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367A -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367A
KR20010107367A KR1020000028828A KR20000028828A KR20010107367A KR 20010107367 A KR20010107367 A KR 20010107367A KR 1020000028828 A KR1020000028828 A KR 1020000028828A KR 20000028828 A KR20000028828 A KR 20000028828A KR 20010107367 A KR20010107367 A KR 20010107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lutch gear
water supply
automatic water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이동국
최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국, 최성환 filed Critical 이동국
Priority to KR102000002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367A/ko
Publication of KR2001010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20)를 이용한 직동식 밸브 타입으로 되어, 밸브본체(100) 규격의 제한없이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밸브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또한 누수의 우려가 없으며,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급수용 밸브장치{A valve device for automatic supply of water}
본 발명은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드도관 규격의 제한없이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밸브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누수의 우려가 없으며,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도록 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보일러 등과 같이 보충수를 자동으로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밸브의 개폐방식이나, 밸브개폐수단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통상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직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와,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파이롯트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및 구동모터를 이용한 회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로 구분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직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하여 이하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직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솔레노이드기구(200)는 도시되지 않는 별도의 제어수단 및 수위감지수단(또는 유량감지수단 ; 이하 동일)과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작동되므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작동상태를 이들 제어수단 및 수위감지수단과 상호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제어수단에서 연속적으로 입력받아서 물보충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데, 만일 물보충이 필요치않은 경우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기구(2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250 ; 또는 플런져)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밸브본체(300)의 오리피스(B1)가 밸브(250)의 러버(251)에 의해 폐쇄되므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300)의 급수통로(A1,B1,C1,D1)를 통한 보충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만일, 물보충이 필요하게 되면,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기구(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일(230)의 유도기전력에 의해 코아링(241,242)과 밸브(250)가 자성을 띄게 되는데, 아랫쪽 코아링(242)과 밸브(250)는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고, 윗쪽 코아링(241)은 이들과 반대 극성을 띄게 되어, 밸브(250)가 아랫쪽 코아링(242)에 의해 윗쪽으로 밀리면서 윗쪽 코아링(241)에 의해 당겨져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수가 밸브본체(300)의 입구(A1) → 오리피스(B1) → 연통공간(C1) → 출구(D1)를 통해서 물저장탱크(도시안됨)등에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진다.
이후, 물보충이 충분히 수행되면,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기구(2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직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고, 밸브(250)가 직동식으로 작동되어 밸브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밸브본체(300)의 규격이 커지게 되면, 즉 급수통로(A1,B1,C1,D1)를 흐르는 유량이 증가되면, 다시 말해서 오리피스(B1)의 직경이 확대되거나 압력이 증가되면, 이에 상응하게 스프링(250)의 규격과, 코일(230)의 자기력이 증가되어야 하므로, 가격이 상당히 비싼 대형 솔레노이드기구(200)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직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밸브본체(300)의 규격이 소형인 경우에는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밸브본체(300)의 규격이 중·대형인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파이롯트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가 제안되어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이하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파이롯트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솔레노이드기구(40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솔레노이드기구(200)와 동일하게, 도시되지 않는 별도의 제어수단 및 수위감지수단과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작동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으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제어수단에서 연속적으로 입력받아서 물보충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데, 만일 물보충이 필요치않은 경우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기구(4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스프링(45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450 ; 또는 플런져)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보조밸브(500)를 구성하는 본체(510)의 제2파이롯트구멍(502)이 밸브(450)의 러버(451)에 의해 폐쇄되면서, 보조밸브(500)가 하방향으로 눌려져서 연통공간(C2)와 연통공간(E2)가 폐쇄되므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700)의 급수통로(A2,B2,C2,D2,E2,F2)를 통한 보충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밸브본체(700)의 입구(A2)로 유입된 보충수는, 필터수용공간(B2)으로 유입되어 필터(71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후에 연통공간(C2)로 유입되고, 이후 보조밸브(500)의 제1파이롯트구멍(501)을 통해서 연통공간(D2)으로 유입되어 정체되므로, 연통공간(D2)의 압력이 연통공간(E2)의 압력보다 크게 유지되어 연통공간(D2)에 정체된 보충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밸브(500)가 하방향으로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20"은 보조밸브(500)를 구성하는 러버로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밸브(500)의 본체(510)가 밸브(450)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려지면, 러버(520)가 탄성에 의해 하방향으로 신장된다.
한편, 만일 물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기구(4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일(430)의 유도기전력에 의해 코아링(441,442)과 밸브(450)가 자성을 띄게 되는데, 아랫쪽 코아링(442)과 밸브(450)는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고, 윗쪽 코아링(441)은 이들과 반대 극성을 띄게 되어, 밸브(450)가 아랫쪽 코아링(442)에 의해 윗쪽으로 밀리면서 윗쪽 코아링(441)에 의해 당겨져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보조밸브 본체(510)의 제2파이롯트구멍(502)이 열려져서 연통공간(D2)의 보충수가 제2파이롯트구멍(502)를 통해서 연통공간(E2)로 유입된다. 이후, 제2파이롯트구멍(502)을 통한 연통공간(E2)으로의 보충수의 유입에 의해 연통공간(E2)의 압력이 증가되면 보조밸브(500)가 서서히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져서 연통공간(C2)과 연통공간(E2)이 직접연통되고, 연통공간(C2)으로 공급되는 대부분의 보충수가 보조밸브(500)의 파이롯트구멍(501,502)을 거치지 않고 연통공간(E2)로 직접 유입된다. 이후, 연통공간(E2)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면 역지밸브기구(600)의 스프링(630)이 눌려지면서 이의 밸브(620)가 출구(F2)쪽으로 밀리게 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수가 입구(A2) → 필터수용공간(B2) → 연통공간(C2) → 연통공간(E2) → 출구(F2)를 통해서 물저장탱크(도시안됨)등에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진다.
이후, 물보충이 충분히 수행되면,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기구(40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파이롯트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파이롯트구멍(501,502)이 형성된 보조밸브(500)에 의해 연통공간(C2)과 연통공간(E2)이 상호 개폐되도록 되어 있어서, 밸브본체(700)의 규격이 크더라도, 소형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롯트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보조밸브(500)의 바이롯트구멍(501,502)이 막히지 않게 하기 위해서 필터(710)와 이를 수용하는 공간(B2)이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보충수의 공급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밸브본체 입구(A2)로의 보충수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보충수가 역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역지밸브기구(600)를 출구(F2)에 설치해야 하므로, 밸브본체(700)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700)을 분해해서 필터(710)를 교환하거나, 정기적으로 세척해야 하므로 보수 및 유지가 불리하고, 또한, 필터(710)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보조밸브(500)의 파이롯트구멍(501,502)이 막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밸브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근래에는 구동모터를 이용한 회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회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원통형의 밸브나 볼밸브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밸브본체의 급수통로가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그 개폐구조가 단순하고,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밸브를 개폐하므로, 밸브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면서, 제품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지만, 보충수의 누수를 막기 위해서는 밸브와, 이와 접하는 밸브본체부분을 정밀하게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밸브 개폐시에는 밸브와, 이와 접하는 밸브본체부분 간의 상호 마찰로 인해서 밸브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밸드도관 규격의 제한없이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밸브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고, 누수의 우려가 없으며,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도록 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직동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기구를 이용한 파이롯트식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정단면도로서, 급수통로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호 연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로서, 솔레노이드 클러치가 분리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대응도로서, 솔레노이드 클러치가 맞물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대한 대응도로서, 급수통로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밸브기구, 10 ; 케이스,
11 ; 하우징, 11a ; 체결부,
11b ; 가이드구멍, 11c ; 스토퍼부,
12 ; 커버, 20 ; 구동모터,
21 ; 본체, 22 ; 구동축,
30 ; 구동기어, 31 ; 톱니부,
32 ; 회전축, 40 ; 클러치수단,
41 ; 아이들축, 41a ; 끼움부재,
42 ; 제1클러치기어, 42a ; 제1톱니부,
42b ; 제2톱니부, 43 ; 제2클러치기어,
43a ; 제1톱니부, 43b ; 제2톱니부,
44 ; 클러치기어 제어수단, 45 ; 스프링,
46 ; 푸셔, 46a ; 걸림부,
46b ; 돌출부, 47 ; 솔레노이드기구,
47a ; 케이스, 47b ; 보빈,
47c ; 코일, 47d ; 코아,
47e ; 플런져, 47f ; 접지판.
50 ; 피니언, 51 ; 톱니부,
52 ; 회전축, 60 ; 랙,
61 ; 톱니부, 62 ; 감지부,
70 ; 밸브, 71 ; 러버,
72 ; 스프링, 80 ; 밸브위치감지수단,
90 ; 수동개폐수단, 91 ; 힌지연결부,
92 ; 손잡이, 100 ; 밸브본체,
110 ; 체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수통로가 형성된 밸브본체와, 밸브본체의 급수통로를 개폐하는 밸브기구로 이루어진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에있어서, 상기 밸브기구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구동기어로부터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수단, 클러치수단에 맞물려서 회동되는 피니언,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 랙에 고정되어 직선 왕복이동되면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어 밸브본체의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밸브 및, 밸브의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밸브위치이동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인 바,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용 밸브장치는, 급수통로(A,B,C,D)가 형성된 밸브본체(100)와, 밸브본체(100)의 급수통로(A,B,C,D)를 개폐하는 밸브기구(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기구(1)는,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구동기어(30), 구동기어(30)에 맞물려서 구동기어(30)로부터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수단(40), 클러치수단(40)에 맞물려서 회동되는 피니언(50), 피니언(50)에 맞물리는 랙(60), 랙(60)에 고정되어 직선 왕복이동되면서 스프링(72)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어 밸브본체(100)의 오리피스(B)를 개폐하는 밸브(70) 및, 밸브(70)의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밸브위치이동감지수단(80)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밸브(70)를 개폐하는 동력원으로 구동모터(20)를 이용하면, 밸브본체(100)의 규격이 대형화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밸브기구(1)를 만족스럽게개폐할 수 있고, 또한 밸브(70)의 개폐방식이 직동식이므로, 밸브(70)의 개폐가 원활하게 수행되면서 누수의 우려가 해소되며, 각 구성요소들의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게 되어 보수 및 유지에 유리하다.
상기 클러치수단(40)으로는, 구동기어(30)와 피니언(50)에 맞물려서 구동기어(30)로부터의 동력전달을 단속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것들이 모두 이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클러치 방식의 것이 이용되었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수단(40)은, 아이들축(4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기어(30)와 상호 연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클러치기어(42)와 ; 아이들축(41)에 회동가능하면서 이의 축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클러치기어(42)에 착탈되고, 피니언(50)과 상호 연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클러치기어(43), 제2클러치기어(43)를 직선 왕복이동시켜서 제1클러치기어(42)와 제2클러치기어(43)를 착탈시키는 클러치기어 제어수단(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기어 제어수단(44)은, 케이스(47a)와, 케이스(47a)에 내장되는 보빈(47b), 보빈(47)에 권취되는 코일(47c), 보빈(47b)의 한쪽 선단에 끼워지면서 케이스(47a)에 고정되는 코아(47d), 보빈(47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코아(47d) 반대쪽에 위치된 선단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플런져(47e), 외부로 돌출된 플런져(47)의 선단부분에 고정되는 접지판(47f)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기구(47)와 ; 제1클러치기어(42)와 제2클러치기어(43)사이에 배치되어, 제2클러치기어(43)가 제1클러치기어(42)로부터 이격되도록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5) 및 ; 코아(47d)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면서 한쪽 선단이 플런져(47)에 고정되어, 제2클러치기어(43)를 제1클러치기어(42)로 밀어부치는 푸셔(4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위치이동감지수단(80)은 밸브(70)의 위치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것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밸브위치이동감지수단(80)으로 기계적인 접촉에 의해 단속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이용되면서, 밸브(70)나 랙(60)에는 돌출되어진 감지부(62)가 구비되어, 밸브(70)가 임의의 위치까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진 감지부(62)에 의해 리미트스위치(80)가 기계적으로 OFF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구성요소들(20,30,40,50,60,70,80)은, 하우징(11)과 커버(12)로 이루어져서 밸브본체(100)에 고정되어진 케이스(10)에 상호 연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구동모터(20)와 솔레노이드기구(47) 및 리미트스위치(80)는 별도의 제어수단(도시안됨)에 각각 연결되고, 이 제어수단에는 수위감지센서(도시안됨)가 별도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위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매개로 제어수단에서 보충수 공급여부를 판별하고, 구동모터(20)와 솔레노이드기구(47)가 제어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동작제어되어서, 밸브(70)가 적절하게 개폐되어진다.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우선 물보충이 필요치않은 경우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밸브기구(1)의 구동모터(20)와 솔레노이드기구(47)로의 전원공급이 모두 차단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2)의 복원력과 밸브(70)의 자중에 의해 밸브(7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밸브본체(100)의 오리피스(B)가 밸브(70)의 러버(71)에 의해 닫혀진 상태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0)와 구동기어(30), 제1·2클러치기어(42), 피니언(50), 랙(60)이 정지되고, 또한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제2클러치기어(43)가 제1클러치기어(42)로부터 이격되며, 푸셔(46)와 플런져(47e)가 후방으로 밀려져서 코아(47d)와 플런져(47e), 접지판(47)과 하우징(47a)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밸브본체(100)의 급수통로(A,B,C,D)를 통한 보충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물보충이 필요하게 되면, 우선 제어수단에 의해 밸브기구(1)의 솔레노이드기구(47)에 전원이 모두 인가되어, 코일(47c)의 유도기전력에 의해 하우징(47a), 코아(47d), 플런져(47e), 접지판(47f)이 자성을 띄게 되는데, 보빈(47b)의 전방에 위치된 코아(47d)와, 이에 연결된 하우징(47a)은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면서, 보빈(47b)의 후방에 위치된 플런져(47e)와, 이에 연결된 접지판(47f)도 동일한 극성을 각각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고, 하우징(47a)과 코아(47d), 플런져(47e)와 접지판(47f)의 극성은 상호 반대 극성을 띄게 되므로, 플런져(47e)가 코아(47d)에 의해 당겨지면서, 접지판(47f)이 하우징(47a)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푸셔(46)가 제2클러치기어(43)를 제1클러치기어(42)쪽으로 밀어부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러치기어(42)와 제2클러치기어(43)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어수단에 의해 구동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이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모터(20)의 동력이 구동기어(30) → 제1클러치기어(42) → 제2클러치기어(43) → 피니언(50) → 랙(60)으로 전달되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60)과 밸브(70)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밸브본체(100)의 오리피스(B)가 오픈된다. 이후, 랙(60)과 밸브(70)가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져서 랙(60)이나 밸브(70)에 구비된 감지부(62)가 리미트스위치(80)에 접촉되어 리미트스위치(80)가 OFF되면, 제어수단에서 이를 감지해서 구동모터(20)가 정지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므로, 밸브(70)가 오픈된 상태로 유지되어 밸브본체(100)의 입구(A)로 유입되는 보충수가 입구(A) → 오리피스(B) → 연통공간(C) → 출구(D)를 통해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후, 물보충이 충분히 수행되면, 제어수단에 의해 솔레노이드기구(47)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제2클러치기어(43)가 제1클러치기어(42)로부터 이격되므로, 제2클러치기어(43)와 피니언(50)이 역방향으로 공회전되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7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개폐수단(90)을 설치하여, 혹시라도 발생될 수 있는 구동모터(20)나 솔레노이드기구(47)의 고장시, 또는 밸브점검시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밸브(70)를 강제적으로 개폐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수동개폐수단(90)으로는,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어진 밸브(70)의 상단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연결부(91)와, 힌지연결부(91)의 한쪽으로 편향되게 돌출되어진 손잡이(92)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92)를 잡고 힌지연결부(91)를 회전시키면, 밸브(70)가 강제적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1a"는 밸브본체(100)의 체결부(110)와 상호 결합되는 체결부이고, "11b"는 감지부(62)가 직선 왕복이동되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1) 후면에 형성되어진 가이드구멍, "11c"는 제2클러치기어(43)의 과도한 후진을 방지하면서 푸셔(46)의 돌출부(46b)가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토퍼부, "21"은 구동모터(20)의 본체, "31,42a,42b,43a,43b,51,61"는 각 기어(20,42,43)와 피니언(50) 및 랙(50)의 톱니부를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부호 "41a"는 아이들축(41)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푸셔(46)의 돌출부(46a)에 삽입되는 끼움부재이고, "46a"는 솔레노이드기구(47)의 케이스(47a)에 걸려져서 푸셔(46)의 과도한 후진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부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를 이용한 직동식 밸브타입으로 되어, 밸브본체의 규격이 대형화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저럼한 가격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의 개폐방식이 직동식이므로, 밸브의 개폐가 원활하게 수행되면서 누수의 우려가 해소되고, 각 구성요소들의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게 되어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급수통로(A,B,C,D)가 형성된 밸브본체(100)와, 밸브본체(100)의 급수통로(A,B,C,D)를 개폐하는 밸브기구(1)로 이루어진 자동급수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기구(1)는,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의 구동축(22)에 고정되어 회동되는 구동기어(30), 구동기어(30)에 맞물려서 구동기어(30)로부터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수단(40), 클러치수단(40)에 맞물려서 회동되는 피니언(50), 피니언(50)에 맞물리는 랙(60), 랙(60)에 고정되어 직선 왕복이동되면서 스프링(72)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어 밸브본체(100)의 오리피스(B)를 개폐하는 밸브(70) 및, 밸브(70)의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밸브위치이동감지수단(8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40)은, 아이들축(4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기어(30)와 상호 연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클러치기어(42)와 ; 아이들축(41)에 회동가능하면서 이의 축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클러치기어(42)에 착탈되고, 피니언(50)과 상호 연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클러치기어(43), 제2클러치기어(43)를 직선 왕복이동시켜서 제1클러치기어(42)와 제2클러치기어(43)를 착탈시키는 클러치기어 제어수단(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 제어수단(44)은, 케이스(47a)와, 케이스(47a)에 내장되는 보빈(47b), 보빈(47)에 권취되는 코일(47c), 보빈(47b)의 한쪽 선단에 끼워지면서 케이스(47a)에 고정되는 코아(47d), 보빈(47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코아(47d) 반대쪽에 위치된 선단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는 플런져(47e), 외부로 돌출된 플런져(47)의 선단부분에 고정되는 접지판(47f)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기구(47)와 ; 제1클러치기어(42)와 제2클러치기어(43)사이에 배치되어, 제2클러치기어(43)가 제1클러치기어(42)로부터 이격되도록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5) 및 ; 코아(47d)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면서 한쪽 선단이 플런져(47)에 고정되어, 제2클러치기어(43)를 제1클러치기어(42)로 밀어부치는 푸셔(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위치이동감지수단(80)으로 기계적인 접촉에 의해 단속되는 리미트스위치가 이용되면서, 밸브(70)나 랙(60)에는 돌출되어진 감지부(62)가 구비되어, 밸브(70)가 임의의 위치까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진 감지부(62)에 의해 리미트스위치(80)가 기계적으로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7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개폐수단(9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개폐수단(90)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어진 밸브(70)의 상단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연결부(91)와, 힌지연결부(91)의 한쪽으로 편향되게 돌출되어진 손잡이(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KR1020000028828A 2000-05-27 2000-05-27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KR20010107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828A KR20010107367A (ko) 2000-05-27 2000-05-27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828A KR20010107367A (ko) 2000-05-27 2000-05-27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367A true KR20010107367A (ko) 2001-12-07

Family

ID=1967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828A KR20010107367A (ko) 2000-05-27 2000-05-27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3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79B1 (ko) * 2002-03-21 2004-05-31 최진민 보일러 급수밸브의 구조
KR101234627B1 (ko) * 2006-12-11 201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에어탱크의 드레인 밸브
CN103672084A (zh) * 2013-12-03 2014-03-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阀门
CN106195380A (zh) * 2016-06-01 2016-12-07 周凯峰 一种自力式定时阀门
CN110108533A (zh) * 2019-05-24 2019-08-09 常州派斯杰医疗设备有限公司 组织脱水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478U (ko) * 1980-02-29 1981-09-28
KR830001889Y1 (ko) * 1982-03-18 1983-09-24 박종수 음반 케이스
JPS6067470U (ja) * 1983-10-14 1985-05-13 株式会社福井製作所 安全弁
JPS6148679A (ja) * 1984-08-11 1986-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水栓
JPH02271175A (ja) * 1989-04-07 1990-11-06 Sanyo Electric Co Ltd 弁の開閉装置
JPH0393663A (ja) * 1989-09-07 1991-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酸化物高温超電導材料の製造方法
JPH0419481A (ja) * 1990-05-14 1992-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遮断弁内蔵ガスメータの電動復帰装置
JPH0579151U (ja) * 1992-03-31 1993-10-26 東陶機器株式会社 給水用電動弁
JPH10317966A (ja) * 1997-05-16 1998-12-02 Nippon Thermostat Kk 内燃機関の冷却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478U (ko) * 1980-02-29 1981-09-28
KR830001889Y1 (ko) * 1982-03-18 1983-09-24 박종수 음반 케이스
JPS6067470U (ja) * 1983-10-14 1985-05-13 株式会社福井製作所 安全弁
JPS6148679A (ja) * 1984-08-11 1986-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水栓
JPH02271175A (ja) * 1989-04-07 1990-11-06 Sanyo Electric Co Ltd 弁の開閉装置
JPH0393663A (ja) * 1989-09-07 1991-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酸化物高温超電導材料の製造方法
JPH0419481A (ja) * 1990-05-14 1992-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遮断弁内蔵ガスメータの電動復帰装置
JPH0579151U (ja) * 1992-03-31 1993-10-26 東陶機器株式会社 給水用電動弁
JPH10317966A (ja) * 1997-05-16 1998-12-02 Nippon Thermostat Kk 内燃機関の冷却制御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79B1 (ko) * 2002-03-21 2004-05-31 최진민 보일러 급수밸브의 구조
KR101234627B1 (ko) * 2006-12-11 201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에어탱크의 드레인 밸브
CN103672084A (zh) * 2013-12-03 2014-03-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阀门
CN103672084B (zh) * 2013-12-03 2015-11-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一种阀门
CN106195380A (zh) * 2016-06-01 2016-12-07 周凯峰 一种自力式定时阀门
CN110108533A (zh) * 2019-05-24 2019-08-09 常州派斯杰医疗设备有限公司 组织脱水机
CN110108533B (zh) * 2019-05-24 2023-10-24 常州派斯杰医疗设备有限公司 组织脱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212B1 (ko) 전환 밸브
US5599003A (en) Bistable solenoid valve
EP2843277A1 (en) Gas shut-off valve
US20170370492A1 (en) Valve for controlling the water flow in a sanitary line
KR20010107367A (ko) 자동급수용 밸브장치
JP3789368B2 (ja) ガスバルブ
AU676262B2 (en) A valve
ATE372716T1 (de) Zweiwegeventil für ein flüssigkeitsführendes haushaltgerät
EP1635096B1 (en) Water softener valve
US20070256747A1 (en) Motor driven valve
US11408108B2 (en) Washing machine
JPH09303582A (ja) 多連小型ピンチバルブ
CN208619823U (zh) 一种双磁吸双稳态脉冲电磁阀
KR100836868B1 (ko) 자동밸브용 디클러치
CN103866834A (zh) 用于排水配件的驱动装置
KR100282736B1 (ko) 전자밸브
CN215522030U (zh) 一种龙头净水器的水路控制装置
KR200191668Y1 (ko)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CN112855972A (zh) 一种龙头净水器的水路控制装置
CN219629344U (zh) 一种气泡水机
KR101416300B1 (ko) 액추에이터의 기능 제어 시스템
JP3069223U (ja) 簡易自動水栓
JP2007032675A (ja) 電動弁
KR102239171B1 (ko) Dc모터 일체형 구동기
JPH0627904Y2 (ja) 弁体位置検出機構付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