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576A -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576A
KR20010112576A KR1020000031736A KR20000031736A KR20010112576A KR 20010112576 A KR20010112576 A KR 20010112576A KR 1020000031736 A KR1020000031736 A KR 1020000031736A KR 20000031736 A KR20000031736 A KR 20000031736A KR 20010112576 A KR20010112576 A KR 20010112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hain store
site
sto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134B1 (ko
Inventor
김재형
김지한
홍종철
Original Assignee
김재형
김지한
홍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형, 김지한, 홍종철 filed Critical 김재형
Priority to KR102000003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134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134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사로부터 체인의뢰를 받아 본사 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여한 체인 본 사이트를 구축하고, 본사의 체인점 운영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사용자)들로부터 체인점 개설 의뢰를 받아 체인점 독자 사이트(이하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시키며, 체인 본 사이트에서 각 체인점 사이트로 체인 본 사이트와 동일한 기능 및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체인점을 독자 운영하게 하며, 각 체인점 사이트로부터 각 체인점의 운영 상황을 수시로 전달받아 상황에 맞는 대처 방안을 제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은 체인점의 본사가 자신의 웹사이트의 체인화 의뢰를 하는 체인화 의뢰 모듈, 본사와 체인화 협약을 수행하는 체인 협약 모듈, 협약에 의해 상기 웹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여하여 체인 본 사이트를 구축하는 체인화 모듈, 본사의 체인점 운영을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체인점 개설 의뢰를 받아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하며 체인점 사이트로 체인 본 사이트와 동일한 기능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체인점 개설 모듈,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구입시에 구입 상품에 대한 대금 정보를 처리하는 대금 처리 모듈, 체인점 사이트로부터 발생되는 체인점의 제반 정보, 본사의 제반 정보, 일반 고객의 제반 정보가 저장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DB), 체인점 사이트를 통한 상품 매출 발생에 따른 체인점 사이트, 시스템, 본사간 수익의 분배를 실시하는 수익배분 모듈을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Relay system for launching and managing chain store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사로부터 체인의뢰를 받아 본사 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여한 체인 본 사이트를 구축하고, 본사의 체인점 운영을 희망하는 사용자(이하 사용자)들로부터 체인점 개설 의뢰를 받아 체인점 독자 사이트(이하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시키며, 체인 본 사이트에서 각 체인점 사이트로 체인 본 사이트와 동일한 기능 및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체인점을 독자 운영하게 하며, 각 체인점 사이트로부터 각 체인점의 운영 상황을 수시로 전달받아 상황에 맞는 대처 방안을 제공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프라인에서 실행되던 체인점의 운영 방식은 체인점 개설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인테리어, 상품 원자재, 운영방법 등 체인점 개설 및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체인점의 본사에서 하고 있지만, 체인점을 개설하는데 드는 기초비용(건물임대료, 설치비, 인건비, 원자재비 등)은 모두 사용자가 부담해야하며, 체인점의 지리적 위치 및 운영방식에 따른 흥망을 체인점 운영자가 모두 안고 있다. 본사 입장에서도 오프라인 체인점의 운영 방식에서는 배송을 통해 체인점으로 원자재/상품 제공, 마케팅 원조, 새로운 이벤트 제공, 신상품 교육 등 체인점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모든 사항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막대한 인력과 자금이 소요되는 비효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비효율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단순 오프라인 방식에서 벗어나 오프라인과 온라인 방식을 결합한 형태의 도소매업 운영 방식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오프라인 도소매 영업 방식을 온라인화한 것이다. 이 사이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동대문 시장과 같은 큰 도매점이 있고 여러 소매상들이 동대문 시장에서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여 소매점에서 판매하는 것을 오프라인 상에 존재하는 도소매업이라고 한다면, 온라인상에 구현된 도소매 사이트는 동대문 시장과 같은 도매점 사이트가 있고 여러 사용자(소매상)들이 도매점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할당받아 자신들의 사이트를 운영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사업형태(웹호스팅 형태)는 소매상들이 사이트를 운용함에 있어 내 것이 아닌 남의 것에서 사이트를 운용하게 되어 가입자들이 언제든지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도 회원수의 비중은 나날이 감소하고 실제 이용자수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 쇼핑몰에 몇 명이 회원으로 있느냐가 아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쇼핑몰을 이용하여 매출을 많이 올리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래서 쇼핑몰은 회원을 확보하여 회원의 이용률을 높이려 부단한 노력들을 한다. 이용률을 높여 자신들의 브랜드명과 매출을 증대하고 나아가서 전자상거래의 기준이 되어 우후죽순 생겨난 쇼핑몰 업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한다.하지만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를 끌어들이고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매출과 영향력을 높이는 데는 많은 자금이 소요되고 기술적인 부담도 겪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비효율점 및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오프라인 방식으로 실시되는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을 온라인 상에서 구현함으로써 오프라인 운영에서의 고비용, 저효율의 운영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웹사이트 체인점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1 방식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제2 방식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제1 방식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a는 제2 방식의 실시 개념도이다.
도 4b는 제2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디자인하는 체인점 홈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제1 방식의 전체적 실시 양태의 기본 순서도이다.
도 6은 제1 방식의 체인 본 사이트 개설단계 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중계 시스템에 체인점을 의뢰, 개설하는 단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체인점을 운영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체인점 사이트를 일반 고객이 이용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반 고객이 체인점에서 상품 구매시 매출 대금의 처리순서도 이다.
도 11은 체인점 매출사항에 따른 수익배분 순서도이다.
도 12는 사용자가 체인점 이벤트를 실시하는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은 체인점의 본사가 자신의 웹사이트의 체인화 의뢰를 하는 체인화 의뢰 모듈, 본사와 체인화 협약을 수행하는 체인 협약 모듈, 협약에 의해 상기 웹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여하여 체인 본 사이트를 구축하는 체인화 모듈, 본사의 체인점 운영을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체인점 개설 의뢰를 받아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하는 체인점 개설 모듈, 체인점 사이트로 체인 본 사이트와 동일한 기능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체인점 제공 모듈,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구입시에 구입 상품에 대한 대금 정보를 처리하는 대금 처리 모듈, 체인점 사이트로부터 발생되는 체인점의 제반 정보, 본사의 제반 정보, 일반 고객의 제반 정보가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데이터베이스(DB), 체인점 사이트를 통한 상품 매출 발생에 따른 체인점 사이트, 시스템, 본사간 수익의 분배를 실시하는 수익배분 모듈, 체인점에서 이벤트를 행할 시 그 이벤트처리를 하는 이벤트 모듈을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계 시스템이 체인점마다 체인점 서버를 제공하여 체인점 사이트를 구축하는 제1 방식과 중계 시스템의 체인점홈페이지 데이터베이스 공간에 체인점 사이트를 만들어 가상 디렉토리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제1 방식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본사(300)가 중계 시스템(200)에게 자신의 웹사이트의 체인화를 의뢰하면(S100) 중계 시스템(200)은 본사(300)와 체인협약을 하며(S110) 중계 시스템(200)은 본사의 웹사이트를 체인 시스템으로 변경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을 구축하거나 본사 웹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여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를 구축한다(S120). 중계 시스템(200)으로 사용자(600)가 체인점 개설을 의뢰하면(S130) 중계 시스템(200)은 사용자(600)에게 체인점 구축 페이지와 사용자(600) 고유의 도메인, 메일서버, 체인점 서버를 제공한다(S140).사용자(600)는 중계 시스템(200)이 제공한 체인점 사이트(400)에서 체인점을 운영하게 되고(S150) 체인점에서 사용하는 기능이나 컨텐츠 등은 체인 본 사이트(700)로부터 통체로 제공받게 된다(S160). 일반 고객(500)은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에서 상품의 구매를 하게 되는데(S170) 이 때 일반 고객(500)은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의 기능이나 컨텐츠 등을 모두 이용한다. 중계 시스템(200)과 본사(300)는 체인 본 사이트(700)를 통하여 일반 고객(500)이 이용하는 체인점 사이트(400)의 상황을 수시로 확인한다(S180).
도 2는 제2 방식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본사(300)가 중계 시스템(200)에게 자신의 웹사이트의 체인화를 의뢰하면(S200) 중계 시스템(200)은 본사(300)와 체인협약을 하며(S210) 중계 시스템(200)은 본사 웹사이트를 체인 시스템으로 변경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을 구축하거나 본사 웹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과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를 구축한다(S220). 중계 시스템(200)으로 사용자(600)가 체인점 개설을 의뢰하면(S230) 중계 시스템(200)은 사용자(600)에게 체인점 구축 페이지와 사용자(600) 고유의 도메인, 메일서버, 디렉토리 공간을 제공한다(S240). 디렉토리 공간을 제공함이 상기한 제1 방식과의 차이점이다. 사용자(600)는 중계 시스템(200)이 제공한 체인점 사이트(800)를 이용하여 체인점을 운영하게 되고(S250), 체인점 사이트(800)에서 사용하는 기능이나 컨텐츠 등은 체인 본 사이트(700)에서 제공받게 된다(S260). 사용자(600)는 체인점 사이트(400)를 이용하여일반 고객(500)에게 상품을 판매하게 되고, 일반 고객(500)은 체인점 사이트(800)를 통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에서 상품의 구매를 하게 되는데(S270) 이 때 일반 고객(500)은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하여 체인 본 사이트(700)의 기능이나 컨텐츠 등을 이용한다. 중계 시스템(200)과 본사(300)는 체인 본 사이트(700)를 통하여 일반 고객(500)이 이용하는 체인점 사이트(400)의 상황을 수시로 확인을 한다(S280).
도 3은 제1 방식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중계 시스템(200)을 동작시키는 제품들은 인터넷상에서 웹서버로 이용되어지며 본사의 체인의뢰 및 체인협약, 체인점에서의 반응처리, 이벤트 상황, 사용자들의 체인점의뢰 및 호스팅, 체인제공 등을 한다. 중계 시스템(200)의 중앙처리부(205)는 대용량의 정보처리 능력을 갖고 있고 각각의 모듈에서 수행하는 연산 및 데이터베이스서치, 저장, 제어, 정보처리 등을 주관한다.
체인화 의뢰 모듈(250)은 본사(300)가 자신의 웹사이트의 체인화를 의뢰시에 본사(300)와 중계 시스템(200)간 체인의뢰 및 협약과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협약진행 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본사의 체인의뢰가 들어올 경우 중앙처리부(205)의 정보처리 과정을 도와주는 모듈이다.
체인화 모듈(220)은 본사(300)와 중계 시스템(200)과의 체인 협약에 따른 체인 본 사이트(700)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체인점 사이트를 구축할 체인 본 사이트를 구축한다.
체인점 개설 모듈(225)은 본사(300)의 체인점 운영을 희망하는 사용자(600)로부터 체인점 개설 의뢰를 받아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해주는 모듈이다.
체인점 제공 모듈(230)은 중계 시스템(200)이 체인 본 사이트(700)의 기능 및 컨텐츠를 사용자의 체인점 서버(281)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체인점 제공 모듈(200)은 체인 본 사이트의 기능 및 컨텐츠를 체인점 사이트가 통체로 이용할 수 있도록 중계 시스템(200)에 있는 체인 본 사이트 DB(262)를 연동시킨다. 중계 시스템(200)은 체인점 제공 모듈(230)을 이용하여 체인점 서버(281)에 체인점 사이트(400)를 구축하여 사용자(600)에게 체인점을 개설해 준다.
대금처리 모듈(235)은 지불금, 적립금, 세금 등의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해 발생하는 제반 수익 및 비용에 대한 계산과 저장 처리과정을 담당한다. 세금이나 택배비 등을 합산하여 구매자가 카드, 지로, 계좌이체 등의 지불방식으로 계산을 하는 사항들을 처리한다. 일반 고객(500)이 상품 대금을 지불할 때도 각각의 지불방식에 대한 대금 처리를 한다. 이 모듈(235)은 카드번호, 계좌번호 등을 인터넷상에서 카드사나 은행의 홈뱅킹 또는 은행 계좌시스템에 연동되어 일반 고객(500)이 지불한 금액을 처리한다. 이 서비스는 일반 고객(500)의 이름, 온라인 계정, 주문, 카드, 지로 계좌이체의 처리, 인증시스템과 보완, 자동 세금계산, 납입예약금 지불,주민번호, 상품대금지불을 온라인 상에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 모듈(240)은 체인점 사이트(400)에서 행해지는 이벤트에 관한 제반 정보의 처리를 담당한다. 사용자(600)가 체인점의 홍보나 매출 증대를 위해 중계 시스템(200)에게 이벤트를 신청하면 중계 시스템(200)은 이벤트 모듈(240)을 이용하여 이벤트 페이지를 만들고 중계 시스템(200)이 체인점으로 이벤트 페이지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다.
수익배분 모듈(245)은 체인점에서 매출이 발생하게 되면 수익금을 자동 분배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600)와 본사(300), 중계 시스템(200)의 협약사항에 따라 체인점의 매출금을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체인점별로 체인점 사용자(600)에게 지불할 금액이 산정된다. 수익배분 모듈(245)은 체인점으로부터 전달되는 매출금 대비 수익분배금을 산정한다.
저장 데이터베이스(298)는 하드디스크, 자기디스크, CD-ROM 드라이버 등을 포함한다. 방식은 스카시 방식이나 IDE 방식, 이외의 다른 저장컨트롤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를 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체인 의뢰자 DB(260)는 체인 본 사이트(700)를 운영하는 본사(300)의 정보를저장하며 기업명,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은행계좌, 사업형태, 기업정보, 상품정보, 신용도, 기업의 크기, 전화번호, 팩스번호, internet URL 담당자 전화번호, 호출기, 핸드폰, 메일주소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DB(261)는 체인점을 운영하는 사용자(600)에 관한 제반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 이름, 계정, 체인점 주소, 중계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된 사항, 비밀번호, 나이, 주소, 주민등록번호, E-mail 주소, 관심사항, 직업, 학력, 전화번호 등을 기입하고 회원등록을 한 사항들을 저장한다.
체인 본 사이트 DB(262)는 본사(300)와 중계 시스템(200)간의 협약사항에 근거하여 제작된 체인 본 사이트(700)의 기능 및 컨텐츠 등을 저장한다.
체인점 DB(263)눈 체인 본 사이트(700)가 구축되면 체인 본 사이트에 따른 체인점의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데 체인점 명, 체인점 사용자 계정, 도메인, 메일계정, 호스팅 제공사항 등을 저장한다.
체인회원 DB(264)는 체인점에 고객으로 가입한 일반 고객(500)의 제반 정보를 저장하며 고객 이름, 계정, 비밀번호, 나이, 주소, 주민등록번호, E-mail 주소, 관심사항, 직업, 학력, 전화번호, 가입체인점 등을 기입하고 고객등록을 한 사항들을 저장한다.
체인협약 DB(266)는 중계 시스템(200)이 제시한 체인협약조건에 대한 본사(300)의 의견과 반응, 협약의 체결 및 결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체인의뢰 사이트명, 운영자 이름 및 계정, 중계 시스템(200)의 제시 체인협약조건, 본사들의 반응 등의 협약체결 상황정보들이 분류 저장된다.
체인점 이벤트 DB(269)는 사용자(600)가 이벤트 행사를 신청하면 사용자로부터 중계 시스템(200)으로 전송된 이벤트 행사 정보를 저장한다. 체인점 명,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 이벤트 내용, 이벤트 구축창 등이 저장된다.
체인 이벤트 상황 DB(270)는 각각의 체인점이 일정기간 이벤트 행사를 할 경우 이벤트 행사에 따른 상품구매 현황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체인점, 이벤트 정보, 매출현황, 회원현황 등이 저장된다.
체인점 매출 DB(271)는 체인점에서 일반 고객(500)이 상품을 구매한 후 중계 시스템(200)의 지불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가 끝난 체인점별 상품에 대한 매출사항을 저장한다. 체인점 명, 일반사용자 계정, 구매상품, 지불방법, 구매상품가격, 체인점 매출사항, 상품판매사항 등이 저장된다.
체인판매상품 DB(272)는 각각의 체인점에서 일반 고객(500)에게 판매된 상품의 판매정보를 저장한다. 체인점명, 상품명, 판매정보, 판매상품정보, 상품구매자 이름 및 계정, 체인점계정, 판매 시간 등이 분류 저장된다.
체인 본 사이트 매출 DB(274)는 중계 시스템(200)이 여러 체인 본 사이트를 갖고서 다양한 체인점을 구성하였을 경우 체인 본 사이트별로 발생하는 매출 사항을 저장한다. 체인 본 사이트, 체인 의뢰자, 계정, 체인 본 사이트별 체인점, 체인 본 사이트별 상품판매에 따른 매출사항 등이 저장된다.
계좌이체 DB(276)는 사용자(600), 중계 시스템(200) , 본사(300)간의 계좌이체 사항 정보를 저장한다. 본사 이름 및 계정, 사용자 이름 및 계정, 본사 계좌번호, 중계 시스템 계좌번호, 사용자 계좌번호, 계좌 이체된 금액, 시간, 계좌 이체된 은행명, 수익배분금, 중계 시스템 수수료, 상품명 등이 저장된다.
수익분배 DB(277)는 체인점에서 매출이 발생하였을 경우 체인점에 대한수익분배 사항을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체인점명, 체인점 사용자, 체인점별 매출금, 수익분배금 등이 저장된다.
지불 DB(278)는 일반 고객이 체인점에서 상품을 구매한 후 대금을 지불한 사항을 저장한다. 구매 체인점명, 일반 고객의 이름, 계정, 주소, 계좌번호, 카드번호, 구입상품, 시간, 지불한 구입금액 등이 저장된다.
회계 DB(279)는 수익배분금에 대한 계좌이체 사항을 저장한다. 중계 시스템(200)이 체인점의 수익분배금에 따라 본사(300)로부터 전송된 대금과 중계 시스템(200)이 체인점으로 지불한 수익분배금에 대한 처리가 저장된다. 본사, 계좌번호, 체인점사용자, 계좌번호, 수익분배금 입출력사항 등이 저장된다.
도 4a는 제2 방식의 전체적인 개념도이다.
제2 방식의 실시 양태에 관한 설명은 제1 방식에서의 실시 양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만을 제시한다.
제2 방식은 제1 방식의 중계 시스템(200)과 상동하며 다만 중계 시스템(200)이 사용자(600)에게 체인점 서버(281) 대신 일정한 가상 디렉토리를 제공하는 점에서 체인점 서버(281)와 체인점 DB(263)가 사라지고 각각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285)과 체인점 홈페이지 DB(284)로 대체된다.
체인점 홈페이지 DB(284)에는 사용자(600)가 체인점을 운영하기 위해 사용자(600)에게 제공되는 체인점 홈페이지, 도메인 네임 등이 저장된다.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285)은 일반 고객(500)이 체인점 도메인을 기입하여 중계 시스템(200)으로 접속하였을 때 도메인에 맞는 체인점 홈페이지를 보여주기 위한 공간이다.
일반 고객(500)이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접속을 원하는 체인점의 도메인 주소(예를 들어 www.A.com)를 입력하면 도메인 주소는 도메인 네임 서버(283)와 호스트 서버(286)를 통하여 중계 시스템(200)의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285)으로 전송된다(a,b,c). 호스트 서버(286)는 전송된 도메인 주소를 체크하고(c) 중계 시스템(200)은 체크된 도메인 주소에 맞는 체인점 홈페이지를 체인점 홈페이지 DB(284)에서 추출한다(d). 추출된 홈페이지는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285)내의 가상 루트 디렉토리에 저장된다(e). 호스트 서버(286)는 가상 루트 디렉토리에 저장된 홈페이지를 전송받아(f) 도메인 주소를 전송하였던 일반 고객(500)에게 전송한다(g).
체인점 홈페이지의 기능 및 콘텐츠는 체인 본 사이트(700)와 미리 연결이 되어 있어 도메인 주소와 홈페이지만 틀릴 뿐 일반적 모든 기능은 체인 본 사이트(700)의 기능과 같다.
제2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중계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체인점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사용자(600)가 중계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체인점 개설 모듈(225)에 체인점 개설을 의뢰하면 체인점 개설 모듈(225)은 사용자(600)에게 고유의 도메인을 할당하고 할당한 도메인을 체인점 사용자 계정으로 기입하며 체인점 구축 페이지를 사용자(600)에게 전송한다.
사용자(600)는 체인점 구축 페이지의 사용자 할당영역을 사용자 취향에 맞게디자인하여 중계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중계 시스템(200)은 전송된 체인점 구축 페이지에 사용자(600)에게 할당한 도메인 코드를 기입한 후 체인점 홈페이지 DB(284)에 저장한다.
이 때 상기한 디자인 방식에 대하여 언급한다.
도 4b는 사용자가 디자인하는 체인점 홈페이지의 예시도이다.
A영역은 사용자(600) 정의에 의해 디자인되는 부분이고 B영역은 체인 본 사이트(700)의 고유 영역이다.
A영역은 HTML 등의 태그 영역과 아이콘, 버튼 등으로 디자인되며 사용자(600)의 취향에 맞게 사용자(600)가 직접 제작, 삭제, 수정 등을 할 수 있으며 B영역은 서버 컨포넌트 영역으로 중계 시스템(200)에서 수행하는 영역이다. B영역에는 서버 컨포넌트가 전송될 태그가 기입된다.
도 5는 제1 방식의 기본 흐름도이다.
본사(300)가 중계 시스템(200)에게 자신들의 웹사이트를 체인화 하려 체인화를 의뢰(S500)하면 중계 시스템(200)은 본사(300)와 체인협약을 한 후(S505) 체인 본 사이트 DB(262)에 체인 본 사이트(700)를 구축하게 된다(S510). 이 때 본사(300)는 중계 시스템 (200)에게 본사(300)의 변동사항을 계속 제공하며 중계 시스템(200)은 구축된 체인 본 사이트(700)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체인 본 사이트(700)가 구축된 후 사용자(600)가 중계 시스템(200)으로 체인점 개설을 의뢰하면(S515) 중계 시스템(200)은 사용자(600)에게 메일계정, 도메인,체인점 서버를 제공하며(S520) 사용자(600)는 자신의 호스팅 체인서버(체인점 서버)와 자체메일서버를 구축 받게 되고 체인점 사이트를 디자인하게 된다(S525). 중계 시스템(200)은 구축되어진 사용자 체인점 서버에 중계 시스템에 있는 체인 본 사이트 페이지를 전송하고 체인 본 사이트의 기능 및 컨텐츠를 제공하여(S530) 사용자(600)가 제공받은 체인점 서버(281)에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한다(S535). 그러면 사용자(600)는 자신의 도메인과 사이트에서 유명사이트 체인점을 운영하고(S540) 체인점 사이트(400)는 체인점 사용자의 일방적 사이트변경과 자체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관리가 아닌 본사의 권한에 따른 기능 및 컨텐츠로 체인점 사이트(400)를 운영하게 된다.
체인점 사이트(400)가 개설되고 일반 고객(500)이 체인점 사이트(400)를 이용하게 되면(S545) 사용자(600)는 자신의 체인점 사이트(400)를 이용하는 일반 고객(500)에 대한 회원관리를 하며(S550)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해 독립적으로 이벤트 관리를 한다(S555). 일반 고객(500)의 상품 구매를 통해 체인점 사이트(400)에서 매출이 발생하게 되면(S560) 본사(300)는 하나의 체인점 사이트에서의 매출발생이 아닌 여러 수많은 체인점 사이트에서 다양한 매출을 올릴 수 있어 본사(300)는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한 매출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 발생한 매출에 대해서는 본사(300)에서 체인점 사이트(400)로 수익을 배분하여 사용자(600)는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타의 관리 행위없이 수익을 창출하게 된다(S565).
도 6은 체인 본 사이트 개설단계 이다.
본사(300)가 체인화 의뢰 모듈(250)을 통해 자신의 웹사이트의 체인화를 의뢰하면(S500) 체인 협약 모듈(215)은 협약폼(폼:form)을 전송하여 본사와 체인화 협약을 수행하게 된다(S605). 이 때 협약폼은 계약자 상호간 준수사항, 본사의 제반 정보, 계약 사항 등을 기재하는 계약서 양식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사(300)는 협약폼을 작성하여 이를 중계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며(S610) 이를 인지한 체인화 모듈(220)은 협약된 사항에 따라 본사의 웹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여하여(S615) 체인 본 사이트(700)를 구축한다(S510).
이 때 상기한 협약폼에 입력된 본사의 제반 정보는 체인 의뢰자 DB(260)에 저장되며 협약된 사항은 체인 협약 DB(266)에 저장되며 구축된 체인 본 사이트(700)의 기능 및 컨텐츠는 체인 본 사이트 DB(262)에 저장된다(S620).
도 7은 제1 방식에 의해 사용자가 중계 시스템에 체인점을 의뢰, 개설하는 단계이다.
체인점 개설 모듈(225)은 본사(300)의 체인점 운영을 희망하는 사용자(600)로부터 체인점 개설 의뢰를 받아 체인점 사이트(400)를 개설해 주는 부분으로서 체인점 사이트(400)를 개설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600)가 중계 시스템(200)에 체인점 개설을 의뢰하면(S515) 체인점 개설 모듈(225)은 사용자(600)에게 사용자 고유의 도메인, 메일계정 및 체인점 서버를 제공한다(S520). 체인점 개설 모듈(225)은 사용자(600)에게 제공된 상기의 사항들에 대해 각각 분류코드를 매긴 후(S705) 분류된 코드와 정보를 체인점 DB(263)에 전송하며(S710) 체인점 DB(263)는 분류코드와 정보를 저장하며(S715) 사용자 DB(261)에 사용자(600)에 관한 제반 정보를 저장한다. 체인점 개설 모듈(225)은 사용자(600)에게 체인 본 사이트 페이지의 디자인 폼을 변환 할 것인가를 물어보게 된다(S720). 사용자(600)가 디자인 변환을 선택하면 중계 시스템(200)은 사용자(600)의 취향에 맞는 체인점 사이트(400)를 디자인한다(S525). 체인점 제공 모듈(230)은 체인 본 사이트(700)의 기능 및 컨텐츠를 체인점 페이지(변환된 체인 본 사이트 페이지)에 맞게 모든 기능을 통체로 이용할 수 있도록 중계 시스템(200)에 있는 체인 본 사이트 DB(262)를 연동시킨다(S725). 체인점 개설 모듈(225)은 체인점 서버(281)에 체인점 페이지를 구축하며(S730) 사용자(600)에게 상기한 디자인 사항에 맞는 체인점 사이트(400)를 개설해 준다(S735). 이 때 체인점 서버(281)에는 체인 본 사이트와 같은 포맷으로 체인점 페이지만 구축되어 있고 모든 기능 및 컨텐츠는 체인점 제공 모듈(230)이 체인 본 사이트 DB(262)에서 독출하여 체인점 서버(281)에 전송하는데 이 사실은 S725 단계가 상기한 S530 단계를 실현시키는 방식이다. 사용자(600)가 만일 체인 본 사이트 페이지의 디자인 폼의 변환을 선택하지 않으면 체인 본 사이트 페이지(체인 본 사이트의 원본 페이지)를 그대로 체인점 사이트(400)의 페이지로 사용하고 체인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컨텐츠를 체인점 제공 모듈(230)이 체인 본 사이트 DB(262)에서 독출하여 체인점 서버(281)에 전송한다.
도 8은 사용자가 체인점을 운영하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체인점을 운영하는 흐름을 설명하면 사용자(600)가 체인점사이트(400)를 통해 운영을 시작하게 되면(S540) 사용자(600)는 체인점 이벤트를 독창적으로 행하고 고객 관리를 체인점 자체에서 실시한다(S550). 체인점에서 확보된 일반 고객(500)에 관한 제반 정보는 중계 시스템(200)으로 전송되어(S805) 체인점 회원 DB(264)에 저장된다.
일반 고객(500)이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면(S800) 중계 시스템(200)은 고객(500)에게 대금결제 폼을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해 전송하고 고객은 대금 처리 모듈(235)을 통하여 체인점 사이트(400)에서 선택한 상품에 대하여 체인점 사이트(400)안에서 결제를 하게 된다(S810).
체인점 사이트(400)에서 고객들이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결제하면 체인점은 매출이 발생하게 되고(S560) 수익배분 모듈(245)이 수익금을 산정한 뒤 협약 사항에 따라 수익을 배분한다(S815).
도 9는 일반 고객의 체인점 이용 순서도이다.
일반 고객(500)이 체인점 사이트(400)에 접속하여 체인점을 이용하는 흐름을 설명하면 일반 고객(500)이 자신의 단말기에 있는 웹브라우저 창에 체인점 도메인을 입력(S900)하면 중계 시스템(200)에 있는 도메인 네임 서버(283)를 통하여 체인점 서버(281)에 구축되어 있는 체인점 사이트(400)에 접속한다(S905). 체인점 사이트(400)에 접속한 일반 고객(500)이 체인점 고객등록을 하면(S910) 체인점 고객 등록사항이 중계 시스템(200)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체인점 고객 등록사항은 각각 분류코드가 매겨져 체인회원 DB(264)에 저장된다(S915). 체인점 사이트(400)는 체인본 사이트(700)의 기능 및 컨텐츠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 고객(500)은 체인점 사이트(400)를 서핑하면서 체인점 사이트(400)에서 체인 본 사이트(700)의 상품, 정보, 기능, 컨텐츠를 똑같이 이용할 수 있다(S920).
도 10은 일반 고객이 체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이에 따른 매출 대금의 처리순서도 이다.
일반 고객(500)이 체인점에서 상품을 구매하여 체인점의 매출이 발생시에 대금의 결제, 처리의 일련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 고객(500)이 체인점 사이트(400)를 통해서 체인 본 사이트(700)의 상품을 구매하면(S800) 대금 처리 모듈(235)은 구매 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폼을 일반 고객(500)에게 전송한다(S1000). 일반 고객(500)은 대금 처리 모듈(235)을 이용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대금을 결제한다(S810). 결재된 정보에 대하여 대금 처리 모듈(235)은 각각 분류코드를 매기고(S1005), 분류된 판매 상품과 일반 고객(500)이 이용한 체인점, 분류 코드를 체인 판매 상품 DB(272)에 전송하며(S1010) 체인 판매 상품 DB(272)는 전송된 판매 상품 정보와 코드를 저장한다(S1015).
대금 처리 모듈(235)은 또한 분류코드가 매겨진 대금결제 정보중 구입상품의 금액, 판매 총 수량 등과 같은 체인점 매출 상황 정보를 추출해내어(S1020) 체인점 매출 DB(271)에 전송하고(S1025) 체인점 매출 DB(271)는 전송된 정보와 분류코드를 저장한다(S1030).
도 11은 체인점 매출사항에 따른 수익배분 순서도 이다.
체인점별 매출 사항이 발생하면(S560) 수익분배 모듈(245)은 매출사항에 따른 수익분배금을 계산한 후(S815) 계산된 수익분배금에 분류코드를 기입한다(S1100). 수익분배 모듈(245)은 수익분배정보와 분류코드를 수익분배 DB(277)에 전송하고 수익분배 DB(277)는 전송된 정보와 코드를 저장한다(S1105). 본사(300)가 수익분배금을 중계 시스템(200)의 계좌로 입금하면(S1110) 수익분배 모듈(245)은 체인점별 수익분배금을 각 체인점 계좌에 입금하고(S1115) 사용자(600)는 입금된 수익분배 사항을 체인점 사이트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S1120).
본사(300)로부터 중계 시스템(200)의 계좌로 입금된 수익분배금은 계좌이체 DB(276)에 저장되고(S1125) 수익분배 모듈(245)은 체인점의 수익분배금에 맞춰 각 체인점 계좌로 입금한 계좌이체 사항에 분류코드를 매긴 후(S1130), 회계 DB(279)에 전송하며 회계 DB(279)는 전송된 정보와 코드를 저장한다(S1135).
도 12는 체인점의 이벤트 실시에 대한 순서도 이다.
사용자(600)는 체인점의 홍보 및 매출 증대를 위해 이벤트 행사를 실시할 수 있는데 그 일련의 과정은 체인점이 이벤트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600)가 이벤트 행사 실시를 신청하면(S1200) 이벤트 모듈(240)은 사용자(600)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행사정보에 분류 코드를 기입하여(S1205) 체인점 이벤트 DB(269)에 전송한다(S1210).
이벤트 모듈(240)은 체인점 이벤트 DB(269)에 저장된 사용자(600)의 신청 이벤트를 추출하여 이벤트 페이지를 구축하고(S1215) 체인점 사이트(400)에 별도의 이벤트 페이지를 전송한다(S1220). 이벤트 페이지를 전송받은 사용자(600)는 이벤트 행사를 실시하고(S1225) 메일 서버(280)를 이용하여 고객(500)에게 이벤트 통보 및 참여를 유도하고 체인점 사이트(400)에 생성된 이벤트 페이지를 통하여 체인점 자체에서 이벤트 홍보를 하게 한다(S1230).
이벤트 모듈(240)은 또한 이벤트 기간 동안의 이벤트 체인점에서의 상품구매자를 추출하고(S1235) 이벤트 정보와 상품구매현황을 추출한다(S1240). 추출된 각각의 정보에는 분류코드를 매겨(S1245) 이벤트 상황 DB(270)에 전송한다. 이벤트 상황 DB(270)는 전송된 정보와 코드를 저장한다(S1250). 이벤트 모듈(240)은 각 체인점별 이벤트에 따른 매출 사항을 추출하여(S1255) 각각의 체인점에서 신청한 이벤트 효과를 비교한 후(S1260) 비교된 이벤트 효과 비교 정보를 각각의 체인점에 통보하여 체인점에서 효과적인 이벤트를 할 수 있게 한다(S1265).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 실시예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체인 본 사이트의 경우 웹상에 본 사이트와 동일한 기능/ 콘텐츠를 보여주는 수많은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함으로써 상품 매출증대 및 기존의 한 개 웹사이트로 실행하던 광고 및 홍보를 수많은 체인점이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광고 및 홍보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체인점이 지닌 특성(지역별, 연령별 등등)에 따라 개별 진행되는 이벤트 효과를 분석·정리하여 향후 고객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사용자의 경우 일체의 경비 없이 자신이 원하는 도메인으로 체인점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인점 운영능력(광고 및 홍보, 이벤트 행사 등 마케팅 전략 수립)에 따라 발생되는 상품 매출에 대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 주변인(친지, 친구 등)에게 사용자 도메인에 따른 메일 계정이 제공되므로 사용자만의 그룹 이메일을 관리·운영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자신이 체인점에서 직접 상품을 구입할 경우 타사이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며, 체인점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일반 고객의 경우 타사이트 보다 친숙한 사이트(체인점 운영자가 친지 또는 친구일 경우)에서 상품을 구입할 수 있으며, 체인점 수가 많이 증가됨에 따라 상품의 대량 출시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가격할인으로 인해 타사이트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며, 체인점 도메인에 따른 이메일 계정을 받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메일주소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3. 체인점을 구축하고 개설해주는 중계 시스템의 경우 본사로부터 상품매출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체인점 운영관리에 따른 리서치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이용한 광고 및 컨설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제 2방식을 이용하여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하게 되면 일반고객이 체인점에 대한 방문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체인점 사이트가 많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중계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 할 수 있는데 이는 체인점 사이트에 대한 접속이 실시될 때만 체인점 사이트를 추출하여 일반 고객에게 보여주며 접속이 끊기면 체인점 사이트는 중계 시스템에서 사라지게 함으로써 가능한 일이다. 즉, 예를 들어 100만개의 체인점 사이트가 개설되어 있고 현재 접속중인 체인점이 10만개이면 중계 시스템은 가상 디렉토리 공간에 10만 체인점 사이트의 저장공간만 할당하여, 중계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인점의 본사가 자신의 웹사이트의 체인화 의뢰를 하는 체인화 의뢰 모듈;
    상기 본사와 체인화 협약을 수행하는 체인 협약 모듈;
    상기 협약에 의해 상기 웹사이트에 체인화 기능을 부여하여 체인 본 사이트를 구축하는 체인화 모듈;
    상기 본사의 체인점 운영을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체인점 개설 의뢰를 받아 체인점 사이트를 개설하는 체인점 개설 모듈;
    상기 체인점 사이트로 상기 체인 본 사이트와 동일한 기능 및 콘텐츠를 제공하는 체인점 제공 모듈;
    상기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구입시에 구입 상품에 대한 대금 정보를 처리하는 대금 처리 모듈;
    상기 체인점 사이트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체인점의 제반 정보(회원등록 정보, 구매상황 정보, 이벤트 개최 정보 등), 상기 본사의 제반 정보, 상기 일반 고객의 제반 정보 등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데이터베이스(DB);
    상기 체인점 사이트를 통한 상품 매출 발생에 따른 상기 체인점 사이트, 상기 시스템, 상기 본사간 수익의 분배를 실시하는 수익배분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저장 DB는
    상기 체인 본 사이트의 개설을 의뢰하는 본사의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 의뢰자 DB;
    상기 사용자의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상기 체인 본 사이트의 기능 및 컨텐츠를 저장하는 체인 본 사이트 DB;
    상기 체인점의 개설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고유의 도메인, 메일계정 및 체인점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점 DB;
    상기 체인점에 회원으로 가입한 일반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회원 DB;
    상기 중계 시스템과 상기 본사간의 체인협약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체인협약 DB;
    상기 사용자가 이벤트 행사를 실시할 시에 상기 이벤트 행사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이벤트 DB;
    상기 이벤트 행사에 따른 상품구매 현황 등의 정보, 매출현황, 이벤트 참여 회원현황 등의 이벤트 상황 정보가 저장되는 체인이벤트 상황 DB;
    상기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후 상기 대금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가 끝난 상품의 매출사항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점매출 DB;
    상기 체인점에서 상기 일반 고객에게 판매된 상품 종류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상품 DB;
    상기 본사, 중계 시스템 및 체인점의 계좌로 입금된 수익분배금 정보를 저장하는 계좌이체 DB;
    상기 체인점에서 매출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체인점에 대한 수익분배 사항을 저장하는 수익분배 DB;
    상기 중계 시스템이 상기 체인 본 사이트를 여러 개 갖고 있을시에 상기 체인 본 사이트별로 발생하는 매출 사항을 저장하는 체인 본 사이트 매출 DB;
    상기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에서 상품을 구매한 후 대금을 지불한 사항을 저장하는 지불DB; 및
    상기 수익분배금에 대한 계좌이체 사항을 저장하는 회계데이터 D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고유의 도메인, 메일계정 및 체인점 서버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상기 체인점 사이트를 운영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점 서버에는 상기 체인 본 사이트와 같은 포맷인 체인점 페이지만 구축되어 있으며 상기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 사이트에 접속시에만 상기 체인점 개설 모듈이 상기 체인 본 사이트 DB에서 상기 체인 본 사이트의 기능 및 컨텐츠를 호출하여 상기 체인점 서버에 전송하며 접속이 끊기면 상기 기능 및 컨텐츠는 상기 체인점 서버에서 사라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고유의 도메인, 메일계정 및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상기 체인점 사이트를 운영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저장 DB는
    상기 체인 본 사이트의 개설을 의뢰하는 본사의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 의뢰자 DB;
    상기 사용자의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상기 체인 본 사이트의 기능 및 컨텐츠를 저장하는 체인 본 사이트 DB;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인점을 운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체인점 홈페이지, 도메인 네임 등이 저장되는 체인점 홈페이지 DB;
    상기 체인점에 회원으로 가입한 일반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회원 DB;
    상기 중계 시스템과 상기 본사간의 체인협약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체인협약 DB;
    상기 사용자가 이벤트 행사를 실시할 시에 상기 이벤트 행사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이벤트 DB;
    상기 이벤트 행사에 따른 상품구매 현황 등의 정보, 매출현황, 이벤트 참여 회원현황 등의 이벤트 상황 정보가 저장되는 체인이벤트 상황 DB;
    상기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을 통해 상품을 구매한 후 상기 대금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가 끝난 상품의 매출사항 정보를 저장하는 체인점매출 DB;
    상기 체인점에서 상기 일반 고객에게 판매된 상품 종류 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상품 DB;
    상기 본사, 중계 시스템 및 체인점의 계좌로 입금된 수익분배금 정보를 저장하는 계좌이체 DB;
    상기 체인점에서 매출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시스템이 상기 체인점에 대한 수익분배 사항을 저장하는 수익분배 DB;
    상기 중계 시스템이 상기 체인 본 사이트를 여러 개 갖고 있을시에 상기 체인 본 사이트별로 발생하는 매출 사항을 저장하는 체인 본 사이트 매출 DB;
    상기 일반 고객이 상기 체인점에서 상품을 구매한 후 대금을 지불한 사항을 저장하는 지불DB; 및
    상기 수익분배금에 대한 계좌이체 사항을 저장하는 회계데이터 D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일반 고객이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접속을 원하는 체인점 사이트에 접속시에만 상기 체인점 홈페이지 DB에서 상기 체인점 홈페이지를 추출하여 추출된 홈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내의 가상 루트 디렉토리에 저장한 후 상기 가상 루트 디렉토리에 저장된 홈페이지를 상기 일반 고객에게 전송하며 접속이 끊기면 상기 체인점 사이트는 상기 사용자 할당 디렉토리 공간에서 사라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KR1020000031736A 2000-06-09 2000-06-09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KR10036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736A KR100363134B1 (ko) 2000-06-09 2000-06-09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736A KR100363134B1 (ko) 2000-06-09 2000-06-09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576A true KR20010112576A (ko) 2001-12-20
KR100363134B1 KR100363134B1 (ko) 2002-11-30

Family

ID=1967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736A KR100363134B1 (ko) 2000-06-09 2000-06-09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13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511A (ko) * 2000-09-20 2002-03-27 서성호 전자상거래를 위한 가상 체인쇼핑몰 시스템과 그 구축 및활용방법
KR20020043486A (ko) * 2002-04-29 2002-06-10 주식회사 사이드인포 온라인 프랜차이징 방법
KR20030007281A (ko) * 2002-11-21 2003-01-23 (주)한정보기술 온라인/오프라인 통합형 네트워크 마케팅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20040012015A (ko) * 2002-07-31 2004-02-11 (주)리스토 사업자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수행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577523B1 (ko) * 2004-07-29 2006-05-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적응적인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1789B1 (ko) * 2004-03-15 2006-10-12 구호광 온라인 프랜차이즈 쇼핑몰의 운영 방법
KR100673963B1 (ko) * 2005-08-25 2007-01-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101383896B1 (ko) * 2009-02-11 2014-04-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3744487A (zh) * 2013-12-16 2014-04-23 李建 一种小型服务器机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9495A (ja) * 1994-08-30 1996-03-12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多店舗棚管理方式
JP2000057219A (ja) * 1998-08-10 2000-02-25 Nippon Software Prod:Kk インターネットに対応した業務管理装置
KR20000012648A (ko) * 1999-12-16 2000-03-06 박종구, 송덕호 인터넷망을 이용한 개인용 쇼핑몰 시스템
KR100373847B1 (ko) * 2000-01-26 2003-02-26 이승재 전자 상거래 방법
KR20000058287A (ko) * 2000-02-23 2000-10-05 노시균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프렌차이즈 방법 및 그 광고 수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511A (ko) * 2000-09-20 2002-03-27 서성호 전자상거래를 위한 가상 체인쇼핑몰 시스템과 그 구축 및활용방법
KR20020043486A (ko) * 2002-04-29 2002-06-10 주식회사 사이드인포 온라인 프랜차이징 방법
KR20040012015A (ko) * 2002-07-31 2004-02-11 (주)리스토 사업자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수행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30007281A (ko) * 2002-11-21 2003-01-23 (주)한정보기술 온라인/오프라인 통합형 네트워크 마케팅 지원 시스템 및방법
KR100631789B1 (ko) * 2004-03-15 2006-10-12 구호광 온라인 프랜차이즈 쇼핑몰의 운영 방법
KR100577523B1 (ko) * 2004-07-29 2006-05-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적응적인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3963B1 (ko) * 2005-08-25 2007-01-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101383896B1 (ko) * 2009-02-11 2014-04-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3744487A (zh) * 2013-12-16 2014-04-23 李建 一种小型服务器机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3134B1 (ko) 200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tto et al. A framework for cyber-enhanced retailing: Integrating e-commerce retailing with brick-and-mortar retailing
CN101536024B (zh) 个人化的消费者广告布置
US20060178930A1 (en) One-way sending time expiring coupon operating method for sale of unsold perishable resources
KR20090040701A (ko) 검색을 통한 행태분석에 기반한 키워드 그룹에 대하여광고를 수주하고 타겟 광고하는 웹 사이트 운영 방법 및온라인 시스템
CN103098084A (zh) 具有cpe折扣的目标营销
KR100733161B1 (ko) 통합 회원제 마케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220261848A1 (en) Micro influencer hyperlinking
KR101995040B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592538B1 (ko) 웹 사이트 분양을 통한 쇼핑몰 운영방법
KR10036313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체인점의 개설 및 운영 중계 시스템
JP2002304565A (ja) 消費者収集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とシステム
WO2012046576A1 (ja) 販売支援システム
KR102467043B1 (ko) 쇼핑몰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22794B1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KR100444213B1 (ko) 사이버머니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U7212400A (en) Method and system for membership sales in internet shopping mall
KR100816481B1 (ko)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상품 구매 또는서비스 이용 정보를 중개하는 방법
KR100837862B1 (ko) 상품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 정보를 중개하는 방법
KR2014001338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8369A (ko) 전자지갑을 이용한 지불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0962694B1 (ko) 정보 중개 방법
KR100837331B1 (ko) 보상을 포함하는 정보 중개 방법
Chmielarz et al. Analysis of the use of electronic banking and e-paym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a client
JP7186756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20010106611A (ko) 출시예정인 신상품 예약구매 및 사용자제안방식의전자상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