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718A -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718A
KR20010110718A KR1020017012392A KR20017012392A KR20010110718A KR 20010110718 A KR20010110718 A KR 20010110718A KR 1020017012392 A KR1020017012392 A KR 1020017012392A KR 20017012392 A KR20017012392 A KR 20017012392A KR 20010110718 A KR20010110718 A KR 20010110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polyester film
longitudinal direction
film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다가츠야
니시노사토루
니시바야시도시야
Original Assignee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이 가쯔히꼬,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이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1011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타입의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동시이축연신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연신장치로, 상기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축차이축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파단 등의 트러블이 없이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보유한 두께가 얇은 필름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PROCESS FOR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여, 길이방향,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동시이축연신하는 기술은,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소49-40369호 공보, 동 49-105877호 공보 등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동시이축연신을 사용할 경우에는,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 두께가 얇은 필름을 얻도록 하여, 파단발생의 한계직전까지 연신하여도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 필름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두께가 얇은 필름을 파단없이 얻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단 등의 트러블이 없이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보유한 두께가 얇은 필름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필름을,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타입의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동시이축연신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연신장치로, 상기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축차이축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비교적 저배율로 길이방향,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동시이축연신한 후, 동일한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연신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조금씩 단계적으로 이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파단의 발생을 억제하고,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 필름이나 두께가 얇은 필름을 안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서의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지환족 다키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예컨대,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예컨대, 아디프산, 스베린산, 세바신산, 도데칸디온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 병용해도 좋고, 또는, 히드록시에톡시 안식향산 등의 산소산 등을 일부 공중합해도 좋다.
또한, 디올성분으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탈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디올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 병용해도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에는 트리메리트산, 피로메리트산, 글리세롤, 펜타에리쓰리톨, 2,4-디옥시안식향산, 라우릴알콜, 이소시안산페닐 등의 단관능 화합물 등의 다른 화합물을, 폴리머가 실질적으로 선형상인 범위내에서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난연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안료, 염료, 지방산에스테르, 왁스 등의 유기 윤활제, 또는 소포제를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점토, 운모, 산화티탄, 탄산칼슘, 카올린, 탤크, 습식 또는 건식 실리카, 콜로이드형상 실리카, 인산칼슘, 황산바륨, 알루미나, 지르코늄 등의 무기입자, 아크릴산류, 스티렌 등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유기입자 등을 배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중합반응시에 첨가하는 촉배 등에 의해서 석출되는, 이른바 내부입자를 함유시키거나,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유효하다.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70몰%이상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이면 효과는 커진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단일의 것이어도 좋고,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또 다른 성분을, 예컨대 30몰%미만 등의 적당한 비율로 단지 혼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단층이어도, 다층으로 적층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시이축연신에 제공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실질적으로 미배향으로 복굴절이 0.003이하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이 높아지면, 연신성이 악화하여, 연신파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실질적으로 미배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수단으로는, 예컨대, 슬릿을 보유하는 부재로부터 압출된 용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회전하는 냉각드럼상에 밀착고화시키는 것으로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냉각드럼의 밀착성을 높이고, 양호한 미배향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부재와 냉각드럼 사이에 수평으로 걸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필름에 정전하를 부여하는 이른바 정전인가 주조법이나, 냉각드럼과 필름 사이에 물을 개재시켜,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밀착성을 높이는 방법, 또는 이들 2개의 방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타입의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동시이축연신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연신장치로 상기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축차이축연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신을 동시이축연신으로 완료하면, 파단발생의 한계직전까지 연신하여도 강도의 향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동시이축연신 후에, 다시 동시이축연신을 하고, 동일한 파단발생의 한계직전까지 연신하여도 강도의 향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동시이축연신 후의 연신을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 중 어느 한 축방향으로 한정하면, 그 연신방향으로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지만, 그 연신방향과 직각방향의 강도는 크게 저하한다. 또 축차이축연신에 이어지는 동시이차연신을 하면, 특히 필름단부의 배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동시이축연신의 도중에, 필름단부로부터의 파단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축차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을 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강도의 향상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의 물성의 조정이 곤란하여, 목적으로 하는 물성의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하고, 또 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수율을 상승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의 연신온도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 Tg+5℃이상, Tg+40℃이하의 온도(T1)가 바람직하다. 연신온도가 (Tg+5℃)보다 낮으면 연신의 도중에서 파단되거나, 동시이축연신 후의 연신에서 파단되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역으로, 연신온도가 (Tg+40℃)보다도 높으면 이른바 유동연신으로 되어 버려 두께불균일이 악화되거나, 유효한 배향을 부여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동시이축연신의 연신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이상,(Tg+35℃)이하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g+15℃)이상, (Tg+30℃)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의 연신배율은,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2.0배이상 4.0배이하가 바람직하다. 연신배율이 2.0배보다도 작으면, 필름에 유효한 배향이 부여되지 않고, 강도가 높은 필름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역으로, 연신배율이 4.0배보다도 크면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에서 파단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동시이축연신의 연신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2배이상 3.8배이하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배이상 3.5배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에서, 첫번째의 일축연신의 연신온도(T2)는, (T1+30℃)이상, (Tm-30℃)이하 (여기에서, Tm은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임)가 바람직하다. 연신온도(T2)가 (T1+30℃)보다도 낮으면 열량부족으로 파단이 발생하기 쉽고, 역으로 T2가 (Tm-30℃)보다도 높으면 열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두께불균일이 악화되거나, 파단이 발생하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T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T1+40℃)이상, (Tm-40℃)이하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1+50℃)이상, (Tm-50℃)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에서, 첫번째의 일축연신의 연신배율은 1.05배 이상 2.0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연신배율이 1.05배보다도 작으면 강도의 향상이 적고, 역으로 연신배율이 2.0배보다도 크면 첫번째의 일축연신이나 그 일축연신에 이어 두번째의 직각방향의 일축연신에서 파단이 발생하기 쉽게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첫번째의 일축연신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배이상 1.9배이하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배이상 1.8배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에서, 일축연신에 이어 직각방향의 두번째의 일축연신의 연신온도(T3)는, T2이상(Tm-20℃)가 바람직하다. 연신온도(T3)가 T2보다도 낮으면 열량부족으로 파단이 발생하기 쉽고, 역으로 T3이 (Tm-20℃)보다도 높으면 열결정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두께불균일이 악화되거나 파단이 발생하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T3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T2+10℃)이상, (Tm-30℃)이하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2+20℃)이상, (Tm-40℃)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에서, 일축연신에 이어 직각방향의 두번째의 일축연신의 연신배율은 1.05배이상 2.0배이하가 바람직하다. 연신배율이 1.05배보다도 작으면 강도의 향상이 적고, 역으로 연신배율이 2.0배보다도 크면 파단이 발생하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두번째의 일축연신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배이상 1.9배이하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배이상 1.8배이하의 범위이다.
축차이축연신 후는, T3이상 (Tm-10℃)이하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온도가 T3보다도 낮으면 연신으로 생기는 응력이 완전히 완화되지 않아, 열수치 안정이 열화한 필름으로 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역으로 열처리온도가 (Tm-10℃)보다도 높으면 강도의 저하가 커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용융하여 파단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열처리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T3+10℃)이상, (Tm-20℃)이하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3+20℃)이상, (Tm-30℃)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동시이축연신은,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고, 클립의 간극을 벌림으로써,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타입의 연신장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은, 동시이축연신과 동일한 장치내에서 할 필요가 있다.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 후에 행하는 열처리는, 클립 간극이 가변인 타입의 연신장치, 클립간극이 변화하지 않는 타입의 연신장치 및 가열롤군 중 어느 하나로 행하여도 좋다. 또한, 열처리 후의 냉각공정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완화처리를 하고, 필름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의 열수치안정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클립간극이 변화하지 않는 타입의 연신장치로는, 필름의 길이방향의 완화처리가 불가능하고, 가열롤군으로는, 과도하게 길이방향의 완화처리를 하면 필름의 사행 등의 부도합이 있기 때문에,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의 양방으로 효율 좋게 완화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클립의 간극이 가변인 타입의 연신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화처리는 길이방향, 폭방향으로도 0%이상 10%이하로 하는 것이, 양호한 평면성의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 또 열처리는 도중에서 클립의 파지를 해방하는 일 없이, 1대의 연신장치내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공정도 간소하게 되고, 또 파단 등의 트러블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시이축연신 후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은,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첫번째로 행하여도 좋지만, 먼저 첫번째로서 폭방향으로 연신을 하고, 그 다음에 두번째로서 길이방향의 연신을 하는 것이, 파단 등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길이방향,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또 길이방향, 폭방향이 취할 수 있는 물성범위도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1대의 클립 간극이 가변인 타입의 연신장치내에서,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을 하는 경우, 클립간극이 좁고, 단위길이당 클립의 수가 많은 내부로, 폭방향의 연신을 행하는 편이, 클립근방의 과도한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서 파단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과 열처리 사이에, 축차이축연신의 두번째의 연신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미연신을 하여, 필름 길이방향, 폭방향의 물성조성을 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이 미연신은 (T3+10℃)이상 (Tm-10℃)이하의 온도로 1.01배이상 1.2배이하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파단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폭방향의 영률은 5.0GPa이상,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영률의 합은 12.0GPa이상인 경우에, 길이방향,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 필름을 파단없이 얻을 수 있다는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현저해 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0.3㎛이상 10㎛이하이고, 특히 얇은 필름의 경우, 파단없이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는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현저해 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물성값의 평가방법 및 효과의 평가방법>
(1) 유리전이온도 Tg, 융점 Tm
시차주사열량계로서 세이코 덴시고교(주) 제품 DSC (RDSC220), 데이터 해석장치로서 동사 제품 디스크스테이션 (SSC/5200)을 사용하여, 샘플 약 5mg을 알루미늄제 받침접시상에서 300℃에서 5분간 용융지지하고, 액체질소로 급냉 고화한 후, 실온부터 승온속도 20℃/분으로 승온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흡ㆍ발열 곡선의 유리전이온도를 표시하는 곡선의 단차가 나타나는 온도를 Tg, 융점을 표시하는 융해피크의 온도를 Tm이라 하였다.
(2) 고유점도
오르토클로로페놀 중, 25℃에서, 0.1mg/ml 농도로 측정한 값이다. 단위는 dl/g로 표시한다.
(3) 복굴절
편광현미경(광원: 나트륨램프)으로, Berek 간섭법으로부터 억제도를 구하여 산출하였다.
(4) 영률
JIS-Z1702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인스트론형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25℃, 65%RH에서 측정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유리전이온도 Tg가 78℃, 융점 Tm이 255℃, 고유점도가 0.62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펠릿을 180℃, 진공중에서 4시간 건조후, 압출기에 공급하여 280℃에서 용융하고, 필터를 통과시킨 후, T다이로 압출시켜, 표면온도 25℃의 냉각드럼에 정전인가법으로 밀착 고화시켜, 두께 100㎛, 폭 95mm의 주조필름을 얻었다. 이 주조필름의 복굴절은 0.001이고, 실질적으로 미배향이었다.
이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95mm로 잘라내어, 길이방향, 폭방향 모두 95mm의 정사각형으로 한 후, 도요세이키(주) 제품 이차연신시험장치(표준형)을 사용하여 95℃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각각 3.0배 동시이축연신한 후, 150℃에서 폭방향으로 1.6배 일축연신하고, 이어서 180℃에서 길이방향으로 1.5배 일축연신하고, 210℃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영률은, 길이방향이 6.5GPa, 폭방향이 6.5GPa로,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균형있는 강도가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주조필름, 이축연신시험장치를 사용하여, 95℃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각각 3.0배 동시이축연신한 후, 150℃에서 폭방향으로 1.8배 일축연신하고, 이어서 180℃에서 길이방향으로 1.2배 일축연신하고, 210℃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영률은, 길이방향이 5.5GPa, 폭방향이 8.0GPa으로, 특히 폭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주조필름, 이축연신시험장치를 사용하여, 95℃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각각 3.0배 동시이축연신한 후, 150℃에서 길이방향으로 1.8배 일축연신하고, 이어서 180℃에서 폭방향으로 1.2배 일축연신하고, 210℃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영률은, 길이방향이 8.0GPa, 폭방향이 5.5GPa으로, 특히 길이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졌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주조필름, 이축연신시험장치를 사용하여, 95℃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각각 3.0배 동시이축연신한 후, 150℃에서 길이방향으로 1.8배 일축연신하고, 이어서 180℃에서 폭방향으로 1.2배 일축연신하고, 또 길이방향으로 1.1배 일축연신하고, 210℃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영률은, 길이방향이 9.0GPa, 폭방향이 5.3GPa으로, 특히 길이방향으로 강도가 향상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졌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주조필름을, 이축연신시험장치를 사용하여, 95℃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각각 4.5배 동시이축연신한 후, 210℃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영률은, 길이방향이 4.5GPa, 폭방향이 4.5GPa으로, 강도의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주조필름, 이축연신시험장치를 사용하여, 95℃에서,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각각 4.6배 동시이축연신하였지만, 필름파단이 발생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그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동시이축연신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연신장치로 상기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축차이축연신하는 것으로, 파단 등의 트러블이 없이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보유한 두께가 얇은 필름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타입의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동시이축연신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연신장치로, 상기 필름의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축차이축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동시이축연신에 이어지는 축차이축연신의 두번째 연신이, 첫번째 연신과 직각방향으로 1.05배이상, 2.0배이하의 배율로 일축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시이축연신후, 먼저 축방향으로 연신을 하고, 그 다음에 길이방향으로 연신하여 축차이축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시이축연신을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 Tg+5℃이상, Tg+40℃이하의 온도(T1)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2.0배이상, 4배이하의 배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방향,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타입의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 Tg+5℃이상, Tg+40℃이하의 온도(T1)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양방향으로 2.0배이상, 4.0배이하의 배율로 동시이축연신하고, 그 다음에 동일한 연신장치로 필름의 폭방향으로(T1+30℃)이상,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Tm-30℃의 온도(T2)로, 1.05배이상, 2.0배이하의 배율로 일축연신하고, 그 다음에 길이방향으로 T2이상, (Tm-20℃)의 온도(T3)로, 1.05배이상, 2.0배이하의 배율로 일축연신하고, 그 후, T3이상, (Tm-10℃)이하의 온도로 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축방향의 영률이 5.0GPa이상,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영률의 합이 12.0GPa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가 0.3㎛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17012392A 2000-02-03 2001-02-02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10110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6628A JP2001212877A (ja) 2000-02-03 2000-02-03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JP-P-2000-00026628 2000-02-03
PCT/JP2001/000730 WO2001056770A1 (fr) 2000-02-03 2001-02-02 Procede de production d'un film polyester oriente bi-axialement et film polyester oriente bi-axia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718A true KR20010110718A (ko) 2001-12-13

Family

ID=1855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392A KR20010110718A (ko) 2000-02-03 2001-02-02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85865B2 (ko)
EP (1) EP1207035A1 (ko)
JP (1) JP2001212877A (ko)
KR (1) KR20010110718A (ko)
CN (1) CN1365313A (ko)
WO (1) WO20010567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95B1 (ko) * 2001-12-19 2008-05-1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콘덴서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7927B2 (en) * 2002-06-26 2006-12-12 Eastman Chemical Company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laminates thereof with copper
JP4341555B2 (ja) * 2002-09-10 2009-10-07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BRPI0413106A (pt) * 2003-07-30 2006-10-03 Cryovac Inc filme de alto módulo orientado de múltiplas camadas
US7524920B2 (en) 2004-12-16 2009-04-28 Eastman Chemical Company Biaxially oriented copolyester film and laminates thereof
KR101260718B1 (ko) * 2005-06-09 2013-05-0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4946356B2 (ja) * 2006-10-31 2012-06-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長尺の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
DE102009021712A1 (de) * 2009-05-18 2010-11-2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ier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n mit verbesserten Hafteigenschaften, Rückseitenlaminate für Solarmodule und Solarmodule
CA2824959C (en) * 2011-01-25 2018-06-26 Sk Chemicals Co., Ltd. Polylactic acid resin film
JP5512759B2 (ja) * 2011-09-16 2014-06-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2軸延伸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FR3026112B1 (fr) * 2014-09-22 2017-06-23 Andritz Asselin Thibeau Installation de consolidation, notamment par aiguilletage, d'une nappe de fibr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3369A (en) * 1975-05-16 1976-11-19 Toray Industries Manufacturing of two dumensional elongation films
JPS5522915A (en) * 1978-08-07 1980-02-19 Toray Ind Inc Manufacture of polyester film
JP2856283B2 (ja) * 1989-06-02 1999-02-10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271437A (ja) * 1992-03-24 1993-10-19 Diafoil Co Ltd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MY127653A (en) * 1996-05-16 2006-12-29 Toray Industries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for forming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film
CA2199334C (en) * 1996-09-09 2006-04-18 Kohzo Takahashi A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metallic sheets
SG76565A1 (en) * 1997-10-14 2000-11-21 Toray Industries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s and their production methods
JP2000025107A (ja) * 1998-05-08 2000-01-25 Toray Ind Inc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95B1 (ko) * 2001-12-19 2008-05-1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콘덴서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7035A1 (en) 2002-05-22
US20020155268A1 (en) 2002-10-24
WO2001056770A1 (fr) 2001-08-09
CN1365313A (zh) 2002-08-21
US6685865B2 (en) 2004-02-03
JP2001212877A (ja)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1643A1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H0743445B2 (ja) 偏光板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ト一軸高配向フイルム
JPH0733064B2 (ja) ポリエステル系収縮フィルム
KR20160026846A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S62135338A (ja) 液晶パネル基板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ト一軸高配向フイルム
JP4644916B2 (ja) 偏光フィルム貼り合わせ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1197976A1 (en) Polyester film for heat-resistant capacitor, metallized film thereof, and heat-resistant film capacitor containing the same
KR20010110718A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50048704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2002003622A (ja) 離型フィルム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329078A (ja) 離型フィルム
JP5136271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363897B2 (ja) 一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24955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0158241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4565800B2 (ja) 二軸配向フィルム
JPH0832498B2 (ja) 転写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00070954A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7095211B2 (ja) 光学用高透明フィルム
JP2000178367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13569A (ja) 縦1軸延伸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0157175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KR0157176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2102251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3582677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