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435B1 - 젓가락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젓가락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435B1
KR102231435B1 KR1020200163551A KR20200163551A KR102231435B1 KR 102231435 B1 KR102231435 B1 KR 102231435B1 KR 1020200163551 A KR1020200163551 A KR 1020200163551A KR 20200163551 A KR20200163551 A KR 20200163551A KR 102231435 B1 KR102231435 B1 KR 10223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bar
wrapping pap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두
Original Assignee
(주)우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생 filed Critical (주)우생
Priority to KR102020016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2Applying adhesives or seal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4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을 낱개로 포장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젓가락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젓가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 원단을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젓가락 포장 장치{CHOPSTICK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젓가락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을 낱개로 포장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젓가락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젓가락은 음식을 집어 먹을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목재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가늘고 길게 구성하여 일회용으로 사용하거나 재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젓가락에 있어 일회용의 경우는 대부분 얇은 종이 또는 비닐지로 감싸 밀봉된 포장 상태로 공급되는 형태가 있고,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젓가락을 포장하는 포장대의 경우는 젓가락을 넣고 뺄 수 있도록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낱개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공급되는 포장대는 표면이 인쇄된 원단을 상하로 각각 공급하고 합지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프레스 절단기로 한 매씩 절단하여 포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종래의 포장대는, 두장의 원단을 각각 공급한 후 합지하여 한매씩 절단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지를 위하여 상단 내측을 제외하고 네 변의 가장자리를 접착시키게 됨으로서, 포장대의 상.하단이 많이 남게 된다. 따라서 원자재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생 산성이 저하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낱장의 포장대에는 2개1조로 된 젓가락을 하나씩 삽입하여 포장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2-0005699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0633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젓가락을 종이로 제조되는 포장재를 이용하여 낱개로 포장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젓가락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포장 장치는, 젓가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 원단을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포장 장치는, 상기 포장지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포장지 원단을 방향을 변경시키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이송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일면에 잉크를 도포하여 특정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시키는 인쇄부; 상기 젓가락이 안착되는 상기 포장지 원단의 안착면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안착면에 상기 젓가락을 차례로 안착시키는 젓가락 공급부; 및 상기 젓가락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이 안착되어 있는 상기 포장지 원단을 반으로 접어 양측 테두리를 접착시킨 뒤, 상기 젓가락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포장지 원단을 일정한 길이로 커팅하는 포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하면을 회전하면서 지지하고 있는 제1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하부 롤러 지지대; 및 상기 하부 롤러 지지대와 상하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롤러 지지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상면을 회전하면서 지지하고 있는 제2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상부 롤러 지지대;를 포함하는 롤러 밀착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롤러 지지대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이송 롤러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롤러 거치대; 상기 롤러 거치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롤러 거치대를 지지하는 거치대 지지 바아;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모듈; 및 유체(Fluid)가 충진되어 있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 모듈의 상부에 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 공간에 상부 일부가 상기 안착 모듈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내측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롤러 거치대에 설치되는 상기 제1 이송 롤러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안착 공간에서 회동되는 완충형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는, 상기 완충형 구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의 상측 및 하측에 안착되는 체결 너트에 의해 상기 완충형 구체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형 구체는,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가 체결된 상측이 구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후 복귀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롤러 거치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는, 상기 롤러 거치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거치대의 하측에 상기 롤러 거치대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 너트가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상부 바아;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바아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상부가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는 하부 바아; 및 각각의 상부가 상기 하부 바아의 하부에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측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바아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 바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바아는, 상기 상부 바아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턱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바아는, 상기 하부 바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 상기 제1 바아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하부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아 지지체; 상부가 상기 하부홈에 안착되어 상기 바아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부 바아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하부홈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 바아; 및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제2 바아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젓가락을 종이로 제조되는 포장재를 이용하여 낱개로 포장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함으로써, 포장 젓가락의 포장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하부 롤러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거치대 지지 바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7의 지지 바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포장 장치(10)는, 포장지 공급부(100)를 포함한다.
포장지 공급부(100)는, 젓가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 원단(P)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포장 장치(10)는, 인쇄부(300), 접착제 도포부(400), 젓가락 공급부(500) 및 포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포장지 공급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포장지 원단(P)을 방향을 변경시키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이송 롤러(R)로 이루어진다.
인쇄부(3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 중인 포장지 원단(P)의 일면에 하측에 설치되는 잉크조(31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를 도포하여 특정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시킨다.
접착제 도포부(400)는, 젓가락이 안착되는 포장지 원단(P)의 안착면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에 설치되는 접착제조(410)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젓가락 공급부(5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 중인 포장지 원단(P)의 안착면에 상측에 설치되는 젓가락 호퍼(510)에 담겨 있는 젓가락을 차례로 안착시킨다.
포장부(600)는, 젓가락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젓가락이 안착되어 있는 포장지 원단(P)을 반으로 접어 양측 테두리를 접착제 도포부(400)에서 도포되었던 접첵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킨 뒤, 젓가락의 길이에 대응하여 포장지 원단(P)을 일정한 길이로 커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포장 장치(10)는, 젓가락을 종이로 제조되는 포장재를 이용하여 낱개로 포장하여 위생적으로 보관함으로써, 포장 젓가락의 포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0)는, 롤러 밀착부(7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 밀착부(700)는, 하부 롤러 지지대(710) 및 상부 롤러 지지대(7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롤러 지지대(710)는, 이송 중인 포장지 원단(P)의 하면을 회전하면서 지지하고 있는 제1 이송 롤러(R1)를 지지한다.
상부 롤러 지지대(720)는, 하부 롤러 지지대(710)와 상하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부 롤러 지지대(7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이송 중인 포장지 원단(P)의 상면을 회전하면서 지지하고 있는 제2 이송 롤러(R2)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0)는, 포장지 원단(P)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 이송 롤러(R1)와 제2 이송 롤러(R2)를 개별적으로 지지하여 포장지 원단(P)의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보와 같이 제1 이송 롤러(R1)와 제2 이송 롤러(R2)의 지름이 동일한 경우 뿐만 아니라(도 3의 (a)), 제1 이송 롤러(R1)와 제2 이송 롤러(R2)의 지름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도 3의 (b)) 안정적으로 제1 이송 롤러(R1)와 제2 이송 롤러(R2)를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롤러에 대응하여 적용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하부 롤러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롤러 지지대(800)는, 롤러 거치대(810), 거치대 지지 바아(820), 안착 모듈(830) 및 완충형 구체(8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롤러 지지대(720)는,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롤러 지지대(800)와 상하 대칭 구조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롤러 지지대(800)의 각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롤러 거치대(810)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이송 롤러(R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거치대 지지 바아(820)에 의해 지지된다.
거치대 지지 바아(820)는, 롤러 거치대(81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롤러 거치대(810)를 지지하며, 하부, 즉 지지 바아(823)가 완충형 구체(840)의 내측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거치대 지지 바아(820)는, 완충형 구체(8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완충형 구체(8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관통홀의 상측 및 하측에 안착되는 체결 너트(N1, N2)에 의해 완충형 구체(84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대 지지 바아(82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 또는 이동할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지지 바아(820)의 움직임에 따른 힘을 완충형 구체(840)로 전달시킬 수 있다.
안착 모듈(830)은,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완충형 구체(840)가 안착되기 위한 상부 안착 공간(831)을 형성한다.
완충형 구체(840)는, 유체(Fluid)가 충진되어 있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안착 모듈(830)의 상부에 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 공간(831)에 상부 일부가 안착 모듈(83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착되며, 거치대 지지 바아(820)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내측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롤러 거치대(810)에 설치되는 제1 이송 롤러(R1)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부 안착 공간에서 회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형 구체(8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롤러(R1)의 지지 각도에 대응하여 상부 안착 공간(831)에서 회전됨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롤러 지지대(800)가 제1 이송 롤러(R1)의 위치나 그 지름에 구애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제1 이송 롤러(R1)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형 구체(8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지지 바아(820)가 체결된 상측이 구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후 복귀됨에 따라 거치대 지지 바아(820)의 상측에 설치되는 롤러 거치대(8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롤러 지지대(800)는, 다양한 형태의 제1 이송 롤러(R1)와 제2 이송 롤러(R2)에 대응하여 적용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각 이송 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장비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거치대 지지 바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거치대 지지 바아(820)는, 상부 바아(821), 하부 바아(822) 및 다수 개의 지지 바아(823-1, 823-2, 823-3)를 포함한다.
상부 바아(821)는, 롤러 거치대(8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롤러 거치대(810)의 하측에 롤러 거치대(810)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완충형 구체(8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체결 너트(N1, N2)가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8213)을 형성한다.
하부 바아(822)는, 완충형 구체(84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부 바아(82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8211)에 상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딩홈(82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8212)에 의해 상측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바아(822)는, 상부 바아(821)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턱(S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S2)을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아(823-1, 823-2, 823-3)는, 각각의 상부가 하부 바아(822)의 하부에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완충형 구체(840)의 내측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하부 바아(822)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대 지지 바아(820)는, 롤러 거치대(8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형 구체(840)를 통해 1차적으로 감쇄된 후, 완충 스프링(8212)과 지지 바아(823-1, 823-2, 823-3)에 의해 각각 다시 감쇄됨으로써, 롤러 거치대(8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으로부터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지지 바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바아(823)는, 제1 바아(8231), 하부홈(8232), 바아 지지체(8233), 제2 바아(8234) 및 받침대(8235)를 포함한다.
제1 바아(8231)는, 하부 바아(822)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부 바아(822)를 지지하며, 하측에 하부홈(8232)이 형성된다.
하부홈(8232)은, 제1 바아(823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제2 바아(8234)가 안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바아 지지체(8233)는, 하부홈(8232)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2 바아(8234)의 상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바아(8234)는, 상부가 하부홈(8232)에 안착되어 바아 지지체(8233)에 의해 지지되며, 하부 바아(822)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하부홈(8232)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받침대(8235)는, 완충형 구체(84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제2 바아(8234)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바아(823)는, 하부 바아(822)를 지지하는 동시에 하부 바아(82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젓가락 포장 장치
100: 포장지 공급부
300: 인쇄부
400: 접착제 도포부
500: 젓가락 공급부
600: 포장부
700: 롤러 밀착부

Claims (2)

  1. 젓가락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 원단을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부;
    상기 포장지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포장지 원단을 방향을 변경시키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이송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일면에 잉크를 도포하여 특정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시키는 인쇄부;
    상기 젓가락이 안착되는 상기 포장지 원단의 안착면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안착면에 상기 젓가락을 차례로 안착시키는 젓가락 공급부; 및
    상기 젓가락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젓가락이 안착되어 있는 상기 포장지 원단을 반으로 접어 양측 테두리를 접착시킨 뒤, 상기 젓가락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포장지 원단을 일정한 길이로 커팅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하면을 회전하면서 지지하고 있는 제1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하부 롤러 지지대; 및 상기 하부 롤러 지지대와 상하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롤러 지지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이송 중인 상기 포장지 원단의 상면을 회전하면서 지지하고 있는 제2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상부 롤러 지지대;를 포함하는 롤러 밀착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하부 롤러 지지대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이송 롤러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롤러 거치대;
    상기 롤러 거치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롤러 거치대를 지지하는 거치대 지지 바아;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모듈; 및
    유체(Fluid)가 충진되어 있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 모듈의 상부에 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 공간에 상부 일부가 상기 안착 모듈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뒤 내측면의 하측에 안착되며, 상기 롤러 거치대에 설치되는 상기 제1 이송 롤러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안착 공간에서 회동되는 완충형 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는,
    상기 완충형 구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의 상측 및 하측에 안착되는 체결 너트에 의해 상기 완충형 구체에 체결되며,
    상기 완충형 구체는,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가 체결된 상측이 구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후 복귀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롤러 거치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켜 주며,
    상기 거치대 지지 바아는,
    상기 롤러 거치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거치대의 하측에 상기 롤러 거치대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 너트가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상부 바아;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바아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상부가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완충 스프링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는 하부 바아; 및
    각각의 상부가 상기 하부 바아의 하부에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완충형 구체의 내측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바아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 바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바아는,
    상기 상부 바아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턱이 안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을 형성하는, 젓가락 포장 장치.
  2. 삭제
KR1020200163551A 2020-11-30 2020-11-30 젓가락 포장 장치 KR10223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551A KR102231435B1 (ko) 2020-11-30 2020-11-30 젓가락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551A KR102231435B1 (ko) 2020-11-30 2020-11-30 젓가락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435B1 true KR102231435B1 (ko) 2021-03-25

Family

ID=7522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551A KR102231435B1 (ko) 2020-11-30 2020-11-30 젓가락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65U (ko) 2022-02-28 2023-09-05 오에스지(주) 수저 살균 소독 포장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408Y1 (ko) * 1986-06-04 1990-01-30 문병주 젓가락 포장기
KR920005699U (ko) 1990-09-04 1992-04-21 전상운 집어등 케이스
KR940006330Y1 (ko) 1990-12-13 1994-09-17 권호생 젓가락 자동포장기의 젓가락 이송장치
KR20010102891A (ko) * 2001-10-18 2001-11-17 한운희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8265870A (ja) * 2007-03-22 2008-11-06 Mamoru Yoshimura 箸の袋入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408Y1 (ko) * 1986-06-04 1990-01-30 문병주 젓가락 포장기
KR920005699U (ko) 1990-09-04 1992-04-21 전상운 집어등 케이스
KR940006330Y1 (ko) 1990-12-13 1994-09-17 권호생 젓가락 자동포장기의 젓가락 이송장치
KR20010102891A (ko) * 2001-10-18 2001-11-17 한운희 젓가락 포장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8265870A (ja) * 2007-03-22 2008-11-06 Mamoru Yoshimura 箸の袋入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65U (ko) 2022-02-28 2023-09-05 오에스지(주) 수저 살균 소독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5131A (en) Shock absorbing system for containers
US9415921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electronic products
KR102231435B1 (ko) 젓가락 포장 장치
CN210417647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家具用包装纸箱
CN205387269U (zh) 易碎物品缓冲抗压运输包装箱
CN205854832U (zh) 一种平底高身直筒型玻璃杯的包装转运盒
CN209535711U (zh) 防洒杯托、饮料防洒包装袋和包装箱
CN106672402A (zh) 一种平底高身直筒型玻璃杯的包装转运盒
CN202594137U (zh) 一种水果包装箱
CN213974959U (zh) 一种用于运输的瓦楞纸箱
CN209337218U (zh) 一种零部件用环保包装箱
CN218617798U (zh) 一种可缓冲的纸箱
CN204210850U (zh) 一种迷你音响包装盒
KR102139553B1 (ko) 다양한 크기의 타공을 갖는 과일포장 내지
CN215205991U (zh) 一种鸡蛋运输用防颠簸纸箱
JP2018012520A (ja) コンテナの中仕切り
KR102587064B1 (ko) 도시락 이송 및 포장 시스템
JP2001171747A (ja) 物品運送用梱包具
CN211224701U (zh) 一种圆筒形物件包装瓦楞纸箱
CN203753644U (zh) 酒瓶的包装衬垫
CN216762621U (zh) 纸质食品包装盒结构
KR20130001004U (ko)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CN212797956U (zh) 一种瓦楞纸板防震填充物
CN213139829U (zh) 一种电器纸包装箱
CN219949018U (zh) 一种抗压包装外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