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397A - 공통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통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397A
KR20010102397A KR1020017010857A KR20017010857A KR20010102397A KR 20010102397 A KR20010102397 A KR 20010102397A KR 1020017010857 A KR1020017010857 A KR 1020017010857A KR 20017010857 A KR20017010857 A KR 20017010857A KR 20010102397 A KR20010102397 A KR 2001010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instance
signal
energy values
val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132B1 (ko
Inventor
레빈제프리에이
리들크리스토퍼씨
셔맨토마스알
Original Assignee
밀러 럿셀 비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러 럿셀 비,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밀러 럿셀 비
Publication of KR2001010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2Weighting of fingers for combining, e.g. amplitude control or phase rotation using an inner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단일 원격 유니트 전송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인스턴스를 복조할 수 있는 원격 유니트 수신기에서, 신호의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하여 그 신호의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를 생성시킨다. 그 신호의 제 2 인스턴스를 복조하여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생성시킨다. 그 후,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를 합성시켜, 에너지값들의 합성된 세트를 결정한다. 에너지값들의 합성된 세트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공통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수신기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ESTIMATION IN A WIRELESS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MULTIPLE INSTANCES OF A COMMON SIGNAL}
도 1 은 지상 무선 통신 시스템 (10) 의 일 예이고, 이러한 시스템을 종래기술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3 개의 원격 유니트들 (12A, 12B 및 12C) 및 2 개의 기지국들 (14) 을 나타낸다. 실제는,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더 많은 원격 유니트 및 기지국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 에서는, 원격 유니트 (12A) 는 차량내에 설치된 이동 전화 유니트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은 무선 가입자망 또는 검침 시스템내에 있을 수 있는 고정 위치 원격 유니트 (12C) 및 휴대용 컴퓨터 원격 유니트 (12B) 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는, 원격 유니트들은 임의의 형태의 통신 유니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유니트들은 개인 휴대용 통신 시스템 유니트들,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데이터 유니트들, 또는 검침 장치와 같은 고정 위치 데이터 유니트들일 수 있다. 도 1 은 기지국들 (14) 로부터 원격 유니트들 (12) 로의 순방향 링크, 및 원격 유니트들 (12) 로부터 기지국들 (14) 로의 역방향 링크를 나타낸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기지국들은 다수 섹터를 가진다. 다수 섹터를 가진 기지국은 다수의 독립 송신 및 수신 안테나, 및 독립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한 원칙들은 다수 섹터를 가진 기지국의 각 섹터, 및 단일 섹터를 가진 독립 기지국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이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기지국" 이라는 용어는, 다수 섹터를 가진 기지국의 섹터, 단일 섹터를 가진 기지국 또는 다수 섹터를 가진 기지국를 가리킨다고 가정한다.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시스템에서는, 원격 유니트들은 시스템의 모든 기지국들과 통신하기 위한 공통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공통 주파수 대역의 사용은 가요성 (flexibility) 을 추가시키고 시스템에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공통 주파수 대역의 사용은, 원격 유니트가 일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신들을 동시에 수신하고 일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수신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이 원격 유니트는, 스펙트럼 확산 CDMA 파형 특성을 사용하여 다양한 기지국들로부터 동시에 수신된 신호를 식별하여 각각 수신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지국은 복수의 원격 유니트로부터의 신호를 식별하여 각각 수신한다.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CDMA 기술들의 사용은, 미국 특허 번호 제 4,901,307 호, 발명의 명칭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OR TERRESTRIAL REPEATERS" 에 개시되어 있고, 이 특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수되었고, 참고로 여기에 인용되었다.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CDMA 기술들의 사용은, 미국 특허 번호 제 5,103,459 호, 발명의 명칭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에 개시되어 있고, 이 특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수되었고, 참고로 여기에 인용되었다.
CDMA 통신 기술들은 협대역 변조 기술들을 통해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지상 채널은, CDMA 기술들의 사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다중경로 신호의 발생에 의한 소정의 문제점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기지국 수신기에서는, 다양한 원격 유니트들로부터의 신호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CDMA 기술들을 사용하여 공통 원격 유니트 신호로부터의 별도의 다중경로 인스턴스들을 식별하여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지상 채널에서는, 나무들, 빌딩들, 차량들 및 사람들과 같은 주위의 장애물로부터 신호들의 반영에 의해, 다중경로를 생성시킨다. 통상, 이 지상 채널은 다중경로를 생성하는 구조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기인한 시변 다중경로 채널이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임펄스를 다중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면, 펄스들의 스트림을 수신한다. 시변 다중경로 채널에서는, 수신된 펄스들의 스트림은, 이상적인 임펄스를 전송하는 시간의 함수로서 시간 위치, 크기 및 위상에서 변화한다.
도 2 는 기지국에 도달시 발생하는, 단일 원격 유니트로부터의 단일 인스턴스들의 예시적인 세트를 나타낸다. 수직축은 dB 스케일로 수신된 전력을 나타낸다. 수평축은 전송 경로 지연에 기인한, 기지국에서 인스턴스들의 도달의 지연을 나타낸다. 지면 안으로 들어가는 축 (미도시) 은 시간의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 지면의 공통 평면의 각 신호 인스턴스는, 상이한 시간에 원격 유니트에 의해 전송되었지만, 동일한 시간에 도달하였다. 공통 평면에서는, 우측의 피크는 좌측의 피크에 비해 원격 유니트에 의해 초기에 전송된 신호 인스턴스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장 좌측의 피크 (20) 는 가장 최근에 전송된 신호 인스턴스에 대응한다. 각 신호 피크 (20 내지 30) 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과한 신호에 대응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간 지연, 및 서로 다른 위상 및 크기 응답을 나타낸다.
피크들 (20 내지 30) 로 나타낸 6 개의 서로 다른 신호 스파이크들 (spikes) 은 극도의 다중경로 환경을 나타낸다. 통상의 도시 환경은 더 적은 가용 인스턴스들을 만든다. 시스템의 잡음 플로어 (floor) 는 더 낮은 에너지 레벨들을 가진 딥들 (dips) 과 이러한 피크들에 의해 표현된다.
다중경로 피크들 각각은 각 다중경로 피크 (20 내지 30) 의 울퉁불퉁한 리지 (ridge) 에 의해 도시된 시간의 함수로서 크기상 변화한다. 도시된 한정된 시간내에서는, 다중경로 피크들 (20 내지 30) 의 크기상의 주요한 변화는 없다. 그러나, 더 확장된 시간 범위에서는, 다중경로 피크들은 크기상 축소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새로운 경로들을 생성시킨다. 또한, 기지국의 관할 영역의 물체들의 이동에 기인한 경로 거리들이 변화함에 따라 이 피크들은 일찍 또는 나중에 슬라이딩할 수 있다.
지상 환경에 더하여, 다수 신호 인스턴스들은 위성 시스템의 사용으로부터 유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스타 (GlovalStar) 시스템에서는, 원격유니트들은 지상 기지국들 대신에 일련의 위성들을 통해 통신한다. 위성들 각각은 약 2 시간내에 지구 궤도를 돈다. 지구 궤도를 통한 위성의 이동은 원격 유니트와 위성간의 경로 거리를 시간에 대해 변화시킨다. 또한, 위성이 원격 유니트의 범위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 위성으로부터 다른 위성으로의 소프트 핸드오프가 행해진다. 소프트 핸드오프시, 원격 유니트는 일 이상의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들을 복조한다. 이러한 다수 신호 인스턴스들을, 지상 시스템의 다중경로 신호 인스턴스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지 차이점은, 이 신호 인스턴스들은 지상 환경에서 약 1 내지 50 ㎳ 만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2 개의 위성을 통해 수신한 신호 인스턴스들은 0 내지 20 ㎳ 정도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도 3 은 소프트 핸드오프 성능을 갖춘 위성 환경 또는 지상 다중경로 환경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다이버시티 수신기를 종종 "레이크 (rake)" 수신기라 한다. 통상, 레이크 수신기는, 일련의 복조부를 차례로 포함하는 복조기를 포함하고, 각 복조부는 레이크 수신기의 한 핑거 (finger) 를 나타낸다. 각 복조부에는 독특한 신호 인스턴스를 복조하도록 할당한다.
통상, 레이크 수신기에서는, 복조부들에는 서처 (searcher) 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 인스턴스들을 할당한다. 서처부는, 다양한 시간 오프셋에서 입력 신호 샘플들을 지속적으로 상호 관련시킴으로써 새롭게 만들어지는 신호 인스턴스들을 지속적으로 검색한다. 서처부의 출력은 시스템 제어기로 제공된다. 서처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시스템 제어기는 복조부를 대부분의 이점이 있는 신호 인스턴스들에 할당한다. 일단 소정의 신호 인스턴스에 할당되면, 복조부는 그 신호의 도달시에 변화를 트랙킹한다.
도 3 의 수신기는 N 개의 복조부 (98A 내지 98N) 를 포함하고, 각 복조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3 에서는, 부재들 (100A 내지 108A) 은 복조부 (98A) 의 관련 부분들을 나타낸다. 역확산기 (100A) 는 대응하는 원격 유니트에서 입력 신호 샘플들을 그 신호를 확산시키는데 사용되는 확산 코드와 상호 관련시킨다. 역확산기 (100A) 에 의한 샘플들 출력은 고속 하다마드 변환기 (FHT; Fast Hadamard Transformer) (102A) 내로 입력된다. 이 FHT 는 역확산기 (100A) 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가능한 심볼값들의 세트와 상호 관련시킨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은 Telephone Industry Association, Electron Industry Association (TIA/EIA) 잠정 표준, 명칭 "Mobile Station - Base Station Capa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 TIA/EIA/IS-95 (IS-95 라 함) 에 따라 동작하며, 이 잠정 표준의 내용은 참고로 여기에 인용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6 개의 데이터 비트들의 그룹은 64 개의 직교 왈시 (Walsh) 심볼들중의 1 로 매핑 (map) 된다. 그 결과들은 64 개의 가능한 심볼값의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에너지값을 결정하는 에너지 결정 블록 (104A) 에 접속된다. 최대 검출기 (106A) 는 64 개의 에너지값들에 기초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을 결정한다.
복조부 (98A) 가 실행가능한 신호 인스턴스에 할당되기 위해, 복조부 (98A)는 로크 검출기 (108A) 를 포함한다. 이 로크 검출기 (108A) 는 복조부 (98A) 에 의해 검출된 평균 에너지를 감시한다. 복조부 (98) 에 의해 검출된 평균 에너지가 허용 임계치 이상으로 잔존하기만 하면, 복조부 (98) 는 유효 신호 인스턴스를 복조한다고 상정된다. 로그 검출기 (108A) 에 의해 검출된 평균 에너지가 소정치 이하로 떨어진다면, 복조부 (98) 는 신호 인스턴스의 복조를 중단하고 다른 신호 인스턴스에 재할당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스템 자원을 무효 신호의 복조에 소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또한 극히 작은 신호들의 복조와 관련된 높은 에러 레이트를 피하도록, 시스템은 감소하는 크기의 신호 인스턴스를 검출할 수 있다.
통상, 로크 검출기 (108A) 의 출력은 로크 상태인지 또는 언로크 상태인지를 표시하는 1 비트 바이너리값이다. 통상, 로크 검출기 (108A) 는 가용 신호 인스턴스들에의 복조부 자원의 할당을 관리하는 시스템 제어기 (114) 에 접속되어 있다.
복조부들 (98B 내지 98N) 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동일한 블록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크 수신기에서는, 복조부들 (98A 내지 98N) 에 의해 검출된 에너지를 합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검출 블록들 (104A 내지 104N) 의 출력은 다중경로 합성기 (110) 에 접속되어 있다. 다중경로 합성기 (110) 는 현재 로크 상태에 있는 각 복조부 (98A 내지 98N) 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를 합성시키고, 64 개의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생성시킨다. 다중경로 합성기 (110) 의 출력은, 합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데이터를 결정하는 최대 검출기 블록 (112) 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최대 검출기 (112) 는 미국 특허 번호 제 5,442,627 호, 발명의 명칭, "Noncoherent Receiver Employing a Dual-Maxima Metric Generation Process" 에 따라 동작하고, 이 특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수되고, 참고로 여기에 인용되었다.
레이크 수신기, 복조기 및 시간 트래킹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는 미국 특허 번호 제 5,654,979 호, 발명의 명칭 "Cell Site Demodulation Architecture for a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미국 특허 번호 제 5,644,591 호, 발명의 명칭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arch Acquisition in a CDMA Communications System", 미국 특허 번호 제 5,561,618 호, 발명의 명칭 "Demodulation Element Assignment in a System Capable of Receiving Multiple Signals", 및 미국 특허 번호 제 5,805,648 호, 발명의 명칭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arch Acquisition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에 기재되어 있고, 각각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수되었고, 참고로 여기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통상, 최대 검출기 (112) 의 출력의 합성된 에러 레이트는 10 % 미만이지만, 합성하기 전의 각각의 복조부들 (98A 내지 98N) 의 에러 레이트들은 상당히 높다. 예를 들어, 페이딩동안, 최대 검출기 블록 (106A) 의 출력은 80 % 만큼 높고, 즉, 최대 검출기 (106A) 에 의해 이루어진 5 개의 결정중에서 4 개가 틀리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로크 검출기 (108A) 내로 입력되는 5 개의 에너지값들중에서 4개가 신호값들이 아닌 잡음값들이다. 명백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로크 검출기 (108A) 의 출력은 복조부 (98A) 에 의해 검출되는 실제의 에너지를 반영하지 못한다. 최대 검출기 (106A) 가 동작하는 방법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때, 최대 검출기 (106A) 에 의해 출력되는 에너지 레벨은 신호에서 검출되는 실제의 에너지보다 항상 크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 레벨들을 신호 에너지 레벨들과 평균화함에 따라, 로크 검출기 (108A) 에 의해 검출되는 평균 에너지 레벨은 실제의 신호 레벨보다 더 높다. 로크 검출에 사용되는 에너지 레벨 임계치는 잡음의 검출에 기초한 로크 검출의 오표시를 피할 정도로 높아야 한다. 오검출 (false detection) 을 피할 정도로 높은 임계치 에너지 레벨은, 복조부 (98A) 가 실현가능한 낮은 에너지 신호를 복조할 때 존재하는 에너지 레벨보다 더 높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종래 기술 시스템은 유효하지만 낮은 전력 신호 인스턴스와 임의의 잡음을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한다.
이상적인 경우에, 로크 검출기 (108A) 는 복조부 (98A) 의 성능과 완전히 상호 관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조부 (98A) 가 유효 신호 인스턴스를 복조할 때, 로크 검출기 (108A) 는 로킹된 상태의 표시를 발생시킨다. 복조부가 더이상 유효 에너지 레벨들을 생성시키지 못할 때, 로크 검출기 (108A) 는 언로크의 상태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이유 때문에, 도 3 의 수신기는 로크 복조부 (98A) 의 실제의 성능과 검출기 (108A) 의 출력간의 정확한 상호 관련을 용이하게 하지 못한다. 복조부 (98A) 가 유효 에너지 레벨들을 생성시키지 못할 때, 로크 검출기가 로크의 상태를 표시하면, 레이크 수신기의 합성된 결과는, 이복조부 (98A) 로부터의 에너지값들의 추가에 의해 디그레이딩되어, 레이크 수신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복조부 (98A) 가 유효 에너지 레벨들을 실제로 생성시킬 때, 복조부 (98A) 가 언로크의 상태를 표시하면, 레이크 수신기는 복조부 (98A) 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 레벨들을 다른 에너지 레벨들과 합성시키지 못한다. 또한, 이와 같이, 유효 에너지값들의 생략 때문에, 레이크 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신호 인스턴스의 에너지의 더 정확한 결정을 제공하는 로크 검출 메카니즘에 대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오래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수신기에서의 에너지 추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특징, 목적 및 이점들이 더욱 명백해진다.
도 1 은 지상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는 기지국에 도달하는 단일 원격 유니트로부터의 신호들의 예시적인 세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종래 기술의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4 는 신호 인스턴스들을 서로에 대해 시간상 상당히 오프셋되어 있는 수신하는 시스템내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 은 공통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시간상 근접하여 수신하는 시스템내에서 동작하기 위해 구성된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수신기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단일 원격 유니트 전송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인스턴스들을 복조할 수 있는 원격 유니트 수신기에서, 그 신호의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의 제 1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그 신호의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한다.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그 신호의 제 2 인스턴스를 복조한다. 그 후,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을 합성한다. 이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를 결정한다. 이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제 1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결정한다.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가 하나의 신호 인스턴스만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정확한 추정치이기 때문에, 그 결과의 에너지 레벨은더 정확하다. 이 에너지 레벨을 복조 과정의 로크의 상태를 판정하거나 또는 복조 자원들을 할당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추정하는 수신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대응하는 복조 과정의 로크 상태의 더 정확한 로크 판정을 더 정확한 에너지 레벨 추정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일 이상의 복조부로부터의 에너지값들을 서로 합성시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추정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추정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복조 과정들에 의해 출력되는 에너지값을 대응하는 신호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판정하는데, 즉, 그 에너지값이 복조 과정에 의해 출력된 가장 큰 에너지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에너지 판정 과정으로 입력되는 에너지값은 외부의 잡음 레벨이 아니고 유효 신호 에너지값일 것 같다. 또한, 더 정확한 에너지값들에 기초한 그 결과의 에너지 추정치가 더 정확하다.
도 4 는, 다른 형태의 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서로에 대해 시간상 상당해 오프셋되어 있는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수신하는 시스템내에 사용하기 위해 특히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수신기를 원격 유니트가 2 이상의 위상으로부터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위성 통신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 에서는, 그 수신기는 적어도 4 개의 복조부들 (118A 내지 118N) 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4 에 의해 나타낸 일반적인 원칙들을 2 이상의 신호 인스턴스들의 복조를 제공하는 수신기에 적용할 수 있다.
무선 링크로부터의 신호 샘플들은 복조부들 (118A 내지 118N) 내에 입력된다. 설명을 위해, 도시된 구성에서는, 복조부 (118A) 를 최초의 도달 신호 인스턴스에 할당한다고 가정한다. 그 할당된 신호 인스턴스의 시간 오프셋으로 복조부 (118A) 내의 역확산기 (120A) 를 동기시킨다. 역확산기 (120A) 는 신호 인스턴스를 발생하는데 사용된 동일한 확산 코드를 사용하여 그 신호 샘플들을 역확산시킨다. 역확산기 (120A) 의 출력은 급속 하다마드 변환기 (FHT) (122A) 에 접속되어 있다. FHT (122A) 는 그 역확산 샘플들을 가능한 심볼값들의 세트의 각각과 상호 관련시킨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FHT (122A) 의 출력은 64 개의 전압 레벨들이고, 각각은 64 개의 가능한 왈시 심볼들의 각각에 대응한다. FHT (122A) 의 출력은, FHT (122A) 에 의해 생성된 각 전압 레벨에 대한 대응하는 에너지 레벨을 결정하는 에너지 결정 블록 (124A) 에 접속되어 있다. 에너지 결정 블록 (124A) 의 출력은,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추정치를 결정하는 최대 검출기 블록 (126A) 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검출기는 상술한 미국 특허 번호 제 5,442,627 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최대 검출기 (126A) 의 출력은, 신호 인스턴스의 평균 에너지를 결정하고 복조부가 위에서 언급한 미국 특허들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효 신호 인스턴스를 복조하는지를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A) 에 입력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로크 검출기 (128A) 의 출력은, 복조부 할당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기 (132) 에 접속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기 (132) 는 일반적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도 4 를 간략화시키기 위해, 복조부들 (118A 내지 118N) 과 시스템 제어기간의 일부 접속을 도시하지 않았다.
복조부 (118B) 는 제 2 최초 도달 신호 인스턴스에 할당되도록 구성된다.이 제 2 최초 도달 신호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시간 오프셋으로 역확산기 (120B) 를 동기시킨다. 역확산기 (120B), FHT (122B) 및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은 복조부 (118A) 의 대응하는 부재들과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러나,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의 출력은 합성기 (130A)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의 출력은 합성기 (130A) 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이 합성기 (130A) 는 에너지 결정 블록들 (124A 및 124B) 에 의해 출력된 신호 에너지들을 합성한다. 이 합성기 (130A) 는 합성된 에너지 레벨들의 세트를 생성하고, 각각의 에너지 레벨은 가능한 심볼값들의 하나에 대응한다. 합성기 (130A) 는 에너지 결정 블록 (124A) 의 출력을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의 출력에 시간 정렬시킴으로써,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에 의해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때까지 에너지 결정 블록 (124A) 에 의해 출력되는 에너지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를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로부터의 에너지값들과 합성시킨 후, 에너지 결정 블록 (124A) 로부터 수신된 저장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겹쳐쓰기를 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코럽팅 (corrupt) 할 수 있다.
통신의 공지된 원칙들에 따라, 합성기 (130A) 의 출력은, 에너지 결정 블록 (124A) 의 출력 또는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의 출력으로서 전송된 실제의 데이터를 반영한다. 합성기 (130A) 의 출력은 최대 검출기 (126B) 에 접속되어 있다. 최대 검출기 (126B) 는 합성기 (130A) 의 출력에 기초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표시를 생성시킨다.
최대 검출기 (126B) 의 출력은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의 출력은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에 접속되어 있다.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는, 최대 검출기 (126B) 에 의해 에너지값이 에너지 결정 블록 (124B) 에 의해 출력된 가장 큰 값인지를 판정함에 따라,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추정치에 대응하는 에너지값을 선택한다.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는 선택된 값을 사용하여 신호의 제 2 인스턴스내의 에너지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는 시간에 대해 일련의 에너지값들을 평균화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 는, 추정된 에너지에 기초하여 복조부 (118B) 의 로크의 상태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는, 에너지 추정치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 인로크 (in-lock) 상태의 한 비트 표시를 출력하고, 에너지 추정치가 다른 소정치 이하로 떨어질 때, 아웃오브로크 (out-of-lock) 상태의 한 비트 표시를 출력한다. 로크 검출기 (128B) 의 출력은 시스템 제어기 (132) 에 접속되어 있다.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을 선택하는 합성된 에너지 레벨을 사용하여, 에너지 추정 및 로크 검출 과정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에너지값이 복조부 (118B) 에 의해 복조되는 실제의 신호 에너지를 반영하는 가능성이 높아져, 복조부 (118B) 의 로크 상태의 더 정확한 표시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하면서, 복조부 (118C) 는 신호 샘플들을 수신한다. 역확산기 (120C), FHT (122C) 및 에너지 결정 블록 (124C) 는 각각 복조부 (118A)의 대응하는 부재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복조부 (118C) 를 복조부 (118A) 또는 복조부 (118B) 보다 나중에 도달하는 신호의 인스턴스에 할당한다고 가정한다. 에너지 결정 블록 (124C) 의 출력은 합성기 (130B) 에 입력된다. 또한, 합성기 (130A) 의 출력은 합성기 (130B) 에 입력된다. 합성기 (130B) 는 합성기 (130A) 의 출력을 에너지 결정 블록 (124C) 와 시간상 정렬시킨다. 이러한 기능을, 합성기 (130B) 내의 메모리 기억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된 값들을 에너지 결정 블록 (124C) 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값들과 합성시켜, 대응하는 메모리를 삭제하거나, 겹쳐쓰거나, 또는 코럽팅시킬 수 있다.
합성기 (130B) 의 출력은 최대 검출기 블록 (126C) 에 입력된다. 합성기 (130B) 에 의해 합성된 에너지 레벨들에 기초하여, 최대 검출기 (126C) 는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을 결정한다. 최대 검출기 블록 (126C) 의 출력은,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에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하는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C) 에 접속되어 있다. 로크 검출기 (128C) 의 출력은 시스템 제어기 (132) 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복조부 (118N)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복조부를 수신기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각각의 연속적인 복조부에서, 합성기는 다른 부재들과 직렬 접속되어 있어, 최대 검출기 (126N) 로의 입력이 최종 합성된 에너지값들에 접속되고, 모든 가용 복조부가 신호 인스턴스들에 할당될 때 후속의 디지털 프로세싱에 사용되는 추정치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에너지 레벨들에 의해 결정되는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더 정확한 추정치에기초한, 연속적인 복조부들에 대한 로크 검출기 표시의 정확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모든 복조부들이 신호 인스턴스들에 일시에 할당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 개의 신호 인스턴스만이 현재 가용이라면, 2 개의 신호 에너지만을 합성시켜, 제 1 합성기의 출력을 후속의 프로세싱에 사용한다. 최종 도달하는 신호의 인스턴스에 할당된 복조부에 대응하는 최대 검출기의 출력은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더 정확한 추정치를 생성시킨다. 이 추정치를 수신기내의 후속의 신호 프로세싱에 사용한다.
도 4 에 도시된 수신기의 동작을 도 5 에 도시된 플로우 단계들을 참조함으로써 더 명백히 이해할 수 있다. 블록 (160) 에서, 신호의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하여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를 생성시킨다. 블록 (162) 에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를 결정한다. 블록 (164) 에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에 기초하여 제 1 인스턴스의 에너지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블록 (166) 에서,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호의 제 2 인스턴스를 복조한다. 블록 (168) 에서, 제 1 및 제 2 인스턴스들의 복조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값들을 합성한다. 블록 (170) 에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의 제 2 추정치를 결정한다. 블록 (172) 에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2 추정치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2 인스턴스의 에너지 추정치를 결정한다. 통신 이론의 공지된 원칙들에 따라,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2 추정치는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통해 얻은 신호들에 대한 추가의 정보 때문에제 1 추정치보다 평균으로 더 정확하고,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2 추정치는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에 대한 단순한 신뢰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추정치보다 더 정확하다. 따라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제 2 추정치에 대응하는 에너지 레벨은, 신호의 제 2 인스턴스에서의 기지국에서 수신한 에너지을 더 정확하게 반영함으로써, 에너지 추정 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을 신호의 다른 인스턴스들에 대해서도 계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174) 에서,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호의 제 3 인스턴스를 복조한다. 이 에너지값들을 블록 (178) 의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과 합성한다. 블록 (180) 에서, 합성된 에너지들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3 추정치를 결정한다. 제 3 추정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의 합성에 의해 얻은 추가의 정보 때문에 제 2 또는 제 1 추정치보다 더 정확하다. 블록 (182) 에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3 추정치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3 인스턴스의 에너지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도 6 은 공통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상대적으로 가까운 시간상 근접내에 수신하는 시스템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의 블록이지만, 이 수신기를 다른 형태의 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6 의 수신기는 일련의 복조부들 (138A 내지 138N) 으로 이루어진다. 복조부들 (138A 내지 138N) 은 무선 링크로부터 일련의 신호 샘플들을 수신한다. 복조부 (138A) 내에, 역확산기 (140A), FHT(142A) 및 에너지 결정 블록 (144A) 은 도 4 의 복조부 (118A) 내의 대응하는 부재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에너지 결정 블록 (144A) 에 의해 출력되는 에너지값들은, 후속의 프로세싱에 대해 이 에너지값들을 저장하는 에너지 버퍼 (146A) 에 입력된다. 복조부들 (138B 내지 138N) 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는 대응하는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에너지 결정 블록들 (144A 내지 144N) 각각의 출력은 다중경로 합성기 (150) 에 입력된다. 다중경로 합성기 (150) 는 에너지값들을 합성시키고, 이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출력하고, 이 에너지값은 가능한 값들의 각각에 대응한다. 다중경로 합성기 (150) 의 출력은,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에 기초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을 결정하는 최대 검출기 블록 (152) 에 접속되어 있다.
최대 검출기 (152) 의 출력은 에너지 버퍼들 (146A 내지 146N) 에 접속되어 있다. 에너지 버퍼들 (146A 내지 146N) 은, 최대 검출기 (152) 에 의해 결정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에너지 레벨을 출력한다. 에너지 버퍼들 (146A 내지 146N) 의 출력은 에너지 추정기들 및 로크 검출기들 (148A 내지 148N) 에 입력되고, 각각은 에너지 추정기 및 로크 검출기 (128B) 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로크 검출기들 (148A 내지 148N) 의 출력은 시스템 제어기 (154) 에 입력되고, 일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인용한 미국 특허 번호 제 5,490,165 호에 따른 복조 할당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기 (154) 는 일반적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도 6 을 간략화시키기 위해, 복조부들 (138A 내지 138N) 과 시스템 제어기 (160) 간의 일부 접속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7 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도 6 에 따른 동작을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블록 (200) 에서,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호의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한다. 블록 (202) 에서,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호의 제 2 인스턴스를 복조한다. 블록 (204) 에서,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호의 제 3 인스턴스를 복조한다. 블록 (206) 에서, 에너지값들의 제 1, 제 2 및 제 3 세트를 합성한다. 블록 (208) 에서,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결정은, 에너지값들의 각각의 세트들중의 하나보다 합성된 에너지 레벨들에 기초할 때, 평균으로 더 정확하다. 블록 (210) 에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에 기초하여 제 1 인스턴스의 에너지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내의 에너지값을 신호의 제 1 인스턴스의 평균 에너지를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이와 같이, 블록 (212) 에서, 신호의 제 2 인스턴스의 에너지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블록 (214) 에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3 인스턴스의 에너지의 추정치를 결정한다. 도 6 및 도 7 이 신호의 3 개 이상의 인스턴스들의 복조를 나타내지만,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신호의 2 개의 인스턴스들만을 복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성능상의 이점들을 가진다. 이 성능상의 이점들은, 도 4 의 최대 검출기들 (126A내지 126C) 의 출력이 어떤 경우 (예컨대, 추가의 신호 인스턴스들이 가용일 때) 에서는 가장 정확한 추정치가 아니지만, 최대 검출기 (152) 의 출력이 수신기에서 가용한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가장 정확한 추정치이기 때문에, 얻어진다. 도 4 에서는, 최종 도달하는 신호 인스턴스에 할당된 복조부의 최대 검출기의 출력만이 수신기에서 가용인 에너지 정보 모두를 일시에 사용한다.
그러나,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는, 신호 인스턴스들의 도달 시간들간의 시간차가 상대적으로 크다면, 구현하기에 더 유용하다. 연속적인 신호 인스턴스들간의 시간 오프셋들이 증가함에 따라,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이 결정될 때까지, 버퍼링되어야 하는 데이터량은 증가한다. 어떤 지점에서는, 저장되어야 하는 데이터량이 금지된다. 또한, 이러한 동작은, 신호 인스턴스내의 변화에 대한 에너지 추정 과정의 응답 시간을 감소시키는 로크 검출 과정의 지연을 유발한다. 도 4 및 도 5 의 구성은, 도 6 및 도 7 에 가능한 것보다 더 일찍 도달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복조 과정들의 로크 상태를 더 빨리 판정하게 한다. 또한, 이 구성은 도 6 및 도 7 과 비교하여, 소정의 시간 오프셋들의 세트에 대해 시스템내에 저장된 평균 에너지량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복조부가 시간의 부정확한 80 % 인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하더라도, 합성된 신호 에러 레이트는 10 % 만큼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신호 인스턴스들의 에너지 추정의 평균 정확도는 종래 기술보다 상당히 높다. 이와 같은 이유로, 시스템이 로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임계치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낮은 전력 레벨들로도달하는 유효 신호 인스턴스들을 잡음들과 구별할 수 있고, 확신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서, 가장 전송될 것 데이터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평균 에너지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정확한 로크 검출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더 낮은 레벨 신호 인스턴스들을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원격 유니트로부터 수신되는 전체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시스템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신된 에너지의 더 정확한 추정은 원격 유니트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기능들에도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추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제 5,490,16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조부의 할당에 사용된다. 더 정확한 에너지 추정은 더 정확한 할당 및 향상된 시스템 성능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기는,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되는 에너지 추정에 기초하여 복조 자원들의 할당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도면에 도시된 블록들의 간단한 재배열과 같은 다수의 대체 실시예들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수신기에서는, 최종 도달하는 인스턴스들에 할당된 복조부들에 대해 로크의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출 임계치는, 초기에 도달하는 신호 인스턴스들에 할당된 복조부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복조부들이 도 4 및 도 6 에 별개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이러한 부재들을, 다수 인스턴스들을 회로 부재들의 공통 세트에 의해 순차적으로 프로세싱하는 시간 멀티플렉싱 아키텍쳐내에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위에서 인용한 미극 특허 번호 제 5,654,979 호에기재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실시예들을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에 구현할 수 있고, 별개의 부재들로 설계하거나 소프트웨어로 실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 의 부재들을 방법의 단계들일 수 있다.
왈시 심볼들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여기에 설명한 기술들은, 데이터의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다른 방법 및 수단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소정의 형태로 본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비한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따라서, 상술한 설명보다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나타낸다. 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균등물의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형례들은 이 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상기 신호의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호의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의 제 2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단계;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상기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복조 자원들의 할당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스턴스를 상기 복조하는 단계가 로크 상태인지 또는 언로크 상태인지를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의 제 3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단계;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와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2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2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내에 상기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인스턴스의 에너지레벨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단계가 로크 상태인지 또는 언로크 상태인지를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상기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의 제 3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들과 합성시켜,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8. 상기 신호의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신호의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수단;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의 제 2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수단;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를 합성하는 수단;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추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추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상기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복조 자원들의 할당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상기 수단이 로크 상태인지 또는 언로크 상태인지를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의 제 3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수단;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와 상기 합성된 세트를 합성하는 수단;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의 제 2 추정치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2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수단이 로크 상태인지 또는 언로크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상기 수단이 로크 상태인지 또는 언로크 상태인지를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상기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수단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의 제 3 인스턴스를 복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하는 수단은,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와 합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추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15. 일련의 신호 샘플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신호의 제 1 인스턴스에 할당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의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복조부;
    상기 일련의 신호 샘플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의 제 2 인스턴스에 할당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의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복조부;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를 합성시키도록 구성되고,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합성기;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1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최대 검출기; 및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1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추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상기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복조부를 후속 신호 인스턴스에 할당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스턴스는 상기 제 1 인스턴스보다 더 일찍 도달하는 신호이며,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2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복조부가 로크 상태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 2 로크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신호 샘플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의 제 3 인스턴스에 할당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의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제 3 복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기는,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1 및 제 2 세트와 합성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1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인스턴스의 에너지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추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신호 샘플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의 제 3 인스턴스에 할당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의 상기 가능한 데이터값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된 제 3 복조부;
    에너지값들의 제 2 합성된 세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를 상기 합성된 에너지값들의 세트와 합성하도록 구성된 제 2 합성기;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2 합성된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제 2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 2 최대 검출기; 및
    상기 가장 전송될 것 같은 데이터값의 상기 제 2 추정치에 대응하는 상기 에너지값들의 제 3 세트내의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복조부가 로크 상태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 3 로크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조부가 로크 상태인지를 상기 제 1 인스턴스의 상기 에너지 레벨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 1 로크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KR1020017010857A 1999-02-25 2000-02-24 공통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0837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58,086 1999-02-25
US09/258,086 US6229841B1 (en) 1998-12-11 1999-02-25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estimation in a wireless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multiple instances of a common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397A true KR20010102397A (ko) 2001-11-15
KR100837132B1 KR100837132B1 (ko) 2008-06-11

Family

ID=2297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857A KR100837132B1 (ko) 1999-02-25 2000-02-24 공통 신호의 다수 인스턴스들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수신기에서의 에너지 추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29841B1 (ko)
EP (1) EP1155510B1 (ko)
JP (2) JP5021118B2 (ko)
KR (1) KR100837132B1 (ko)
AT (1) ATE391360T1 (ko)
AU (1) AU769479B2 (ko)
CA (1) CA2361911C (ko)
DE (1) DE60038484T2 (ko)
WO (1) WO2000051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7236B1 (en) * 1998-09-30 2002-11-26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demodulation i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ing M-sequence orthogonal modulation
US6229841B1 (en) * 1998-12-11 2001-05-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estimation in a wireless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multiple instances of a common signal
CN100477857C (zh) 2000-02-23 2009-04-08 Ipr特许公司 带碰撞检测的访问探针的确认方法
US6459883B2 (en) * 2000-07-31 2002-10-01 Morphics Technology, Inc. Generic finger architecture for spread spectrum applications
US20030060878A1 (en) * 2001-08-31 2003-03-27 Shadduck John H. Intraocular lens system and method for power adjustment
US7236515B1 (en) * 2001-11-19 2007-06-26 Sprint Spectrum L.P. Forward link time delay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7433389B2 (en) 2001-11-20 2008-10-07 Mediatek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pread spectrum signal processing using a reconfigurable coprocessor
US6967989B2 (en) * 2002-05-17 2005-11-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sharing a rake receiver structure
JP2007513561A (ja) * 2003-12-04 2007-05-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レーク受信器を有する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1307A (en) 1986-10-17 1990-02-13 Qualcomm, Inc.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tellite or terrestrial repeaters
US4894842A (en) 1987-10-15 1990-01-16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Precorrelation digital spread spectrum receiver
US5101501A (en) 1989-11-07 1992-03-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oft handoff in communication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056109A (en)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5109390A (en) 1989-11-07 1992-04-28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receiver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103459B1 (en) 1990-06-25 1999-07-0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150384A (en) * 1990-09-28 1992-09-22 Motorola, Inc. Carrier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response time determined by carrier signal parameters
ZA938324B (en) 1992-11-24 1994-06-07 Qualcomm Inc Pilot carrier dot product circuit
US5442627A (en) 1993-06-24 1995-08-15 Qualcomm Incorporated Noncoherent receiver employing a dual-maxima metric generation process
US5361276A (en) 1993-09-13 1994-11-01 At&T Bell Laboratories All digital maximum likelihood based spread spectrum receiver
US5490165A (en) 1993-10-28 1996-02-06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element assignment in a system capable of receiving multiple signals
US5479475A (en) 1993-11-15 1995-1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standard terminal equipment using a remote communication unit
US5561618A (en) 1993-12-22 1996-10-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fast Hadamard transform
JP3010227B2 (ja) * 1994-03-29 2000-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方式受信装置
BR9506273A (pt) 1994-07-29 1997-08-12 Qualcomm Inc Método para determinar a sincronização da sequência pn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de espectro de propagação por sequência direta e aparelho e sistema para selecionar uma sequência de demodulação sincronizada
US5654979A (en) 1995-01-13 1997-08-05 Qualcomm Incorporated Cell site demodulation architecture for a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US5703902A (en) 1995-06-16 1997-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l strength in a variable data rate system
US5764687A (en) 1995-06-20 1998-06-0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modulator architecture for a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5629934A (en) * 1995-06-30 1997-05-13 Motorola, Inc. Power control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s
US5805648A (en) 1995-07-31 1998-09-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arch acquisition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026115A (en) * 1996-08-23 2000-02-15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Rake receiver
JP3001040B2 (ja) * 1996-09-20 2000-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セルラーシステム用閉ループ送信機電力制御ユニット
US6097972A (en) * 1997-08-29 2000-08-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ower control signals in CDMA mobile telephone system
US6067315A (en) * 1997-12-04 2000-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herently-averaged power estimation
US6229841B1 (en) * 1998-12-11 2001-05-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estimation in a wireless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multiple instances of a common signal
US6184829B1 (en) * 1999-01-08 2001-02-06 Trueposition, Inc. Calibration for wireless lo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61911C (en) 2009-11-10
AU769479B2 (en) 2004-01-29
JP5021118B2 (ja) 2012-09-05
DE60038484T2 (de) 2009-05-07
EP1155510A1 (en) 2001-11-21
DE60038484D1 (de) 2008-05-15
AU3608300A (en) 2000-09-14
ATE391360T1 (de) 2008-04-15
WO2000051261A1 (en) 2000-08-31
JP2002538660A (ja) 2002-11-12
EP1155510B1 (en) 2008-04-02
JP2010252364A (ja) 2010-11-04
CA2361911A1 (en) 2000-08-31
KR100837132B1 (ko) 2008-06-11
US6229841B1 (en)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204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수신기에 대한 파일럿 강도 측정 및다중 경로 지연 탐색기
US5440597A (en) Double dwell maximum likelihood acquisition system with continuous decision making for CDMA and direct spread spectrum system
US8724597B2 (en) CDMA receiver downlink architecture for soft-handoff
US62298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tracking
KR200100317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트래킹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AU1856399A (en) Cellular system, mobile portable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optimum path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10252364A (ja) マルチインスタンス(multipleinstance)の共通信号を受信可能な無線受信器におけるエネルギー推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1352276A (ja) スペクトル拡散マルチパス推定
JP2001518740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測定往復遅延時間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90087A (ko) 무선 전기 통신국용 수신기 및 그 통신 방법
KR20010073619A (ko) 광대역 직접 시퀀스 코드분할다중접속 수신신호에 대한코드획득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