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817A -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817A
KR20010106817A KR1020000027794A KR20000027794A KR20010106817A KR 20010106817 A KR20010106817 A KR 20010106817A KR 1020000027794 A KR1020000027794 A KR 1020000027794A KR 20000027794 A KR20000027794 A KR 20000027794A KR 20010106817 A KR20010106817 A KR 20010106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mobile phone
display unit
advertis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3381B1 (ko
Inventor
제갈병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2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38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381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다양화하고 대기상태의 시간을 효율적이고 부가 가치있게 활용하며, 광고를 유치하여 광고 수익을 이용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초기 대기모드나 통화 연결중인 경우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이트 이동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 화면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METHOD FOR DISPALY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MOBILE PHONE}
본 발명의 이동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를 통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전화단말기는 LCD(Liquid Crystal Dispaly) 패널과 같은 표시부를 구비하여 동작 상태, 수신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있다.
이러한 예로서 도 1은 이동 전화단말기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동작모드인 초기 대기모드일때 디스플레이되는 초기 대기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초기 대기화면은 도 1(a)에 보인 바와 같이 단순히 단말기 관련 정보만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1(b)에 보인 바와 같이 배경 화면으로서 애니메이션 이미지 화면(P1)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다이얼링을 하면, 화면 상태는 도 2(a)에 "011-123-4567"로 예를 들어 보인 바와 같이 다이얼링하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다이얼링 완료후 통화 버튼을 누르면 통화 연결을 하면서 도 2(b)와 같이 연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 전화단말기에서도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무선 인터넷 연결을 하는 경우의 화면을 도 3으로 보였다. 도 3(a)에 보인 초기 인터넷 화면(P2)에서 특정 사이트, 예를 들어 "1.주식 시세"를 지정하면, 도 3(b)와 같은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이동을 완료하면 도 3(c)와 같이 지정된 사이트의 웹 페이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도 3(b)의 대기 화면은 다른 사이트로 이동시 다른 사이트를 찾아 데이터를 다운받아 웹 브라우저에 보여주기까지 이동중임을 알려주는 것으로, "로딩중"이라는문구를 보이는 예를 들었으나 모래 시계 표시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의 화면이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초기 대기모드일 경우에는 단순히 이동 전화단말기 관련 정보나 배경 화면만을 디스플레이하였으며,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는 단지 상대방의 연결 전화 번호만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통화 연결이 될때까지 사용자는 그저 기다리고만 있었다.
또한 이동 전화단말기를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은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인터넷과 비교를 할때 한개의 사이트를 보여 줄 수 있는 크기도 제한되며, 그 형태나 방법에 있어서도 다소의 차이를 가진다. 이러한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무선 인터넷을 이동 전화단말기로 접속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과중한 통화료 부담이 큰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다양화하고 대기상태의 시간을 효율적이고 부가 가치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전화단말기에 광고를 유치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이용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단말기의 초기 대기화면 예시도,
도 2는 통상적인 이동 전화단말기의 통화 연결시 화면 예시도,
도 3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단말기의 인터넷 연결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전화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대기화면 예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시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연결시 화면 예시도.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기 대기모드나 통화 연결중인경우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이트 이동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 화면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광고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는 이동 전화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시켜 놓게 되는데, 이동 전화단말기 업체에서 제품을 생산할때 저장시킬 수도 있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다운 로드받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적으로 이동 전화단말기는 도 4와 같이 구성된다. 도 4에서 메모리부(102)와 키패드(key pad)(104)와 표시부(106)와 RF(Radio Frequency) 모듈(module)(110)과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부(112)와 코덱(CODEC: Coder-Decoder)(114)에 연결되는 제어부(100)는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휴대폰의 각 부분을 제어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에 대한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롬(RO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한다.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한다. 플래쉬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고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키 패드(104)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표시부(106)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한다. RF 모듈(110)은 안테나(108)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는 제어부(100)와 RF 모듈(1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나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110)에 인가하며, RF 모듈(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나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코덱(114)은 증폭부(116)를 통해 마이크(118) 및 스피커(120)와 접속되며, 마이크(118)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118)를 통해 음성신호를 스피커(120)로 출력한다. 증폭부(116)는 마이크(118)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스피커(12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120)의 음량과 마이크(118)의 이득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조정한다. 링거(ringer)(122)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벨소리를 발생하고, 바이브레이터(vibrator)(124)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광고 정보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부(102)에 미리 저장시켜 놓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전화단말기 업체에서 제품을 생산할때 저장시킬 수도 있고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다운 로드받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정보의 이미지는 단순한 그림이나 애니메이션 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떤 이미지 데이터를 제품 생산시 또는 다운 로드받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의 처리 흐름도를 보인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200)∼(202)단계에서 현재의 동작모드가 초기 대기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동작모드가 초기 대기모드라면, 제어부(100)는 (204)단계에서 메모리부(102)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 화면을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초기 대기모드에서 광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 6으로 보였다. 이와 달리 동작모드가 초기 대기모드가 아닌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206)단계에서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현재의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정보 화면을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초기 대기모드에서 광고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에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다이얼링을 하면, 표시부(106)를 통해 전술한 도 2(a)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7(a)와 같이 다이얼링하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후사용자가 다이얼링 완료후 키패드(104)상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통화 연결을 하면서 전술한 도 2(b)와 달리 도 7(b)와 같이 연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광고 화면을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통화하는 중에도 도 7(c)와 같이 광고 화면을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연결을 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도 3(a)와 같은 도 8(a)에 보인 초기 인터넷 화면(P2)에서 특정 사이트, 예를 들어 "2.인터넷 쇼핑"을 지정하면, 도 8(b)와 같이 광고 화면을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이동을 완료하면 도 8(c)와 같이 지정된 사이트의 웹 페이지 내용을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초기 대기모드나 통화 연결중인 경우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이트 이동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 화면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정보를 다양화하고 대기상태의 시간을 효율적이고 부가 가치있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동 전화단말기에 광고를 유치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무선 인터넷 접속료나 이동 전화단말기 가격을 인하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전화단말기에 광고를 유치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 시장을 더 빨리 확산시킬 수 있으며 무선 전자상거래 광고 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기 대기모드, 통화 연결중인 경우, 무선 인터넷 접속시에 광고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였으나,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여러가지 종류의 광고 정보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 대기모드나 통화 연결중인 경우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이트 이동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 화면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정보를 다양화하고 대기상태의 시간을 효율적이고 부가 가치있게 활용할 수 있으며 광고 수익을 이용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표시부를 통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의 동작모드가 초기 대기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초기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초기 대기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의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정보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통화 연결중에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상기 광고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이트 이동중에 상기 광고 정보에 따른 상기 광고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가, 이미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KR1020000027794A 2000-05-23 2000-05-23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KR10071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94A KR100713381B1 (ko) 2000-05-23 2000-05-23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94A KR100713381B1 (ko) 2000-05-23 2000-05-23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17A true KR20010106817A (ko) 2001-12-07
KR100713381B1 KR100713381B1 (ko) 2007-05-03

Family

ID=1966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94A KR100713381B1 (ko) 2000-05-23 2000-05-23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3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440A (ko) * 2002-11-11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배너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39372B1 (ko) * 2006-07-10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KR100747557B1 (ko) * 2000-12-27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과 블루투스 단말기의 광고 서비스 수신방법
KR100749204B1 (ko) * 2000-09-22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광고 서비스 방법
WO2009116842A2 (ko) * 2008-03-20 2009-09-24 Seo Jang W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51963B1 (ko) * 2011-07-28 2013-04-08 전자부품연구원 모드 전환시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US8422996B2 (en) 2007-01-22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354B1 (en) * 1997-04-16 2005-05-10 Sony Corporation Method of advertising on line during a communication link idle time
JP2000295170A (ja) * 1999-04-09 2000-10-20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配信装置
KR19990084087A (ko) * 1999-09-13 1999-12-06 최동호 사용자에 적응적인 광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20000036561A (ko) * 2000-03-21 2000-07-05 이병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JP2001320450A (ja) * 2000-05-09 2001-11-16 Make Softwear:Kk 通信装置、携帯端末、広告方法、システム、送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204B1 (ko) * 2000-09-22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광고 서비스 방법
KR100747557B1 (ko) * 2000-12-27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과 블루투스 단말기의 광고 서비스 수신방법
KR20040041440A (ko) * 2002-11-11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배너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39372B1 (ko) * 2006-07-10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US8422996B2 (en) 2007-01-22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WO2009116842A2 (ko) * 2008-03-20 2009-09-24 Seo Jang W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9116842A3 (ko) * 2008-03-20 2009-12-23 Seo Jang W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51963B1 (ko) * 2011-07-28 2013-04-08 전자부품연구원 모드 전환시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381B1 (ko)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718B1 (ko)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하이퍼링크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8614730B2 (en) Method of conveying emo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WO2007004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font size of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09230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occasion date notification function in a phone
KR100713381B1 (ko)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광고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KR10042446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JP4365893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携帯電話機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AU749043B2 (en) Telephone apparatus with message display
ATE248405T1 (de) Kommunikationsendgerät und entsprechendes steuerungsverfahren, server und entsprechendes steuerungsverfahren, und speichermedium
JP2002171328A (ja) 無線通信端末
JPH11308321A (ja) 端末情報書換装置及び方法
KR100640427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및 배경 색상변경 방법
KR19990069433A (ko) 휴대폰 등의 착발신음에 광고를 실는 방법
KR20050038979A (ko) 단문 메시지 알림 메시지를 반복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00036561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2005697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대창 디스플레이방법
KR1006751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KR100344020B1 (ko) 광고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
JP2002171561A (ja) 移動体電話機
KR20040022391A (ko) 핸드폰 및 pda 등에서의 통화중 화면변경 시스템
JP4234891B2 (ja) 移動通信端末
KR100744319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캐릭터 명함 작성 방법
US20070077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contents to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69349Y1 (ko)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기능이 내장된 다기능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