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924A - 맞대기 저항용접기 - Google Patents

맞대기 저항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924A
KR20010110924A KR1020000031657A KR20000031657A KR20010110924A KR 20010110924 A KR20010110924 A KR 20010110924A KR 1020000031657 A KR1020000031657 A KR 1020000031657A KR 20000031657 A KR20000031657 A KR 20000031657A KR 20010110924 A KR20010110924 A KR 2001011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connection terminal
unit
actuato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수
Original Assignee
신은선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선,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신은선
Priority to KR102000003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924A/ko
Publication of KR2001011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924A/ko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맞대기 저항용접기에 관한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류발생부와, 상기 전류발생부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 1접속단자와, 전류발생부의 전기를 피용접물로 인가하는 제 1클램핑수단을 구비하는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1유니트에 대해 진퇴운동하는 것으로, 근접시 제 1접속단자와 접속하는 제 2접속단자와, 피용접물을 지지하며 제 2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를 피용접물에 인가하는 제 2클램핑수단을 구비하는 제 2유니트와; 상기 제 1유니트와 제 2유니트를 상호 진퇴운동시켜 제 1접속단자와 제 2접속단자를 접속 또는 단락시키고 피용접물을 상호 가압하여 저항용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인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클램핑수단과 메인액츄에이터 및 전류발생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맞대기 저항용접기는, 용접할 모재를 상호 진퇴운동하는 양측의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로 프레임을 진퇴운동시켜 용접중 모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양측의 프레임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함으로서 맞대기할 모재간의 상대위치가 정밀하게 위치할 수 있어 용접작업의 효율이 높고 용접품질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맞대기 저항용접기{Butt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전기저항용접장치(electric resistance weldin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호 진퇴운동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 피용접물을 각각 물리고 프레임을 상호 근접시켜 저항용접을 수행하는 맞대기 저항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저항용접은 용접할 두 모재를 접촉시킨 상태로 전류를 통하고 그 접촉저항 및 비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용접하는 용접법이다. 상기 전기저항용접은 그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예를들어 스폿용접(spot welding), 시임용접(seam welding), 맞대기용접(butt welding) 등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상기 전기저항용접은 용접할 모재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함과 동시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눌러붙히는 용접이므로 특히 맞대기 용접의 경우 용접할 모재 상호간의 상대위치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맞대기용접기는 용접작업의 각 공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어 용접작업의 효율이 저하하고 용접의 품질도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용접할 모재를 상호 진퇴운동하는 양측의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로 프레임을 진퇴운동시켜 용접중 모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양측의 프레임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함으로서 맞대기할 모재간의 상대위치가 정밀하게 위치할 수 있어 용접작업의 효율이 높고 용접품질도 높도록 구성된 맞대기 저항용접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저항용접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이드레일 12:전류발생부
14:제 1프레임 16:제 2프레임
18:제 1접속단자 20:제 2접속단자
22:메인액츄에이터 24:콘트롤러
26,28:피용접물 30:제 1전극죠오(jaw)
32:제 1액츄에이터 34:제 2전극죠오
36:제 2액츄에이터 38:단자액츄에이터
40:스토퍼 42:모터
44:워엄기어 46:회동부재
50:피스톤로드 52:홀더
54,56:전기선 58:워엄
60:실린더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전력을 인가받아 용접용전류를 유도하는 전류발생부와, 상기 전류발생부와 연결되어 돌출설치되는 제 1접속단자와, 피용접물을 잡아 지지하며 전류발생부의 전기를 피용접물로 인가하는 제 1클램핑수단을 구비하는 제 1유니트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되며 제 1유니트에 대해 진퇴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 1접속단자와 대응하여 접속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2접속단자와, 상기 피용접물에 용접되는 상대 피용접물을 지지하며 제 2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를 피용접물에 인가하는 제 2클램핑수단을 구비하는 제 2유니트와; 상기 제 1유니트와 제 2유니트를 상호 진퇴운동시켜 제 1접속단자와 제 2접속단자를 접속 또는 단락시키고, 제 1접속단자와 제 2접속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피용접물을 상호 가압하여 저항용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인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클램핑수단과 메인액츄에이터 및 전류발생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클램핑수단은, 피용접물을 잡아 지지하며 제 1접속단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피용접물에 인가하는 제 1전극죠오와, 상기 제 1전극죠오를 동작시켜 제 1전극죠오를 조이거나 벌리는 제 1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제 2클램핑수단은, 피용접물을 잡아 지지하며 제 2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피용접물로 전달하는 제 2전극죠오와, 상기 제 2전극죠오를 동작시켜 제 2전극죠오를 조이거나 벌리는 제 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접속단자는 제 1접속단자에 대해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단자액츄에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유니트에는 가이드레일에 대한 제 2유니트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는 제 1액츄에이터 및 제 2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각 전극죠오가 피용접물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로 전류발생부를 통해 각 전극죠오에 전기를 인가하고 메인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각 피용접물이 상호 접촉하도록 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콘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저항용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저항용접기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에서 가이드되며 상호 진퇴운동하고 피용접물(26,28)을 각각 지지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토록하는 제 1프레임(14) 및 제 2프레임(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프레임(14)의 상부에는 전류발생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전류발생부(12)는 공지의 요소로서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저항용접에 사용할 수 있는전류로 유도하여 피용접물(26,28)에 인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프레임(14)에는 제 1액츄에이터(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액츄에이터(32)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운동하는 피스톤로드로 하측에 구비된 제 1전극죠오(30)를 조작한다. 상기 제 1전극죠오(30)는 피용접물(26)을 물어 지지하는 홀더로서 제 1액츄에이터(32)의 피스톤로드가 하부로 이동하면 조여져 피용접물(26)을 지지하고 반대로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면 벌어져 죠오(jaw) 사이에 피용접물을 넣거나 뺄 수 있다. 이러한 제 1액츄에이터(32)의 동작은 콘트롤러(24)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 1전극죠오(30)는 피용접물(26)을 물어 지지하는 기능과 지지하고 있는 피용접물(26)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극의 역할을 겸한다. 즉, 제 1전극죠오(30)는 전기선(54)에 의해 제 1접속단자(18)를 통하여 전류발생부(12)와 연결되어 전류발생부(12)의 전기를 인가받아 피용접물(26)에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전극죠오(30) 및 후술할 제 2전극죠오(34)는 예를들어 구리나 알미늄과 같이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으로 제작한다.
상기 전류발생부(12)의 하측부에는 제 1접속단자(18)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접속단자(18)는 후술할 제 2접속단자(20)와 접속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단자로서 전기선(54)을 통하여 전류발생부(12)와 직접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프레임(14)에 대해서 진퇴운동하는 제 2프레임(16)에는 상기 제 1전극죠오(30)와 대응하도록 제 2전극죠오(34)가 구비되고, 또한 제 1접속단자(18)와 대응하는 제 2접속단자(20)가 설치된다.
상기 제 2전극죠오(34)는 제 1전극죠오(30)와 동일한 재질과 기능을 가지며 전기선(56)에 의해 제 2접속단자(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접속단자(18)에 제 2접속단자(20)가 접속하면 전류발생부(12)에 의해 유도된 전류는 제 2접속단자(20)와 전기선(56)을 통하여 제 2전극죠오(34)에 인가되어 피용접물(28)에도 전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제 2전극죠오(34)는 제 2액츄에이터(36)에 의해 벌어지거나 조여진다. 상기 제 2액츄에이터(36)의 작동은 제 1액츄에이터의 작동과 동일하며 콘트롤러(24)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제 1접속단자(18)와 접속하는 제 2접속단자(20)는 단자액츄에이터(38)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이는 작업조건에 따라 피용접물(26,28)의 길이가 길어 제 1프레임(14)과 제 2프레임(16)이 충분히 근접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콘트롤러(24)의 제어에 의해 제 2접속단자(20)를 제 1접속단자(18)측으로 연장시켜 제 1접속단자(18)와 접속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1프레임(14)과 제 2프레임(16)을 상호 진퇴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메인액츄에이터(22)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액츄에이터(22)는 콘트롤러(24)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실린더부(60)가 제 2프레임(16)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50)는 가이드레일(10)과 평행을 이루며 단부가 제 1프레임(14)과 결합한다.
상기 피스톤로드(50)를 제 1프레임(14)에 결합하도록 제 1프레임(14)에는 홀더(5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홀더(52)는 피스톤로드(50)의 단부를 수용하는 부 재이다. 따라서 메인액츄에이터(22)를 구동하면 제 1프레임(14)과 제 2프레임(16)은 서로에 대해 진퇴운동한다.
즉, 상기 메인액츄에이터(22)가 작동하면 제 1프레임(14)과 제 2프레임(16)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특히 피스톤로드(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당기면 피용접물(26,28)이 상호 근접하여 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프레임(14)에는 무거운 전류발생부(12)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전류발생부(12)를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별도의 보강부재(미도시)등이 구비되므로 제 2프레임(16)보다 무겁다. 따라서 메인액츄에이터(22)가 작동하면 제 2프레임(16)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제 1프레임(14)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적인 용접작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극죠오(30,34)의 위치가 변경되면 작업능률이 저하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2프레임(16)에 스토퍼(4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40)는 메인액츄에이터(22)의 작동시 제 2프레임(16)이 제 1프레임(14)측으로 과도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40)는 제 2프레임(16)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구동축에는 워엄(58)이 구비되어 있는 모터(42)와, 상기 워엄(58)에 치합하는 워엄기어(44)와, 상기 워엄기어(44)에 고정되어 워엄기어(44)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46)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면 가이드레일(10)을 밀며 제 2프레임(16)을 가이드레일(10)에 대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켜 정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콘트롤러(24)는 메인액츄에이터(22)와 제 1,2액츄에이터(32,36)와 단자액츄에이터(38)와 모터(42) 및 전류발생부(12)와 연결되어 있는 공지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서 전류발생부(12)를 구동함과 아울러 각 액츄에이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상기 콘트롤러(24)는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프레임(14,16)에 설치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맞대기용접기를 통해 용접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콘트롤러(24)를 통해 제 1액츄에이터(32) 및 제 2액츄에이터(36)를 작동하여 제 1전극죠오(30) 및 제 2전극죠오(34)에 용접할 피용접물(26,28)을 물린다.
이와함께 전류발생부(12)를 구동시켜 용접에 사용되는 전류를 유도하고 제 1접속단자(18) 및 제 1전극죠오(30)에 전기를 인가한다.
이 상태로 메인액츄에이터(22)를 구동하여 제 1프레임(14)과 제 2프레임(16)을 상호 접근시켜 피용접물(26)과 상대 피용접물(28)을 접촉시킨다. 이 때 제 1접속단자(18)와 제 2접속단자(20)도 동시에 접속하도록 단자액츄에이터(38)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제 1접속단자(18)와 제 2접속단자(20)가 접속하고, 피용접물(26,28)이 상호 접촉하면 하나의 회로가 구성되어 피용접물(26,28)의 접촉면에 저항열이 발생하여 용융상태가 된다. 이 때 메인액츄에이터(22)의 피스톤로드(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더욱 당기면 피용접물(26,28)은 상호 가압되어 완전히 용접되는 것이다.
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콘트롤러(24)를 통해 각 액츄에이터를 최초의 위치로이동시키고 모터(42)를 작동시켜 스토퍼(40)로 하여금 가이드레일(10)에 대한 제 2프레임(16) 및 제 1프레임(14)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다음 용접작업을 준비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맞대기 저항용접기는, 용접할 모재를 상호 진퇴운동하는 양측의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로 프레임을 진퇴운동시켜 용접중 모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양측의 프레임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함으로서 맞대기할 모재간의 상대위치가 정밀하게 위치할 수 있어 용접작업의 효율이 높고 용접품질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전력을 인가받아 용접용전류를 유도하는 전류발생부와, 상기 전류발생부와 연결되어 돌출설치되는 제 1접속단자와, 피용접물을 잡아 지지하며 전류발생부의 전기를 피용접물로 인가하는 제 1클램핑수단을 구비하는 제 1유니트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되며 제 1유니트에 대해 진퇴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 1접속단자와 대응하여 접속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2접속단자와, 상기 피용접물에 용접되는 상대 피용접물을 지지하며 제 2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를 피용접물에 인가하는 제 2클램핑수단을 구비하는 제 2유니트와;
    상기 제 1유니트와 제 2유니트를 상호 진퇴운동시켜 제 1접속단자와 제 2접속단자를 접속 또는 단락시키고, 제 1접속단자와 제 2접속단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피용접물을 상호 가압하여 저항용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인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클램핑수단과 메인액츄에이터 및 전류발생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대기 저항용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램핑수단은, 피용접물을 잡아 지지하며 제 1접속단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피용접물에 인가하는 제 1전극죠오와, 상기 제 1전극죠오를 동작시켜 제 1전극죠오를 조이거나 벌리는 제 1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제 2클램핑수단은, 피용접물을 잡아 지지하며 제 2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피용접물로 전달하는 제 2전극죠오와, 상기 제 2전극죠오를 동작시켜 제 2전극죠오를 조이거나 벌리는 제 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대기 저항용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접속단자는 제 1접속단자에 대해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단자액츄에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대기 저항용접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니트에는 가이드레일에 대한 제 2유니트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대기 저항용접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제 1액츄에이터 및 제 2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각 전극죠오가 피용접물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로 전류발생부를 통해 각 전극죠오에 전기를 인가하고 메인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각 피용접물이 상호 접촉하도록 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콘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대기 저항용접기.
KR1020000031657A 2000-06-09 2000-06-09 맞대기 저항용접기 KR20010110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57A KR20010110924A (ko) 2000-06-09 2000-06-09 맞대기 저항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57A KR20010110924A (ko) 2000-06-09 2000-06-09 맞대기 저항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924A true KR20010110924A (ko) 2001-12-15

Family

ID=4592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657A KR20010110924A (ko) 2000-06-09 2000-06-09 맞대기 저항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9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60A (ko) * 2002-04-04 2002-04-17 김기술 선재 자동용접장치
KR100596627B1 (ko) * 2006-03-06 2006-07-05 중앙선재산업(주) 매트리스용 링구 용접장치
KR101974912B1 (ko) * 2018-10-12 2019-05-03 주식회사 맥스메이트 미용용구 조립용 지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0492A (ja) * 1992-11-17 1994-08-02 Kawasaki Steel Corp 突合わせ溶接機における鋼板の溶接方法及び突合わせ溶接機
JPH08300162A (ja) * 1995-05-10 1996-11-19 Masunaga Gankyo Kk 抵抗溶接装置の制御方法及び抵抗溶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0492A (ja) * 1992-11-17 1994-08-02 Kawasaki Steel Corp 突合わせ溶接機における鋼板の溶接方法及び突合わせ溶接機
JPH08300162A (ja) * 1995-05-10 1996-11-19 Masunaga Gankyo Kk 抵抗溶接装置の制御方法及び抵抗溶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60A (ko) * 2002-04-04 2002-04-17 김기술 선재 자동용접장치
KR100596627B1 (ko) * 2006-03-06 2006-07-05 중앙선재산업(주) 매트리스용 링구 용접장치
KR101974912B1 (ko) * 2018-10-12 2019-05-03 주식회사 맥스메이트 미용용구 조립용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1852B2 (ja) フラツシユバツト溶接機
CN107378191B (zh) 一种管件焊接装置、焊接系统及焊接方法
JPH05138366A (ja) クランプを含む工具操作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JP2648542B2 (ja) 油圧発生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
KR20010110924A (ko) 맞대기 저항용접기
CA1046801A (en) Welding machine
CN112872666A (zh) 一种焊接装置
US20050092809A1 (en) Friction agitation welding apparatus
EP1415753A1 (en) Friction agitation welding apparatus
JP3105667B2 (ja) 鉄骨構造物用溶接装置
CN211939471U (zh) 一种闪光对焊自动化焊接夹具
CN111331234B (zh) 一种闪光对焊自动化焊接夹具及方法
US3582601A (en) Process for submerged arc welding
CA1091773A (en) Welding machine
JP3048557B2 (ja) 突き合せ溶接方法および同装置
US4440338A (en) Friction welding machine
JPH0957458A (ja) 溶接部品供給とそのスポット溶接システム
JP2787838B2 (ja) ロウ付方法とその装置
US513051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elding panel with space defined therein
CN210878063U (zh) 一种节能降耗碰焊机的全自动焊接机构
CN111168235A (zh) 一种刀柄抓取激光焊接结构
JP2762236B2 (ja) スポット溶接用補助ガン装置
CN212704940U (zh) 一种杠杆压紧式铜杆对焊机
CN218050916U (zh) 一种钻头加工设备
CN113500286B (zh) 大截面纵横双向力封闭摩擦焊机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