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898A -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898A
KR20010107898A KR1020010070724A KR20010070724A KR20010107898A KR 20010107898 A KR20010107898 A KR 20010107898A KR 1020010070724 A KR1020010070724 A KR 1020010070724A KR 20010070724 A KR20010070724 A KR 20010070724A KR 20010107898 A KR20010107898 A KR 2001010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iece
dimensional
forming
sequ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01007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898A/ko
Publication of KR2001010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89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44C3/025Superimposing layers to produce ornamental relief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34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장식편을 제조함에 있어, 금속 장식편의 박판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입체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장식 패턴을 가진 평면상의 금속 장식편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 금속 장식편의 중심부가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하여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etallic fancy piece of cubic effect}
본 발명은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면 장식편에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악세사리 및 부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금속 장식편은 그 광택으로 말미암아 고품위가 유지되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도 내구성이 보장되어 최근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 장식편은 스티커로 제작하여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켜 사용하기도 하며, 장식편을 직접 원하는 위치에 형성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금속 장식편들은 전기 도금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평면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는 2차원적인 효과만을 줄 수 있는 시각효과의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장식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심미적 효과, 곧 장식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야 하며, 단지 2차원적인 평면적 효과만으로는 심미적 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평면상의 금속 장식편의 한계를 해결하려는 노력 중의 하나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61-20979호에 개시된 방법과 같이, 전기도금의 방법에 의해 금속 전착층을 형성시켜 금속 장식편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금의 시간을 보다 길게 하여 도금층이 금형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이에 의해 도금 중심층이 도금 테두리부보다 두껍게 도금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는 단지 도금시간을 길게 하여 도금층을 두껍게 형성하는 것으로 입체감을 살리고자 하였으나, 이렇게 하여 도금층이 두껍게 형성되면, 다소 둔탁한 느낌을 주게 되고, 박판형의 금속 장식편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어울리지 않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 장식편의 박판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입체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에 요철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금형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도금의 방법으로 금속 전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금속 전착층을 박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금속 전착층으로부터 보호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 장식편의 표면을 샌딩처리하는 상태 및 호닝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 장식편의 중심부가 부풀어 오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부풀어 오른 금속 장식편의 외면에 도금층을 더 형성시킨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금속 장식편에 스티커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프레스 성형한 금속 장식편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금속 장식편의 하면에 고정편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금속 장식편에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처리를 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금속 장식편의 외면에 도금층을 더 형성시킨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금속 장식편을 소정 위치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20: 요철
30: 감광막 32: 필름
34: 금형 40: 도금욕조
42: 니켈 전극 50,50': 금속 전착층
54,54': 표면 도금층 56: 고정편
60: 보호 테이프 90: 샌딩기
94: 숫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장식 패턴을 가진 평면상의 금속 장식편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 금속 장식편의 중심부가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하여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한 후에는 상기 금속 장식편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한 후에는 상기 부풀어 오른 금속 장식편의 상면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한 후,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제 상면으로 이형지를 부착하여 스티커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금속 장식편의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금속 장식편의 후면에 소정 크기의 고정편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금속 장식편의 중심부가 부풀어 오르도록 하는 것은 그 외표면을 호닝 또는 샌딩 등의 방법에 의해 마찰을 가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 장식편을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평면상의 금속 장식편을 제조한 다음, 여기에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처리를 하는 단계로 구비된다.
소정의 장식패턴을 갖는 평면상의 금속 장식편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도금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되는 금속 장식편은 다양한 종류의 금속이 모두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 일 실시예로서 니켈로 형성되는 금속 장식편에 대해 설명하나, 그 외 도금 가능한 어떠한 금속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도전성 금속기판인 스텐레스 판(10)을 준비한 다음, 도금에 따른 전착층이 형성될 면 상에 미세한 요철(凹凸: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요철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텐레스 판(10)의 표면에 에머리(emery)나 용융알루미나와 같은 연마재를 뿌린 후 금속 브러쉬, 바람직하게는 황동 브러쉬로 문질러서 형성한다.
이렇게 도금을 행할 모재의 표면에 요철(20)을 형성하는 것은 후속 공정인전기도금에 의한 금속 전착층의 형성 시, 스트라이크 형성 공정 없이도 도금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금에 의해 전착된 금속을 모재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도 더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기판(10) 표면에 요철(20)을 형성시킨 다음 이를 세척 및 건조하고, 도 2a와 같이, 기판(10) 상에 감광성 조성물을 소정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시켜 감광막(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감광막(30) 상으로 소정의 장식 패턴을 가진 필름(32)을 부착하여 노광, 현상한다. 상기 필름(32)은 패턴이 형성된 흑백 필름으로 할 수 있으며, 도 2a와 같이 도안이 도시된 검은 부분(32b)과 도안이 도시되지 않은 투명한 부분(32a)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노광은 이렇게 필름(32)이 부착된 상태에서 자외선과 같은 강한 빛을 조사하여, 빛이 투과되는 부분의 감광막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필름(32)의 도안이 도시되지 않은 투명한 부분(32a)은 빛이 투과되어 경화되고, 도안이 도시된 검은 부분(32b)은 빛이 투과되지 않아 감광막의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이렇게 노광이 끝난 후에는 물이나 용제로 씻어 주어, 감광막(30)의 경화되지 않은 부분, 곧 필름(32)의 도안이 도시된 검은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 씻겨 나가도록 한다. 그러면, 도 2b와 같이, 도안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이 오목한 부분(34b)으로 형성된 금형(34)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금형(34)에 있어서도 상기 감광막이 굳어져 형성된 틀 부위(34a)는 비록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켰다 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착물이 떨어질 때 무너질 수 있으므로 열처리에 의해 더욱 견고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금형(34)을 이용하여 도 3a와 같이 전기도금의 방법으로 금형(34)의 오목한 부분에 금속 전착층을 형성한다.
곧, 도 3a와 같이, 도금조(40)에 도금욕을 넣고, (+)극에는 니켈판(42)을, (-)극에는 금형(34)이 형성된 스텐레스 기판(10)을 연결하고 도금욕에 침적하여 전기 도금을 행한다. 이 때, 도금이 이루어지는 스텐레스 기판(10)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미리 스트라이크 형성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도금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다. 물론, 기판(10)의 요철은 도금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전착되는 금속의 표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외관상으로도 매끄러운 금속 전착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요철이 형성된 기판(10)에서 전착된 도금층은 요철면과 맞닿은 부분이 광택이 저하될 수 있으나, 이는 접착될 면이므로 광택을 요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스텐레스 기판(10) 상에 요철(20)을 형성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본격적인 도금을 수행하기 전에 니켈 스트라이크 형성공정을 거쳐 도금 친화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으면 전착층의 박리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박리용 피막층을 미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도금을 행하는 시간은 도금조의 상태 및 사용하는 전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금형에 형성된 금속 전착층의 높이는 금형의 오목한 부분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되도록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후속 공정으로 입체감을 살리는 공정에서 그 효과를 보다 높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전착층(50)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때에는 이를 박리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는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금속 전착층(50)을 형성한 후에는 이를 도금욕에서 꺼내 세척, 건조시킨 후 금속 전착층(50)이 형성된 금형(34)의 상면으로 도 4a와 같이 보호 테이프(60)를 부착하고, 이 보호 테이프(60)에 금속 전착층(50)이 부착된 상태로 금형(34)에서 떼어낸다. 이 때, 금속 전착층(50)은 기판(10)의 요철(20)이 형성된 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금속 전착층(50)을 금형(34)으로부터 분리해 내기에 용이하게 된다. 곧, 상술한 바와 같이 박리용 피막의 형성없이도 금속 전착층(50)의 박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금형으로부터 박리한 금속 전착층(50), 곧 금속 장식편(이하, 금속 전착층을 금속 장식편이라 한다)은 다시 도 4b와 같이 그 표면에서 보호 테이프(60)를 제거한다. 이 때, 보호 테이프(60)를 제거하지 않고도 후속 공정인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부풀어 오르게 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 금속 장식편(50)을 소정의 기판(80)에 놓고, 상기 금속 장식편(50)의 표면을 도 5a와 같이 샌딩기(90)에 의해 샌딩처리해 주거나, 도 5b와 같이 숫돌(94) 등으로 표면을 가볍게 두드리는 호닝(Horning)공정을 거친다. 이러한 처리는 모두 부착된 금속 장식편(50)의 외면에 마찰을 가해주기 위한 것으로, 전면에 걸쳐 고르게 마찰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렇게 부착된 금속 장식편(50)의 표면에 마찰을 가해주면, 금속 장식편(50)은 그 중심부와 주변부의 응력의 차이로 인하여 도 6과 같이 그 중심부가 부풀어오르게 된다. 이렇게 부풀어 오르는 효과에 의해 평면상이던 금속 장식편(50)에 입체적 효과가 살아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금속 장식편(50)에 입체적 효과를 준 후에는 금속 장식편(50)의 외면에 표면처리를 추가로 행할 수 있다. 곧, 샌딩 또는 호닝 등의 표면 마찰 공정으로 인하여 금속 장식편(50)의 표면은 광택이 죽어 있거나, 또는 흠집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치구를 사용해 그 외면에 다시 표면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표면 처리는 그 외면에 다양한 색상으로 도금을 행하거나, 코팅 등으로 착색, 모양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부풀어 오른 금속 장식편(50)의 외면에 금 등으로 표면 도금층(54)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금속 장식편(50)은 도 8과 같이 그 외면에 보호 테이프(60)를 부착하고, 도 9와 같이 후면에 접착제(74)를 도포한 후, 그 하면으로 이형지(70)를 부착하여 스티커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74)는 보호 테이프(62)에까지 고루 도포한다.
이렇게 제조된 입체감있는 금속 스티커를 사용시에는 상기 이형지(70)를 제거한 후 요망 장소에 접착제(74) 부분이 부착되도록 하고, 보호 테이프(62)를 벗겨내어 사용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 장식편은 스티커 처리 없이 입체감을 살린 후, 그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바로 소망하는 위치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장식편은 전기도금에 의한 전착의 방법 외에 프레스 성형에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는 데,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프레스 성형에 의해 금속 장식편(50')을 형성하고, 여기에 도 11과 같이 고정편(56)을 형성한다. 이 고정편(56)은 상기와 같은 스티커 처리 방법 또는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법 외에 이 장식편을 부착시킬 위치에 끼워 장식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편(56)은 프레스 성형 시 상기 금속 장식편(50')과 함께 성형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용접 등에 의해 부착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 금속 장식편(50')의 외면에 도 5a 또는 도 5b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찰을 가해 중심부가 부풀어 오르도록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다시 표면처리를 한다. 도 13은 이러한 표면처리 중의 한 방법인 표면 도금층(54')을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렇게 형성된 금속 장식편(50')은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장식편을 부착시킬 부분(100)의 상기 고정편(56)에 대응되는 홈(102)에 고정편(56)을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된 금속 장식편(50')은 그 외면에 입체감을 준 후, 후면에 스티커 처리를 하거나, 접착제를 도포하고 직접 접착시키는 등의 방법으로도 원하는 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장식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금속 장식편의 박판의 느낌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체감을 살릴 수 있으며, 이를 간단한 공정에 의해 스티커로도 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소정의 장식 패턴을 가진 평면상의 금속 장식편을 형성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금속 장식편의 중심부가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하여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후에는 상기 금속 장식편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후에는 상기 부풀어 오른 금속 장식편의 상면에 보호 테이프를 부착한 후, 그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제 상면으로 이형지를 부착하여 스티커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는 상기 금속 장식편의 후면에 소정 크기의 고정편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금속 장식편의 외표면을 호닝 또는 샌딩 등의 방법에 의해 마찰을 가하여 그 중심부가 부풀어 오르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KR1020010070724A 2001-11-14 2001-11-14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KR20010107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724A KR20010107898A (ko) 2001-11-14 2001-11-14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724A KR20010107898A (ko) 2001-11-14 2001-11-14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898A true KR20010107898A (ko) 2001-12-07

Family

ID=4581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724A KR20010107898A (ko) 2001-11-14 2001-11-14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89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885A (ja) * 1995-06-12 1996-12-24 Yoshio Nagamitsu 金属表面の発色加工方法
KR200193509Y1 (ko) * 2000-03-15 2000-08-16 마기형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KR20010099445A (ko) * 2001-09-28 2001-11-09 김영준 금속 스티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885A (ja) * 1995-06-12 1996-12-24 Yoshio Nagamitsu 金属表面の発色加工方法
KR200193509Y1 (ko) * 2000-03-15 2000-08-16 마기형 액세서리용 장식부재
KR20010099445A (ko) * 2001-09-28 2001-11-09 김영준 금속 스티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963834A (en) Method of ornamentation
EP1544690B1 (en) Decorative component,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component, and timepiece
KR100962778B1 (ko) 우드 패턴 형성을 위한 마스크 제작방법
KR100438321B1 (ko) 금속 스티커의 제조방법
KR100669482B1 (ko) 컬러 금속스티커의 제조방법
KR101736291B1 (ko) 장신구 및 장신구 도금 방법
KR20010107898A (ko) 입체감을 살릴 수 있는 금속 장식편의 제조방법
JP4359791B2 (ja) 微小物品の固着方法
KR100645250B1 (ko)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KR101387612B1 (ko) 혁대용 버클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66988A1 (en) Filing tool for hardened-skin ca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25269B1 (ko) 금속 장식물의 제조방법
JPH06270597A (ja) 装飾体の製造方法
JP3364195B2 (ja) 模様付電着画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70198A (ja) 時計用文字板の製造方法
KR100976419B1 (ko) 패턴 형성용 3차원 전주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3차원 전주 마스크
JPS60218621A (ja) 眼鏡フレ−ム等における金属表面の装飾加工方法
JPH10119402A (ja) 蒔絵もしくは金箔加飾を施した印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9035A (ko) 혁대용 버클의 제조방법
JPH0239587B2 (ko)
RU2350478C2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рисунков на глянцевую поверхность
KR20050081484A (ko) 홀로그램 금속판 및 홀로그램 금속스티커의 제조방법
JPH05164856A (ja) 時計用文字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6512B2 (ja) 光輝部を有するウイ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07281A (ja) 眼鏡用レンズの装飾方法及び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