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611A -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인터페이스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인터페이스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611A
KR20010111611A KR1020000032241A KR20000032241A KR20010111611A KR 20010111611 A KR20010111611 A KR 20010111611A KR 1020000032241 A KR1020000032241 A KR 1020000032241A KR 20000032241 A KR20000032241 A KR 20000032241A KR 20010111611 A KR20010111611 A KR 2001011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station
li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380B1 (ko
Inventor
이승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3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380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380B1/ko

Links

Landscapes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망 구성시 국간 신호방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할당할 수 있도록 한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전송선로의 임피던스에 정합하도록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고 전송선로를 통한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부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가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의 선로부호화 방식을 감지하여 상기 전송된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라인 디코더부와; 상기 라인 디코더부에서 인터페이스된 신호를 프레임 변환하는 프레임 연동부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는 신호방식 감지블록과; 상기 라인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방식 정보를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메모리 엑세스부와; 상기 신호방식 감지블록에서 감지된 각 신호방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된 각 신호방식에 따라 상대국으로 전송할 선로부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연동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구성되어, 자국과 대국의 신호방식이 다른 경우에도 하드웨어 변경없이 자국의 선로부호화 방식 및 전송방식을 상대국 교환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 {Apparatus for signalling method detection and interface of transmitted data in private branch exchange}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국간 전송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에서 디지털 트렁크를 이용하여 국간 전송방식에 의한 전용망 구성시, 국간 전송방식의 종류와 선로부호(Line Signalling)의 종류 및 PCM 압축방식에 따라 하드웨어의 세팅이 바뀌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국의 선로부호화 방식 및 전송방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할당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간의 국간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전용망을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국간 전송을 위한 전송선로는 E1/T1 디지털 트렁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전송선로를 통해 국간 전송되는 신호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압축되어 전송된다. 그리고 국간 교환되는 신호의 연동을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방식(Signalling Method)은 국간 전송방식과 신호부호화 방식 및 신호압축 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국간 전송방식에는 CCS(Common Channel Signalling) 방식과 CAS(Channel Associated Signalling) 방식이 있고, PCM 압축방식은 A-LAW 방식과 MU-LAW 방식 등이 있다.
그래서 국간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사설교환기간 전용망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대국과 교환되는 신호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각 교환시스템은 디지털 트렁크를 구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교환시스템의 디지털 트렁크에 대한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환시스템의 디지털 트렁크의 블록구성도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고 전송선로를 통해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부(11)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11)가 수신한 신호를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따라 인터페이스하고, 상대국으로 전송될 신호를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12)와; 일정한 방식에 따라 고정적으로 세팅되고,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부(12)에서 인터페이스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처리 및 정보전송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13)와; 상기 신호 처리부(13)에서 처리된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중앙처리부(15)가 지시하는 번지에 따라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상기 신호처리부(13)로 출력하는 메모리 엑세스부(14)와; 상기 메모리 엑세스부(14)의 메모리에 대한 읽기/쓰기 동작 및 상기 신호 처리부(13)의 신호처리 동작을 제어하여 국간 전송이 수행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환시스템의 디지털 트렁크를 이용한 전용망 구성시, 국간 전송방식 및 선로부호화 방식의 설정은 라인 인터페이스부(12)와 신호처리부(13) 등을 상대국의 교환기가 사용하는 신호방식에 따라 미리 세팅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전용망을 구성하는 양국간의 신호방식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디지털 트렁크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연동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고정 세팅된 디지털 트렁크는 라인을 통해 상대국과 신호교환을 수행한다. 즉, 임피던스 정합부(11)는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명확히 재생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임피던스로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대국에 대한 전송로를 구성하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72옴, 100옴 및 120옴 등의 임피던스값 중의 어느 하나로 세팅되며, 임피던스 정합된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상대국의 디지털 선로부호를 수신하게 된다.
임피던스 정합부(11)가 수신한 디지털 선로부호는 라인 인터페이스부(12)에 의해 인터페이스된다. 이때 라인 인터페이스부(12)는 상대 교환기의 선로부호화 방식과 전송방식에 따라 디지털 선로부호를 인터페이스하게 되는데, 자체 교환시스템의 신호방식은 고려되지 않는다. 즉, 상대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선로부호와 상대국으로 전송할 디지털 선로부호간의 비교 검증은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의 동작으로 라인 인터페이스부(12)에서 인터페이스된 신호방식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 엑세스부(14)를 경유하여 중앙처리부(15)로 전송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15)는 신호처리부(13)와 라인 인터페이스부(12)를 제어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신호방식에 따라 신호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신호처리의 결과 생성되는 디지털 선로부호를 임피던스 정합부(11)를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사설교환기의 양국간 전송선로를 구성하는 전용선을 통해 E1 프레임을 교환하거나 T1 프레임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각각 E1 디지털 트렁크와 T1 디지털 트렁크로 상기 전용선을 인터페이스하여 디지털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네트워크의 신호방식은 E1/T1 선로부호화 방식에 따라 HDB3(High Density Bipolar 3), AMI(Altenate Mark Inversion), B8ZS(Binary 8 Zero Suppression)로 구분되고, CAS/CCS 신호전송 방식에 따라 PCM30, PCM31, SF, ESF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디지털 선로부호의 유형 및 국간 전송방식을 교환기간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교환시스템의 설치시에 상대국의 교환시스템을 고려하여 선로부호화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디지털 선로부호화 방식에 따라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에 프로그램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EP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전기적으로 재프로그램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시 설정된 방식에 따라 고정되어 동작한다. 그러므로 전용망 운용중 상대국과 전송방식이 상이하게 되면, 교환시스템의 운용자가 상대국 교환시스템과 일치하는 신호방식을 임의적으로 결정하여 EPROM을 재프로그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기술에 의한 장치는, 교환시스템간의 전용망을 구성하는 경우 또는 구성된 전용망을 운용하는 도중 망구성에 실패하면, 망구성의 실패요인을 특정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망구성의 실패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선로부호화 방식의 불일치, 국간 전송방식의 차이 및 라인 인터페이스부 자체의 동작오류 등이 있는데, 이러한 여러 요인중에서 어떤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특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시스템 관리자에 의한 EPROM의 재프로그램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전용망 구성에 실패한 상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정확히 알지 못하게 되면, 가능한 모든 프로그램 조합에 대해 EPROM의 재설정 동작을 수행하여 상대국과의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탐색하여야 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교환기에서 디지털 트렁크를 이용하여 국간 전송방식에 의한 전용망 구성시, 국간 전송방식의 종류와 선로부호의 종류 및 PCM 압축방식에 따라 하드웨어의 세팅이 바뀌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국의 선로부호화 방식 및 전송방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할당할 수 있도록 한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에 정합하도록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고 전송선로를 통한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부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가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의 선로부호화 방식을 감지하여 상기 전송된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라인 디코더부와; 상기 라인 디코더부에서 인터페이스된 신호를 프레임 변환하는 프레임 연동부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는 신호방식 감지블록과; 상기 라인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방식 정보를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메모리 엑세스부와; 상기 신호방식 감지블록에서 감지된 각 신호방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된 각 신호방식에 따라 상대국으로 전송할 선로부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연동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환시스템의 디지털 트렁크의 블록구성도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3은 도2에 의한 장치의 신호처리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임피던스 정합부 22 : 라인 디코더부
23 : 프레임 연동부 24, 25, 26 : 신호방식 감지블록
27 : 메모리 엑세스부 28 : 중앙처리부
이하, 상기와 같은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3은 도2에 의한 장치의 신호처리 흐름도이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절한 일실시예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에 정합하도록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전송선로를 통한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부(21)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21)가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의 선로부호화 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전송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라인 디코더부(22)와; 상기 라인 디코더부(22)에서 인터페이스된 신호를 프레임 변환하는 프레임 연동부(23)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T1 방식과 E1 방식에 따라 구분하여 선로부호화 방식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T1/E1 감지부(24)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국간 전송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국간 전송방식이 CAS/CCS이면 HDLC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CAS/CCS 감지부(25)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타임슬롯을 읽어 상대국 교환시스템의 PCM 압축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대국의 PCM 압축방식과 자국의 PCM 압축방식을 연동시키는 압축방식 감지부(26)와; 상기 라인 디코더부(22)에서 출력되는 신호방식 정보를 중앙처리부(28)로 전송하는 메모리 엑세스부(27)와; 상기 T1/E1 감지부(24)와 CAS/CCS감지부(25) 및 압축방식 감지부(26)에서 감지된 각 신호방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대국으로 전송할 선로부호를 상기 감지된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따라 생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연동부(23)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2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디지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교환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디지털 트렁크의 기능을 확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대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선로부호를 수신하여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함으로써, 상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선로부호 및 상대국으로 전송될 디지털 선로부호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하드웨어적으로 고정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운용환경에 따라 중앙처리부(28)의 제어동작에 의해 국간 신호방식을 가변적으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임피던스 정합부(21)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선로의 최대전력 전송이 가능한 임피던스에 따라 교환시스템의 내부 임피던스를 가변시키게 된다. 이때 디지털 선로부호의 종류에 따라 각각 요구되는 기준 임피던스에 정합하도록 75옴, 100옴 및 120옴의 임피던스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임피던스 정합부(21)의 임피던스 조정동작은 중앙처리부(28)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행된다. 즉, 중앙처리부(28)는 선로부호화 방식에 따라 요구되는 적정 임피던스로 내부 임피던스의 조정치를 특정하고, 임피던스 정합부(21)가 상기 임피던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임피던스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래서 임피던스 정합된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선로부호는 라인디코더부(22)로 입력되어 선로부호화 방식이 감지된다. 선로부호화 방식은 AMI와 B8ZS 및 HDB3이 이용되며, 전용망내의 각 교환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선로부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라인 디코더부(22)에서 감지된 선로부호화 방식정보는 메모리 엑세스부(27)를 통해 중앙처리부(28)로 전송되어 상대국으로 전송될 디지털 선로부호를 부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중앙처리부(28)는 전용망상의 상대국이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대국의 선로부호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지털 선로부호를 생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대국의 선로부호화 방식에 연동되어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하여 프레임 연동부(23)는 중앙처리부(28)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선로부호를 프레임 변환한다. 이때 변환가능한 프레임 형태는 SF, ESF, PCM30, PCM31 등이며, 변환대상 프레임의 특정은 중앙처리부(28)의 선로부호화 방식정보에 따라 이루어짐으로써 상대국 교환시스템의 프레임과 연동된다.
프레임 연동부(23)에서 SF 또는 PCM30으로 프레임 변환된 신호는 T1/E1 감지부(24)로 입력되어 상기 신호의 선로부호화 방식에 따라 처리된다. 그리고 프레임 연동부(23)에서 ESF 또는 PCM31로 프레임 변환된 신호는 CAS/CCS 감지부(25)로 입력되어 상기 신호의 전송방식에 따라 처리된다.
신호방식중 압축방식에 따른 신호처리는 PCM 압축방식 감지부(26)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PCM 압축방식 감지부(26)는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의 특정 타임슬롯의 데이터 비트를 이용하여 상대국의 PCM 압축방식을 감지하고상기 감지된 압축방식에 따른 신호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대국 교환시스템은 A-LAW방식으로 신호를 압축하고 자국의 교환시스템은 MU-LAW 방식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경우에 자국의 교환시스템은 상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중에서 '0'번 프레임의 17번 타임슬롯의 비트3을 읽어 전송신호의 압축방식을 감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대국의 신호 압축방식이 감지되면, PCM 압축방식 감지부(26)는 자국과 상대국의 압축방식이 동일한 경우에는 신호를 직접 인터페이스하고 자국과 대국의 압축방식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대국의 압축방식으로 자동변환되어 신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동작은 상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수신동작이며, 자국에서 상대국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수신동작의 역으로 수행된다. 즉,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자국의 중앙처리부(28)는 T1/E1 감지부(24)와 CAS/CCS 감지부(25) 및 PCM 압축방식 감지부(26)를 각각 제어하여 디지털 선로부호를 생성하여 전송신호의 프레임에 실어 상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대국은 신호방식의 검출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3은 중앙처리부(28)의 신호방식별 신호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3에서 라인 디코더부(32)는 임피던스 정합부(31)가 수신한 신호(RX)의 선로부호화 방식을 감지한다. 이때 선로부호화 방식은 T1 전송의 경우에는 AMI 또는 B8ZS방식이 사용되고, E1 전송의 경우에는 HDB3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T1 전송과 E1 전송은 서로 상이한 신호방식이기 때문에 국간 전송방식의 검출을 수행하는 CAS/CSS 감지부(34)를 이중적으로 구비하여 T1 전송방식과 E1 전송방식에 각각 할당하여 운용하게 된다.
그래서 라인 디코더부(32)가 AMI 방식 또는 HDB3 방식의 디지털 선로부호를 감지하게 되면, PCM 압축방식 감지부(33)에서 PCM 압축방식을 감지하고 CAS/CSS 감지부(34)가 국간 전송방식을 감지한다. 그리고 선로부호화 방식이 B8ZS인 경우에는 PCM 압축방식의 감지는 불필요하므로 CAS/CSS 감지부(34)의 국간 전송방식에 대한 감지동작만 수행된다.
CAS/CSS 감지부(34)에서 CAS 또는 CSS 전송방식을 검출하게 되면, 자국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고수준 데이터 전송제어(High Level Data Link Control, HDLC)로 프로토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PCM 압축방식 감지부(33)는 디지털 선로부호의 타임슬롯중 특정비트를 읽어 압축방식을 판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타임슬롯을 '0A00 0B00'와 같이 구성하여 상기 타임슬롯의 A비트와 B비트로 압축방식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예시에서 비트 A와 비트 B가 모두 '0'이면 A-LAW 방식을 가리키고, 비트 A는 '0'이고 비트 B는 '1'이면 MU-LAW 방식을 가리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으로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대한 각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신호방식 정보는 중앙처리부(36)로 전송되며, 상대국과 자국의 PCM 압축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상대국의 압축방식에 따라 자국의 압축방식을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36)는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따라 프레임 연동부(37)를 제어하여 디지털 선로부호를 구성하며, 상기 디지털 선로부호는 전송신호(TX)에 실린 후 라인 디코더부(38)와 임피던스 정합부(39)를 거쳐 상대국으로 전송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자국의 교환시스템과 상대국의 교환시스템이 전용선에 의한 전용망을 구성하는 경우에 상대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선로부호를 이용하여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방식에 따라 상대국으로 전송될 디지털 선로부호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는, 사설교환시스템의 디지털 트렁크를 이용하여 전용망을 구성하는 경우에 하드웨어 변경없이 상대국 교환시스템의 선로부호화 방식 및 전송방식을 감지함으로써 자국의 선로부호화 방식과 전송방식을 상대국 교환시스템과 연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대국 교환시스템의 PCM 압축방식을 특정 타임슬롯의 데이터 비트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PCM 압축방식에 따라 자국의 압축방식을 변환시킴으로써, 상대국 교환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인터페이스 및 상대국으로 전송될 신호의 PCM 압축방식의 결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국과 상대국간의 망구성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실패의 원인이 되는 신호방식의 차이를 규정할 수 있으며, 자국의 신호방식을 상대국의 신호방식에 연동시킴으로써 실패요인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망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전송선로의 임피던스에 정합하도록 내부 임피던스를 조정하고 전송선로를 통한 신호교환을 수행하는 임피던스 정합부(21)와;
    상기 임피던스 정합부(21)가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의 선로부호화 방식을 감지하여 상기 전송된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라인 디코더부(22)와;
    상기 라인 디코더부(22)에서 인터페이스된 신호를 프레임 변환하는 프레임 연동부(23)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는 신호방식 감지블록(24)(25)(26)과;
    상기 라인 디코더부(22)에서 출력되는 신호방식 정보를 중앙처리부(28)로 전송하는 메모리 엑세스부(27)와;
    상기 신호방식 감지블록(24)(25)(26)에서 감지된 각 신호방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된 각 신호방식에 따라 상대국으로 전송할 선로부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연동부(23)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방식 감지블록(24)(25)(26)은,
    상기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T1 방식과 E1 방식에 따라 구분하여 선로부호화 방식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T1/E1 감지부(24)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국간 전송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국간 전송방식이 CAS/CCS이면 HDLC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CAS/CCS 감지부(25)와;
    상기 프레임 연동부(23)에서 프레임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타임슬롯을 읽어 상대국 교환시스템의 PCM 압축방식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대국의 PCM 압축방식과 자국의 PCM 압축방식을 연동시키는 압축방식 감지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압축방식 감지부(26)는,
    전송신호의 프레임중 특정 타임슬롯의 2개 비트에 실린 PCM 압축방식 정보를 해석하여 PCM 압축방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상대국의 신호방식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장치.
KR1020000032241A 2000-06-12 2000-06-12 교환시스템의 상대국 신호방식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58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41A KR100358380B1 (ko) 2000-06-12 2000-06-12 교환시스템의 상대국 신호방식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41A KR100358380B1 (ko) 2000-06-12 2000-06-12 교환시스템의 상대국 신호방식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11A true KR20010111611A (ko) 2001-12-19
KR100358380B1 KR100358380B1 (ko) 2002-10-25

Family

ID=4593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241A KR100358380B1 (ko) 2000-06-12 2000-06-12 교환시스템의 상대국 신호방식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3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590B1 (ko) * 1992-10-26 1995-10-19 삼선전자 주식회사 티1(t1)전송로와 이1에이취(e1h)전송로와의 접속을 위한 속도변환장치의 가입자접속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380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142A (en) Data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peripheral and a master
US4055808A (en) Data communications network testing system
US5237570A (en) Prioritized data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radiotelephone peripheral
US4403322A (en) Voice signal converting device
JPH09107353A (ja) ディジタル加入者線をディジタル伝送設備に結合する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回路及び方法
US5070524A (en) Telephone system
EP08721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358380B1 (ko) 교환시스템의 상대국 신호방식 인터페이스 장치
US6038529A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compatible with data of both the silence compression and non-silence compression type
US4852157A (en) Multi-task state machine signalling translator
JPH02264534A (ja) 情報を符号化する方法およびその実施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
US4574373A (en) Digital multiplex device
US4354264A (en) Digital ring control system for digital multiplexer
US4839897A (en) Fault detecting system for ADPCM codec
CN105718401B (zh) 一种多路smii信号到一路mii信号的复用方法及系统
GB2120044A (en) Auto adjust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JPH0981199A (ja) 音声帯域情報伝送装置
KR960010864B1 (ko) 통신회선정합장치 및 그 방법
JP3962147B2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用時間遅延装置を用いたページングシステム
JP3507708B2 (ja) Atmボタン電話機の音声制御方式
CN204314869U (zh) 一种多路smii信号到一路mii信号的复用系统
JPS63108828A (ja) デイジタル回線の監視方法
JPH0746806B2 (ja) 時分割多重伝送システム
KR0178250B1 (ko) 교환기의 트렁크 신호 감지 및 송출 장치
US201302659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by bit manipulation in communication protoc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