료 100㎏(20㎏포장 5포), 복합비료 20㎏을 혼합한 마사토식생기반재를 동일하게 3회 제조 포장하였다.
위의 재료를 이용 현장 경사 1:1의 견질마사토 비탈면 약 150㎡ 동일현장 1:0.7의 리핑암 비탈면 50㎡, 계 200㎡의 법면에 시공하였다.
시공은 습식취부기(탱크용량 4,000l)을 동원하여 먼저 탱크의 물 1,500ℓ에 (1)(2)재료에 초, 목본질 종자를 투입 혼합하여 질척하게 반죽된 곤죽상태를 비탈면에 뿜어 붙이기 실시한 바, 뿜어 붙이는 대로 접착되었으며 두께는 1회(한 탱트용량)는 2㎝는 120㎡, 2회째는 3㎝로 50㎡, 3회??는 5㎝로 실시하였으나 모두 잘 접착하였으며 시공완료시 1회 실시분은 이미 3시간 정도 경과로 내수단립경화가 충분히 진행된 상태가 확인되었고 익일 아침 전체취부면에 시드스프레이 기계로 실수하였으나 전혀 뿜어 붙인 재료의 유실현상이 없었다. 표면건조에 단립경화가 충분히 진행된 5일 후 산중식경도계로 축정결과 경도치 24㎜로 나타났으며 시공 3주 후 현장확인 결과 전체면에서 고른 상태의 종자발아가 확인되었음.
[실시예 2]
실제 상기 [실시예 1]의 재료 중 시멘트 12㎏, 무수석고 8㎏으로 비율조정에 의해 제조하여 마사토식생기반재에 식물종자를 혼합하여 전 시공형식대로 1:1.5 성토비탈면에 1㎝ 두께로 2회차 240㎡ 실시하던 중 시공종료 2시간 후부터 3시간에 걸쳐 강우가 있었으나 강우직후 확인결과 세굴이나 흘러내림 등의 현상이 없었으며, 3일 후의 경도치는 22㎜로 나타났고 종자발아는 10일 후부터 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0일 쯤에는 전체에 발아가 되었음.
[실시예 3]
수분 함수량이 많은 토양에 [실시예 1]의 무기질재료를 혼합하여 교반 전압한 결과 아래 "표"와 같이 단시간 내에 수화반응에 의하여 토양 중의 수분을 급속히 흡수시키면서 단립화가 진행되어 고화되면서 안정화 시킬 수 있었다.
토질 : 유기질 점성토
원토
함수비 압축강도(kgf/㎠)
186,7 0,024
150 0,120
130 0,175
115,5 0,212
무기질재료 3% 혼합 무기질재료 5% 혼합 무기질재료 7% 혼합
함수비(%) 압축강도kgf/㎠ 함수비(%) 압축강도kgf/㎠ 함수비(%) 압축강도kgf/㎠
163,3 0,031 151,9 0,056 139,5 0,104
133,5 0,210 125,2 0,295 118,2 0,575
116,5 0,310 109,7 0,432 103,5 0,905
104,4 0,382 96,6 0,555 91,5 1,172
[실시예 4]
풍화암의 비탈면에서 전체 수직고 70m 중 30m 지점에 폭 5 ∼ 8, 길이 7m, 깊이평균 2.5m 약 120㎥의 암결리 탈락에 의한 공동이 발생된 도로비탈면 붕락지를 장마기 직전에 일반 마사토양 ㎥당 [실시예 1]의 무기질재료를 충분히 혼합하여 아리바 기기를 이용, 압송된 혼합물에 소량의 물을 가해 고압으로 뿜어 붙이기를 연속 실시하여 충지성토(120㎥)를 완료하였으나 전혀 탈락이나 유실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대상지에 뿜어 붙여진 토사물은 바로 수화합반응과 내수성 단립형성 및 경화반응에 의해 안정되게 주위 바탕과 일체화 상태로 접착, 충진되었으며 3일 후부터 장마가 시작되었으나 처짐과 유실 등의 현상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장마 후 더욱 견고한 상태의 확인과 겨울을 경과한 후의 확인에도 동상현상의 흔적이 없었으며 그 표면의 변화는 전혀 없었으며 그 후의 봄에는 시공면에 주위 식물종자의 유입에 의한 발아 생육가지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볼 때 종래의 방법은 탈락에 의해 공동화된 주위 표면에 철망을 치고 숏크리트공법을 실시해 왔으나 이는 공동굴곡이 그대로 나타나 미관불량과 주위의 2차 토압에 의한 탈락우려도 있었으나 본 발명 방식에 의하면 주변의 추가 훼손없이 원상태로의 안정적 복구와 식물생육까지 이룰 수 있어 획기적인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앞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음과 같이 본 발명의 무기질재료는 수화반응성 재료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각 재료성분의 빠른 수화반응에 의하여 에드린가이트와 모노에드린가이트 형성 등의 수화합반응물이 빨리 생성되어 이것이 토양입자를 감싼 상태의 내수성 단립이 형성되고 형성되는 단립은 Net상 결정으로 복잡한 다공질 단립이 되어 그 자체의 경도와 강도를 유지하므로 통기성과 보수성이 우수하고 비료성분을 감싼 형태의 단립화로 비료효과를 오래 지속시키는 이점과 수화반응성분 자체가 칼리비료화되는 특성도 지녀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을 이룰 수 있으며 우리 국토의 ⅔를 차지하는 편마암질 풍화 마사토양 건설훼손지의 비탈면을 그 토양과, 일부량만 활용되는 플라이애쉬를 다량 이용하여 녹화하므로써 산성화되어 가고 있는 토양의 개량과 이질감 없는 황경친화적인 완벽 녹화공을 시행할 수 있다.

Claims (2)

  1. 플라이애쉬 50 - 80%와; 무수석고 5 - 20%와; 시멘트 5 - 20%와; 황산알루미늄 1 - 10%와; 탄산칼륨 1 - 5%를 혼합하여 무기질재료를 얻은 다음, 객토 40 - 80%, 플라이애쉬 20 - 40%, 무수석고 1 - 10%, 토탄 1 - 10%를 혼합한 토양에 상기에서 얻은 무기질재료 1 - 30%를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객토 40 - 80%, 플라이애쉬 20 - 40%, 무수석고 1 - 10%, 토탄 1 - 10%를 혼합한 토양에 소정의 비료와 섬유소를 투여함을 특징으로 한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KR1020000032942A 2000-06-15 2000-06-15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KR20010112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42A KR20010112750A (ko) 2000-06-15 2000-06-15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42A KR20010112750A (ko) 2000-06-15 2000-06-15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750A true KR20010112750A (ko) 2001-12-22

Family

ID=1967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42A KR20010112750A (ko) 2000-06-15 2000-06-15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27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067B1 (ko) * 2001-12-18 2003-08-27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사면녹화용 식생재
KR20030081983A (ko) * 2002-04-15 2003-10-22 강태호 단립화 식생기반재
KR100461236B1 (ko) * 2002-01-26 2004-12-14 주식회사 라이지오케미칼코리아 폐기물매립용 복토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362601A (zh) * 2020-03-18 2020-07-03 贵州余庆泰龙建材有限公司 一种高掺量磷石膏水泥熟料胶凝材料及其应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0751A (ko) * 1994-12-08 1997-02-12 시게루 코마쯔 녹화·토양안정화용무기질재료, 그를 이용한 후층기재종자취부공법 또는 토양안정화공법
JPH1036836A (ja) * 1996-07-26 1998-02-10 Yamashita Kenji 緑化吹付け用土壌安定剤
JPH1135939A (ja) * 1997-07-25 1999-02-09 Mitsubishi Materials Corp 速硬性土質改良材
JPH11263972A (ja) * 1998-03-18 1999-09-28 Taiheiyo Cement Corp 地盤改良用注入材
JPH11280075A (ja) * 1998-03-31 1999-10-12 Raito Kogyo Co Ltd 緑化基盤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る緑化工法
JP2000073372A (ja) * 1998-08-31 2000-03-07 Sumitomo Forestry Co Ltd 法面等の植生基盤材及び緑化工法
JP2000129258A (ja) * 1998-10-29 2000-05-09 Mitsubishi Materials Corp 水硬性材料
JP2000178978A (ja) * 1998-12-11 2000-06-27 Green Forum:Kk 石炭灰を主体とした法面緑化基盤材及び該基盤材を用いた法面緑化工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0751A (ko) * 1994-12-08 1997-02-12 시게루 코마쯔 녹화·토양안정화용무기질재료, 그를 이용한 후층기재종자취부공법 또는 토양안정화공법
JPH1036836A (ja) * 1996-07-26 1998-02-10 Yamashita Kenji 緑化吹付け用土壌安定剤
JPH1135939A (ja) * 1997-07-25 1999-02-09 Mitsubishi Materials Corp 速硬性土質改良材
JPH11263972A (ja) * 1998-03-18 1999-09-28 Taiheiyo Cement Corp 地盤改良用注入材
JPH11280075A (ja) * 1998-03-31 1999-10-12 Raito Kogyo Co Ltd 緑化基盤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る緑化工法
JP2000073372A (ja) * 1998-08-31 2000-03-07 Sumitomo Forestry Co Ltd 法面等の植生基盤材及び緑化工法
JP2000129258A (ja) * 1998-10-29 2000-05-09 Mitsubishi Materials Corp 水硬性材料
JP2000178978A (ja) * 1998-12-11 2000-06-27 Green Forum:Kk 石炭灰を主体とした法面緑化基盤材及び該基盤材を用いた法面緑化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067B1 (ko) * 2001-12-18 2003-08-27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사면녹화용 식생재
KR100461236B1 (ko) * 2002-01-26 2004-12-14 주식회사 라이지오케미칼코리아 폐기물매립용 복토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1983A (ko) * 2002-04-15 2003-10-22 강태호 단립화 식생기반재
CN111362601A (zh) * 2020-03-18 2020-07-03 贵州余庆泰龙建材有限公司 一种高掺量磷石膏水泥熟料胶凝材料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63838B (zh) 一种生态喷锚护坡结构及方法
CN112723844B (zh) 一种轻质植生型多孔混凝土预制件及其制备方法
CN111424687A (zh) 一种利用磷石膏与微生物矿化技术用于膨胀土边坡生态防护的施工方法
KR101345720B1 (ko) 습식 인공토양 비탈면 녹화를 위한 안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안정화방법
CN109626950A (zh) 生态护坡混凝土及其施工方法
JP2935408B2 (ja) 緑化・土壌安定化用無機質材料、それを用いた厚層基材種子吹付け工法または土壌安定化方法
CN112250402A (zh) 集边坡防护及植被恢复于一体的石膏基泡沫材料制备方法
KR20010112750A (ko)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용 식생기반재.
KR20010111888A (ko) 수화학 광물을 이용한 환경복원 및 지반보강용 무기질재료.
KR20170140820A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친환경혼합물
JP3623718B2 (ja) 緑化用軽量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材
KR20070112919A (ko) 녹화ㆍ토양안정화용 무기질재료, 그것을 이용한두께층기재종자 분무공법 또는 토양안정화방법
CN114890717A (zh) 一种绿化混凝土
KR101201999B1 (ko)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KR100465654B1 (ko) 왕겨재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블록의 제조방법.
KR20030081983A (ko) 단립화 식생기반재
JP2000333530A (ja) コンクリート成型物空隙の植栽用充填土壌材
JP4714855B2 (ja) 植物成育基盤材、それを用いた客土吹付け工法または厚層基材吹付け工法
JPS5924034A (ja) 法面の緑化工法
KR100353923B1 (ko) 수화반응물질을 이용한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183854B2 (ja) 斜面保護用組成物及び斜面保護工法
KR20030032272A (ko) 지반보강용 무기질재료 및 이를 이용한 지반안정화공법과고압취부성토공법과 환경복원사면취부녹화공법
KR102674116B1 (ko) 사면 녹화용 식생 기반재를 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JPS6319125B2 (ko)
KR102674115B1 (ko) 절개사면 녹화 및 토양안정화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