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898A -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898A
KR20010110898A KR1020000031597A KR20000031597A KR20010110898A KR 20010110898 A KR20010110898 A KR 20010110898A KR 1020000031597 A KR1020000031597 A KR 1020000031597A KR 20000031597 A KR20000031597 A KR 20000031597A KR 20010110898 A KR20010110898 A KR 2001011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tube
hole
collar
elli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바요시히로
미야자와도시키
Original Assignee
히다카 쇼타로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카 쇼타로,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카 쇼타로
Priority to KR102000003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898A/ko
Publication of KR2001011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898A/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열교환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교환기용 튜브의 횡단면형상이 용이하게 타원형상으로 형성될수 있다. 이 방법은, 복수개의 금속핀 각각에 칼라부착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튜브구멍을 형성하게 하고,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금속핀을 적층하는 단계; 횡단면형상이 원형형상인 열교환기용 튜브가 튜브구멍을 관통하게 하는 단계; 및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상인 확관용 빌릿을 열교환기용 튜브내로 삽입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열교환기용 튜브는 타원형상으로 확관되고 복수개의 금속핀과 일체화 되어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쿨러 등의 온도조정기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쿨러 등의 온도조정기에 사용되고 있는 열교환기는, 도 9에 도시하는 핀(100)의 복수개가 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핀(10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금속박판(102)에, 복수개의 칼라부착 관통구멍(104)이 금속박판(10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칼라부착 관통구멍(104)은, 금속박판(102)에 뚫어설치된 관통구멍(106)을 둘러싸도록 칼라(108)가 세워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칼라(108)의 선단에 플랜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칼라부착 관통구멍(104)은 복수개의 핀(100)을 적층한 적층체를 형성한 때에, 플랜지부(110)가 다른 쪽의 핀(100)에 맞닿아서 핀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핀(104)을 사용하여 열교환기를 제조할 때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핀(104)을 칼라부착 관통구멍(104)이 연통해서 연통구멍(112)을 형성하도록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체에, 연통구멍(112)의 각각에 열교환기용 튜브(114)를 끼워통과한 후, 열교환기용 튜브(114)의 개구단측으로부터 확관빌릿(116)을 삽입하고, 열교환기용 튜브(114)를 확관하여 열교환기용 튜브(114)와 핀(100)의 칼라부착 관통구멍(104)을 일체화한다.
그런데, 종래의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서는 통상,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칼라(108) 및 열교환기용 튜브(114)를 사용하여,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유지하면서 열교환기용 튜브(114)를 확관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열교환기는,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114)와 핀(100)이 일체화된 것이기 때문에, 팬 등에 의해 열교환기에 핀(100)과 대략 평행방향으로 공기류를 흐르게 하면, 공기류는 칼라(108)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흐른다. 이 때문에,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칼라(108)에서는, 공기류가 충돌하는 앞부에 대해서 반대측의 후부에는, 이른바 카르만 와류가 발생하여 공기류의 난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기류의 난류에 의한 압력변화의 주파수가, 열교환기의 고유진동 주파수와 일치하면, 공명형상이 발생하거나, 혹은 열교환기용 튜브(114)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한 경우에는, 결로수가 체류하여 빙결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카르만 와류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도록, 일본 특개소 61-27131호 공보 등에 있어서는,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하여 핀과 일체화된 열교환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를 사용한 열교환기에 의하면, 열교환기내를 흐르는 공기류의 난류를 가급적 적게 할 수 있어 안정화된다.
그러나,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는,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에 비교하여, 그 제조가 곤란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고,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열교환기의 제조원가도 높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핀으로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일예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에 끼워통과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확관빌릿의 일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저면도,
도 4a 및 도 4b는 확관후의 칼라부착 관통구멍 및 열교환기용 튜브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핀으로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a 내지 도 6c는 확관후의 칼라부착 관통구멍 및 열교환기용 튜브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a 내지 도 7c는, 확관후의 칼라부착 관통구멍 및 열교환기용 튜브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핀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종래의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핀의 사시도, 및
도 10은 확관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본 발명의 과제는,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검토를 거듭한 결과,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한,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에 타원형상의 확관빌릿을 삽입하여 확관함으로써, 칼라부착 관통구멍 및 열교환기용 튜브의 각 횡단면형상을 타원형으로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금속박판에 복수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형성된 복수개의 핀을, 상기 핀의 각각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연통되어서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한 후,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연통구멍의 각각에,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를 끼워통과시키고, 뒤이어,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하여 핀과 일체화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의 개구단측으로부터 타원형상의 확관용 빌릿을 삽입하고,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의 횡단면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확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핀에 형성된 원형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된,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할 때,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의 외주면형상이 타원형으로서, 상기 타원형의 장축 길이가 상기 핀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내경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타원형의 단축 길이가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내경과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함으로써, 핀의 변형을 적게 하여 열교환기용 튜브를 타원형으로 확관할 수 있다.
또, 핀으로서,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한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할 때에,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 근방의 금속박판에 생기는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흡수부가, 상기 금속박판에 형성되어 있는 핀을 사용함으로써, 핀의 변형을 한층 더 적게 하여 열교환기용 튜브를 타원형으로 확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흡수부로서는, 칼라부착 관통구멍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금속박판을 곡절하여 형성된 변형흡수부로서의 환상볼록부를 칼라부착 관통구멍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한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를,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으로 확관한다. 따라서, 미리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를 준비해 놓을 필요가 없고, 통상으로 사용되는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를 준비해 놓는 것으로 족하다.
또, 미리 횡단면형상을 타원형으로 한 열교환기용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의 횡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장축과 열교환기를 흐르는 공기류의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결정을 정확히 하면서, 열교환기용 튜브를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하여 확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를 타원형으로 확관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용 튜브를 핀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할 때에는,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와 같이, 열교환기용 튜브의 위치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를 타원형으로 확관하는 확관빌릿을 확관장치에 정확히 부착함으로써,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의 횡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장축과 열교환기를 흐르는 공기류의 방향을 대략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교환기용 튜브의 끼워통과하는 작업 및 확관작업은,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용이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핀은, 금속박판에 복수개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판(12)에 뚫어설치된 원형의 관통구멍(14)을 둘러싸도록 칼라(16)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이 칼라(16)의 선단에는 플랜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 1에 도시하는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은, 그 복수개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금속박판(12)으로 이루어지는 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핀의 복수개는,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이 연통되어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적층되어 적층체가 형성된다. 그 때에, 칼라(16)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8)는 다른 핀의 금속박판(12)과 맞닿아서 핀 사이의 간극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적층체의 연통구멍의 각각에, 횡단면형상이 원형인열교환기용 튜브를 끼워통과시킨다. 이 때문에, 연통구멍을 형성하는 칼라부착 관통구멍(10)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20)가 끼워통과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은, 그 관통구멍(14) 및 칼라(16)가 모두 원형이며, 열교환기용 튜브(20)의 횡단면형상도 원형이다. 따라서 열교환기용 튜브(20)를 적층체의 연통구멍에 끼워통과시킬 때에, 미리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열교환기용 튜브와 같이, 열교환기용 튜브(20)의 끼워통과방향으로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고, 열교환기용 튜브(20)의 끼워통과작업은 용이하다.
뒤이어, 적층체의 각 연통구멍에 끼워통과된,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20)를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으로 확관하여 핀과 일체화한다. 이러한 확관은, 열교환기용 튜브(20)의 개구단측으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확관 빌릿(22)을 삽입하여 행한다. 도 3에 도시하는 확관 빌릿(22)은, 그 정면도인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확관장치의 왕복 운동판 등에 장착된 맨드릴축(24)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확관 빌릿(22)의 장착은, 확관 빌릿(22)으로부터 뻗어나가서 맨드릴축(24)의 타단부에 삽입된 뻗어나간 핀이, 맨드릴축 (24)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삽입된 고정핀(27)(도 3a)에 의해 핀고정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확관 빌릿(22)의 외주형상은, 확관 빌릿(22)의 저면(25)의 방향(화살표(A)방향)에서 본 저면도인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원형이다. 도 3b에 있어서, 타원형의 최외주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부분(26)은, 도 3a에 있어서 가장 굵은 부분으로서,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20)를 타원형으로 확관하는확관부이다(이하, 부분(26)을 확관부(26)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확관 빌릿(22)의 확관부(26)와 저면(25) 사이에는, 확관부(26)로부터 저면(25)의 방향으로,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이고 또한 횡단면적이 점점 소면적으로 되는 가이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8)는 확관부(26)를 열교환기용 튜브(20)로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더욱, 저면(25)에는, 공기빼기구멍(30)이 개구되어 있다. 이 공기빼기구멍 (30)은 확관 빌릿(22)을 열교환기용 튜브(20)에 삽입하여 확관할 때에, 확관 빌릿(22)의 진행방향의 공기를 확관 빌릿(22)의 후방으로 빼내고, 확관 빌릿(22)의 열교환기용 튜브(20)내에서의 진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확관 빌릿(22)이 삽입되어 확관된 열교환기용 튜브(20a),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관통구멍(14a) 및 칼라(16a)는 도 4a 및 도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으로 된다. 도 4a에 도시하는 열교환기용 튜브(20a),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관통구멍(14a) 및 칼라(16a)의 타원형상은, 그 장축 길이가. 확관 빌릿(22)의 삽입전의 점선으로 표시하는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보다도 길고, 또한 그 단축 길이가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보다도 짧은 것이다. 이러한 도 4a에 도시하는 타원형상으로 되도록 열교환기용 튜브(20)를 확관할 때에는, 열교환기용 튜브(20a)의 타원형의 장축 측의 금속박판(12)에 압축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열교환기용 튜브(20a)의 타원형의 단축측의 금속박판(12)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근방의 금속박판(12)이 크게 변형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 점, 도 4b에 도시하는 열교환기용 튜브(20a),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관통구멍(14a) 및 칼라(16a)의 타원형상은, 그 장축 길이가, 확관 빌릿(22)의 삽입전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보다도 긴데, 그 단축 길이는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과 동등한 것이다. 이 때문에, 도 4b에 도시하는 타원형상으로 되도록 열교환기용 튜브(20)를 확관할 때에는, 도 4a에 도시하는 타원형상으로 되도록 열교환기용 튜브(20)를 확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금속박판(12)에 작용하는 압축력 및 인장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근방의 금속박판(12)이 변형하는 변형정도도 작게 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하는 타원형상으로 되도록 열교환기용 튜브(20)을 확관해도,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근방의 금속박판(12)에 다소의 변형이 야기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흡수부를 급속박판(12)에 형성함으로써, 금속박판 (12)의 변형정도를 가급적 적게 할 수 있다.
이 변형흡수부로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라부착 관통구멍 (10)을 둘러싸는 환상볼록부(32)를, 금속박판(12)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상볼록부(32)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칼라부착 관통구멍(10)과 상사형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볼록부(32)는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라부착 관통구멍(16) 근방의 금속박판(12)을, 프레스가공 등에 의해 곡절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형의 환상볼록부(32)에 의해 둘러싸인,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칼라부착 관통구멍(10)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20)를 끼워통과시키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확관빌릿(22)을 삽입하여 확관하였다. 이러한 확관일 때에,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20)의 횡단면형상을, 도 6a에 도시하는 타원형, 즉 장축 길이가 확관빌릿(22)의 삽입전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보다도 길고, 또한 단축 길이가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보다도 짧은 타원형으로 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확관후에 형성된 타원형의 장축방향의 환상볼록부(32)의 부분은, 도 6a에 도시하는 X-X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인 도 6b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눌려 찌부러뜨려져 있다. 즉, 금속박판(12)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환상볼록부(32)가 눌려 찌부러뜨려짐에 따라, 압축력을 흡수하고 있다.
한편, 확관후에 형성된 타원형의 단축방향의 환상볼록부(32)의 부분은, 도 6a에 도시하는 Y-Y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인 도 6c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잡아늘여져 있다. 즉, 금속박판(12)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환상볼록부(32)가 잡아늘어지므로써 인장력을 흡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관했을 때에, 금속박판(12)에 작용하는 압축력 및 인장력을 환상볼록부(32)가 변형하여 흡수하기 때문에, 금속박판(12) 자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확관했을 때에,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20a)의 횡단면형상을, 도 7a에 도시하는 타원형, 즉 장축 길이가 확관빌릿(22)의 삽입전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의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보다도 긴데, 단축길이가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내경과 동등한 타원형으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그 결과, 확관후에 형성된 타원형의 장축방향의 환상볼록부(32)의 부분은, 도 7a에 도시하는 X-X면에 있어서 단면도인 도 7b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도 6b와 동일하게 눌려 찌부러뜨려지므로써 압축력을 흡수하고 있다.
한편, 확관후에 형성된 타원형의 단축방향의 환상볼록부(32)의 부분은, 도 7a에 도시하는 Y-Y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인 도 7c와 도 6c와의 비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도 7c에 도시하는 환상볼록부(32)의 잡아늘어져 있는 정도는, 도 6c보다도 작다. 즉, 도 7a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확관할 때의 금속박판(12)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도 6a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확관하는 경우보다도 작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도 7a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확관할 경우에는, 금속박판(12)의 변형정도를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7c에 도시하는 환상볼록부(32)는, 칼라부착 관통구멍 (10)의 주위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데, 환상볼록부(32)를 간헐적으로 형성해도, 열교환기용 튜브(20)를 확산할 때에, 금속박판(12)에 가해지는 압축력이나 인장력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c에 도시하는 금속박판(12)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10)은, 관통구멍(14) 및 칼라(16)의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것이었는데,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박판(12)에 뚫어설치된 타원형의 관통구멍(42)을 둘러싸는 칼라(44)가 세워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칼라부착 관통구멍 (40)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칼라부착 관통구멍(40)의 칼라(44)의 선단에도, 플랜지부 (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칼라부착 관통구멍(40)에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단면형상이 원형의 열교환기용 튜브(20)를 삽입한 후,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확관빌릿 (22)을 삽입하여 횡단면형상으로 확관한다. 이 때에,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20a)의 횡단면형상이, 칼라부착 관통구멍(40)의 관통구멍(42) 및 칼라(44)의 형상과 동일형상으로 되도록, 열교환기용 튜브(20)를 확관한다.
이러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확관의 때에는, 금속박판(12)의 특정방향으로, 압축력이나 인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일이 없고, 금속박판(12)의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흡수부 등을 형성하는 것은 필요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단면형상이 타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와 핀이 일체화된 열교환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에서는, 공기류의 난류를 가급적으로 적게 할 수 있고, 열교환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는 결과, 열교환효율이 향상된 쿨러 등의 온도조정기의 보급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금속박판에 복수개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형성된 복수개의 핀을, 상기 핀의 각각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연통되어서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한 후,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연통구멍의 각각에,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를 끼워통과시키고,
    뒤이어,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하여 핀을 일체화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의 개구단측으로부터 타원형상의 확관용 빌릿을 삽입하고,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의 횡단면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확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핀에 형성된 원형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된,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할 때,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의 외주면형상이 타원형으로서, 상기 타원형의 장축 길이가 상기 핀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내경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타원형의 단축 길이가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내경과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칼라부착 관통구멍에 끼워통과한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할 때에,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근방의 금속박판에 생기는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흡수부가, 상기 금속박판에 형성되어 있는 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칼라부착 관통구멍을 둘러싸는 변형흡수부로서의 환상볼록부를, 금속박판을 곡절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5. 금속박판에 복수개의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형성된 복수개의 핀을, 상기 핀의 각각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이 연통되어서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한 후,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연통구멍의 각각에, 횡단면형상이 원형인 열교환기용 튜브를 끼워통과시키고,
    뒤이어,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하여 핀과 일체화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의 개구단측으로부터 타원형상의 확관용 빌릿을 삽입하고,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의 횡단면형상을 타원형상으로 확관할 때에, 이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근방의 금속박판에 생기는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흡수부가 상기 금속박판에 형성되어 있는 핀을 사용하고,
    또한 확관후의 열교환기용 튜브의 외주면형상이 타원형으로서, 상기 타원형의 장축 길이가 상기 핀에 형성된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내경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타원형의 단축 길이가 상기 칼라부착 관통구멍의 내경과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열교환기용 튜브를 확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화기의 제조방법.
KR1020000031597A 2000-06-09 2000-06-09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20010110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597A KR20010110898A (ko) 2000-06-09 2000-06-09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597A KR20010110898A (ko) 2000-06-09 2000-06-09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898A true KR20010110898A (ko) 2001-12-15

Family

ID=6027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597A KR20010110898A (ko) 2000-06-09 2000-06-09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8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265A (ko) * 2002-08-20 2002-09-14 이해환 라디에이터용 방열핀과 튜브의 결합방법
KR101431118B1 (ko) * 2013-12-10 2014-08-18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타원형 단면의 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265A (ko) * 2002-08-20 2002-09-14 이해환 라디에이터용 방열핀과 튜브의 결합방법
KR101431118B1 (ko) * 2013-12-10 2014-08-18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타원형 단면의 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024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heat exchanger
EP2015018B1 (en) Heat transfer fin and fin-tube heat exchanger
EP2312254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heat exchanger
WO2007108386A1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熱交換器用フィンおよびヒートポンプ装置
US20030094273A1 (en) Corrugated fin assembly
JP2009236469A (ja) 熱交換器
CN101329122B (zh) 热交换器及其制造方法
JP4188475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14076757A1 (ja) 扁平形状伝熱管、それを備えた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KR20010110898A (ko)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JP3356151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空調装置
JP2008215670A (ja) 伝熱フィン、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00017618A (ko) 플레이트-핀 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085013A (ja) 熱交換器
JP2000234882A (ja) 熱交換器
CN101363669B (zh) 热交换器
WO2007004456A1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2018155433A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1141383A (ja) 熱交換器
US20070017663A1 (en) Heat exchanger cooling fin
KR20020072265A (ko) 라디에이터용 방열핀과 튜브의 결합방법
CN109906351A (zh) 热交换器、热交换器的制造方法及翅片组装品
JPS58132328A (ja) パイプの孔抜方法
CN212132957U (zh) 应用微细导流管的翅片式热交换器的散热片安装的间隔结构
KR100599861B1 (ko) 응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