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250B1 -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250B1
KR100645250B1 KR1020050083515A KR20050083515A KR100645250B1 KR 100645250 B1 KR100645250 B1 KR 100645250B1 KR 1020050083515 A KR1020050083515 A KR 1020050083515A KR 20050083515 A KR20050083515 A KR 20050083515A KR 100645250 B1 KR100645250 B1 KR 10064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plate
metal
film
layer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지.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지.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지.피
Priority to KR102005008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새로운 방식을 응용 원가절감은 물론 획기적인 불량률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으로 무선 핸드폰 등의 장식품 (Metalic Keypad, LCD Window등)을 생산해내는 기술로서 장식물 제조용 마스터판 조립체 일면에 전주하고자 하는 장식품형상(Metalic Keypad, LCD Window 등)만을 정확하게 분리하여 전주될수 있도록 마스터판 조립체에 특별히 고안된 필림이나 마스킹공법 등에 의한 방법으로 스티커 제조방식을 접목시켜 장식품(Metalic Keypad, LCD Window 등) 만 완전히 분리되어 탈/착 될 수 있도록 전주(니켈도금또는 동도금)함으로서 프레스공정 작업을 없애고 원재료(Ni)절감은 물론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공법인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Metalic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식품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마스터판의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필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식품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장식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몰드금형 200. 마스터몰드
300. 마스터판 320. 문양부
350. 배열마스터 400,450. 필름
500. 정착층 550. 홈
600. 이형제층 700. 금속층
800. 금속장식품 810. 문양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등의 메탈키패드나 LCD의 둘레부를 감싸는 메탈윈도우 등 금속장식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제품 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공법의 금속장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메탈키패드나 LCD액정의 둘레부를 깜싸는 메탈윈도우 등의 금속장식품을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전주도금(Electro Forming)방식 및 메탈스티커(Metal Sticker)제조 방식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전주도금 방식은 마스터판에 150㎛∼250㎛정도 도금하여 금속층을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금속층을 마스턴판에서 분리한 다음 프레스공정을 통해 금속층에 문자 등을 천공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따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박판을 프레스하여야 하므로 원하는 형태로 절단되지 못하는 등의 불량품이 많이 발생되고 폐기되는 양도 많으므로 코스트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메탈스티커 제조방식은 최종도금이 되는면을 사용하므로, 즉, 마스터판과 마주한 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마스터판과 마주하지 않은면을 외측을 향하도록 사용하게 되므로 단순한 느낌을 주었다.
따라서, 금속장식품을 불량품의 발생없이 생산할 수 있으면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이 필요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품의 발생을 줄여 코스트를 낮추고 완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을 형성할 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금속장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면에 음각으로 다양한 패턴의 문양부 형성된 마스터판을 준비하는 마스터판준비단계; 상기 마스터판의 표면에 감광액을 도포하여 감광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광액도포단계; 완제품과 동일한 형태의 불투광성 필름을 감광층이 형성된 마스터판에 안착시켜서 현상하는 현상단계; 상기 필름을 제거하여 필름부위의 감광층을 물로 세척하는 제1수세단계; 상기 마스터판의 표면에 이형제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형제층형성단계; 상기 마스터판을 도금조에 넣고 니켈(Ni)도금 또는 동(Cu)도금을 하는 제1도금단계; 상기 마스터판의 필름부위에 도금 전착된 금속층을 박리하여 금속장식품을 완성하는 금속층박리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금속장식품을 전착코팅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식품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마스터판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필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식품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장식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장식품 제조방법은 완제품 표면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도록 불량품의 발생없이 금속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터판준비단계, 감광액도포단계, 현상단계, 제1수세단계, 이형제층형성단계, 제1도금단계, 제2수세단계, 제2도금단계, 장식품박리단계, 코팅단계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터판준비단계(A)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니켈 또는 황동재질로 된 사각판형상의 몰드금형(100) 일면에 음각으로 다양한 패턴의 문양(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엘피레코드의 소리골 형상을 형성함)을 형성한 후, 상기 문양(120)이 형성된 일면을 니켈(Ni)도금 또는 동(Cu)도금을 3.5∼4.0Ad/m2의 전류세기로 약300㎛정도 전착되도록 하여 마스터몰드(200)를 제작(도 2a)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마스터몰드(200)의 문양(120)이 형성된 면에 지속적으로 전주도금으로 하여 그 일면이 마스터몰드(200)의 문양(120)면과 역상인 다수의 마스터판(300)을 제작(도 2b)하게 된다. 즉, 일면에 상기 문양(120)과 역상으로 문양부(320)가 형성된 마스터판(300)을 다수 제작한 다음, 상기 다수의 마스터판(300)을 종횡으로 배열시킨 배열마스터(350)로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판(300)이 배열된 배열마스터(350)을 도 4a에서와 같이 준비하여 이후 공정(감광액도포단계)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회 도금시 다수의 완제품을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배열마스터(350)로 이후 공정을 진행하나, 배열마스터(350)로 이후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상기 하나의 마스터판(300)으로 이후 공정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후 공정에서는 하나의 마스터판(300)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상기 감광액도포단계(B)는 도시하지 않은 감광액도포기에 상기 배열마스터(350)를 올려놓고 감광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각각의 마스터판(300)의 문양부(320)에 감광액을 0.02㎛정도 도포한 후, 45℃∼55℃로 건조과정을 거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층(590)액이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감광층(590)이 완전 경화되지 않도록 약 2분간 열풍으로 건조한다. 즉, 이후의 현상단계 후 제1수세과정에서 필름으로 덮혀진 부위의 감광층(590)은 세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현상단계(C)는 상기 완제품과 동일한 형상의 불투광성 필름(400,450)을 감광액이 도포된 분양부(320)에 안착시켜 현상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LCD 둘레부에 구비되는 대략 사각테두리형상의 필름(400)과 키패드와 동일한 형상의 필름(450) 등 원하는 완제품 형상과 동일한 필름을 제작하여 현상단계에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시 및 이해하기 편하도록 사각 테두리형상의 필름(400)을 사용한 금속장식품 제조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현상단계(C)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필름(400)을 각각의 마스터판(300)의 문양부(3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약 120sec동안 현상과정을 거쳐서 문양부(320)에 안착된 필름(400)을 떼어내면, 필름(400)이 안착된 부위는 감광층이 정착이 안되고 필름(400) 안착되지 않은부위는 정착이 되는 것이다. 즉, 현상 후 필름(400)을 제거하면 필름(400)에 접한 분양부(320)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감광층이 정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수세단계(D)는 현상단계(C)를 거친 배열마스터(350)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필름(400)에 의해 정착되지 않은 부위의 감광층을 각각의 마스터판(300)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수세단계(D)를 거치면 도 4d에서와 같이, 각각의 마스터판(300)에 현상단계에서 감광층이 정착된 정착층(500)과 필름(400)과 상응하는 오목한 전착홈(55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세단계(D)를 거친 후 후술할 마스킹테이프부착단계(F) 전에는 상기 배열마스터(350)를 건조단계(E)를 진행하게 된다. 건조단계(E)를 진행하는 이유는 상기 정착층(500)이 단단해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건조실에서 약 160~180℃의 열풍으로 20분간 고온건조하게 된다.
이어서, 불필요한 부분의 도금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킹테이프 부착단계(F)를 수행하게 된다. 즉, 각각의 마스터판(300)의 문양부(3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마스킹테이프를 부착(도시하지 않음)하여 보다 안정된 전류로 도금될 수 있도록 한다.
그다음으로 진행되는 이형제층형성공정(G)은 각각의 마스터판(300)의 문양부(320)에 이형제층(600)을 형성하여 후공정에서 박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열마스터(350)를 이형제가 담겨진 도시하지 않은 이형제탱크에 담겄다 꺼내어 마스터판(300)의 문양부(320)에 이형제가 도포되어 이형제층(600)이 형성되도록 하게된다.
상기 제1도금단계(H)는 마스킹테이프가 부착된 배열마스터(350)를 도시하지 않은 도금조에 넣고 니켈(Ni)도금 또는 동(Cu)도금을 진행하데, 이때의 전류는 3.0∼4.0Ad/m2 의 세기로 약 100㎛∼150㎛ 정도로 도금하여 각각의 마스터판(300)의 홈(550)에 금속층(7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금속층(700)을 수작업으로 박리하는 금속층박리단계(I)를 진행하여 필름(400)과 동일한 사각테두리 형태의 LCD장식창, 즉, 금속장식품(800)을 완성하게 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판(300)과 마주하는 면에 문양(810)이 형성된 금속장식품(800)을 완성되며, 상기 현상단계(C)에서 키패트형상의 필름(450)을 사용하면 메탈키패드 형태의 금속장식품(800)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금속층박리단계(I) 전 제1도금단계(H) 후에, 제2수세단계를 거쳐 2차로 크롬(Cr)도금을 약 0.2㎛정도 전착되도로 2차도금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LCD장식창이나 메탈키패드 등의 금속장식품(800)은 니켈(Ni)도금액에 틴 코발트(Tin-Cobalt) 합금방식 등 다른 색상을 채택 타합금 도금으로 색상의 변화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LCD장식창이나 메탈키패드 등의 금속장식품(800)은 전착코팅단계(J)를 더 수행하게 된다. 금속장식품(800)에 전착코팅은 아래 표 1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하고 수행하게 되며, 코팅의 두께는 약 15㎛이며, 이 두께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품의 특성에 따라 코팅색상을 반영할 수 있고, 코팅을 통해 니켈 방출량을 억제하여 니켈 알러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장식품(800)에 전착코팅을 통해 각종테스트 결과 아래의 표 2와 같이 우수한 품질로 나타났다.
표 1
순서 공 정 시 간
1 중성침적 5분
2 PR중성전해탈지 1~2분
3 수세
4 활성 30초
5 수세
6 활성 30초
7 수세
8 전착 1분
9 수세
10 순수
11 AIR
12 건조 40분, 180℃
13 완성

표 2
항 목 평 가 평 가 방 법
연필경도 4H JIS K-5400 8.4참고
기반목빌착 100/100 JIS K-5400 8.4C참고
내용제성 이상없음 키시렌 함포에 의한 라빈구 100회(500g하중), 용제; 아세톤
내산성 이상없음 5% HSO4, 168시간 25℃RING TEST
내알카리성 이상없음 5% HSO4, 168시간 25℃RING TEST
내수성 이상없음 60%C 240시간
내인공땀성 이상없음 산성인공땀, 24시간, 25℃
내화장품성 이상없음
내충격성 50CM 튜폰식 1/2n ¢*500g
내오염성 이사없음 흑색, 적색매직, 24시간, 25℃방치후 카시렌 닦아냄
내가솔린성 이상없음 시판무연 가솔린, 24시간 20℃
내후성 광택보장율 S.W.O.M 100시간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속장식품 제조방법은 마스터판을 도금하여 전착된 금속층을 마스턴판에서 박리하기 만 하면 금속장식품이 제조되되 장식품 일면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주도금을 하되 프레스공정을 하거나 최종도금이 되는 면을 사용하는 메탈스티커 제조방식에 비해 불량품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표면에 음각으로 다양한 패턴의 문양부 형성된 마스터판을 준비하는 마스터판준비단계;
    상기 마스터판의 표면에 감광액을 도포하여 감광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광액도포단계;
    완제품과 동일한 형태의 불투광성 필름을 감광층이 형성된 마스터판에 안착시켜서 현상하는 현상단계;
    상기 필름을 제거하여 필름부위의 감광층을 물로 세척하는 제1수세단계;
    상기 마스터판의 표면에 이형제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형제층형성단계;
    상기 마스터판을 도금조에 넣고 니켈(Ni)도금 또는 동(Cu)도금을 하는 제1도금단계;
    상기 마스터판의 필름부위에 도금 전착된 금속층을 박리하여 금속장식품을 완성하는 금속층박리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장식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장식품을 전착코팅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장식품 제조방법.
KR1020050083515A 2005-09-06 2005-09-06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KR10064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515A KR100645250B1 (ko) 2005-09-06 2005-09-06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515A KR100645250B1 (ko) 2005-09-06 2005-09-06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250B1 true KR100645250B1 (ko) 2006-11-23

Family

ID=3771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515A KR100645250B1 (ko) 2005-09-06 2005-09-06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2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95B1 (ko) * 2007-09-06 2009-06-11 주식회사 엠.지.피 마스터를 이용한 금속장식물 제조방법
KR100940536B1 (ko) * 2009-02-20 2010-02-10 (주)대동아이텍 합성수지 필름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제품 제조 방법
KR100965864B1 (ko) * 2008-04-15 2010-06-24 주식회사 아이티씨 박판의 문양성형방법
KR100991147B1 (ko) 2008-07-28 2010-11-02 한국조폐공사 부분 렌티큘러 형성 라미네이팅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999A (ko) * 1999-07-26 2000-12-05 주동근 금속명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6773A (ko) * 2002-12-24 2004-07-01 (주)에스알 아이텍 전주금속키패드및그제조방법
KR20050015963A (ko) * 2003-08-05 2005-02-21 산양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999A (ko) * 1999-07-26 2000-12-05 주동근 금속명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6773A (ko) * 2002-12-24 2004-07-01 (주)에스알 아이텍 전주금속키패드및그제조방법
KR20050015963A (ko) * 2003-08-05 2005-02-21 산양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형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95B1 (ko) * 2007-09-06 2009-06-11 주식회사 엠.지.피 마스터를 이용한 금속장식물 제조방법
KR100965864B1 (ko) * 2008-04-15 2010-06-24 주식회사 아이티씨 박판의 문양성형방법
KR100991147B1 (ko) 2008-07-28 2010-11-02 한국조폐공사 부분 렌티큘러 형성 라미네이팅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0940536B1 (ko) * 2009-02-20 2010-02-10 (주)대동아이텍 합성수지 필름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제품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0414B (zh) 壳体及其制作方法
GB461716A (en) Improvements in metallic screens, stencils and the like and formation thereof
KR100645250B1 (ko) 금속장식품의 제조방법
CN100595341C (zh) 装饰部件、装饰部件的制造方法、钟表及被装饰部件
KR20050016728A (ko) 금속스티커 제조방법
US4869760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metallic sticker
JPH0474567A (ja) 多色模様の被覆層を有する装身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306592A (ja) 装飾板とその製造方法
KR100438321B1 (ko) 금속 스티커의 제조방법
JP2001030266A (ja) 立体模様のつ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法により得られる樹脂成形体
US1525107A (en) Sig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540182A (ja) 装飾部材の製造方法
DE2509865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dekors mit verschiedenen farben von strukturen auf einer beliebig strukturierten metallunterlage
US4327428A (en) Decorative plate for a timepiece
KR100543177B1 (ko) 홀로그램 금속판 및 홀로그램 금속스티커의 제조방법
KR20080110263A (ko) 다색 금속 스티커
JP3331619B2 (ja) 装飾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39791A (ja) メタルステッカーの製造方法
JPH03257178A (ja) 装飾部材の蝕刻方法
KR102215570B1 (ko) 표면 질감과 경계의 엣지가 살아있는 전주제품 제조방법
US3647642A (en) Method of making mirror-like finishes on metal masters
CN101409735A (zh) 用于移动电话的键盘的金属标贴及其制造方法
JPS6137998A (ja) 時計文字板の製造方法
JPS602397B2 (ja) やすりの製造方法
JPS62501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