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891A -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891A
KR20010102891A KR1020010064243A KR20010064243A KR20010102891A KR 20010102891 A KR20010102891 A KR 20010102891A KR 1020010064243 A KR1020010064243 A KR 1020010064243A KR 20010064243 A KR20010064243 A KR 20010064243A KR 20010102891 A KR20010102891 A KR 2001010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emi
fabric
finished product
chopst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운희
최연남
Original Assignee
한운희
최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운희, 최연남 filed Critical 한운희
Priority to KR102001006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2891A/ko
Publication of KR2001010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8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2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th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4Forming flat bags from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2Applying adhesives or sealing liquids
    • B65B51/026Applying adhesives or sealing liquids using rotating appl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removing material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권취된 하나의 원단을 일 방향 수평으로 공급하고, 원단이 수평으로 공급되면 원단의 저면에 선, 문자, 도형 등을 연속적으로 인쇄하며,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다수의 무늬가 일조가 되도록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의 무늬 상단을 소정각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입구를 형성시키며, 성형된 입구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선을 지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반제품의 인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절반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 배면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면을 상호 대향하게 합지시키며, 접합된 반제품의 각 접착부 중심을 동시에 절단하고, 낱개로 절단된 포장대를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일정 개수가 되면 포장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여 전면(11)과 후면(12)이 하단에서 접혀 일체로 감싸 양측을 접착하여 하단과 양측이 폐쇄된 수납공간(13)이 형성되고, 수납공간(13)의 상부가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취된 입구(10B)가 구비된 포장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원단을 공급하여 다량의 포장대를 단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으며, 포장대의 상.하 여분을 최소화하고 접착 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제품의 질을 높이고, 불필요하게 자재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완료된 포장대의 입구를 통하여 젓가락을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는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e in chopsticks package}
본 발명은 젓가락을 낱개로 포장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하는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젓가락은 음식을 집어 먹을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목재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가늘고 길게 구성하여 일회용 또는 재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젓가락 포장대 중에서 일회용의 경우는 대부분 얇은 종이 또는 비닐지로 감싸 밀봉된 포장상태로 공급되는 형태가 있고,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재사용 젓가락을 포장하는 포장대의 경우는 젓가락을 넣고 뺄 수 있도록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낱개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공급되는 포장대는 표면이 인쇄된 원단을 상하로 각각 공급하고 합지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프레스 절단기를 이용하여 한매씩 절단하여 포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종래의 포장대는 두장의 원단을 각각 공급한 후 합지하여 한매씩 절단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지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내측을 제외하고 네 변의 가장자리를 접착시키게 됨으로서, 포장대(1)의 상.하단(1a)(1b)이 많이 남게 된다. 따라서 원자재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장대의 입구가 수평으로 절개되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젓가락(T)을 넣고 빼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입구를 통하여 젓가락을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는 젓가락 포장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원단을 공급하여 다량의 포장대를 단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포장대의 상.하 여분을 최소화하고 접착 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제품의 질을 높이고, 불필요하게 자재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젓가락 포장대는, 전면과 후면이 하부에서 일체로 감싸이고 양측이 접착되고, 상부 입구가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로 절취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젓가락 포장대 제조방법은, 하나의 원단을 일 방향 수평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수평으로 공급된 원단의 한쪽 면에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된 다수개의 무늬가 일조가 되도록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반제품을 제공받는 단계와;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의 무늬 상단을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단하여 입구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입구의 일측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반제품의 절반을 내측으로 접어 합지시키는 단계와; 합지된 반제품의 각 접착부 중심을 동시에 절단하여 완제품을 제공받는 단계와; 낱개로 절단된 포장대를 일정 개수씩 적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포장대 제조장치는, 하나의 원단을 일 방향 수평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수평으로 공급된 원단의 한쪽 면에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와; 인쇄된 다수개의 무늬가 일조가 되도록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반제품을 제조하는 반제품절단부와;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의 무늬 상단을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단하여 입구를 형성시키는 입구성형부와; 입구의 일측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와; 접착제가 도포된 반제품의 절반을 내측으로 접어 접합시키는 합지부와; 합지된 반제품의 각 접착부 중심을 동시에 절단하는 완제품절단부와; 낱개로 절단된 포장대를 일정 개수씩 정열한 후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젓가락 포장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젓가락 포장대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 제조공정에 의해 포장대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인 제품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원단공급부와 인쇄부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반제품절단부와 입구성형부의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접착제 도포부의 상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합지부의 상세 구성도
도10은 본 발명 완제품절단부와 배출안내부의 상세 구성도
도11은 본 발명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장대 20: 원단공급부
30: 인쇄부 40: 반제품절단부
50: 입구성형부 60: 접착제도포부
70: 합지부 80: 완제품절단부
90: 배출안내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젓가락 포장대(10)는, 도 4e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1)과 후면(12)이 하단에서 접혀 일체로 감싸 양측을 접착하여 하단과 양측이 폐쇄된 수납공간(13)이 형성되고, 수납공간(13)의 상부가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취된 입구(10B)가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젓가락 포장대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젓가락 포장대의 제조 공정도이다.
(A) 롤 형태로 권취된 하나의 원단을 일 방향 수평으로 공급한다.
(B) 원단이 수평으로 공급되면 원단의 저면에 선, 문자, 도형 등을 연속적으로 인쇄한다.
(C)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12개의 무늬(10A)가 일조가 되도록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반제품을 제조한다. 상기 무늬 수는 12개보다 많거나 적게 할 수 있으며, 반제품(10')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다.
(D)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의 무늬 상단을 소정각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입구를 형성시킨다. 입구(10B)의 성형 상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E) 입구가 성형되면 입구의 양측 가장자리에 중심선(C) 이상 접착제를 바른다. 접착제(B)의 도포 상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다.
(F) 접착제가 도포된 반제품은 인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절반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 배면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면을 상호 대향하게 하여 합지시킨다. 반제품(10')의 합지 상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다.
(G) 접합된 반제품(10')의 각 접착부 중심을 동시에 절단하여 젓가락 포장대를 제공받는다.
상기 A단계에서 G단계 까지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젓가락 포장대(10)는 도 4e,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1)과 후면(12)이 하단에서 접혀 일체로 감싸 양측을 접착하여 하단과 양측이 폐쇄된 수납공간(13)이 형성되고, 수납공간(13)의 상부를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취한 입구(10B)가 형성된다.
(H)낱개로 절단된 포장대(10)를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일정 개수가 되면 포장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낱개로 절단된 포장대(10)는 연속적으로 적층되고, 적층되는 포장대가 100매가 되면 포장이 가능한 위치로 배출된다. 포장대의 적층 매수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10매에서 300매 이상까지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젓가락 제조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젓가락 제조장치는 하나의 원단을 일 방향 수평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부(20)가 구성되고, 수평으로 공급된 원단의 저면에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인쇄부(30)가 구성되며,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반제품을 제조하는 반제품 절단부(40)가 구성되고, 절단된 반제품의 무늬 상단을 소정각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입구를 형성시키는 입구성형부(50)가 구성되며, 입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반 이상 접착제를 도포하는접착제 도포부(60)가 구성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반제품을 인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절반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 배면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면을 상호 대향하게 하여 접합시키는 접합부가 구성되며, 접합된 반제품의 각 접착부위 중심을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절단하는 완제품 절단부가 구성되고, 낱개로 절단된 완제품을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일정 개수가 되면 포장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90)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단공급부(20)는, 중심을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켜 원단(21)이 하부에서 일측 수평방향으로 풀려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인쇄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공급부(20)에서 풀려 다수의 인장로울러(31)를 통과한 원단(21)의 저면에 인쇄가 될 수 있도록 하부에 인쇄로울러(32)가 구비되고, 인쇄로울러(32)와 대향하는 상부에는 실린더(34)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는 가압로울러(33가 구비된다. 이러한 인쇄로울러(32)와 가압로울러(33는 동일한 구성으로 2개 1조로 구성하여 색도가 다른 인쇄물을 순차적으로 동시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제품 절단부(40)는, 인쇄부(30)에서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12개의 무늬가 일조가 되는 위치를 절단하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부(30)의 일측 상부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칼날(41)을 구성한다. 이 회전칼날(41)은 한번 회전할 때 마다 하나의 반제품이 절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입구성형부(50)는, 반제품 절단부(40)의 출구 측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일측은 수직이고 타측은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룬 절단홈(511)이 형성된 하부금형(51)이 구비되고, 상기 절단홈(511)에 수직으로 삽입 및 이탈하면서 입구를 절단하도록 절단홈(511)과 대응하는 형상의 펀치(521)가 구비된 상부금형(52)이 구비된다. 이 상부금형(52)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승강하면서 절단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60)는, 입구가 형성된 반제품(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반 이상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B)를 담아두는 트레이(61)의 상부에 상호 면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착로울러(62)가 구비되고, 전방 접착로울러(62)와 근접한 하부에는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접착로울러(62)와 면접촉하고, 면접촉하면서 부분적으로 전달된 접착제를 반제품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도포하는 도포로울러(63)가 구성된다.
상기 합지부(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로울러(63)를 통과하여 부분적으로 도포된 접착제를 간섭하지 않고 안내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제1안내로울러(71)가 구비되고, 제1안내로울러(71)를 통과한 반제품(10')을 상부 소정위치까지 수직으로 안내하여 정지시키는 가이드(73)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73)를 따라 안내되어 삽입된 반제품(10')의 내측 중심을 접도록 가이드(73)의 일측에 소정 각도 회동하는 작동구(7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73)의 하단과 근접하고 제1안내로울러(71)와 대향하는 후방에는 작동구(74)에 의해 접힌 반제품을 후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접착제가 도포된 내측면이 상호 합지되도록 지지로울러(75)와 함께 연동하여 접힌 반제품(10')을 가압하는 제2안내로울러(72)가 구비된다.
상기 완제품 절단부(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지부(70)를 통과하여 이중으로 접착된 반제품(10')의 각 접착부 중심을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절단하도록 다수의 절단홈(811)(821)과 절단돌기(812)(822)가 요철(凹凸)형으로 구성된 2개 1조의 절단로울러(81)(82)가 상.하 서로 대응하게 맞물려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로울러(81)(82)의 입구 측에 상.하 서로 밀착하여 연동하는 유입안내로울러(83)가 구비되고, 출구 측에도 상.하 서로 밀착하여 연동하는 배출안내로울러(84)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안내부(90)는, 완제품 절단부(80)에서 절단되어 배출안내로울러(84)를 통과한 완제품을 소정 높이로 적층할 수 있도록 배출안내로울러(8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여러 장의(예;100장) 절단된 완제품이 적층될 때 까지 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91)이 하부에 구비되고, 차단판(91)의 상부에는 적층되는 완제품의 높이를 결정하는 스토퍼(92)가 구비된다. 이 스토퍼(92)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낱개로 절단된 완제품이 정해진 높이까지 적층되어 차단판(91)이 상승함과 동시에 적층된 완제품을 배출트레이(94)까지 이송하도록 바닥에 컨베이어밸트(93)가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조장치에 의해 젓가락 포장대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롤 형태로 권취된 하나의 원단(21)이 일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공급되면, 이 원단(21)은 인쇄부(30)의 가압로울러(33와 인쇄로울러(32) 사이를 통과한다. 이렇게 인쇄부(30)를 통과한 원단(21)의 저면에는 인쇄로울러(32)에 각인된 선, 문자, 도형 등이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상기와 같이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이 반제품 절단부(40)를 통과하면서 12개의 무늬(10B)가 일조가 되도록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제품(10')을 제조한다.
이어서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10')은 입구성형부(50)로 이동하여 정지하면 상부금형(52)이 하강하여 무늬(10B) 상단을 소정각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단함으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0B)를 형성시킨다.
입구(10B)의 성형이 완료된 반제품(10')은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이송로울러에 안내되어 접착제도포부(60)로 이송됨과 동시에 표면에 접착제를 묻힌 반원통형 도포로울러(63)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0B)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반 이상 접착제(를 도포한 후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B)가 도포된 반제품(10')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지부(70)의 제1안내로울러(71)에 안내되어 가이드(73)의 내부로 유입되어 멈춘다. 이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구(7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제품(10')의 중심 후방을 밀면 중심이 외향으로 접히면서 그 선단이 제2안내로울러(72)와 지지로울러(75) 사이로 유입되어 통과한다. 이렇게 제2로울러(72)를 통과한 반제품(10')은 인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절반이 내측으로 접힘으로서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 배면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면이 상호 대향하여 접합된다. 이러한 반제품의 합지 상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합지된 반제품(10')은 완제품 절단부(80)의 상.하절단로울러(81)(82) 사이를 통과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절단홈(811)(821)과 절단돌기(812)(822)에 의해 각 접착부(B)의 중심이 절단됨으로서, 12개의 포장대 완제품 절단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과하면 도 4e,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1)과 후면(12)이 하단에서 접혀 일체로 감싸 양측을 접착하여 하단과 양측이 폐쇄된 수납공간(13)이 형성되고, 수납공간(13)의 상부를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취하여 입구(10B)를 형성한 포장대(10)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낱개로 절단되어 배출안내로울러(84)를 통과한 완제품은 차단판(91)에 선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소정 높이로 적층되어 정해진 매수(예:100매)가 감지되면 차단판(91)이 상승한다. 이렇게 차단판(91)이 상승하면 컨베이어밸트(93)가 전방을 향해 구동하여 소정 높이로 적층된 완제품을 배출트레이(61)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배출트레이(61)까지 이동한 완제품 뭉치는 적당한 포장수단으로 포장함으로서 숟가락 포장대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원단을 공급하여 다량의 포장대를 단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포장대의 상.하 여분을 최소화하고 접착 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제품의 질을 높이고, 불필요하게 자재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완료된 포장대의 입구를 통하여 젓가락을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입구를 통하여 젓가락을 넣고 뺄 수 있도록 구성된 젓가락 포장대에 있어서,
    전면(11)과 후면(12)을.이 하단에서 접혀 일체로 감싸고 양측을 접착하여 하단과 양측을 폐쇄한 수납공간(13)이 형성되고, 수납공간(13)의 상부가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취하여 개방된 입구(10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2. 입구를 통하여 젓가락을 넣고 뺄 수 있는 젓가락 포장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롤 형태로 권취된 하나의 원단을 일 방향 수평으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단계와;
    원단이 수평으로 공급되면 원단의 저면에 선, 문자, 도형 등을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다수의 무늬가 일조가 되도록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반제품 절단단계와;
    소정 길이로 절단된 반제품의 무늬 상단을 소정각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입구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성형된 입구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선을 지나도록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반제품의 인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절반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 배면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면을 상호 대향하게 합지시키는 단계와;
    접합된 반제품의 각 접착부 중심을 동시에 절단하는 완제품 절단단계와;
    낱개로 절단된 포장대를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일정 개수가 되면 포장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방법.
  3. 입구를 통하여 젓가락을 넣고 뺄 수 있는 젓가락 포장대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원단을 일 방향 수평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원단공급부(20)와;
    수평으로 공급된 원단의 저면에 연속적으로 인쇄하도록 구성되는 인쇄부(30)와;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반제품을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반제품 절단부(40)와;
    절단된 반제품의 무늬 상단을 소정각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입구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입구성형부(50)와;
    성형된 입구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반 이상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는 접착제 도포부(60)와;
    접착제가 도포된 반제품을 인쇄면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절반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 배면과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면을 상호 대향하게 하여 합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합지부(70)와;
    합지된 반제품의 각 접착부위 중심을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완제품 절단부(80)와;
    낱개로 절단된 완제품을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일정 개수가 되면 포장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도록 배출안내부(9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인쇄부(30)는,
    원단공급부(20)에서 풀려 다수의 인장로울러(31)를 통과한 원단(21)의 저면 하부에 인쇄되도록 인쇄로울러(32)가 구비되고, 인쇄로울러(32)와 대향하는 상부에는 실린더(34)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는 가압로울러(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반제품 절단부(40)는,
    인쇄부(30)에서 인쇄가 종료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을 소정 수의 무늬가 일조가 되는 위치를 절단하도록 인쇄부(30)의 일측 상부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칼날(4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입구성형부(50)는,
    반제품 절단부(40)의 출구 측에 일측은 수직이고 타측은 일정 각도의 경사를 이룬 절단홈(511)이 형성된 하부금형(51)이 구비되고, 상기 절단홈(511)에 수직으로 삽입 및 이탈하도록 대응하는 펀치(521)가 구비된 상부금형(5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접착제 도포부(60)는,
    접착제 트레이(61)의 상부에 상호 면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접착로울러(62)가 구비되고, 전방 접착로울러(62)와 근접한 하부에는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접착로울러(62)와 면접촉하면서 부분적으로 전달된 접착제를 반제품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도포하는 도포로울러(6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합지부(70)는,
    도포로울러(63)를 통과하여 부분적으로 도포된 접착제를 간섭하지 않고 안내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제1안내로울러(71)가 구비되고, 제1안내로울러(71)를 통과한 반제품(10')을 상부 소정위치까지 수직으로 안내하여 정지시키는 가이드(73)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73)를 따라 안내되어 삽입된 반제품(10')의 내측 중심을접도록 가이드(73)의 일측에 소정 각도 회동하는 작동구(74)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73)의 하단과 근접하고 제1안내로울러(71)와 대향하는 후방에는 작동구(74)에 의해 접힌 반제품을 후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접착제가 도포된 내측면이 상호 합지되도록 지지로울러(75)와 함께 연동하여 접힌 반제품(10')을 가압하는 제2안내로울러(7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완제품 절단부(80)는,
    다수의 절단홈(811)(821)과 절단돌기(812)(822)가 요철(凹凸)형으로 구성된 2개 1조의 절단로울러(81)(82)가 상.하 서로 대응하게 맞물려 구성되고, 상기 절단로울러(81)(82)의 입구 측에 상.하 서로 밀착하여 연동하는 유입안내로울러(83)가 구비되고, 출구 측에도 상.하 서로 밀착하여 연동하는 배출안내로울러(8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배출안내부(90)는,
    배출안내로울러(8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절단된 완제품이 적층될 때 까지 출구를 차단하는 차단판(91)이 하부에 구비되고, 차단판(91)의 상부에는 적층되는 완제품의 높이를 결정하는 스토퍼(92)가 구비되며, 적층된 완제품을 배출트레이(94)까지 이송하도록 바닥에 컨베이어밸트(9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KR1020010064243A 2001-10-18 2001-10-18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10102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43A KR20010102891A (ko) 2001-10-18 2001-10-18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43A KR20010102891A (ko) 2001-10-18 2001-10-18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857U Division KR200260315Y1 (ko) 2001-10-18 2001-10-18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891A true KR20010102891A (ko) 2001-11-17

Family

ID=4578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243A KR20010102891A (ko) 2001-10-18 2001-10-18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28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39B1 (ko) * 2002-05-07 2005-02-23 주식회사 두레무역 젓가락 포장방법 및 장치
KR102231435B1 (ko) * 2020-11-30 2021-03-25 (주)우생 젓가락 포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39B1 (ko) * 2002-05-07 2005-02-23 주식회사 두레무역 젓가락 포장방법 및 장치
KR102231435B1 (ko) * 2020-11-30 2021-03-25 (주)우생 젓가락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5893C2 (ru)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изделий
US5669551A (en) Packaging for books and/or other product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oduction thereof
US9975306B2 (en) Method and machine for assembling rigid tubular bodies made from a cardboard material with a sealing structure
JP2003516282A (ja) 配分設備における連続化装置
JP2000015721A (ja) フォイルバッグ製造パッキング方法及び装置
NZ194999A (en) Manufacture of printed,pre-creased packing material web
US2250533A (en) Method of making rings for packages
US391659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rticles
AU651905B2 (en) An apparatus for feeding sheet-like blanks to a deep-drawing machine
KR20010102891A (ko)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60315Y1 (ko) 젓가락 포장대 제조장치
US4632717A (en) Method of making book style albums
EP1345766B1 (en) Method and machine for fabricating a laminar element
JPS5940618B2 (ja) 耐候性多連出荷ラベル製造機とその製造方法
US8991460B2 (en) Assembly for producing paper packaging for fast food, particularly comprising deep coated pleats
WO2001026889A1 (en) Single face packaging material
KR100339207B1 (ko) 종이앵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47260Y1 (ko) 포장용 종이앵글의 연속 성형장치
KR200299331Y1 (ko) 젓가락 포장장치
KR940000399B1 (ko) 이중과실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98941Y1 (ko) 젓가락 포장기의 접착제 공급장치
KR100385704B1 (ko) 음료병 포장용 상자 폴딩장치
JPH0436890Y2 (ko)
JPH01254515A (ja) 成形充填包装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98942Y1 (ko) 젓가락 포장기의 접착제 접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