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263A - 위치 알람을 구비하는 이동 유니트 - Google Patents

위치 알람을 구비하는 이동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263A
KR20010102263A KR1020017010546A KR20017010546A KR20010102263A KR 20010102263 A KR20010102263 A KR 20010102263A KR 1020017010546 A KR1020017010546 A KR 1020017010546A KR 20017010546 A KR20017010546 A KR 20017010546A KR 20010102263 A KR20010102263 A KR 2001010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unit
service area
user
control means
predetermine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율레안드류테.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10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2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영역을 구성하는 중복되는 서비스 영역(SA1 내지 SA7) 중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양방향 무선 통신에 알맞고 지리학적인 각 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기지국(BS1 내지 BS7)의 형태인 셀룰러 무선 송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 유니트(1)가 개시된다. 이러한 이동 유니트는 수신기(5)와, 상기 이동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2)과, 제어 수단이 채택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로 제어 수단을 사전 프로그램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 9, 1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수단은 인접한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의 상기 이동 유니트의 진입을 인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동 유니트의 사용자에게 상기 진입을 통보한다. 이동 유니트는 하나의 송신기(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양방향 무선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청각, 시각 또는 기계적인 알람으로 통보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알람을 구비하는 이동 유니트{MOBILE UNIT HAVING A POSITIONAL ALARM}
다른 기차역에 각각 위치한 다수의 전용 송신기 중 임의의 한 송신기의 송신에 응답하는 전용 이동 수신기에서 위치 알람을 제공하여, 미리 선택된 기차역에 접근할 때 상기 수신기에서 청각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은 알려진 것이다. 이러한 장치의 목적은 기차로 여행하며 이러한 수신기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주의를 끌거나, 또는 취침중이라면, 사용자를 깨워 선택된 기차역을 통과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용 송신 기본 시설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은 각 기차역에서의 작업을 필요로 하고 이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사용자는 전용 수신기를 구비하여야만 하며, 이를 휴대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위치 알람을 구비하는 이동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송신 시스템의 지리학적인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셀룰러 전화기의 한 실시예의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형태의 위치 알람을 구비하지만 전용 송신 기본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동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영역을 구성하는 중복되는 서비스 영역 중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양방향 무선 통신에 알맞고 지리학적인 각 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하는 셀룰러 무선 송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 유니트로서, 상기 이동 유니트는, 수신기와, 상기 이동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인접한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의 상기 이동 유니트의 진입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 수단과, 사용자에게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통보하기 위한 통보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유니트는 변경 없이 기존 셀룰러 무선 송신 기본 시설을 사용하면서 사용자에게 위치 알람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전용 송신 기본 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존 셀룰러 무선 송신 기본 시설을 사용할 때,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이 대응하는 기지국의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면, 편리하다.
이상적으로, 상기 이동 유니트는 송신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과 양방향 무선 통신하기에 알맞다. 본 발명이 종래의 셀룰러 무선 송신 기본 설비를 사용하므로, 예컨대 이동 전화기와 같은 양방향 이동 통신 유니트에 집적된 위치 알람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위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청각, 시각 또는 기계적인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청각 또는 시각 알람에 대해, 종래의 이동 전화기가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 디스플레이와 입력 호출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청각 알람을 구비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은 특히 편리하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영역을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정보로 상기 제어 수단을 미리 프로그램할 수 있다.
현재의 서비스 영역을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수단에 지령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가정" 서비스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예를 통해 설명된다.
종래의 셀룰러 무선 송신 시스템의 지리학적인 배치가 도 1에 도시되었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BS)을 포함하는데, 이들 중 상호 이격된 지리적인 각 위치에 있는 7개의 기지국(BS1 내지 BS7)이 도시되었다. 이들 기지국 각각은, 임의의 위치 또는 서비스 영역에 있는 중계(trunking)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동작되는 무선 송신기 및 수신기 전체를 포함한다. 이들 기지국의 각 서비스 영역(SA1 내지 SA7)은 도시된 전체 영역을 집합적으로 포함하기 위하여 빗금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복된다. 복수의 이동 유니트(MS)가 제공되는데, 이들 중 세 개의 이동 유니트(MS1, MS2 및 MS3)가 도시되었다. 각 이동 유니트는 전체 영역을, 실제로는 그 밖으로 자유롭게 돌아다닌다. 이들 이동 유니트 각각은 또한 기지국의 송/수신기의 만족스러운 통신 영역 내에 있을 때 기지국의 송/수신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송/수신기를 포함하고, 또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각 기지국(BS1 내지 BS7)에 대한 각각의 양방향 통신 링크(CL1 내지 CL7)를 구비한 시스템 제어기(S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링크 각각은 예컨대 전용 지상 통신선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제어기(SC)는,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STN)의 가입자와 이동 유니트(MS1)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추가적으로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STN)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네트워크 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알려진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 중에 한 기지국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 그 기지국에 등록하여,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에 등록하고, 하나의 서비스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재 등록한 기지국의 통신 범위 내에 더 이상 있지 않을 경우, 만약 다른 기지국의 통신 범위 내에 있다면 상기 다른 기지국에 등록하여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에 등록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도록, 각 이동 유니트는 준비된다. 등록되었을 때, 실제 기지국은 고유하게 식별되기 때문에, 이동 유니트는 등록한 기지국에 대응하는 하나의 식별 코드를 수신할 것이다. 이것은 특히 이동 유니트로 하여금 등록한 기지국의 추가적인 방송과 등록하지 않은 인접 기지국의 방송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셀룰러 무선 시스템은 이들의 신호 전송 프로토콜로서 잘 알려져 있다. 덧붙여, 일본 특허(JP-A-62-179230호)로부터, 이동 유니트가 기지국의 고유한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이동 유니트가 현재 위치한 서비스 영역을 인식하고 그러한 위치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이 알려졌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며 도 1의 종래의 무선 송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셀룰러 전화기(1)가 중앙 처리 유니트(3)와 메모리(4)를 구비하는 프로세서(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송/수신기(5)를 통해 안테나(11)와, 하나는 전화기의 수화기용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통지용인 스피커(6)와, 마이크(7)와, 배터리(8)와, 키 패드(9)와, 디스플레이(10)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무선 송신 시스템의 기지국과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이러한 셀룰러 전화기의 동작은 완전히 종래의 것이므로, 이의 동작은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프로세서(2)는 대응하는 기지국 식별 번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SA1)을 식별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된다. 프로세서는, 인접 서비스 영역(SA2, SA6 및 SA7)으로부터 이동 유니트의 상기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인식하고, 이러한 진입시 사용자에 통보하기 위해, 스피커(6)에 지령 신호를 전송하여 청각 알람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알람은 키 패드(9) 상의 적절한 키를 누름으로써 멈출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위치 알람을 설정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키 패드(9) 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SA)을 사전에 프로그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은 버튼을 누를 때 사용자가 위치한 서비스 영역에 대해 구성되거나, 버튼을 누를 때 전화기가 임의의 기지국(BS)에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면, 상기 셀룰러 전화기가 등록하는 다음 기지국과 관련된 서비스 영역에 대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키 패드 상에서 적절한 위치 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위치 코드가 무슨 수로든 기지국 식별 번호와 관련되도록 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을 사전에 프로그램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나 부가적으로 알람은 디스플레이(10)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또는 문자로, 또는 진동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셀룰러 전화기(1)는, 예컨대 가정에서 직장으로 열차로 출근하는 사용자가 집 근처의 기차역에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에 대한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을 사전에 프로그램하는 시나리오로 사용될 수 있다. 열차로 돌아올 때, (셀룰러 전화기를 휴대하는) 사용자가 집 근처의 기차역으로 접근하여, 셀룰러 전화기가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등록함에 따라, 알람은 발생한다. 이러한 알람은 기차에서 잠에 빠졌거나 기차의 진행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는 사용자가 각자의 기차역을 통과하는 것을 예방한다.
프로세서(2)는 전형적으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로 삽입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적절한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래밍 또는 이러한 ASIC의 구성으로 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프로그램밍과 구성은 잘 알려진 것이고, 당업자에 의해 과도한 부담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 송신 기본 시설이 없이 기존의 셀룰러 전화기로 위치 알람을 제공하여, 기차에서 잠에 빠졌거나 기차의 진행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는 사용자가 각자의 기차역을 통과하는 것을 예방하는데 이용된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영역을 구성하는 중복되는 서비스 영역 중 대응하는 복수의 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양방향 무선 통신에 알맞고 지리학적인 각 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하는 셀룰러 무선 송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 유니트로서, 상기 이동 유니트는,
    수신기와,
    상기 이동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인접한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의 상기 이동 유니트의 진입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 수단과,
    사용자에게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의 진입을 통보하기 위한 통보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과의 양방향 무선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한, 이동 유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은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의 식별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이동 유니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청각, 시각 또는 기계적인 알람에 의해 통보 받는, 이동 유니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영역을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의 서비스 영역을 상기 미리 정해진 서비스 영역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어 수단에 지령 가능케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
  7.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 유니트.
KR1020017010546A 1999-12-22 2000-12-11 위치 알람을 구비하는 이동 유니트 KR200101022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30305.9A GB9930305D0 (en) 1999-12-22 1999-12-22 Mobile unit having a positional alarm
GB9930305.9 1999-12-22
PCT/EP2000/012539 WO2001047300A1 (en) 1999-12-22 2000-12-11 Mobile unit having a positional al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263A true KR20010102263A (ko) 2001-11-15

Family

ID=1086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546A KR20010102263A (ko) 1999-12-22 2000-12-11 위치 알람을 구비하는 이동 유니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10006896A1 (ko)
EP (1) EP1155578A1 (ko)
JP (1) JP2003518853A (ko)
KR (1) KR20010102263A (ko)
CN (1) CN1341330A (ko)
GB (1) GB9930305D0 (ko)
WO (1) WO2001047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9754C (zh) * 2002-12-17 2009-02-04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无线互联数码摄像装置和方法
US8374623B2 (en) * 2006-07-21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 based, software control of mobile devices
CN101262495B (zh) * 2008-04-07 2012-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位置的业务实现方法、设备和系统
CN105472591A (zh) * 2014-09-12 2016-04-06 阿尔卡特朗讯 一种用于邻近服务计费的方法、用户设备与计费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967A (ja) * 1997-04-21 1998-11-04 Casio Comput Co Ltd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I110984B (fi) * 1997-08-22 2003-04-30 Nokia Corp Menetelmä kotialueen havaitsemiseksi matkaviestimessä ja matkaviestin
JPH11155165A (ja) * 1997-11-21 1999-06-08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制御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5578A1 (en) 2001-11-21
JP2003518853A (ja) 2003-06-10
US20010006896A1 (en) 2001-07-05
GB9930305D0 (en) 2000-02-09
CN1341330A (zh) 2002-03-20
WO2001047300A1 (en)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228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ell phone noise reduction
KR20010102263A (ko) 위치 알람을 구비하는 이동 유니트
KR20020046205A (ko) 고정 기지국, 원격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H07111680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CA2270324A1 (en)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alerting user upon wireless terminal entering a specified physical location
JPS6062743A (ja) 移動無線通信方式
JPH06311093A (ja) 携帯電話装置
JP3990087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位置情報取得方法ならびに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通知方法
JP2004193867A (ja) 携帯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の送信制限方法
KR20000046062A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지하철역 통보 방법
KR0166635B1 (ko) 주파수 공용통신시스템에서의 휴대기의 최적중계국 파악방법
WO200407557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an end user of a request for communication
KR1008509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20010076024A (ko) 가상기지국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장치
JP4025770B2 (ja) 着信音制御システムおよび親子電話装置
KR20040082892A (ko)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매너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2827686B2 (ja) 無線電話方式
JPH0738959A (ja) 無線電話装置
JP3640933B2 (ja) 緊急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H0290736A (ja) 個人追跡方式
JP2002111872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10019274A (ko) 휴대폰의 지역번호 자동설정 방법
JPH10210184A (ja) 非常用電話機および非常用電話システム
KR100444237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20130110912A (ko) 스마트폰 이용자를 위한 지능형 수신모드 자동전환 어플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