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452A -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452A
KR20010103452A KR1020000025013A KR20000025013A KR20010103452A KR 20010103452 A KR20010103452 A KR 20010103452A KR 1020000025013 A KR1020000025013 A KR 1020000025013A KR 20000025013 A KR20000025013 A KR 20000025013A KR 20010103452 A KR20010103452 A KR 2001010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lcohol
coating composition
colored
anti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516B1 (ko
Inventor
김현돈
정해룡
정민교
장두원
Original Assignee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복현,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복현
Priority to KR10-2000-002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516B1/ko
Publication of KR2001010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T(Cathod Ray Tube) 유리표면의 코팅에 이용되는 코팅제 조성물, 특히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알콕시실란, 수용성 고분자,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코팅제 조성물은 CRT 유리표면에 코팅되어 양호한 외관과 대전방지성을 가진 CRT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ANTISTATIC TRANSPARENT BLACK COATING COMPOSITION,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COATING METHOD OF GLASS SURFA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텔레비젼의 CRT(Cathod Ray Tube)유리의 코팅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생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알콕시실란, 수용성 고분자,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생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에 관계한다.
칼라텔레비젼의 평면브라운관 외면유리에는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정전기적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코팅액은 대부분 투명한 도전성 용액에 카본블랙을 분산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안티몬티녹사이드(antimontinoxide)졸 및 실리카졸 용액에 카본분말이 분산된 형태의 코팅액(미국특허 제5,681,885호)과 전도성 고분자 및 실라카졸 용액에 카본분말이 분산된 형태의 코팅액이 있다. 그러나이러한 코팅액들은 그 색상이 암흑색 또는 흑갈색이어서 외관칼라특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고급한 느낌을 주지 못할 뿐 아니라 막표면 저항치도 1010∼1011Ω/□정도로 대전방지 특성도 양호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CRT용 코팅액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색상특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막전도도를 좋게하여 대전방지 특성을 향상시킨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알콕시실란, 수용성 고분자,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을 시작하는 단계; (b) 교반을 계속하면서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알콕시실란,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및 수용성 고분자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6시간 이상 교반하는 단계; (c) 다시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를 첨가하여 2시간 이상 교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표면에 80 내지 150 rpm의 속도로, 80 내지 150초에 걸쳐 스핀방법으로 코팅한 후 150 내지 200℃에서 30분 내지 1시간 열소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의 코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은
고형분의 농도가 0.6 내지 3.0 중량%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
6 내지 26 중량%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64 내지 90 중량%
알콕시실란; 3 내지 10 중량%
수용성 고분자; 0.005 내지 0.1 중량%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0.005 내지 0.05 중량%
수분산성 카본블랙; 0.1 내지 0.3 중량%
수분산성 유색안료; 0.05 내지 0.25 중량%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 0.05 내지 0.25 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에서 전도성 고분자화합물로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이 사용된다.
전도성 고분자화합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 폴리티오펜(polythiophene)등이다.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들은 중합이 쉽고, 전기적 전도성이 상당히 우수하여 합성금속 (synthetic metal)으로 오래 동안 주목 받아 왔고, 전자파재료, 이차전지의 전극, 투명전극 등 여러 가지 도전성 재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가공이 어렵고 열, 대기, 및 자외선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로 상용화에 성공한 예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 기존의 전도성 고분자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전성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미국특허 제5,035,926호 및 제5,391,47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폴리티오펜계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ethylenedioxythiophene, PEDT)이다.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은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와 폴리티오펜계의 다른 전도성 고분자 등에 비해 탁월한 가용성, 우수한 대기, 열, 및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지금까지 내구성 문제 때문에 거의 사용할 수 없었던 외부 노출부위의 도전성 코팅막 형성에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은 고분자산(폴리스티렌술폰산)으로 도핑(dopping)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액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이 고분자 수용액은 알콜 용매와 쉽게 혼합되기 때문에 전도성 고분자로서는 드물게 우수한 용매 가공특성을 시현한다.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은 CRT 유리표면, 투명 플라스틱 표면(판넬, 필름)등의 기질에 적용되는 전자파 차폐 재료, 정전기 방지제와 같은 도전성 코팅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고형분 0.6 내지 3.0 중량%)의 사용량은 6 내지 26 중량%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고형분함량이 1.2 내지 1.5 중량%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을 사용한다.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의 함량이 6 중량% 미만이면 표면저항이 1010Ω/□ 이상으로 상업적 수준의 목표치 108~1010Ω/□를 초과하여 대전방지 특성이 충분치 못하며, 사용량이 26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는 표면저항이 106Ω/□ 정도로 대전방지성은 우수하나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균일한 코팅막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코팅막의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우수한 분산성 및 막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해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두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코팅막의 전도도가 향상되어 대전방지특성이 좋아지며, 카본블랙의 분산성도 향상되어 코팅막에 빗살에 의한 외관불량의 발생이 없어진다.
알콜계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놀,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아마이드계 용매로서는 포름아마이드, N-메틸포름아마이드,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트아마이드, N-메틸아세트아마이드,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의 사용량은 64 중량% 내지 90 중량%가 적당하다. 상세하게는 용매의 혼합비율은 알콜 용매 94 내지 99 중량%, 아마이드계 용매는 1 내지 6 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며, 혼합용매 전체 중 메탄올의 함량을 50 중량% 이상으로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의 분산을 돕기위한 분산제로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다.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은 분산제의 역할을 하는 폴리스틸렌술폰산(-SO3H, -SO3 -Na)이 도핑되어 전도성 고분자 자체에 분산성이 있으나,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의 사용량이 10 중량% 이하의 저농도일 경우 분산성 및 기질표면과의 접착성이 충분치 않으므로 수용성 또는 알콜가용성 고분자를 분산제 및 수지바인더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분산제로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메타크릴산 (PMAA), 폴리아크릴산(PAA), 폴리비닐알콜(PVOH), 폴리비닐부티랄(PVB), 메틸셀룰로스(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알콜용액 또는 수용액 상태로 첨가하는 것이 좋으며, 사용량은 고형분기준 0.005 내지 0.1 중량%가 적당하다. 고형분이 0.005 중량% 미만인 경우, 기질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분산성이 저해되며, 0.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균일한 코팅막 형성을 저해하고 외관불량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전도보조제로 슬폰산 모노머 도판트를 사용한다.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은 코팅막 상태에서 바인더인 실리카졸에 의하여 전도도 특성이 매우 저하되기 때문에 전도보조제로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를 사용하고 있다.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가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분자에 추가로 도핑되어 코팅막의 전도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로는 p-톨루엔술폰산(p-TSA), 도데실벤젠술폰산, 1,5-안트라퀴논디술폰산(1,5-AQSA), 2,6-안트라퀴논디술폰산(2,6-AQSA), 안트라퀴논술폰산(AQSA), 4-히드록시벤젠술폰산(4-HBSA), 메틸술폰산(MSA), 니트로벤젠술폰산(NBSA)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 사용된다. 이들 중 산의 형태인 경우는 그대로 사용하고, 소듐(Na)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는 pH 2의 질산수용액을 이용하여 산의 형태로 치환하여 사용한다.
상기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는 수용액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분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첨가량은 고형분기준 0.005 내지 0.05 중량% 가 적당하다. 고형분이 0.005 중량% 미만의 경우는 본 발명에서 원하는 전도도 상승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0.05 중량% 초과의 경우는 분산성이 나쁘게 되어 오히려 전도도를 저하시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알콕시실란은 조성물의 코팅시 브라운관 외면유리와의 접착성을 높이고 코팅막의 경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알콕시실란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하며, 제조과정 중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에 포함된 물 또는 추가로 첨가된 물과 반응하여 가수분해반응, 축합반응을 거쳐 실리카졸(-SiO2-SiO2-), 알킬실리카졸(R-SiO2-SiO2-)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리카졸은 열경화 코팅시 폴리실리케이트 결정을 형성하여 코팅막과 브라운관 외면유리와의 접착성을 높임과 동시에 막경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알콕실란은 3 중량% 내지 10 중량%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란의 양이 3 중량% 미만의 경우는 5H 이상의 경도를 달성할 수 없으며 10 중량% 초과의 경우, 경도는 매우 우수하게 되나 전도성에 악영향을 주는 폴리실리케이트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106~ 108Ω/□ 정도의 표면저항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착색제로 수분산성 카본블랙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술포네이트, 카르복실레이트기와 공유결합하여 표면개질된 수분산성 카본을 사용한다. 이 경우 통상 카본의 안정한 분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고분자 등과 같은 유기물들을 첨가하지 않아도 물이나 알콜용매에서 안정된 분산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카본블랙을 사용하여 코팅막을 조성하면 우수한 막경도, 높은 광학밀도(optical density)를 이룰수 있으며 더불어 막표면에 블랙칼라의 용출이 거의 없는 잇점이 있다. 또한 카본 분체에 존재하는 술포네이트, 카르복실레이트기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에 도핑(doping)제로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막전도도를 더욱 좋게하여 대전방지 특성을 양호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더불어 물 또는 알콜용매 내에서의 안정된 분산성으로 인해 높은 함량의 카본을 사용하는 경우 자주 발생하는 코팅막의 빗살에 의한 외관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상기 수분산성 카본블랙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색상특성이 흑갈색 계통의 색상을 가지므로 색상이 고급감을 주지 못하므로 CRT와 같은 고급의 질감 및 색상을 원하는 곳에서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분산성 유색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수분산성 유색안료는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와 같은 수용성 분산제 및 통상의 수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비드로 분산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분산성 유색안료는 수분산성 카본블랙의 색상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사용량은 수분산성 카본블랙 대비 동등한 비율 또는 그 이하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분산성 카본블랙은 0.1 내지 0.3 중량%, 수분산성 유색안료는 0.05 내지 0.2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블랙과 안료를 최소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본 발명에서 원하는 최소 투과도 80% 이하를 달성할 수 없으며, CRT에서 요구되는 정도의 검은색상을 나타낼 수 없다. 또한 최대중량을 초과하면투과도는 좋아지나, 안료 고형분 함량이 너무 많아 석출이나, 얼룩등 외관 불량이 발생하여 좋지 못하다.
상기 수분산 카본 및 유색안료만을 사용하는 경우 칼라특성은 우수하나 표면저항이 108∼1010Ω/□ 범위 내이고, 대부분의 경우 상업적 가치특성기준이 1010에 근접된 값을 보여 대전방지 특성이 그다지 좋지 못하다. 본발명에서는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착색제들을 배합함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코팅막의 도전성을 106∼108Ω/□정도까지 달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색염료는 알콜가용특성이 있어 본 발명의 도전액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친수성기가 치완된 형태의 아조크롬컴플렉스계 염료 및 안트라퀴논계 염료를 사용한다.
상기 유색염료들은 0.05 내지 0.2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본발명의 목적인 도전성 향상을 가져올 수 없으며, 0.25 중량% 초과인 경우 블랙칼라 특성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발명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을 시작한 후 교반을 계속하면서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알콕시실란, 술폰산 모노머 도판드, 수용성고분자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6시간 이상 교반하여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및 실리카졸 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생성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및 실리카졸 용액에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를 첨가하여 2시간 이상 교반하여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의 제조에서 구성물질의 첨가순서를 달리하거나 제조방법을 달리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리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유리표면을 셀룸옥사이드로 폴리싱(Polishing)한 후, 에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을 유리표면에 스핀방법으로 코팅하고 건조시킨다. 상기 코팅은 80 내지 150 rpm의 속도로 80 내지 150초에 걸쳐서 행함이 좋다.
마지막으로 경질의 필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150 내지 200℃에서 30분 내지 1시간정도 열경화시킨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이하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8
1L 크기의 유리용기 내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을 첨가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혼합비로 알콜과 아마이드계 용매, 알콕시실란,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수용성 고분자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상온에서 8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조성물에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용액, 수분산성 유색안료 수용액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를 첨가하여 4시간 정도 교반하여 코팅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먼저 산으로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된 유리를 35℃로 예열한 후, 이 유리표면위에 120rpm, 120초 동안 스핀코트로 코팅하였다. 이것을 180℃ 오븐에 30분 소성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전도성고분자1.3%,aq. 알콜 및아마이드계혼합용매 술폰산모노머도판트1%,aq. 수용성고분자 알콕시실란 수분산성카본블랙5%,aq. 수분산성유색안료5%,aq. 알콜가용성유색염료5%,MeOH
실시예1 PEDT8% MeOH/NMP75.9%/3% p-TSA1% HPC(1%,MeOH)1% TEOS5% CB2003% GA blue=1%GA viloet=1% Blue43P 1.1%
실시예2 PEDT12% MeOH/NMAA71%/2% p-TSA1% MC(1%,MeOH)2% TEOS5% CB2003% GA blue=1%GA violet=1% Blue43P2%
실시예3 PEDT12% MeOH/NMAA70%/2% p-TSA1% MC(1%,MeOH)2% TEOS5% CB2003% GA green=2% Blue43P3%
실시예4 PEDT12% MeOH/NMAA69.5%/3% p-TSA1% MC(1%,MeOH)1% TEOS5% CB2003% GA violet=2% Blue43P3.5%
실시예5 PEDT12% MeOH/NMAA69%/3% p-TSA2% MC(1%,MeOH)2% TEOS5% CB2003% GA blue=1%GA red=1% Black6P2%
실시예6 PEDT15% MeOH/EtOH/NMP58/8%/3.5% MSA1% MC(1%,aq.)1% TEOS7% CB3003% GA blue=1.0%GA violet=0.5% Black6P2%
실시예7 PEDT20% MeOH/NMP65.9%/3% MSA1% PAA(1%,aq.)1% TEOS4% CB3002.5% GA blue=1.0%GA violet=0.5% Black206P1.1%
실시예8 PEDT18% MeOH/IPA/DMF62%/5%/3% NBSA1% HEC(1%,MeOH)1% TEOS4% CB2002.5% GA blue=1%GA violet=0.5% Black206P2%
실시예9 PEDT8% MeOH/NMP72%/3% 4-HBSA2% PMAA(1%,aq.)2% TEOS4% CB2005% GA blue=2%GA violet=0.5% Black206P1.5%
실시예10 PEDT15% MeOH/NMAA65.7%/3% p-TSA0.6% PVB(1%,MeOH)0.6% mTEOS10% CB2002.5% GA blue=1.0%GA violet=0.5% Black206P1.1%
실시예11 PEDT10% MeOH/NMP70.5%/3% p-TSA2% HPC(1%,MeOH)3% TEOS4% CB2002.5% GA blue=1%GA violet=1% Blue43P3%
전도성고분자1.3%,aq. 알콜 및아마이드계혼합용매 술폰산모노머도판트1%,aq. 수용성고분자 알콕시실란 수분산성카본블랙5%,aq. 수분산성유색안료5%,aq. 알콜가용성유색염료5%,MeOH
비교예1 EDT12% MeOH/NMP68%/3% p-TSA2% HPC(1%,MeOH)3% TEOS6% CB2003% GA blue=2%GA violet=1%
비교예2 EDT10% MeOH/NMP72%/3% p-TSA4% HPC(1%,MeOH)3% TEOS4% CB2002% GA blue=1%GA violet=1%
비교예3 EDT22% MeOH/IPA/NMP55%/5%/3% NBSA1% HEC(1%,MeOH)1% TEOS8% CB2002% GA blue=1%GA violet=2%
비교예4 PEDT4% MeOH/NMP79%/2% p-TSA4% HPC(1%,MeOH)2% TEOS4% CB2002% GA blue=1%GA violet=1% Blue43P1%
비교예5 PEDT30% MeOH/EtOH/NMP40%/10%/4% p-TSA1% HPC(1%,MeOH)1% TEOS8% CB2002% GA blue=1%GA violet=1% Blue43P2%
비교예6 PEDT8% MeOH/NMP77%/2.9% p-TSA0.1% HPC(1%,MeOH)2% TEOS4% CB3002% GA blue=1%GA violet=1% Black6P2%
비교예7 PEDT8% MeOH/NMP65%/4% p-TSA7% HPC(1%,MeOH)2% TEOS6% CB3004% GA blue=1%GA violet=1% Black6P2%
비교예8 PEDT10% MeOH/NMP74%/2% p-TSA2% HPC(1%,MeOH)2% TEOS2% CB3004% GA blue=1%GA violet=1% Black6P2%
비교예9 PEDT12% MeOH/NMP55%/2% p-TSA2% HPC(1%,MeOH)2% TEOS12% CB2004% GA Blue=4%GA Violet=4% Black6P3%
비교예10 PEDT22% MeOH/NMP65%/2.5% p-TSA1% HPC(1%,MeOH)1% TEOS6% CB2000.2% GA Blue=0.15%GA Violet=0.15% Black206P2%
비교예11 PEDT12% MeOH/NMP62%/2% p-TSA3% HPC(1%,MeOH)3% TEOS5% CB3008% GA blue=2%GA Violet=2% Black206P1%
* PEDT(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바이에르사의 Baytron PH 4071
* MeOH, EtOH, NMP(N-메틸피롤리돈), DMF(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NMAA(N-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알드리치사
* p-TSA(p-톨루엔술폰산), MSA(메틸술폰산), NBSA(니트로벤젠술폰산), 4-HBSA(4-히드록시벤젠 술폰산); 알드리치사
* HPC(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C(메틸셀룰로스), PAA(폴리아크릴산), PMAA(폴리메타크릴산), PVB(폴리비닐부티랄), HEC(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알드리치사
* TEOS(테트라에톡시실란), mTEOS(메틸트리에톡시실란); 알드리치사
* CB200(술포네이트 카본블랙), CB300(카르복실레이트 카본블랙); 카보트사
* GA blue, GA violet, GA green, GA red, GA yellow; Mikuni Color사
* PC-Black 006P, PC-Black 206P(아조크롬컴플렉스계), PC-Blue43P(안트라퀴논계); 일본화약
저항(Ω/□) 투과도(T%) 경도(H) 막상태 막색상
실시예1 8x107 55 6 양호 흑청색
실시예2 6x107 50 6 양호 흑청색
실시예3 5x107 52 6 양호 흑녹색
실시예4 4x107 48 6 양호 암자색
실시예5 4x107 52 6 양호 흑청색
실시예6 7x106 51 7 양호 흑청색
실시예7 2x106 42 7 양호 흑청색
실시예8 5x106 70 5 양호 흑청색
실시예9 3x107 65 4 양호 흑청색
실시예10 4x106 68 6 양호 흑청색
실시예11 4x107 72 5 양호 흑청색
비교예1 6x109 50 6 양호 흑청색
비교예2 8x109 72 5 양호 흑청색
비교예3 4x108 70 5 양호 흑청색
비교예4 1x1011 65 5 양호 흑청색
비교예5 2x106 45 4 불량 흑청색
비교예6 2x1010 60 4 양호 흑청색
비교예7 4x109 55 5 불량 흑청색
비교예8 8x106 56 2 양호 흑청색
비교예9 2×1011 35 8 불량 흑청색
비교예10 4×108 85 6 양호 흑청색
비교예11 2×109 38 5 불량 흑청색
* 표면저항; Ultrehigh resistance (Advantest사)에 의해 평가
* 투과도; ASTM D1003 방법에 의해 평가 (550nm의 투과도)
* 연필경도; ASTM D3502(연필경도 테스트기, toyoseki)방법에 의해 평가
* 막상태 및 막색상; 육안관찰로 평가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은 CRT 유리표면에 코팅되어 고급한 느낌을 주는 외관과 뛰어난 대전방지성 등의 물성을 지니는 CRT유리를 제공한다.

Claims (11)

  1.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알콕시실란, 수용성 고분자,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로 이루어지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고형분의 농도가 0.6 내지 3.0 중량%인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
    6 내지 26 중량%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64 내지 90 중량%
    알콕시실란; 3 내지 10 중량%
    수용성 고분자; 0.005 내지 0.1 중량%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0.005 내지 0.05 중량%
    수분산성 카본블랙; 0.1 내지 0.30 중량%
    수분산성 유색안료; 0.05 내지 0.25 중량%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 0.05 내지 0.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의 고형분의 농도가 1.2 내지 1.5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의 점도가 10∼5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입된 알콕시실란이 물과 반응하여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을 거쳐 실리카졸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계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아마이드계 용매는 포름아마이드, N-메틸포름아마이드,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트아마이드, N-메틸아세트아마이드,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으로 구성되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알콕시실란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티랄,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고,
    상기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는 p-톨루엔술폰산, 도데실벤젠술폰산, 1,5-안트라퀴논디술폰산, 2,6-안트라퀴논디술폰산, 안트라퀴논술폰산, 4-히드록시벤젠술폰산, 메틸술폰산, 니트로벤젠술폰산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며,
    상기 수분산성 카본블랙은 술포네이트 또는 카르복실레이트로 표면개질된 수분산성 카본이며,
    상기 수분산성 유색안료는 고분자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밀링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는 아조크롬 컴플렉스계 또는 안트라퀴논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알콜계 용매 94 내지 99 중량%, 아마이드계 용매 1 내지 6중량%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 전체를 기준으로 메탄올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알콜가용성 유색염료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수분산성 카본블랙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10. (a)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수용액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교반을 시작하는 단계;
    (b) 교반을 계속하면서 알콜 및 아마이드계 혼합용매, 알콕시실란, 술폰산 모노머 도판트, 수용성고분자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6시간 이상 교반하는 단계;
    (c) 다시 수분산성 카본블랙, 수분산성 유색안료, 및 알콜가용성 유색염료를 첨가하여 2시간 이상 교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리표면에 80 내지 150 rpm의 속도로, 80 내지 150초에 걸쳐 스핀방법으로 코팅한 후 150 내지 200℃에서 30분 내지 1시간 열소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KR10-2000-0025013A 2000-05-10 2000-05-10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KR10037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013A KR100371516B1 (ko) 2000-05-10 2000-05-10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013A KR100371516B1 (ko) 2000-05-10 2000-05-10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452A true KR20010103452A (ko) 2001-11-23
KR100371516B1 KR100371516B1 (ko) 2003-02-06

Family

ID=4580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013A KR100371516B1 (ko) 2000-05-10 2000-05-10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895B1 (ko) * 2005-11-11 2007-01-17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박형 대전방지 확산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형 대전방지 확산 광학소자
KR100771952B1 (ko) * 2005-11-11 2007-10-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박형 대전방지 확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형대전방지 확산 필름
KR100794717B1 (ko) * 2006-01-25 2008-01-21 스카이코팅 주식회사 투명패널의 대전방지 코팅액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14B1 (ko) 2006-05-15 2007-09-13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아미노-카본블랙 및 그의 제조방법
SE545404C2 (en) * 2022-06-22 2023-08-01 Organograph Ab An electron conducting coat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895B1 (ko) * 2005-11-11 2007-01-17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박형 대전방지 확산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형 대전방지 확산 광학소자
KR100771952B1 (ko) * 2005-11-11 2007-10-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박형 대전방지 확산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형대전방지 확산 필름
KR100794717B1 (ko) * 2006-01-25 2008-01-21 스카이코팅 주식회사 투명패널의 대전방지 코팅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516B1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408B1 (ko) 고전도성및고투명성을갖는폴리티오펜계전도성고분자용액조성물
US6235827B1 (en) Polymer composition for coatings with high refractivity conductivity, and transparancy
EP1785450B1 (de) Polymerbeschichtung mit verbesserter Lösungsmittelbeständigkeit
US8936735B2 (en) Polymer coatings with improved heat stability
CN102516784B (zh) 一种含有聚(3,4-乙撑二氧噻吩)/木质素磺酸的导电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8338546B2 (en) Composition of polythiophene-based conductive polymers having high conductivity, transparency, waterproof property and a membrane prepared using the same
KR20020040586A (ko) 폴리티오펜
WO200903061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itfähigen polymeren
EP4027353A1 (en) Conductive material and substrate
KR100371516B1 (ko)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DE102009036282A1 (de) Neue Polymerbeschichtungen enthaltend leitfähige Polymere
KR20010100281A (ko)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KR100418508B1 (ko) 투명성및도전성이우수한전도성고분자하드코팅막
EP3067897B1 (en) Conductive material and substrate
KR100364242B1 (ko) 대전방지성 착색 코팅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유리표면의 코팅방법
KR100404874B1 (ko) 전도성 고분자 블랙착색 crt 코팅층 및 그의 형성방법
KR100404873B1 (ko) 전도성 고분자 crt 코팅층 및 그 코팅층 형성용조성물
KR100475550B1 (ko) 전자파차폐용 도전성 블랙착색 코팅액 조성물, 그를이용한 코팅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코팅필름
KR100417173B1 (ko) 정전기방지투명하드코팅액조성물
KR100442409B1 (ko) 투명성및전도성을갖는고분자하드코팅조성물
KR20000019871A (ko) 도전성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의 제조방법
KR100439061B1 (ko) 고체 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39010A (ja) 絶縁物基材の静電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