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140A - 가스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140A
KR20010106140A KR1020007014860A KR20007014860A KR20010106140A KR 20010106140 A KR20010106140 A KR 20010106140A KR 1020007014860 A KR1020007014860 A KR 1020007014860A KR 20007014860 A KR20007014860 A KR 20007014860A KR 20010106140 A KR20010106140 A KR 20010106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ner cylinder
gas generator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766B1 (ko
Inventor
다구치세이고
오치히로유키
사코겐지
기시노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을 전개초기의 단계에서 완만하게 팽창전개시켜, 그후에 급속히 팽창전개시키는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서,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는 가스발생기이다. 가스발생기는, 하우징(1)내의 밀폐공간(S)을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3, 4)내에 가스발생제(6), 필터부재(7) 및 점화기(8, 9)를 각각 배치한다. 그리고, 각 연소실(3, 4)은 필터부재(7)를 통하여 서로 연통시켜서 이룬다. 각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의 전개초기에서 1의 연소실로 발생한 소량의 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게 팽창전개시켜, 그후에 각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가스에 의하여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전개시키는 다단제어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발생기{GAS GENERATOR}
자동차의 충돌시에 생기는 충격으로부터 자동차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전개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발생기는 스티어링휠내나 인스트루멘트 패널내에 장착된 에어백모듈에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발생기는 충돌의 경우에 충돌센서로부터의 충돌검출신호에 의하여 순간에 다량의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가스발생기의 일예로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개의 2중원통구조의 상하용기(101, 102)의 내통끼리 및 외통끼리를 맞대서 마찰압접하므로서 고리상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100)의 밀폐공간내에 내통에서 직경외방을 향하여 가스발생제(103) 및 통상의 필터부재(104)를 순차적으로 수납한 것이다. 또, 내통내에는 충돌센서로부터 충돌검출신호에 의하여 점화되는 점화구(105)와, 이 점화구(105)의 점화에 의하여 착화되는 전화(傳化)제(106)가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가스발생기는 충돌센서로부터의 충돌검출신호에 의한 점화구(105)의점화로 전화제(106)를 착화하고, 더욱더 전화제(106)의 화염을 내통의 도화구멍(107)을 통하여 밀폐공간내에 분출시키므로서, 가스발생제(103)를 착화연소시켜, 순간적으로 다량의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다량의 고온가스는 필터부재(104)에 유입하고, 여기서 슬래그 포집과 냉각을 경유하여, 상용기(101)의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01a)으로부터 에어백내로 방출되어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전개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발생기에서는, 자동차 충돌의 형태(저속충돌, 고속충돌 등)나 승객의 착좌자세(정규착좌, 앞으로 상반신 구부림 등의 비정규 착좌 등)의 여하에 불구하고, 충돌센서로부터의 충돌검출신호에 의하여 점화구를 점화하고, 순간에 다량의 가스를 발생하여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전개시키고 있다. 따라서, 승객이 스티어링휠이나 인스트루멘트 패널의 근방에 착좌할 때, 또는 자동차가 저속충돌할 때에는, 급속히 팽창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하여 승객이 충격을 받는(펀칭현상) 일이 생기고 있고,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백을 전개초기의 단계에서 완만하게 팽창전개시켜, 그 후에 급속히 팽창전개시키는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서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스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고, 특별히 에어백의 전개형태를 제어할 수 있는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운전석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다른 운전석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다시, 다른 운전석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C-C 단면도,
도 6은 내통재를 성형하는 익스팬디드 메탈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익스팬디드 메탈의 인장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필터부재를 성형하는 메리야스 편물 철망, 혹은 클림프 방직 금속선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D 및 E-E 단면도,
도 11은 다른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F-F 단면도,
도 13은 다시 다른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G-G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와, 비교예의 가스발생기와의 압력상승특성과 최고압력을 비교한 그래프,
도 16은 종래의 운전석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발명의 개시
제1의 발명은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복수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필터부재 및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각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다단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의 발명은, 각 연소실을 서로 연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각 연소실에서의 가스발생제의 연소를 하우징 전체의 용적(밀폐공간)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시키면, 에어백 전개초기에는 1의 연소실에서 발생하고 압력상승특성이 억제된 소량의 가스로 완만하게 팽창전개시켜, 그 후에 각 연소실에서 발생하고 소정압력특성, 최고압력으로 된 가스의 추가에 의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킬 수가 있다.
이 결과, 승객이 에어백 전개초기에 있어서 급속전개에 의한 충격(펀칭현상)을 받는 일이 없어지고,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의 발명은,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필터부재 및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의 발명은, 각 연소실을 서로 연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제1의 발명과 동일하게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시킨다.
제3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로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켜서 각 내통내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각 내통에 각 점화기를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3의 발명은, 각 연소실을 서로 연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4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로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장척내통으로 하우징의 위덮개, 아래덮개를 접합하는 구조로 하고, 각 내통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각 점화기를 각 내통내에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장척내통에서 하우징의 각 덮개를 접합하므로서, 하우징의 구조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가스를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대형의 가스발생기나 고압의 가스를 발생하는 비아지화계 가스발생제의 경우에도 적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4의 발명은, 각 연소실을 서로 연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며,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5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연소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켜서, 각 내통내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각 내통에 각 점화기를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5의 발명은,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내통재에 의하여 가스통과공간, 연소공간을 구획형성하는 것으로, 각 연소실을 가스통과공간을 통하여 연통한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내통재를 추가한다라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각 연소실을 연통할 수 있고,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6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장척내통으로 하우징의 위덮개, 아래덮개를 접합하는 구조로 하고, 각 내통내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각 점화기를 각 내통내에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장척내통에서 하우징의 각 덮개를 접합하므로서, 하우징의 구조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가스를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대형의 가스발생기나 고압의 가스를 발생하는 비아지화계 가스발생제의 경우에도 적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6의 발명은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내통재에 의하여 가스통과공간, 연소공간으로 구획형성하는 것으로, 각 연소실을 가스통과공간을 통하여 연통한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내통재를 추가한다라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각 연소실을 연통할 수 있고,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7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연소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켜서 각 내통내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각 내통에 각 점화기를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7의 발명은,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내통재, 필터부재에 의하여 가스통과공간, 연소공간을 구획형성하는 것으로, 각 연소실을 가스통과공간, 필터부재를 통하여 연통한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내통재를 추가하고 필터부재와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을 연통할 수 있고,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8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장척내통으로 하우징의 위덮개, 아래덮개를 접합하는 구조로 하고, 각 내통내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각 점화기를 각 내통내에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장척내통에서 하우징의 각 덮개를 접합하므로서, 하우징의 구조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가스를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대형의 가스발생기나 고압의 가스를 발생하는 비아지화계 가스발생제의 경우에도 적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8의 발명은,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내통재, 필터부재에 의하여 가스통과공간, 연소공간으로 구획형성하는 것으로, 각 연소실을 가스통과공간, 필터부재를 통하여 연통한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내통재를 추가하고 필터부재와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을 연통할 수 있고,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9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켜서 각 내통내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각 내통에 각 점화기를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9의 발명은, 각 연소실을 칸막이부재의 가스통과구멍을 통하여 연통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칸막이부재에 가스통과구멍을 형성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을 연통할 수 있고,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10의 발명은,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또 각 연소실내에는 장척내통, 단척내통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장척내통으로 하우징의 위덮개, 아래덮개를 접합하는 구조로 하고 각 내통내에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각 점화기를 각 내통내에 배치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를 연소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장척내통에 의한 접합에 의하여, 하우징의 구조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가스를 다량으로 발생시키는 대형의 가스발생기나 고압의 가스를 발생하는 비아지화계 가스발생제의 경우에도 적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하우징을 단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운전석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10의 발명은 각 연소실을 칸막이부재의 가스통과구멍을 통하여 연통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칸막이부재에 가스통과구멍을 형성한다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각 연소실을 연통할 수 있고,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제11의 발명은 하우징을 장척원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우징내의 밀폐공간을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그 각 연소실내에 가스발생제 및 필터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또 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점화기를 각각 배치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2개의 점화기를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는 것으로, 에어백내에 방출하는 가스를 제어하여 에어백 전개의 2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하우징을 장척원통상으로 하므로서,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에 최적이다.
또, 제11의 발명은, 각 연소실을 서로 연통하는 것이다. 이 사실로 인하여,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어백 전개의 가스량, 압력상승특성을 제어하여 그 에어백을 전개팽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의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밀폐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을 칸막이부재의 가스통과구멍을 통하여 연통하는 방식의 것, 하우징의 밀폐공간을 내통재로 가스통과공간, 연소공간으로 구획형성하고, 그 연소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함과 동시에, 각 연소실을 가스통과공간을 통하여 연통하는 방식의 것, 하우징의 밀폐공간을 내통재, 필터부재로 가스통과공간, 연소공간으로 구획형성하고, 그 연소공간을 칸막이부재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함과 동시에, 각 연소실을 가스통과공간, 필터부재를 통하여 연통하는 방식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제3의 발명∼제10의 발명은 칸막이부재에 점화기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를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점화기를 단척내통내에 용이하게 배치가능하게 된다. 또 제3의 발명∼제10의 발명에서는, 칸막이부재를 장척내통의 단부에 맞닿아 위치결정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을 구획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단부를 조정하는 것으로 2개의 연소실의 용적비율을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다.
더욱더, 제2의 발명∼제11의 발명에서는, 칸막이부재에 연소열의 전달을 억제하는 쿠션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한쪽의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소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고, 2개의 연소실의 가스발생제의 연소를 시간차를 갖고 점화시킬 때, 각 점화기에 의하여 확실히 조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제5의 발명∼제8의 발명, 및 제11의 발명에서는, 내통재를 익스팬디드 메탈로 성형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익스팬디드 메탈은, 내외주면에 돌출하여 상호연통한 복수의 가스통과구멍을 갖는 것이므로, 익스팬디드 메탈층 자체가 가스통과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내통재와 외통 및 필터부재를 밀착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들의 부재의 위치결정이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더욱더 제1의 발명∼제11의 발명에서는 필터부재를 메리야스 편물철망, 혹은 클림프방직 금속선재로 성형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필터부재를 염가로 작성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발생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는 하우징내를 2개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내에 장전되는 가스발생제를 각 연소실내에 배치된 점화기에 의하여, 독립하여 점화가능하게 하므로서, 에어백의 전개형태를 제어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 2개의 연소실을 필터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고, 점화기를 시간차로써 작동하는 것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압력상승과 최고압력을 제어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운전석용 에어백에 사용되는 가스발생기와,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에어백에 사용되는 가스발생기를, 도 1∼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5에 도시하는 운전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X1∼X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의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1)는, 단원통상의 하우징(1)과, 하우징(1)내에 삽입되는 내통재(2)와, 내통재(2)내를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는 칸막이부재(5)와, 각 연소실(3, 4)내로 배치되는 가스발생제(6) 및 필터부재(7)와, 각 연소실(3, 4)의 가스발생제(6)를 각각 투입하여 연소시키는 2개의 점화기(8, 9)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상용기(10)와 하용기(11)로, 내부에 밀폐공간(S)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용기(10)는 단원통상의 외통(12)의 상단부를 위덮개(13)로 폐쇄하는 것으로 유개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외통(12)의 위덮개(13)측에는 밀폐공간(S)로 개구하는 복수의가스방출구멍(12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가스방출구멍(12a)은 외통(12)의 내주에 첩착된 버스트 플레이트(15)로 폐쇄되어 있다. 이 버스트 플레이트(15)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내의 방습과 연소시의 내압조정의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다. 또, 위덮개(13)의 중앙부에는, 외통(12)과 동심원상으로서 내부에 돌출하는 내통돌기(14)가 성형되어 있다.
하용기(11)는, 단원통상의 플랜지통부(16)의 하단부를 아래덮개로 폐쇄하는것으로 유저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플랜지통부(16)의 상단부에는, 직경외방으로 수평으로 꺽여지는 사이드플랜지(20)가 일체성형되어 있고, 이 사이드플랜지(20)는 도시하지 않는 에어백모듈의 리테이너에 고정된다. 또, 아래덮개(17)에는 그 중앙부에 플랜지통부(16)와 동심원상으로 하여 배치되는 장척내통(18)과, 이 장척내통(18)과 플랜지통부(16)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척내통(19)이 플랜지통부(16)내에 돌출하도록 일체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은, 상용기(10)의 외통(12)의 하단주면을 아래덮개(170내의 밑둘레가장자리면에 맞댐과 동시에, 내통돌기(14)의 하단주면을 장척내통(18)의 상단주면에 맞댐용접(예를 들면, 마찰압접)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으로, 외통(12)의 상하단부를 각 덮개(13, 17)로 폐쇄하는 2중 원통구조로 되어, 내부에 고리상의 밀폐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밀폐공간(S)는 외통(12)과 단척내통(19)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장척내통(18)에 동심원상으로 하여 장입된 내통재(2)에 의하여, 이 내통재(2)의 내주와 장척내통(18)의 외주와의 사이의 고리상의 연소공간(S1)과 그의 외주와 외통(12)의 내주와의 사이의 고리상의 가스통과공간(S2)으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내통재(2)는, 그의 축방향과 둘레방향에 걸쳐서 각 공간(S1와 S2)를 연통하는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통재(2)는 아래덮개(17)로부터 위덮개(13) 근방까지 연장하여 있고, 장척내통(18)의 외주에 압입된 덮개재(21)에 의하여 상단부가 폐쇄되어 있다.
이 내통재(2)로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슬릿(22a)이 형성된 모재(22)를 한결같이 인장하는 것으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이 개구하는 익스팬디드 메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내통재(2)는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길이와 폭을 갖는 익스팬디드 메탈을 원통상으로 성형하고, 종단끼리를 스폿용접 등의 접합방법에 의하여 고착하므로서 제작된다. 더욱이, 모재(22)는 스테인리스 박강판 혹은 스테인리스 이외의 박강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익스팬디드 메탈로 내통재(2)를 제작하면, 각 슬릿(22a)의 부분은 도 6(a)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에의 인장가공시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재(22)의 평면부(B)로부터 높이(h)만큼 내외주측으로 뒤틀어진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내통재(2)는 그의 외주에 각 슬릿(22a)의 부분에서 높이(h)만큼 돌출하여 둘레방향으로 개구하여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이 형성되고, 동시에 각 가스통과구멍(2a)이 그의 둘레방향에서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된다.
그리고, 익스팬디드 메탈제의 내통재(2)를 하우징(1)내에 장입하면, 각 연소실(3, 4)의 가스발생제(6)의 연소에 의한 고압고온가스에 의하여 팽창, 변형되더라도 높이(h)만큼 내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으로부터 가스를각 가스반출구멍(12a)으로 향하여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익스팬디드 메탈로 내통재(2)를 성형하였을 경우에는, 외통(12)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더라도, 이 외통(12)의 내주측에 연속한 고리상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고리상 공간을 가스통과공간(S2)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내통재(2)는 익스팬디드 메탈로 제작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을 형성한 다공박강판(펀칭 플레이트 등)을, 원통상으로 성형하여 종단끼리를 스폿용접 등의 접합방법에 의하여 접합하여 제작하더라도 좋다. 이 펀칭 플레이트제의 내통재(2)에서는 외통(12)의 내주와의 사이에서 가스통과공간(S2)을 구획형성하도록 간격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내통재(2)내의 연소공간(S1)은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와의 사이에 이들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된다. 이 칸막이부재(5)는 내통재(2)내에 압입이 자유로운 원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의 중심부에 장척내통(18)을 관통시키는 관통구멍(23)을 갖고 있다. 또 칸막이부재(5)에는 관통구멍(23)에 대하여 편심하여 단척내통(19)상을 덮도록 돌출하는 컵상의 볼록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부재(5)는 하용기(11)의 개구단에서 내통재(2)의 내주에 장입되고, 관통구멍(23)을 장척내통(18)에 끼워넣고, 장척내통(18)의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된다. 이로서, 칸막이부재(5)는 볼록부(24)의 개구측이 단척내통(19)상에 대치하는 상태에서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상하 2개의 연소실(3, 4)를 구획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연소실(3, 4)내에는 가스발생제(6)가 장전되고, 이것을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각 연소실(3, 4)의 필터부재(7)는 내통재(2)내에 장입자유로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측연소실(3)의 필터부재(7)는 내통재(2)에 장입되어 칸막이부재(5)로부터 덮개재(21)에 맞닿을때까지 연재하여 있고, 또 하측연소실(4)의 필터부재(7)는 내통재(2)에 장입되어 아래덮개(17)로부터 칸막이부재(5)에 맞닿을때까지 연재하여 있다.
이 필터부재(7)로서는 도 8(a)에 도시하는 메리야스 편물 철망, 혹은 도 8(b)에 도시하는 클림프방직 금속선재의 집합체를 도 8(c)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염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각 연소실(3, 4)은 각 필터부재(7), 내통재(2)의 각 가스통과구멍(2a) 및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상호 연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와 칸막이부재(5)와의 사이에는, 칸막이부재(5)에 맞닿는 쿠션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쿠션부재(25)는 가스발생제(6)의 진동에 의한 분화방지와 각 연소실(3, 4)의 상호간에서의 열전달을 억제하는 단열재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 따라서, 쿠션부재(25)로서는 세라믹스 섬유 등의 단열기능을 갖는 탄성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측연소실(3)의 가스발생제(6)와 덮개재(21)와의 사이에는 덮개재(21)에 맞닿는 쿠션부재(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쿠션부재(26)도 가스발생제(6)의 진동에 의한 분화방지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실리콘고무나 실리콘발포체 등의 탄성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세라믹스 섬유 등에 의하여 단열기능을 갖는 것일지라도 상관없다.
각 점화기(8, 9)는 유지부(27A)와, 이 유지부(27A) 선단에 배치된 착화부(27B)로 구성되고, 내통돌기(14)와 장척내통(18)으로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칸막이부재(5)의 볼록부(24)내와 단척내통(19)으로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각각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점화기(8, 9)는 장척내통(18)내 단척내통(19)에 형성된 테이퍼상의 단부(28)에 시일부재(29)(고무시트)를 개재시켜서 기밀하게 맞닿아 있고, 각 내통(18, 19) 선단의 코킹부(30)를 내측으로 접어 구부리므로서 코킹고정되어 있다.
이로서, 장척내통(18)의 점화기(8)는 착화부(27B)가 수납공간내에 돌출되어, 착화부(27B)의 착화에 의한 화염을 장척내통(18)의 복수의 도화구멍(18b)을 통하여 상측연소실(3)내로 분출시킨다. 또, 단축내통(19)의 점화기(9)는 착화부(27B)가 쿠션부재(25)를 관통하여 볼록부(24)내로 돌출되어, 착화부(27B)의 착화에 의한 화염을 칸막이부재(5)와 단척내통(19)간의 간극을 통하여 하측연소실(4)내로 분출시킨다. 이들의 점화기(8, 9)는 도시하지 않는 충돌센서로부터의 충돌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점화하는 것이다.
다음에, 운전석 가스발생기(X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돌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면, 우선, 상측연소실(3)측의 점화기(8)만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착화부(27B)를 착화시킨다. 착화부(27B)의 착화염은 각 도화구멍(18b)으로부터 상측연소실(3)에 분출되어, 이 화염으로 가스발생제(6)를 강제 착화하여 연소시키는 것으로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때, 상측연소실(3)내에서 발생한 연소열은 쿠션부재(25)의 단열기능에 의하여 전열이 억제(둔화)되어,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가 동시에 착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측연소실(3)로 발생한 고온가스는 필터부재(7)로 유입하고, 이 필터부재(7)에서의 슬래그 포집과 냉각을 경유하여, 내통재(2)의 각 가스통과구멍(2a)으로부터 가스통과공간(S2)내로 유출한다. 그리고, 상측연소실(3)에서의 연소와 함께 가스압이 상승하여, 소정압력에 도달하면, 버스트 플레이트(15)가 깨져서, 가스통과공간(S2)에서 균일화된 청정가스를 각 가스방출구멍(12a)으로부터 에어백내로 방출된다.
이때, 상측연소실(3)에서 발생한 고온가스의 일부는 필터부재(7), 내통재(2), 가스통과공간(S2) 등을 통하여 하측연소실(4)내로 유출한다. 이로서, 상측연소실(3)에서의 연소는 가스통과공간(S2) 등으로 연통되는 하측연소실(4)을 포함하는 하우징(1) 전체의 용적(밀폐공간(S))으로서 행해지는 것으로 되고, 그의 증가된 용적(하측연소실(4)의 용적)만큼 압력상승이 억제(둔화)되는 압력특성으로 된다. 또 하측연소실(4)내로 유출하는 가스의 열량은 하측연소실(4)측의 내통재(2)와 필터부재(7)를 통과할 때에 흡수(냉각)되고, 온도가 저하하여 필터부재(7)로부터 하측연소실(4)내로 분출되므로,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를 즉각 자연착화시키는 일은 없다.
그리고, 에어백은 압력상승의 억제(둔화)된 소량의 청정한 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고, 약해지면서 팽팽해지도록 팽창전개된다. 이 의미로, 가스통과공간(S2)의 가스통과를 위한 단면적을 조정하여 하측연소실(4)로 유출시키는 가스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적절한 압력상승특성으로 된 소량의 가스로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킨다.
계속하여, 상측연소실(3)의 연소개시후, 미소시간차를 두고, 하측연소실(4)의 점화기(9)를 작동시키면, 하측연소실(4)내의 가스발생제(6)가 강제착화되어 연소가 시작하고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하측연소실(4)에서 발생한 고온가스는 상측연소실(3)과 동일하게 하여, 내통재(2)의 각 가스통과구멍(2a)으로부터 가스통과공간(S2)내로 유출되고, 각 가스방출구멍(12a)으로부터 에어백내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에어백은 양 연소실(3, 4)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급속한 팽창전개로 이행된다.
이때, 하측연소실(4)에서의 연소는 상측연소실(3)과 마찬가지로, 가스통과공간(S2) 등으로 상측연소실(3)에 연통되는 하우징(1) 전체의 용적(밀폐공간(S))을 갖고 행해진다. 따라서, 에어백에 방출되는 청정가스는 점화기(9)의 작동시에 있어서 하우징(1) 전체의 가스압(상측연소실(3)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에 더하여, 하측연소실(4)에서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에 의한 압력상승특성을 갖는 것으로 되고, 이들의 가스압의 평형압력을 최고압력(Pmax)로 하여, 에어백을 급격히 팽창전개시킨다.
이 의미에서, 각 점화기(8, 9)의 미소시간차를 크게 할수록 상측연소실(3)에서 연소된 가스가 하측연소실(4)을 포함하는 하우징(1) 전체의 용적으로 퍼질 수 있는 것으로, 에어백에 방출되는 압력상승을 완만한 특성으로 할 수가 있고, 최고압력(Pmax)도 낮게 억제되게 된다. 이로서, 각 점화기(8, 9)를 작동시키는 미소시간차를 적당히 변경하는 것으로, 에어백에 방출하는 가스의 압력상승특성과 최고압력(Pmax)을 제어할 수 있고,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킬 때에, 승객에게 주는 충격을 부드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측연소실(3)에서의 연소가 개시되면, 고온가스의 일부는 가스통과공간(S2) 등을 통하여 하측연소실(4)로 유입한다. 이 유입하는 고온가스는 연소의 개시된 초기의 단계에서는 가스통과공간(S2)으로부터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를 자연착화시키기까지는 이르지 않지만, 상측연소실(3)의 연소가 진행하여 하측연소실(4)의 필터부재(7)의 온도가 상승하면, 드디어는,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를 자연착화시키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각 점화기(8, 9)에 의하여 각 연소실(3, 4)의 가스발생제(6)를 미소시간차로 강제 착화하는데는 하측연소실(4)내로 유입하는 고온가스의 열량에 의하여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가 자연착화하기까지의 타이밍을 미소시간차보다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이 의미에서, 상측연소실(3)로부터 하측연소실(4)로 유출하는 연소가스량(열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이 제어는 가스통과공간(S2)의 가스통과를 위한 단면적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 각 점화기(8, 9)의 작동은 미소시간차를 두고 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고, 자동차의 충돌태양 등에 따라 각 점화기(8, 9)의 작동을 적당히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속도에서의 정면충돌이나, 비스듬히 전방충돌과 같은 중요한충돌에서는, 각 점화기(8, 9)를 동시에 작동한다. 이로서, 에어백은 각 연소실(3, 4)에서 발생한 다량으로 급격한 압력상승의 특징을 갖는 가스에 의하여 급속히 팽창전개되어 그의 가스압의 최고압력(Pmax)도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중정도의 충돌에서는 각 점화기(8, 9)를 미소시간차를 갖고 작동한다. 이로서, 에어백은 전개초기의 단계에서 가스의 압력상승이 억제된 소량의 가스로 완만하게 팽창전개되고, 미소시간차후에 압력특성이 높여진 다량의 가스에 의하여 급속히 팽창전개되고, 그의 가스압의 최고압력(Pmax)는 고속도에서의 정면충돌 등에 비하여 억제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더욱이, 경정도의 충돌에서는 하나의 점화기(8)만을 작동하는 것으로, 상측연소실(3)의 가스발생제(6)를 강제착화시킴과 동시에, 하측연소실(4)에 유출되는 고온가스 등에 의하여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를 자연착화한다. 이 자연착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는 승객보호에는 기여하지 않는 레벨의 시간차로 에어백내로 방출되므로, 그 에어백은 천천히 팽창전개된다. 또, 이 자연착화에 의하여 하나의 점화기(8)만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는 완전히 연소하여 남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가스발생기(X1)는 극히 광범위한 최고압력이 점화기(8, 9)의 강제착화 형편으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1)에 의하면, 각 점화기(8, 9)를 미소시간차를 갖고 작동시키는 것으로, 에어백의 전개초기에서 상측연소실(3)에서만 발생하고, 압력상승이 억제된 소량의 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게 팽창전개시켜 그 후에 양연소실(3, 4)로부터 발생하고, 압력상승이 높여진 다량의 가스에 의하여 급속히 팽창전개시키는 전개제어를 행할 수 있다(2단계에서 에어백에의 가스방출량과 가스압력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의 승무원이 스티어링 휠의 가까운 부분에 착좌하고 있더라도 에어백 전개초기에 있어서 급속한 팽창전개에 의한 충격을 받는 일없이 안전하게 에어백 본래의 기능이 발휘된다.
또, 내통재(2)를 익스팬디드 메탈에 의하여 제작하면, 익스팬디드 메탈의 내외주측에는 개구형성시의 뒤틀림에 의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재(22)의 기준평면(B)으로부터 높이(h)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로서, 익스팬디드 메탈제의 내통재(2)를 외통(12)의 내주와 필터부재(7)의 외주에 접하여 배치하더라도, 익스팬디드 메탈 자체에 가스통과공간(S2)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의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의 가스발생기(X2)는 도 1의 가스발생기(X1)에 대하여 필터부재(7)를 양 연소실(3, 4)에 걸쳐서 배치한 점이 다르고, 도 1 및 도 3과 동일부재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있어서, 필터부재(7)는 내통재(2)내에 장입되어 있고, 하용기(11)의 아래덮개(17)로부터 덮개재(21) 사이에 걸쳐서 길어지고 있다. 칸막이부재(5)는 하용기(11)의 개구단으로부터 필터부재(7)의 내주에 장입되고, 관통구멍(23)을 장척내통(18)에 끼워넣고, 장척내통(18)의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된다. 이것으로, 칸막이부재(5)는 볼록부(24)의 개구측이 단척내통(19)상에 대치하는 상태에서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상하 2개의 연소실(3, 4)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연소실(3, 4)내에는 가스발생제(6)가 장전되어 있다. 또, 각 연소실(3, 4)은 필터부재(7) 또는 필터부재(7) 및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상호 연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2)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돌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여 상연소실(3)측의 점화기(8)만이 작동되면 도 1과 동일하게 상측연소실(3)에서 발생한 고온가스는 필터부재(7)로 슬래그 포집과 냉각을 경유하여, 가스통과공간(S2)에서 균일화된 후에 에어백에의 방출이 개시된다.
이때, 상측연소실(3)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의 일부는 필터부재(7) 등을 통하여 하측연소실(4)낼 유출되므로서, 에어백은 상측연소실(3)에서만 발생하여 압력상승의 억제(둔화)된 소량의 청정한 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고, 약해지면서 팽팽해지도록 팽창전개된다. 더욱이, 도 1의 가스발생기(X1)와 동일하게 하여, 필터부재(7)나 가스통과공간(S2)의 가스통과를 위한 단면적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적절한 압력상승특성으로 한다.
또, 필터부재(7)내에 유입한 고온가스의 일부는 하측연소실(4)내로 유입하지만, 그 가스의 열량은 하측연소실(4)측의 필터부재(7)를 통과할 때에 흡수(냉각)되고 온도가 저하하여 하측연소실(4)로 분출되므로,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를 즉각 착화시키는 일은 없다.
계속하여, 상측연소실(3)의 연소개시후, 미소시간차를 두고 하측연소실(4)의점화기(9)를 작동시키면, 하측연소실(4)내의 가스발생제(6)의 연소가 시작하고 도 1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은 양 연소실(3, 4)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급속한 팽창전개로 이행된다.
이때, 하측연소실(4)에서의 연소는 상측연소실(3)과 마찬가지로, 필름부재(7) 등으로 상측연소실(3)에 연통되는 하우징(1) 전체의 용적을 갖고 행해지는 것으로 에어백에 방출되는 청정가스는 점화기(9)의 작동시에 있어서 하우징(1) 전체의 가스압에 더하여 하측연소실(4)에서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에 의한 압력상승특성으로 되고, 이들의 가스압의 평형압력을 최고압력(Pmax)으로 하여 에어백을 급격히 팽창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도 1의 가스발생기(X1)과 마찬가지로, 각 점화기(8, 9)를 작동하는 시간차를 적당히 조정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태양에 따라 소정의 압력상승특성과 최고압력(Pmax)으로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2)에 의하면, 도 1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의 전개제어를 용이하게 행해지게 되고, 안전하게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각 연소실(3, 4)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의 슬래그 포집과 냉각을 일체물의 필터부재(7)로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각 연소실(3, 4)내의 각각에 필터부재(7)를 배치하는 도 1의 가스발생기(X1)에 비하여 부품점수를 감소하여 제조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의 가스발생기(X3)는 도 1의 가스발생기(X1)에 대하여내통재(2)를 설치하지 않고, 외통(12)의 내주에 칸막이부재(5)를 장입하는 것으로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이 칸막이부재(5)에 각 연소실(3, 4)을 서로 연통하는 가스통과구멍(5a)을 형성한 점등이 다르고, 도 1 및 도 3과 동일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칸막이부재(5)는 하용기(11)의 개구단에서 외통(12)의 내주에 장입되고, 관통구멍(23)을 장척내통(18)에 끼워넣어, 장척내통(18)의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로서, 칸막이부재(5)는 볼록부(24)의 개구측이 단척내통(19)상에 대치하는 상태에서 하우징(1)의 축방향으로 상하 2개의 연소실(3, 4)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또, 칸막이부재(5)의 외주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가스통과구멍(5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스통과구멍(5a)은 도 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각도를 사이를 떼서 4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의 축방향에서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각 연소실(3, 4)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각 연소실(3, 4)내에는 가스발생제(6)가 장전되고, 이것을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가 배치되어 있다.
각 필터부재(7)는 아래덮개(17)로부터 칸막이부재(5)까지 길어지고, 또는 칸막이부재(5)로부터 덮개재(21)까지 길어져서 각 연소실(3, 4)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필터부재(7)는 칸막이부재(5)측의 단부에서 각 가스통과구멍(5a)을 덮고 있고, 외통(12)의 내주와의 사이에 가스통과공간(S2)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이로서, 각 연소실(3, 4)은 각필터부재(7), 각 가스통과구멍(5a)을 통하여 상호로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용기(10)의 외통(12)에는 각 연소실(3, 4)의 가스통과공간(S2)과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3)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돌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여 상연소실(3)측의 점화기(8)만이 작동되면, 도 1과 동일하게, 상측연소실(3)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는 필터부재(7)에서 슬래그 포집과 냉각을 경유하여 가스통과공간(S2)에서 균일화된 후에 에어백에의 방출이 개시된다.
이때, 상측연소실(3)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의 일부는 필터부재(7) 각 가스통과구멍(5a)을 통하여 하측연소실(4)내로 유출되므로서, 에어백은 상측연소실(3)에서만 발생하여 압력상승의 억제(둔화)된 소량의 청정한 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고, 약해지면서 팽팽해지면서 팽창전개된다. 더욱이, 도 1의 가스발생기(X1)와 동일하게 하여 가스통과구멍(5a)의 개구면적이나 수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적절한 압력상승특성으로 한다.
계속하여, 상측연소실(3)의 연소개시후, 미소시간차를 두고, 하측연소실(4)의 점화기(9)를 작동시키면, 하측연소실(4)내의 가스발생제(6)의 연소가 시작하고 도 1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은 양 연소실(3, 4)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급속한 팽창전개로 이행된다.
이때, 하측연소실(4)에서의 연소는 상측연소실(3)과 마찬가지로, 각 가스통과구멍(5a) 등으로 상측연소실(3)에 연통되는 하우징(1) 전체의 용적을 갖고 행해지므로, 에어백에 방출되는 청정가스는 점화기(9)의 작동시에 있어서 하우징(1) 전체의 가스압에 더하여, 하측연소실(4)에서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에 의한 압력상승특성으로 되고, 이들의 가스압의 평형압력을 최고압력(Pmax)으로 하여 에어백을 급격히 팽창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도 1의 가스발생기(X1)과 마찬가지로, 각 점화기(8, 9)를 작동하는 시간차를 적당히 조정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태양에 따라 소정의 압력상승특성과 최고압력(Pmax)으로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3)에 의하면, 도 1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의 전개제어를 용이하게 행해지게 되고, 안전하게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1∼X3)에 있어서는, 상측연소실(3)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킨 후에 하측연소실(4)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키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측연소실(4)의 연소후에 상측연소실(3)을 연소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각 연소실(3, 4)의 용적을 변경하여 한쪽을 크게 다른쪽을 작게 하여 대용량의 연소실측에서 점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9∼도 14에 도시하는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Y1∼Y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는 장척원통상의 하우징(31)과, 하우징(31)내를 좌우 2개의 연소실(33, 34)로 구획형성하는 칸막이부재(35)와, 각 연소실(33, 34)내에 각각 배치되는 가스발생제(36), 필터부재(37) 및 내통재(32)와, 각 연소실(33, 34)의 가스발생제(36)를 각각 독립하여 연소시키는 점화기(38, 39)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1)은 양단 개구의 장척원통상의 외통(42)과, 이 외통(42)의 양 개구를 각각 폐쇄하는 2개의 덮개부재(41)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31)은 각 덮개부재(41)를 외통(42)의 양 개구단에서 끼워넣고, 외통(42)의 양측에서 돌출하는 코킹돌기(42b)를 직경내방으로 꺽어구부리는 것으로,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통(42)의 외주에는 조수석용의 에어백(도시하지 않음)에 통하는 복수의 가스방출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스방출구멍(42a)은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둘레방향으로 180도의 각도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으로 길어지는 직선상에 형성되어 2개의 가스공열(r1, r2)을 구성하고 있다. 각 가스공열(r1, r2)의 가스방출구멍(42a)은 외통(42)의 축방향에 걸쳐서 소정간격마다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통(42)의 내주에 첩착된 밴드상의 버스트 플레이트(47)로 각각 폐쇄되어 있다. 이 버스트 플레이트(4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가스공열(r1, r2)마다의 가스방출구멍(42a)을 폐쇄하기에 충분한 길이와 폭을 갖고 있다. 더욱이, 버스트 플레이트(47)로서는 1매의 것을 외통(42)의 내주에 걸쳐서 붙이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31)의 밀폐공간(S)는 칸막이부재(35)에 의하여 하우징(31)의 축방향에서 좌우 2개의 연소실(33, 34)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부재(35)는 외통(42)의 내주에 장입되어 각 연소실(33, 34)을 구획형성하여 있고, 외통(42)의 외주에 실시되는 드로잉가공(외통(42)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가공)에 의하여 코오킹 고정되어 있다. 또, 칸막이부재(35)에는 그의 외주가장자리측에 복수의 가스통과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스통과구멍(35a)은 도 10(b)에 도시하는바와 같이, 하우징(31)의 둘레방향으로 90도의 각도를 사이에 두고 4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31)의 축방향에서 칸막이부재(35)를 관통하여 각 연소실(33, 34)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부재(35)로 구획형성된 각 연소실(33, 34)내에는 가스발생제(36)가 장전되고, 이것을 둘러싸도록 필터부재(37) 및 내통재(32)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필터부재(37)는 각 덮개부재(41)의 볼록부(41a)에 끼워넣어져 있고, 칸막이부재(35)까지 길어지는 단부로 각 가스통과구멍(35a)을 덮고 칸막이부재(35)를 끼워 지지하고 있다. 이로서, 각 연소실(33, 34)은 각 필터부재(37), 각 가스통과구멍(35a)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필터부재(37)로서는 도 8(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리야스 편물철망, 혹은 클림프방직 금속선재의 집합체를 원통상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또, 필터부재(37)는 하우징(31)의 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필터유닛으로 분할하여 구성하더라도 좋고, 이 필터유닛의 적층수를 적당히 변경하는 것으로, 하우징(31)의 길이에 대응시켜서 필터부재(37)를 배치할 수 있다.
각 내통재(32)는 각 연소실(33, 34)의 필터부재(37)의 외주에 끼워져서 외통(42)의 내주와의 사이에 고리상의 가스통과공간(S2)을 형성하고 있다. 각 내통재(32)는 필터부재(37)와 함께 각 덮개부재(41)의 볼록부(41a)에 끼워넣어져 있고, 각 덮개부재(41)로부터 칸막이부재(35)까지 길어지고 있다. 또, 각 내통재(32)의 주면에는 필터부재(37)내와 가스통과공간(S2)를 연통하는 복수의 가스통과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스통과구멍(32a)은 도 10(a)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둘레방향에서 보아 각 가스방출구멍(42a)와 대치하지 않는 어긋난 부위에 개구하여 있고, 동시에 하우징(31)의 축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내통재(32)의 각 가스통과구멍(32a)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스는 직접 외통(42)의 각 가스방출구멍(42a)으로 향하는 일없이 일단 외통(42)의 내주에 충돌되어 그 외통(42)에서 슬래그 포집과 냉각이 행해진 후에, 각 가스방출구멍(42a)으로부터 에어백내에 방출된다.
이 내통재(32)로서는, 도 6 및 도 7과 동일하게 익스팬디드 메탈로 원통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펀칭플레이트를 원통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하여도 좋다. 그리고, 내통재(32)를 익스팬디드 메탈로 제작하면, 외통(42)의 내주와 필터부재(37)의 외주에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도 1과 동일하게 익스팬디드 메탈로 가스통과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점화기(38, 39)는 전화제(傳火劑)(44)와 전화제를 착화하는 점화구(45)로 이루어지고, 외통(42)의 양 개구를 폐쇄하는 각 덮개부재(41)에 설치되어, 각 연소실(33, 34)내의 가스발생제(36)를 각각 독립하여 연소시키는 것이다. 각 점화구(45)는 각 덮개부재(41)의 볼록부(41a)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전화제(44)는 각 덮개부재(41)의 볼록부(41a)에 끼워넣어진 턱달린 캡(46)내에 수납되어 있고, 볼록부(41a)에 간극의 사이를 두고 점화구(45)와 대치하고 있다.
턱달린 캡(46)의 돌출부(46a)는 필터부재(37)내에 장입되어 있고, 전화제(44)의 착화염을 각 연소실(33, 34)의 필터부재(37)내에 분출시키는 관통구멍(46b)을 갖고 있다. 캡(46)의 턱부(46c)는 필터부재(37)의 덮개부재(41)측을 폐쇄하여 외통(42) 내주까지 길어져서, 턱부재(41)와 필터부재(37), 내통재(32)로 끼워지지되어 있다. 또, 턱부(46c)는 턱부재(41)에 개장된 시일부재(48)에 탄력합접되어, 각 연소실(33, 34)을 외부로부터 밀폐하고 있다.
다음에,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돌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면 우선, 좌측연소실(33)측의 점화기(38)만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전화제(44)를 착화시킨다. 전화제(44)의 착화염은 턱달린 캡(46)의 관통구멍(46b)으로부터 좌측연소실(33)내로 분출되어 이 화염으로 가스발생제(36)를 강제착화하여 연소시키는 것으로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좌측연소실(33)로 발생한 고온가스의 일부는 필터부재(37), 각 가스통과구멍(35a)을 통하여 우측연소실(34)내로 유출한다. 이로서, 좌측연소실(33)에서의 연소는 각 가스통과구멍(35a) 등으로 연통되는 우측연소실(34)을 포함하는 하우징(31) 전체의 용적(밀폐공간(S))으로서 행해지는 것으로 되고, 그의 증가된 용적(우측연소실(34)의 용적)만큼 압력상승이 억제(둔화)되는 압력특성으로 된다. 또, 우측연소실(34)내에 유출하는 가스의 열량은 우측연소실(34)측의 내통재(32)와 필터부재(37)를 통과할 때의 흡수(냉각)되어, 온도가 저하하여 필터부재(37)로부터 우측연소실(34)내로 분출되게 되므로, 우측연소실(34)의 가스발생제(36)를 즉각 자연착화시키는 일은 없다.
그리고, 에어백은 압력상승의 억제(둔화)된 소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고, 약해지면서 팽팽해지도록 팽창전개된다. 이의 의미로, 칸막이부재(35)의 가스통과구멍(35a)의 개구면적과 수를 조정하여, 우측연소실(34)에 유출되는 가스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적절한 압력상승특성으로 된 소량의 가스로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킬 수가 있다.
계속하여, 좌측연소실(33)의 연소개시후, 미소시간차를 두고, 우측연소실(34)의 점화기(39)를 작동시키면, 하측연소실(34)내의 가스발생제(36)가 강제착화되어 연소가 시작하고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우측연소실(34)에서 발생한 고온가스는 좌측연소실(33)과 동일하게 하여 내통재(32)의 각 가스통과구멍(32a)으로부터 가스통과공간(S2)내로 방출되고, 각 가스방출구멍(42a)으로부터 에어백내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에어백을 양 연소실(33, 34)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급속한 팽창전개로 이행된다.
이때, 우측연소실(34)에서의 연소는, 좌측연소실(33)과 마찬가지로 각 가스통과구멍(35a) 등으로 좌측연소실(33)에 연통되는 하우징(31) 전체의 용적(밀폐공간(S))을 갖고 행해진다. 따라서, 에어백에 방출되는 청정가스는 점화기(39)의 작동시에 있어서 하우징(31) 전체의 가스압(상측연소실(33)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에 더하여 우측연소실(34)에서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에 의한 압력상승특성을 갖는 것으로 되고, 이들의 가스압의 평형압력을 최고압력(Pmax)으로서, 에어백을 급격히 팽창전개한다.
이 의미에서, 각 점화기(38, 39)의 미소시간차를 크게 할수록 좌측연소실(33)에서 연소된 가스가 우측연소실(4)을 포함하는 하우징(1) 전체의 용적으로 퍼질 수 있는 것으로, 에어백에 방출되는 압력상승을 완만한 특성으로 할수가 있고, 최고압력(Pmax)도 낮게 억제되게 된다.
이로서, 각 점화기(38, 39)를 작동시키는 미소시간차를 적당히 변경하는 것으로, 에어백에 방출하는 가스의 압력상승특성과 최고압력(Pmax)을 제어할 수 있고,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킬 때에 승객에게 주는 충격을 부드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에어백은 전개초기에 좌측연소실(33)에서만 발생하고, 압축상승이 억제된 소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게 팽창전개를 개시하고, 미소시간차를 두고 양 연소실(33, 34)에서 발생하고, 소정의 압력특성과 최고압력(Pmax)으로 된 다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급속히 팽창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에 의하면, 조수석의 승무원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가까운 부분에 착좌하고 있더라도 에어백 전개초기에 있어서 급속한 팽창전개에 의한 충격을 받는 일없이, 안전하게 에어백 본래의 기능이 발휘된다.
도 11 및 도 12의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의 가스발생기(Y2)를 도 9의 가스발생기(Y1)에 대하여 하우징(31) 및 칸막이부재(35)의 구성과, 내통재(32)를 양 연소실(33, 34)에 걸쳐서 배치한 점이 다르고, 도 9 및 도 10과 동일부재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의 가스발생기(Y2)는 일단이 개구된 유저(有底)로 장척원통상의 외통(62)과 외통(62)의 개구단을 폐쇄하는 덮개부재(41)로,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31)을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31)은 덮개부재(41)의 외주단에 형성된 고리상 리브(41b)와 외통(62)의 개구단을 맞댐용접(예를 들면 마찰압접)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으로,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통(62)에는 도 10(a)와 마찬가지로 각 가스공열(r1, r2)마다 복수의 가스방출구멍(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통(62)의 밑에는 밀폐공간(S)내에 돌출하는 돌기부(62b)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외통(62)의 밑과 덮개부재(41)에 걸쳐서 내통재(31)가 배치되어 있다. 내통재(32)는 하우징(31)의 밀폐공간(S)을 그 내통재(32)의 내주측의 연소공간(S1), 그의 외주와 외통(62)의 내주간의 가스통과공간(S2)으로 구획형성하고 있다.
내통재(32)의 연소공간(S1)내는 내통재(32)내에 압입되는 칸막이부재(35)에 의하여 좌우 2개의 연소실(33, 34)에 구획형성되어 있다. 각 연소실(33, 34)내에는 가스발생제(36)가 장전되고, 이를 둘러싸도록 내통재(32)내에 필터부재(37)가 배치되어 있다.
각 필터부재(37)는 내통재(32)와 함께 돌기부(62b) 및 덮개부재(41)의 볼록부(41a)에 끼워넣어져 있고, 칸막이부(35)까지 길어지는 단부에서 칸막이부재(35)를 끼워지지하고 있다. 이로서, 각 연소실(33, 34)은 각 필터부재(37), 내통재(32)의 가스통과구멍(32a),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상호연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덮개부재(41), 돌기부(62b)에는 도 9와 동일하게, 점화기(38, 39)의 점화구(45)가 코킹고정되고, 또 전화제(44)가 턱달린 캡(46)에 의하여 점화구(45)와대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재(41)측의 턱달린 캡(46)은 턱부(46c) 선단을 외통(62)와 덮개부재(41)와의 용접시에 형성되는 버(burr)(62c)에 맞닿아 고정되어 있다. 64는 덮개부재(41)측의 캡(46)의 턱부(46c)와 연소실(34)의 필터부재(37)의 단부와의 사이에 개장된 고리상의 시일 플레이트이다.
다음에,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2)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돌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여 좌연소실(33)측의 점화기(38)만이 작동되면, 도 9와 마찬가지로, 좌측연소실(33)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는 필터부재(37)에서 슬래그 포착과 냉각을 경유하여 가스통과공간(S2)으로 균일화된 후에 에어백에의 방출이 개시된다.
이때, 좌측연소실(33)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의 일부는 필터부재(37),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우측연소실(34)내로 유출되므로, 에어백은 좌측연소실(33)에서만 발생하여 압력상승의 억제(둔화)된 소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고 약해지며 팽팽해지도록 하여 팽창전개된다. 더욱이, 도 9의 가스발생기(Y1)와 동일하게 하여, 가스통과공간(S2)의 가스통과를 위한 단면적을 조정하므로서, 적절한 압력상승특성으로 한다.
계속하여, 좌측연소실(33)의 연소개시후, 미소시간차를 두고 우측연소실(34)의 점화기(39)를 작동시키면, 우측연소실(34)내의 가스발생제(36)의 연소가 시작되고, 도 9와 마찬가지로, 에어백은 양 연소실(33, 34)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한 가스에 의하여 급속한 팽창전개로 이행된다.
이때, 우측연소실(34)에서의 연소는 좌측연소실(33)과 마찬가지로, 가스통과공간(S2)에서 좌측연소실(33)에 연통되는 하우징(1) 전체의 용적을 갖고 행해지므로, 에어백에 방출되는 청정가스는 점화기(39)의 작동시에 있어서 하우징(1) 전체의 가스압에 더하여, 하측연소실(4)에서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과의 압력상승특성으로 되고, 이들의 가스압의 평형압력을 최고압력(Pmax)으로 하여, 에어백을 급격히 팽창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2)에 의하면, 도 9의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의 전개제어를 용이하게 행하므로서, 안전하게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의 가스발생기(Y3)는 도 9의 가스발생기(Y1)에 대하여 하우징(31)의 구성과, 내통재(32)와 필터부재(37)를 양 연소실(33, 34)에 걸쳐서 배치한 점이 다르고, 도 9 및 도 10과 동일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의 가스발생기(Y3)는 장척원통상의 외통(82)의 양 개구단에 각각 덮개부재(41)의 고리상 리브(41b)를 맞댐용접(예를 들면, 마찰압접)에 의하여 접합하는 것으로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31)을 구성한다. 외통(82)에는 도 10a와 마찬가지로 각 가스공열(r1, r2)마다 복수의 가스방출구멍(82a)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1)의 내부에는 내통재(32)와 이 내통재(32)내에 장입된 필터부재(37)가 각 덮개부재(41)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필터부재(37)는 내통재(32)와 함께 각 덮개부재(41)의 볼록부(41a)에 끼워넣어져서 하우징(31)의 밀폐공간(S)을 내통재(32)의 외주와 외통(82)의 내주와의 사이의 가스통과공간(S2)과 필터부재(37)의 내주측의 연소공간(S1)으로 구획형성하고 있다.
필터부재(37)내의 연소공간(S1)은 칸막이부재(35)에 의하여 하우징(31)의 축방향으로 좌우 2개의 연소실(33, 34)에 구획형성하고 있다. 칸막이부재(35)는 필터부재(37)의 내주에 장입된 원통부(35A)를 갖고, 이 원통부(35A)의 연소실(33)측의 개구를 원판(35B)으로 폐쇄하는 것으로, 각 연소실(33, 34)을 구획형성하고 있다. 이로서, 각 연소실(33, 34)은 필터부재(37) 또는 필터부재(37), 내통재(32) 및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상호 연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소실(33, 34)내에는 가스발생제(36)가 장전되어 있다.
또, 덮개부재(41)에는 도 9와 동일하게 각 점화기(38, 39)의 점화구(45)가 코킹고정되고, 또 전화제(44)가 턱달린 캡(46)에 의하여 점화구(45)와 대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각 턱달린 캡(46)은, 그 턱부(46c) 선단을 외통(82)과 각 덮개부재(41)와의 용접시에 형성되는 버(62c)에 맞닿아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3)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충돌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여 좌측연소실(33)측의 점화기(38)만이 작동되면, 도 9와 마찬가지로, 좌측연소실(33)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는 필터부재(37)에서 슬래그 포착과 냉각을 경유하여 가스통과공간(S2)으로 균일화된후에 에어백에의 방출이 개시된다.
이때, 좌측연소실(33)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의 일부는 필터부재(37),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우측연소실(34)내로 유출되므로, 에어백은 좌측연소실(33)에서만 발생하여 압력상승의 억제(둔화)된 소량의 청정가스에 의하여 완만하고 약해지면서 팽팽해지도록 하여 팽창전개된다. 더욱이, 도 9의 가스발생기(Y1)와 동일하게 하여, 필터부재(37), 가스통과공간(S2)의 가스통과를 위한 단면적을 조정하므로서, 적절한 압력상승특성으로 한다.
계속하여, 좌측연소실(33)의 연소개시후, 미소시간차를 두고 우측연소실(34)의 점화기(39)를 작동시키면, 우측연소실(34)내의 가스발생제(36)의 연소가 시작되고, 도 9와 마찬가지로, 에어백은 양 연소실(33, 34)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한 가스에 의하여 급속한 팽창전개로 이행된다.
이때, 우측연소실(34)에서의 연소는 좌측연소실(33)과 마찬가지로, 필터부재(37) 등으로 좌측연소실(33)에 연통되는 하우징(31) 전체의 용적을 갖고 행해지므로, 에어백에 방출되는 청정가스는 점화기(39)의 작동시에 있어서 하우징(31) 전체의 가스압에 더하여, 연소실(4)에서의 연소에 의한 가스압에 의한 압력상승특성으로 되고, 이들의 가스압의 평형압력을 최고압력(Pmax)으로 하여, 에어백을 급격히 팽창전개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3)에 의하면, 도 9의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의 전개제어를 용이하게 행하므로서, 안전하게 에어백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더욱이, 조수석용 또는 충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Y3)에 있어서도,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1∼X3)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충돌형태에 따라서 각 점화기(38, 39)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고속도에서의 정면충돌 등에서는 각 점화기(38, 39)를 동시에 작동하고, 중정도의 충돌에서는 각 점화기(38, 39)를 미소시간차를 갖고 작동하고, 더욱더 경정도의 충돌에서는 하나의 점화기(38)만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1∼X3)과 마찬가지로, 에어백의 전개형태를 선택한다.
또,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Y3)에 있어서는 좌측연소실(33)의 가스발생제(36)를 연소시킨 후에 우측연소실(34)의 가스발생제(36)를 연소시키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우측연소실(34)의 연소후에 좌측연소실(33)을 연소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각 연소실(33, 34)의 용적을 바꾸어, 한쪽을 크게, 다른쪽을 작게 하여 대용량의 연소실측에서 점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더, 조수석용 또는 측면충돌용 가스발생기(Y1∼Y3)에 있어서는, 칸막이부재(35)에 맞닿도록 도 1에 도시하는 쿠션부재(25)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로서, 도 1∼도 5의 운전석용 가스발생기(X1∼X3)와 동일하게 하여 가스발생제(36)의 분화방지와, 각 연소실(33, 34)의 상호간에서 열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적정한 에어백의 전개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각 가스발생기(X1∼X3, Y1∼Y3)은 칸막이부재(3, 35)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3, 4, 33, 34)로 구획형성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칸막이부재(5, 35)의 장입수를 바꾸므로서 3 이상의 연소실로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의 각각에 점화기를 배치하는 것으로, 에어백 전개를 다단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발생기와, 비교예로서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실험을 행하여 압력상승특성과 최고압력을 비교한 것을 도 15에 도시한다.
실시예의 가스발생기는 2개의 연소실을 서로 연통시켜서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의 가스발생제를 독립하여 강제착화할 수 있는 2개의 점화기를 구비하는 것이다(도 1∼도 14 참조). 한편, 비교예의 가스발생기는 2개의 연소실을 밀폐하여 구획형성하고, 각 연소실의 가스발생제를 독립하여 강제착화할 수 있는 2개의 점화기를 구비하는 것이다.
다음에, 실험조건으로서는, 실시예의 가스발생기, 비교예의 가스발생기의 각 점화기를 작동시키고 미소시간차(t)를 t=0ms, 10ms, 20ms로 하여 60리터 탱크내에 제공하였다. 그리고, 실시예의 가스발생기, 비교예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60리터 탱크내의 압력상승특성과 최고압력(Pmax)을 각 시간차(t)마다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한다.
도 15(a)에 있어서, 실시예의 가스발생기에서는 각 점화기를 작동시키는 미소시간차(t)가 길어질수록 압력상승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최고압력(Pmax)에 대하여도 점화기를 작동시키는 미소시간차(t)가 길어질수록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는 각 연소실이 연통하여 각 연소실에서의 연소가 하우징 전체의 큰 용적으로 행해지는 것에 기인한다고 고려된다.
이에 대하여 도 15(b)에 있어서, 비교예의 가스발생기에서는, 실시예 정도는 아니지만, 각 점화기를 작동시키는 미소시간차(t)가 길어질수록 압력상승이 억제되는 경향으로 되지만, 최고압력(Pmax)에 대하여는 비교적 높은 같은 압력으로 유지된다. 이는 각 연소실이 서로 밀폐되고, 각 연소실에서의 연소가 실시예에 비하여 작은 용적(각 연소실의 용적)으로 행해지는 것에 기인한다고 고려된다.
따라서,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2단계로 행하기 위하여는 에어백의 전개초기의 단계뿐 아니라, 그후 급속히 팽창전개되더라도 승무원에 충격을 주지 않을 정도의 가스압(최고압력(Pmax))으로 제어가능한 실시예의 가스발생기(도 1∼도 14의 가스발생기)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비교예의 가스발생기에서는, 각 점화기를 작동시키는 시간차(t)에 불구하고, 거의 같은 최고압력(Pmax)으로 제어되므로, 각 점화기를 미소시간차(t)로서 작동하더라도 최고압력(Pmax)을 승무원에 충격을 부여하지 않을 정도의 가스압으로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에어백의 팽창전계를 2단계로 행하더라도, 최종적으로 비교적 높은 압력(최고압력(Pmax))으로 에어백을 전개팽창시키는 것으로 되고, 승무원에게 충격을 부여할 염려가 있다. 특히, 자동차의 중정도, 경정도의 충돌에 있어서, 위험성을 동반하는 것이라고 고려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운전석용, 조수석용 및 측면충돌용의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33)

  1.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 42a, 62a, 8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 3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S)내를 복수의 연소실(3, 4, 33, 3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 33, 3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 36)을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 36)을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 3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 31)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 33, 34)의 가스발생제(6, 36)를 각각 독립하여 연소시키는 복수의 점화기(8, 9, 38, 39)를 배치하여 이루고, 상기 각 연소실(3, 4, 33, 34)은 상기 각 필터부재(7, 37)를 통하여 연통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 42a, 62a, 8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 3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S)내를 칸막이부재(5, 35)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3, 4, 33, 3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 33, 3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 36)을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 36)을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 3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 31)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 33, 34)의 가스발생제(6, 36)를 각각 독립하여 연소시키는 2개의 점화기(8, 9, 38, 39)를 배치하여 이루고, 상기 각 연소실(3, 4, 33, 34)은 상기 각 필터부재(7, 37)를 통하여연통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3.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상기 위덮개(13) 및 상기 아래덮개(17)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를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3)내에 돌출하는 장척내통(18) 및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내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이루고, 상기 각 연소실(3, 4)은 상기 각 필터부재(7)를 통하여 연통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6.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상기 위덮개(13) 및 상기 아래덮개(17)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를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3)내에 돌출하는 장척내통(18) 및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장척내통(18)은 상기 아래덮개(17)의 중심부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위덮개(13)까지 길어져서 그 위덮개(13)와 맞댐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내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이루고, 상기 각 연소실(3, 4)은 상기 각 필터부재(7)를 통하여 연통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9.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을 갖는 내통재(2)에 의하여 그 내통재(2)의 내측의 연소공간(S1)과 그 외측의 가스통과공간(S2)으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연소공간(S1)내를 상기 내통재(2)의 내주에 장입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통재(2)내에 장입되는 필터부재(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3)내에 돌출하는 장척내통(18) 및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내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2.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을 갖는 내통재(2)에 의하여 그 내통재(2)의 내측의 연소공간(S1)과 그 외측의 가스통과공간(S2)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연소공간(S1)내를 상기 내통재(2)의 내주에 장입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통재(2)내에 장입되는 필터부재(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3)내에 돌출하는 장척내통(18) 및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장척내통(18)은 상기 아래덮개(17)의 중심부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위덮개(13)까지 길어져서 그 위덮개(13)와 맞댐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상기 각 연소실(3,4)내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5.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을 갖는 내통재(2) 및 그 내통재(2)내에 장입되는 필터부재(7)에 의하여 그 필터부재(7)의 내측의 연소공간(S1)과 상기 내통재(2)의 외측의 가스통과공간(S2)으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연소공간(S1)내를 상기 필터부재(7)의 내주에 장입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과공간(S2) 및 상기 필터부재(7)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함과 동시에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각각 상기 각 연소실(3, 4)내의 가스발생제(1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8.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을 갖는 내통재(2) 및 그 내통재(2)내에 장입되는 필터부재(7)에 의하여 그 필터부재(7)의 내측의 연소공간(S1)과 상기 내통재(2)의 외측의 가스통과공간(S2)으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연소공간(S1)내를 상기 필터부재(7)의 내주에 장입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과공간(S2) 및 상기 필터부재(7)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상하 2개의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함과 동시에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장척내통(18)은 상기 아래덮개(17)의 중심부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위덮개(13)까지 길어져서 그 위덮개(13)와 맞댐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각각 상기 각 연소실(3, 4)내의 가스발생제(1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1.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상기 외통(12)의 내주에 장입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하 두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를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의 상기 필터부재(7)를 통하여 그 각 연소실(3, 4)을 서로 연통하는 가스통과구멍(5a)을 형성하고,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3)내에 돌출하는 장척내통(18) 및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각각 상기 각 연소실(3, 4)내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4. 복수의 가스방출구멍(1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단척원통상의 외통(12)과 그 외통(12)의 상하단부를 폐쇄하는 위덮개(13) 및 아래덮개(17)로 상기 하우징(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상기 외통(12)의 내주에 장입되는 칸막이부재(5)에 의하여 상하 2개의 연소실(3, 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 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6)를 둘러싸도록 필터부재(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의 상기 필터부재(7)를 통하여 그 각 연소실(3, 4)를 서로 연통하는 가스통과구멍(5a)을 형성하고, 상기 아래덮개(17)에는 상기 칸막이부재(5)를 관통하여 상기 상측연소실(3)내에 돌출하는 장척내통(18) 및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돌출하는 단척내통(19)을 형성하고, 상기 장척내통(18)은 상기 아래덮개(17)의 중심부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위덮개(13)까지 길어져서 그 위덮개(13)와 맞댐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각 내통(18, 19)내에는 각각 상기 각 연소실(3, 4)내의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8, 9)를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에는 상기 단척내통(19)에 의하여 상기 하측연소실(4)내에 배치되는 상기 점화기(9)를 수납하기 위한 볼록부(2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는 상기 장척내통(18)에 형성된 단부(18a)에 맞닿아 위치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7. 복수의 가스방출구멍(42a, 62a, 82a)을 갖고, 내부에 밀폐공간(S)을 형성하는 하우징(31)을 구비하여 이루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장척원통상의 외통(42, 62, 82)의 양 개구를 폐쇄하여 상기 하우징(31)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공간(S)내를 칸막이부재(35)에 의하여 2개의 연소실(33, 3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3, 34)내에는 각각 연소에 의하여 고온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제(3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36)를 둘러싸도록 필터부재(3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외통(42, 62, 82)의 양단부에는 상기 각 연소실(33, 34)의 가스발생제(36)를 연소시키는 점화기(38, 39)를 각각 배치하여 이루고, 상기 각 연소실(33, 34)은 상기 각 필터부재(37)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의 밀폐공간(S)은 상기 외통(42)의 내주에 장입되는 상기 칸막이부재(35)에 의하여 좌우 2개의 연소실(33, 34)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각 연소실(33, 34)내에는 각각 상기 가스발생제(36)를 장전하고, 상기 외통(42)의 내주와의 사이에 가스통과공간(S2)을 형성하는 내통재(32)와, 상기 가스발생제(36)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통재(32)내에 장입되는 상기 필터부재(37)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칸막이부재(35)에는 상기 각 연소실(33, 34)의 상기 필터부재(37)를 통하여 그 각 연소실(33, 34)를 서로 연통하는 가스통과구멍(35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의 밀폐공간(S)은 복수의가스통과구멍(32a)을 갖는 내통재(32)에 의하여 그 내통재(32)의 내측의 연소공간(S1)과 그 외측의 가스통과공간(S2)으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연소공간(S1)내를 상기 내통재(32)의 내주에 장입되는 상기 칸막이부재(35)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과공간(S2)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좌우 2개의 연소실(33, 34)로 구획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각 연소실(33, 34)내에는 각각 상기 가스발생제(36)를 장전하고, 그 가스발생제(36)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통재(32)내에 장입되는 상기 필터부재(37)를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의 밀폐공간(S)은 복수의 가스통과구멍(32a)을 갖는 내통재(32) 및 그 내통재(32)내에 장입되는 상기 필터부재(37)에 의하여 그 필터부재(37)의 내측의 연소공간(S1)과, 상기 내통재(32)의 외측의 가스통과공간(S2)으로 구획형성하고, 상기 연소공간(S1)내를 상기 필터부재(37)의 내주에 장입되는 상기 칸막이부재(35)에 의하여 상기 가스통과공간(S2) 및 상기 필터부재(37)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좌우 2개의 연소실(33, 34)로 구획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각 연소실(33, 34)내에는 각각 상기 가스발생제(36)를 장전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31. 제 2 항 내지 제 3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5, 35)에는 상기 각 연소실(3, 4, 33, 34)과의 사이에서 상기 가스발생제(6, 36)의 연소에 의한 연소열의 전달을 억제하는 쿠션부재(25)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32. 제 9 항, 제 12 항, 제 15 항, 제 18 항, 제 28 항 내지 제 3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통재(2, 32)는 복수의 가스통과구멍(2a, 32a)을 갖는 익스팬디드 메탈을 원통상으로 형성하여 이루고, 그 내통재(2, 32)의 외주면은 상기 외통(12, 42, 62, 82)에 근접하여 있고, 또한 내주면은 상기 필터부재(7, 37)에 접하여 있고, 그 익스팬디드 메탈의 원통부가 상기 가스통과공간(S2)을 겸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3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9 항, 제 12 항, 제 15 항, 제 18 항, 제 21 항, 제 24 항, 제 27 항 내지 제 3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7, 37)는 메리야스 편물철망 혹은 클림프방직 금속선재의 집합체에 의하여 원통상으로 성형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KR10-2000-7014860A 1999-04-28 1999-04-28 가스발생기 KR100417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2291 WO2000066402A1 (fr) 1999-04-28 1999-04-28 Générateur de ga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40A true KR20010106140A (ko) 2001-11-29
KR100417766B1 KR100417766B1 (ko) 2004-02-05

Family

ID=1423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860A KR100417766B1 (ko) 1999-04-28 1999-04-28 가스발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85051B1 (ko)
EP (1) EP1090817A4 (ko)
KR (1) KR100417766B1 (ko)
WO (1) WO2000066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26969T2 (de) * 1999-02-05 2006-12-21 Nippon Kayaku K.K. Gasgenerator
JP2001163171A (ja) * 1999-12-10 2001-06-19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JP2001180428A (ja) * 1999-12-27 2001-07-03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20040061319A1 (en) * 2000-12-26 2004-04-01 Takashi Saso Gas generator
US6857658B2 (en) * 2001-03-15 2005-02-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EP1470028A1 (en) * 2002-01-03 2004-10-2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irbag inflator
US7467588B2 (en) * 2002-12-09 2008-12-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US6886856B2 (en) * 2003-04-01 2005-05-03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inflator
US20050029785A1 (en) * 2003-08-06 2005-02-10 Arc Automotive, Inc. Compact multi-level output hybrid gas generator
US7438313B2 (en) * 2003-08-06 2008-10-21 Arc Automotive, Inc. Compact multi-level output gas generator
US7204512B2 (en) * 2004-01-28 2007-04-1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stage inflator with sympathetic ignition enhancement device
US7044502B2 (en) * 2004-02-24 2006-05-16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pyrotechnic driver inflator
US7413216B2 (en) * 2004-02-27 2008-08-1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n air bag
US7267365B2 (en) * 2004-03-10 2007-09-1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US7367584B2 (en) * 2004-04-19 2008-05-06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343862B2 (en) * 2004-05-27 2008-03-1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438315B2 (en) 2004-05-28 2008-10-2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and method of assembly
US7814838B2 (en) 2004-06-28 2010-10-1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275760B2 (en) * 2004-07-23 2007-10-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ulti-chamber gas generating system
US7237801B2 (en) * 2004-08-31 2007-07-0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20060186654A1 (en) * 2005-01-28 2006-08-2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US7537240B2 (en) * 2005-02-22 2009-05-26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654565B2 (en) 2005-06-02 2010-02-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DE112006001781T5 (de) 2005-06-30 2008-05-0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rmada Gaserzeuger
US7600783B2 (en) * 2005-07-08 2009-10-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US9700825B2 (en) 2006-09-21 2017-07-11 Acs Industries, Inc. Expanded metal filters
EP2441628A1 (en) * 2006-09-21 2012-04-18 ACS Industries Method for making metal filters
US10717032B2 (en) 2006-09-21 2020-07-21 Acs Industries, Inc. Expanded metal filters
EP2076410A2 (fr) 2006-10-09 2009-07-08 SNPE Matériaux Energétiques Procédé pyrotechnique de génération de gaz a deux régimes - générateur pyrotechnique associé
KR100863633B1 (ko) * 2006-10-31 2008-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의 복합뇌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444179B2 (en) * 2006-12-06 2013-05-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IL184216A0 (en) * 2007-06-25 2008-01-06 Rafael Advanced Defense Sys Two-stage airbag inflation system with pyrotechnic delay
US7950691B1 (en) 2007-10-31 2011-05-31 Tk Holdings, Inc. Inflator body with adapter form end
DE102009052565A1 (de) * 2009-11-10 2011-05-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etroit Airbagmodul für ein Fahrzeug
JP2011218942A (ja) * 2010-04-08 2011-11-04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ガス発生器とその組立方法
JP6543560B2 (ja) * 2015-11-26 2019-07-10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6213002B4 (de) * 2016-07-15 2019-02-1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generator für ein Gassackmodul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asgenerators
US10814828B2 (en) 2016-08-29 2020-10-27 Daicel Corporation Gas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743A (en) * 1995-03-22 1996-10-15 Morton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age air bag inflator system
DE19541584A1 (de) * 1995-11-08 1997-05-15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Anordnung zum mehrstufigen Zünden von Gasgeneratoren
JP3040049U (ja) * 1996-01-30 1997-08-05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適応性のあるエアバッグ膨張装置
JP3033792U (ja) * 1996-06-04 1997-02-07 日本化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H10297416A (ja) * 1997-04-25 1998-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装置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JP3702074B2 (ja) * 1997-08-25 2005-10-05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H1191494A (ja) * 1997-09-18 1999-04-06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6189924B1 (en) * 1997-11-21 2001-02-20 Autoliv Asp, Inc. Plural stage inflator
US6032979C1 (en) * 1998-02-18 2001-10-16 Autoliv Asp Inc Adaptive output inflator
US6019389A (en) * 1998-03-31 2000-0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US6168200B1 (en) * 1998-12-01 2001-01-02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Dual level inflator
DE60026969T2 (de) * 1999-02-05 2006-12-21 Nippon Kayaku K.K. Gasgenerator
US6227565B1 (en) * 1999-03-04 2001-05-08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pressure regulation
US6257617B1 (en) * 1999-03-04 2001-07-10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pressure regulation
US6315322B1 (en) * 1999-03-05 2001-11-13 Trw Inc. Air bag inflator
US6189927B1 (en) * 1999-12-16 2001-02-20 Autoliv Asp, Inc. Adaptive output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66402A1 (fr) 2000-11-09
US6485051B1 (en) 2002-11-26
EP1090817A1 (en) 2001-04-11
EP1090817A4 (en) 2005-03-30
KR100417766B1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766B1 (ko) 가스발생기
CA2226364C (en) Dual chamber nonazide gas generator
KR100459589B1 (ko) 가스 발생기
EP1056624B1 (en) Adaptive output inflator
EP1658204B1 (en) Pyrotechnique side impact inflator
US7152874B2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JP3830897B2 (ja) 2チャンバー式インフレータ
US7178831B2 (en) Gas generator
JP3986184B2 (ja) ガス発生器
JP3781603B2 (ja) ガス発生器
KR20060045329A (ko) 팽창기
EP1331143B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US7055855B2 (en) Gas generator for multi-stage air bag
JP3702074B2 (ja) ガス発生器
EP1369316B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JPH1191495A (ja) ガス発生器
JPWO2003070528A1 (ja) ガス発生器
JPH11157412A (ja) ガス発生器
JP4526375B2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WO2021262296A1 (en) Inflator for a passive vehicle safety device and filter for an inflator of a passive vehicle safety device
JP7361660B2 (ja) ガス発生器
JP2005212708A (ja)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2003025948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