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785A -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785A
KR20010111785A KR1020000032452A KR20000032452A KR20010111785A KR 20010111785 A KR20010111785 A KR 20010111785A KR 1020000032452 A KR1020000032452 A KR 1020000032452A KR 20000032452 A KR20000032452 A KR 20000032452A KR 20010111785 A KR20010111785 A KR 2001011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notification service
receipt
reas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360B1 (ko
Inventor
한오형
이병양
노준철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2000003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360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26Arrangements for interrupting the ringing curr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원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자의 수신불가사유를 발신자에게 간단하게 알릴 수 있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망측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Unable-to-receive message service method using one touch func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수신자가 운전중 또는 회의중 등과 같이 현재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경우에 해당 발신자에게 수신불가사유를 통지하기 위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중 또는 회의중 등과 같이 현재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호가 착신되면 수신자가 원터치 버튼을 눌러 현재 통화할 수 없는 상황임을 통신망측으로 알리고, 그러면 통신망에서는 해당 발신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신불가사유를 통지하기 위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개인데이터통신 단말기, 주파수공용통신 단말기 및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든 이동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운전중에 호가 착신되어 전화벨이 울리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 등을 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끄거나 통화를 한다. 그러나, 운전중의 이러한 동작은 안전 운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대형 사고의 위험이 있어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회의중과 같은 전화를 받을 수 없는중요한 상황에서 호가 착신되어 전화벨이 울리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 등을 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끄거나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수 차례의 수신 전화벨음이 울리게 되어 주위에 불편을 줌과 동시에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는 등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발신자는 수신자의 상황을 모르고 있음으로, 다시 발신을 시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수신자의 수신불가사유를 발신자에게 간단하게 알릴 수 있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통통신망의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의 장착형태를 나타낸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중 이동통신 단말기측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중 통신망측의 동작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5 : 이동통신 단말기 12,14 : 기지국/기지국제어기
13 : 이동교환망 21 : 원터치 버튼
22 : 발광 다이오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망측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이 확인됨에 따라 수신 전화벨음을 정지시키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가 시작됨에 따라 해당 서비스의 대기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통신망에 적용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를 입력받아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전송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이 수신하는 제 1 단계; 기저장되어 있는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로딩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로딩한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지능망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위한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는 제 1 기능;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제 2 기능; 및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망측으로 전송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망에, 무선통신 단말기가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를 입력받아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전송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이 수신하는 제 1 기능; 기저장되어 있는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로딩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로딩한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통통신망의 일예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5)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하여 발신을 한 경우에, 해당 호가 기지국/기지국제어기(14)와 이동교환망(13)과 기지국/기지국제어기(12)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로 착신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사용자가 운전중 또는 회의중 등과 같이 현재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호가 착신되면, 수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의 외부에 설치된 원터치 버튼(후술되는 도 2 와 도 3 참조)을 눌러 현재 통화할 수 없는 상황임을 통신망측(12,13,14)으로 알린다.
그러면, 통신망(이동교환망 또는 기지국/기지국제어기)에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5)의 발신자에게 "수신자는 현재 운전중/회의중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또는 "수신자는 현재 운전중/회의중이오니 다시 전화를 주시거나 메시지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신불가사유를 통지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립형 또는 폴더형 또는 막대형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원터치 버튼(21)을 장착한다. 특히,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원터치 버튼(21)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면에 장착하되, 될 수 있으면 정면에 장착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운전중 또는 회의중 등과 같이 현재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착신되는 호에 대하여, 상기 원터치 버튼(21)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수신불가사유를 발신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일예로 원터치 기능을 버튼을 이용하여 구성한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외부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거나, 스위치 방식을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깜박거리거나 기존 발광 다이오드(22)의 깜박임 속도를 다르게 하여 현재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의 대기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버튼의 장착형태를 나타낸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위한 원터치 버튼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과 비교하여 오목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로 눌러지는 상황을 가급적 피하고,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원터치 버튼을 누를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버튼은 수신 전화벨이 울릴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하며, 아이들(Idle) 모드 또는 대기(Stand-by) 모드이거나 실제 통화중일 경우에는 원터치 버튼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2 및 도 3 에서 설명한 원터치 버튼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원터치 버튼은 플립형 또는 폴더형 또는 막대형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펴지 않고도 바로 버튼을 누룰 수 있으며, 수화벨이 울릴 경우에 상기 원터치 버튼을 누르면 수화벨 소리를 즉시 멈춘다.
그러나, 수신자가 전화를 받으려 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 실수로 원터치 버튼을 눌렀을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가 원터치 버튼을 누르더라도 2 또는 3초 동안에 플립 또는 폴더 등을 열어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버튼이 눌렸을 경우에 곧바로 전화벨음을 정지시키지만 2 ∼ 3 초 동안은 전화를 받을 수 있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 대기상태 동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에 별도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설치하거나 기존의 발광 다이오드의 깜박임 속도를 다르게 하여 본 서비스를 위한 대기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2 ∼ 3초 동안 플립 또는 폴더가 열리지 않으면 수신자가 운전중이거나 회의중과 같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으로 인식하고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버튼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통신망측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통신망측에서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수신자는 현재 운전중/회의중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또는 "수신자는 현재 운전중/회의중이오니 다시 전화를 주시거나 메시지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고, 지능망 서비스를 이용한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를 위한 서비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 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측에서의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호 착신 상태(41)에서 원터치 버튼 등을 통하여 호 차단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42) 호 차단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호를 처리하고(43), 호 차단 신호가 입력되면 수신 전화벨음을 정지시키고(44),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의 대기상태임을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표시한다(45).
이후, 대기시간을 카운트하면서 대기시간내에 플립 또는 폴더가 열리거나 통화 버튼이 눌러져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46)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적으로 호를 처리하고(43),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망측으로 전송하고(47) 종료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통신망측의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51), 기저장되어 있는 "수신자는 현재 운전중/회의중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또는 "수신자는 현재 운전중/회의중이오니 다시 전화를 주시거나 메시지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로딩하여(52) 해당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고(53) 지능망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위한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54)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플립 또는 폴더 등을 열지 않고도 신속하게 수신 전화벨음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발신자에게는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황을 전달하여 이해를 얻을 수 있으며, 재발신하는 등의 번거러움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그만큼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호처리 과정중 해당 서비스임을 알리는 짧은 신호만을 통신망측으로 전송하고, 통신망측에서 실질적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통화시간을 줄여 통화요금이 절약되도록 하며,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아진 운전중의 이동전화 사용과 관련하여 좋은 해결방안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망측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이 확인됨에 따라 수신 전화벨음을 정지시키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가 시작됨에 따라 해당 서비스의 대기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차단 신호에 따른 호 차단 기능은,
    아이들(Idle) 모드 또는 대기(Stand-by) 모드이거나 실제 통화중일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차단 신호를 원터치 버튼을 통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버튼은,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외부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버튼은,
    사용자의 실수로 눌러지는 상황을 가급적 피하고, 사용자가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누를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표면과 비교하여 오목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버튼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외부의 정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차단 신호를 외부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10. 통신망에 적용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를 입력받아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전송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이 수신하는 제 1 단계;
    기저장되어 있는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로딩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로딩한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지능망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위한 서비스 모드로 전환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12.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는 제 1 기능;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제 2 기능; 및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망측으로 전송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차단 신호의 입력이 확인됨에 따라 수신 전화벨음을 정지시키는 제 4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가 시작됨에 따라 해당 서비스의 대기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제 5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망에,
    무선통신 단말기가 호 착신 상태에서 호 차단 신호를 입력받아 대기시간내에 통화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전송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이 수신하는 제 1 기능;
    기저장되어 있는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로딩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로딩한 수신불가사유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32452A 2000-06-13 2000-06-13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KR10074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452A KR100743360B1 (ko) 2000-06-13 2000-06-13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452A KR100743360B1 (ko) 2000-06-13 2000-06-13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498A Division KR100798260B1 (ko) 2007-04-19 2007-04-19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단말기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785A true KR20010111785A (ko) 2001-12-20
KR100743360B1 KR100743360B1 (ko) 2007-07-26

Family

ID=4163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452A KR100743360B1 (ko) 2000-06-13 2000-06-13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3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087A (ko) * 2000-06-21 2001-12-29 이형도 휴대폰 운용 장치
KR20030062059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응답 부가서비스 방법
KR100693271B1 (ko) * 2000-11-27 2007-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수신대기버튼을 이용한 수신대기 서비스 방법
KR100813033B1 (ko) * 2001-09-17 2008-03-14 (주) 엘지텔레콤 발신번호 표시와 연계한 통화 차단 방법
KR100820354B1 (ko) * 2006-05-11 2008-04-10 주식회사 팬택 착신호 수신 거부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CN105338197A (zh) * 2014-08-13 2016-02-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业务中断时的处理方法、处理系统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2839A (ja) * 1993-03-02 199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JP3170167B2 (ja) * 1995-01-11 2001-05-28 株式会社東芝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984140A (ja) * 1995-09-14 1997-03-28 Nec Corp 無線通信機
JP3014037B2 (ja) * 1996-05-15 2000-02-28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着信拒否理由メッセージ通知方法
JPH10164657A (ja) * 1996-11-26 1998-06-1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電話装置
JPH10200957A (ja) * 1997-01-14 1998-07-31 Saitama Nippon Denki Kk デジタル無線電話装置
KR100330744B1 (ko) * 1999-02-23 2002-04-03 이병선 휴대폰의 통화보류 및 축약메시지 전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087A (ko) * 2000-06-21 2001-12-29 이형도 휴대폰 운용 장치
KR100693271B1 (ko) * 2000-11-27 2007-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수신대기버튼을 이용한 수신대기 서비스 방법
KR100813033B1 (ko) * 2001-09-17 2008-03-14 (주) 엘지텔레콤 발신번호 표시와 연계한 통화 차단 방법
KR20030062059A (ko) * 2002-01-16 2003-07-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응답 부가서비스 방법
KR100820354B1 (ko) * 2006-05-11 2008-04-10 주식회사 팬택 착신호 수신 거부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CN105338197A (zh) * 2014-08-13 2016-02-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业务中断时的处理方法、处理系统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360B1 (ko)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26510B (en) Wireline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100743360B1 (ko)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
KR100719746B1 (ko) 수신자의 수신불가 메시지 전송방법
KR100798260B1 (ko) 원터치 기능을 이용한 수신불가사유알림 서비스 방법,단말기 및 시스템
KR20060056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50452B1 (ko) 핸드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00693271B1 (ko) 수신대기버튼을 이용한 수신대기 서비스 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20050077989A (ko) 운전모드에서 휴대폰 특정기능 실행 방법
KR20030034488A (ko) 휴대정보 단말기의 상태 전송 방법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67739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음성멘트 송신 방법
EP1542442A4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626518B1 (ko) 이동 가입자 상태 안내 서비스 방법
KR1005882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호 처리 시스템및 방법
KR20000056684A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음성 안내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US6973331B1 (en) Corded telephone dialer emulation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KR20050001243A (ko) 이동 단말기의 수신거부방법
JPH09312704A (ja) 無線通信用の発信アダプター
KR20030090817A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부재상황알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