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395A -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395A
KR20010109395A KR1020000029479A KR20000029479A KR20010109395A KR 20010109395 A KR20010109395 A KR 20010109395A KR 1020000029479 A KR1020000029479 A KR 1020000029479A KR 20000029479 A KR20000029479 A KR 20000029479A KR 20010109395 A KR20010109395 A KR 20010109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tyrene
polycarbonat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088B1 (ko
Inventor
이시춘
박오옥
Original Assignee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복현
Priority to KR102000002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088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30∼95 중량; (B) 폴리스티렌계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5∼70 중량; (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of Polycarbonate and Polystyrene Blend}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RPS)의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상용화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비스 페놀A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는 우수한 투명성과 내충격성, 내열 특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 컴팩트 디스크, 압출 쉬트 및 필림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PC는 두께에 따라 충격강도가 크게 변화하고, 노치의 날카로움 정도에 따라 충격강도가 민감하게 변하며, 내화학성이 취약하여 구조재로서 사용에 약점을 지니고 있다.
미국특허 제3,239,582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주로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다엔 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수지와 블렌드하는 알로이를 개시하고 있다. PC/ABS 블렌드는 기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우수한 성질과 함께 저온 내충격성, 내화학성과 두께 의존성 등의 단점을 개선한 알로이로서 전기전자 제품과 자동차 내장재 등의 수지로 널리 사용된다.
한편 PC/PS 알로이는 오래 전에 개발되었으나 시장에 크게 전개되지 못하였다. 이것은 PC/ABS 알로이에 비하여 가격이나 물성상 뚜렷한 장점이 없는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최근 전자 제품 케이스의 박육화(Thin wall)와 환경 친화적인 수지 개발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크다. 이러한 시장의 추세에 따라 높은 유동성을 가지며 기존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PC/PS 알로이가 개발되어 기존의 PC/ABS 알로이와 경쟁하고 있다(Modern Plastics, Feb. 22, 1998).
PC/PS 알로이 제품화를 위한 주요 기술은 상용화와 충격보강 기술이다. PC/PS 알로이는 기본적으로 비상용계 블렌드로 용융상에서 상분리(Phase separation)와 상합체(coalescence)현상을 일으키며 고체상에서 기계적인 물성 저하와 더불어 사출성형시 박리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을 위해 상용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적절한 충격보강재의 사용을 통하여 물성 발란스가 양호한 알로이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특개평 제8-239564호 및 제9-2395650호(Idemitsu Chemical사)에서는 상용화제로 코아 쉘(core and shell) 타이프의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MBS)과 충격보강재를 사용하여 인계난연제가 첨가된 PC/PS 알로이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 일본 특개평 제8-319387호에서는 전기화학에서도 이와 같이 MBS를 상용화제로 사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3,809,729호(General Electric (GE))에서는 PC/HIPS (High impact polystyrene)에서는 카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PC와 옥사졸린기를 포함하는 PS( oxazoline containing Polystyrene: RPS)를 사용하여 상용화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788,238호(Bayer)에서는 PC와 상용성이 양호한 SMA를 PC/PS 알로이의 상용화제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본 특개평 제8-92474호(Asahi Chemical 사)에서는 PC/HIPS 블렌드의 상용성 향상을 위하여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AN)의 함량이 낮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tyrene Acrylonitile copolymer: SAN)를 사용하는데, 여기에 인계 난연제를 첨가할 경우 이 난연제와의 높은 상용성에 의하여 알로이의 충격강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난연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PC/PS 알로이에 대한 상용화 기술에 대한 특허가 많이 출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용화 방법에는 제3성분의 상용화제를 첨가시키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제3성분으로는 주로 이들 두 성분의 공중합체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반응성기를 가지는 성분이 있을 때 상기 반응성기가 가공시 반응을 통하여 상용화되는 반응 상용화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PC/PS 알로이화를 위해서 3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PC/PS 공중합체 (PolycarbonatePolystyrene block copolymer)는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지 않으며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상용화를 위해서는 PC와 PS 각 상에 반응기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PC의 경우 말단에 반응성기를 가지는 PC 수지는 상업화 되어있지 않으며 특히 산무수기(maleic anhydride: MA)를 가지는 경우나 카르복실산기(carboxylic acid)를 말단에 가지는 PC는 이들 말단기와 메인 체인의 카보네이트기와 반응하여 PC수지를 분해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런데 PC 메인 체인의 카보네이트기는 에스테르기, 아민기 및 에폭기와 매우 빨리 반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융상에서 에스테르기를 가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hylene terephthalate: PBT)등의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쉽게 반응하여 랜덤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아민이나 에폭시기 또한 PC 메인 체인의 카보네이트기와 반응하여 분해되거나 공중합체를 형성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PC/styrenics (PC/PS 또는 PC/ABS 알로이의 통칭) 알로이의 상용화의 연구 방향은 PC의 메인 체인과의 반응을 이용하여 상용화시키는 방법이 크게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 Wildes등(Polymer, 40, 3069, 1999)은 ABS 상에 2차 아민기를 도입하고 PC/ABS 용융 블렌드를 할 경우 아민과 카보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하여 공중합체가 생성되고 상용화가 가능한 것을 보였다.
한편 폴리스티렌 상에 반응성기를 도입하는 수지의 경우는 에폭시기를 도입한 폴리스티렌 그라프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Polystyrene glycidylmethacrylate: PS-g-GMA), MA기를 도입한 스티렌 말레이 하이드라이드 공중합체(Styrene maleic anhydride copolymer: SMA) 또는 MA가 그라프트된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 SBS-g-MA),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PS(Oxazoline containing Polystyrene, Reactive Polystyrene: RPS)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한편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고분자를 이용한 반응 상용화에 대해서는 Baker등에 의하여 많이 연구되었다.(Polymer Eng. Sci., 27, 1634, 1987) 옥사졸린 반응기를 이용하여 고분자 블렌드의 상용화에 이용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블렌드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특허가 많이 출원되었다. 일반적으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C, 폴리페닐렌 에테르(Polyphenylene ether: PPE), 폴리아미드(Polyamide: PA), Polyethylene(PE), Polypropylene(PP)등에 사용되었다. 일본 특허 제05,098,103호에서는 PBT/HIPS 블렌드에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PS(RPS)를 첨가하여 상용화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RPS는 HIPS와 상용성을 가지므로 PS상에 존재하며 옥사졸린기는 PBT 말단기의 산기와 반응하여 공중합체를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용융 블렌드시 이들의 반응으로 공중합체가 형성되며 이들로서 상용화된 블렌드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PBT와 RPS의 반응을 이용하여 PBT/RPS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다시 PC/PS 블렌드에 첨가시켜, PBT가 PC와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공중합체를 형성하여 PC/PS 블렌드를 상용화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PC/PS블렌드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용성계인 PC/PS 알로이를 상용화한 PC/PS 블렌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PC/PS 블렌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은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C)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D)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의 이용은 본 발명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적당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 하에서 디히드릭페놀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릭페놀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교환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가지 달린(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히드릭 페놀은 비스페놀류가 바람직하며, 비스페놀 A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비스페놀 A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디히드릭페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밖에 디히드릭 페놀로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그리고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같은 할로겐화 비스페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는 단일중합체(homopolymer), 공중합체(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형태가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며, 상기 가지 달린 폴리카보네이트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히드록시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히드릭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나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400,000 이 바람직하다.
(B)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괴상중합이나 현탁중합 또는 용액중합시켜 제조한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파라 메틸스티렌, α-메틸 스티렌, 4-N-프로필 스티렌을 포함하며 그 중 스티렌과 α-메틸스티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무 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를 고무에 그라프트 반응시켜 보강한 것이다. 고무 변성 폴리스티렌 중합체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1,3-헵타디엔, 메틸-1,3-펜타디엔, 2,3-디메틸-1,3 부타디엔, 2-에틸-1,4-펜타디엔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타디엔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스티렌 또는 고무 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현탁, 유화 및 연속 중합 방법으로 만들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 내지 400,00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무 변성 폴리스티렌의 고무함량은 5 내지 15 중량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기초수지는 (A) 폴리카보네이트 30 내지 95 중량와 (B) 폴리스티렌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5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다.
(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
(C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의 이용은 본 발명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여러 회사에서 다양한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테레프탈릭 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테트라 메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나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 인 것이 좋다. 이때 부탄디올 대신에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을 사용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되며, 상기 PBT외에도 카르복실기를 말단기로 갖는 PET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PBT 수지는 단일중합체이거나 두 종류 이상의 디올을 사용한 공중합체 또는 그러한 수지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C2)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
본 발명에 사용된 옥사졸린 관능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 수지의 제조 방법은 유럽 특허 제0146,965호에 소개되어 있으며, 스티렌 단량체와 사이클릭 이미노 에테르기(Cyclic imino ether group)를 갖는 비닐기와의 공중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이클릭 이미노 에테르기로는 주로 옥사졸린기가 사용된다. 옥사졸린의 함량이 너무 높을 경우는 가공시 옥사졸린 상호간의 반응에 의하여 경화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옥사졸린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 내지300,000 사이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C)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는 (C1)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5 내지 95 중량와 (C2)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 95 내지 5 중량를 믹서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혼합하여 제조하며 (A)+(B)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부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폴리스티렌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C1)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C2)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 수지 모두를 미리 파우더 상태에서 섞고, 압출기에 용융 혼합 시켜 제조하거나, (A)폴리카보네이트/(C1)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를 먼저 만들고 이어서 (B)폴리스티렌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C2)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 블렌드를 만든 후 이들을 다시 블렌드 하여 상용화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스티렌 블렌드를 제조할 수도 있으며, (C1)폴리부틸렌과 (C2)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을 먼저 용융 혼합하여 (C)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를 만든 다음, (A),(B)와 블렌드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난연제, 난연조제, 무기물 첨가제, 광안정제, 가소제, 안료, 염료, 활제, 이형제, 충진제 및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폴리스티렌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C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C2) RPS 수지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 형으로 일본 Teijin사의 Panlite L-1250W를 사용하였다.
(B) 폴리스티렌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실험에서 사용한 폴리스티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30,000인 제일모직의 HF 2660를 사용하였고, 고무 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HIPS는 부타디엔의 함량이 9정도인 HR 1360를 사용하였다.
(C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대한민국의 (주)SK Chemical의 Skyton 1100C이다. PBT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에 75,000정도 되는 PBT수지가 사용되었다. 말단의 카르복실산의 함량은 1.5 mol /106g 이다.
(C2) RPS 수지
RPS 수지의 분자량은 일본 촉매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70,000 정도인 RPS 1005 수지가 사용되었으며, RPS 수지 중 옥사졸린기의 함량은 5 중량이다.
충격강도 실험
블렌드는 SM사의 직경 45mm 이축 동 방향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가공온도는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가 250℃ 정도에서 설정하여 운전하였고, 스크류 스피드가 200 내지 400 RPM, 토출량이 30 내지 120Kg/시간으로 운전하였다. 가공 방법은 구성하는 먼저 PBT 수지와 RPS 수지를 넣고 압출하여 PBT/RPS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PBT 말단기의 카르복실기와 RPS의 옥사졸린기는 반응하여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반응하여 제조된 블렌드는 아주 미세한 모폴로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비상용계 블렌드이므로, 이들의 반응은 주로 계면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남아 있는 반응성기도 상당히 존재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상당수는 반응에 참여하였고 아주 미세한 블렌드의 모폴로지에 기여하게 된다. 이때 공중합체는 계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들은 PC/PS 블렌드의 상용화제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펠렛을 만든 후에 이들을 PC/PS 블렌드의 제조시 상용화제로 첨가하였다. 블렌드를 압출기에서 제조한 후 사출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사출 금형은 ASTM 패밀리 몰드로 사출온도 250℃ 전후에서 가공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스티렌 수지가 70/30 블렌드된 수지에 기 제조한 PBT/RPS 공중합체를 첨가할 때의 충격강도의 변화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3은 PBT/RPS 공중합체를 첨가한 경우이고, 비교실시예 1은 PBT/RPS 공중합체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이다.
단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성분 폴리카보네이트(A) 중량 70 70 70 70
HIPS 수지(B) 중량 30 30 30 30
PBT/RPS 공중합체 중량부(phr) 0 2.5 5 10
충격강도 1/8"kg·cm/cm 6.2 12.5 14.7 9
1/4"kg·cm/cm 2 3.2 4 3.8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8"인 노치 충격강도의 경우는 PBT/RPS 공중합체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는 6.2 kg·cm/cm 정도이었으나, 상기 공중합체를 2.5 중량부를 첨가하였을 때, 12 kg·cm/cm 정도로 충격강도가 상승함을 볼 수 있다. 1/4"충격 강도의 경우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인장강도 실험
PBT/RPS를 Haake batch 믹서에서 먼저 제조한 후, 이를 PC/PS 블렌드의 상용화제로 함량을 달리하며 첨가하였다. 제조 조건은 250℃ 50 RPM에서 10분 동안 용융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PBT/RPS 공중합체는 분산상의 크기가100 나노미트 정도로 상당히 미세한 모폴로지를 보였다. 이는 용융 블렌드를 통하여 공중합체가 제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PBT/RPS 공중합체를 PC/PS 블렌드의 상용화제로 첨가하였다. 용융 블렌드시 조건은 위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제조한 블렌드를 소형 몰드에서 압축 성형하였으며, 이것을 일정한 모형을 가지는 틀을 이용하여 게이지 길이 40mm, 폭 10mm와 두께 1mm를 갖는 인장강도 시편을 제조하였다. 인장강도 시편을 인장시험기로 1mm/min의 속도로 실험하였다. PBT/RPS 공중합체의 함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 비교예2 실시에4 실시예5 실시예6
성분 폴리카보네이트(A) 중량 70 70 70 70
PS 수지(B) 중량 30 30 30 30
PBT/RPS 공중합체 중량부(phr) 0 2.5 5 10
인장강도 kg·cm/cm2 405 432 437 495
신율 1.0 1.3 1.4 1.5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비상용성계인 PC/PS 알로이를 PBT/RPS로 상용화하여 PBT가 PC와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상분리나 상합체 현상과 사출성형시 박리현상을 방지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30∼95 중량; 및
    (B) 폴리스티렌계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5∼70 중량;로 구성되는 기초수지 100중량부;
    (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 2 내지 20 중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 범위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기본으로 하는 분자량 측정 방법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400,000사이를 갖는 비스 페놀 A타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 또는 고무 변성 폴리스티렌 수지는 현탁, 유화 및 연속 중합 방법으로 만들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 내지 400,00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는 믹서 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상태에서 제조되며,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은 5 내지 95 중량범위를 갖고 상기 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의 함량은 95 내지 5 중량의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이고 카르복실기를 말단기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 대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의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내지 300,000이고 옥사졸린기의 함량이 0.5중량내지 10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8. (a) 상기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폴리스티렌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C1)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C2)옥사졸린기 함유 폴리스티렌 수지 모두를 미리 파우더 상태에서 섞고; 그리고
    (b) 압출기에 용융 혼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화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9. (a) (A)폴리카보네이트/(C1)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를 제조하고;
    (b) (B)폴리스티렌 또는 고무변성 폴리스티렌/(C2)옥사졸린 함유 폴리스티렌 블렌드를 제조하고; 그리고
    (c) 상기 PC/PBT 블렌드와 상기 PS/RPS 블렌드를 다시 블렌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화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난연제, 난연조제, 무기물 첨가제, 광안정제, 가소제, 안료, 염료, 활제, 이형제, 충진제 및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1020000029479A 2000-05-31 2000-05-31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100604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79A KR100604088B1 (ko) 2000-05-31 2000-05-31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79A KR100604088B1 (ko) 2000-05-31 2000-05-31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95A true KR20010109395A (ko) 2001-12-10
KR100604088B1 KR100604088B1 (ko) 2006-07-25

Family

ID=4174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479A KR100604088B1 (ko) 2000-05-31 2000-05-31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535B1 (ko) * 2004-10-27 2006-02-21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79B2 (ja) * 1989-08-17 1995-03-22 住友ダ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50003383A (ko) * 1993-07-14 1995-02-16 최근선 열안정성과 내광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535B1 (ko) * 2004-10-27 2006-02-21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088B1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50734A1 (ja) 天然ゴム含有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607364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EP2970648A1 (en) Polym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JP613364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WO201913222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4152223A1 (en) Polymer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EP3562884B1 (de) Zusammensetzung und thermoplastische formmasse mit guter kerbschlagzähigkeit und verbesserter schmelzestabilität
KR20200088910A (ko) 충전제 분산을 위한 가공 보조제 및 이의 용도
US20230392007A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High Heat Resistance an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Shaped Article Therefore
CN117157359A (zh) 用于生产半透明热塑性聚碳酸酯/聚甲基丙烯酸甲酯模塑料的组合物和方法
EP0436186B1 (de) Wärmeformbeständige, gut verarbeitbare und thermostabile Polycarbonat-Formmassen
KR100604088B1 (ko)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스티렌 블렌드 수지 조성물
JPH01282240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スチレンターポリマー、及びabs樹脂のポリマーブレンド
KR1998002616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50792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10088202B (zh) 具有降低的光泽和良好的耐化学品性的组合物和热塑性模塑料
EP3562882B1 (de) Zusammensetzung und thermoplastische formmasse mit guter tieftemperaturzähigkeit, hohem glanzgrad und hoher verarbeitungsstabilität
JPS58117247A (ja) 樹脂組成物
AU2017100888A4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JPH01163242A (ja) 組成物
JPS63196642A (ja) 改良された耐薬品性の特性が付与されたビニル芳香族重合体をベースとするブレンド
EP4101895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same
JP3320588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Patel Effect of the different acrylonitrile cont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C+ SAN< blends
WO2022253628A1 (en)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