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472A -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472A
KR20010099472A KR1020010061387A KR20010061387A KR20010099472A KR 20010099472 A KR20010099472 A KR 20010099472A KR 1020010061387 A KR1020010061387 A KR 1020010061387A KR 20010061387 A KR20010061387 A KR 20010061387A KR 20010099472 A KR20010099472 A KR 20010099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liquid
waste gas
water
uni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윤관
Original Assignee
선윤관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윤관, 주식회사 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선윤관
Priority to KR102001006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472A/ko
Publication of KR2001009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06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recirculation taking place in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7/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air supply
    • F23C7/02Disposition of air supply not passing through burner
    • F23C7/06Disposition of air supply not passing through burner for heating the incom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의 분진 및 유해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동시에 폐열을 회수하며, 아울러 백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부에 부착되어 고온의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폐가스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가스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의 상부에서 저온의 물 또는 상기 폐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첨가제를 포함한 혼합액을 상기 흡열부에 공급하는 수공급부와, 상단부에 상기 폐가스가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 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Waste heat recovering type absorber and system for eliminating harmful material and recovering waste heat of exhaust gas thereof}
본 발명은 폐열회수형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및 기타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등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로부터 유황산화물 등 유해성분과 먼지를 제거하며, 동시에 배기가스의 고열을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업저버(Absorber) 혹은 흡수탑이라고도 불리우는 흡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다량의 분진과 SO2와 같은 유황산화물 등 유해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성분을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배출할 경우에는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배기가스는 배출 전에 반드시 집진 및 탈황을 거쳐야 한다.
종래에 이러한 배기가스의 집진 및 탈황을 위한 설비는 건식 전기집진기와 습식집진기를 구비하여, 먼저 건식 전기집진기에 의해 분진등을 제거하고, 이 가스를 다시 습식집진기로 보내어 수산화나트륨(NaOH), 석회석 등의 알카리제를 함유하는 흡수액을 분무하여 세정하는 것으로 탈황을 행하였다.
이러한 분리형 구조에 있어서, 이들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설비는 고가의 설비비가 소요되고, 많은 설치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설비만으로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외에 그 고열을 이용할 수 없고, 설사 이를 이용한다하더라도, 별도의 설비를 추가적으로 부가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2000-250107호에는, 전기집진기와 습식집진기를 병합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집진기는 배기가스 중에 함유된 분진의 제거에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지만, 유황성분과 같은 유해한 화학성분은 습식집진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습식집진기에 있어서는 흡수액을 가스 상으로 분무함에 의해 탈황을 행하나, 이러한 분무만으로는 충분한 화학반응을 유도해내지 못하며, 따라서, 탈황성능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0-2139호에는 집진탈황을 겸한 폐열회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습식집진기에 분무되는 물을 보일러의 배기가스로 예열시키는 예열장치에 의해 온도를 증가시키고, 집진이 완료된 물은 별도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켜 외부에 온수를 공급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집진장치에 있어서도, 예열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며, 물을 샤워하는 방식의 습식집진기의 구조를 그대로 채용하고 있어 탈황성능의 한계는 여전히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일러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탈황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분진 및 기타 유해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 및 분진의 제거와 함께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백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분진의 제거, 유해성분의 제거, 백연의 방지 및 폐열 회수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실시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된 물 및 혼합액을 순환시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정화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의 버블 캡 세정기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를 이용한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 110: 세정부
112: 스프레이 세정기 114,116: 제1,2버블 캡 세정기
120: 흡열부 130: 수공급부
140: 백연방지부 150: 비산방지부
170: 배기관 180: 유입관
200: 저장조 300: 열교환기
400: 혼합액 저장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부에 부착되어 고온의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폐가스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가스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의 상부에서 저온의 물 또는 상기 폐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첨가제를 포함한 혼합액을 상기 흡열부에 공급하는 수공급부와, 상단부에 상기 폐가스가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 회수형 흡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공급부와 배기관의 사이에는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을 이용하여 유출되는 폐가스의 백연을 방지하도록 하는 백연 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액 공급부의 상부에는 상승되는 폐가스에 의해 상기 물 또는 혼합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비산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으로 세정하되, 고압으로 세정하는 1차 세정부와, 저압으로 세정하는 2차 세정부로 구비되며, 상기 2차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하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그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덮도록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에 침적되는 캡을 구비하여, 상기 폐가스가 상기 연통관을 통해 캡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을 관통하면서 세정되도록 하는 버블 캡 세정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부로부터 고온의 폐가스가 유입되어 하부로부터 이 폐가스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폐가스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와, 상기 폐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저온의 물 또는 상기 폐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첨가제를 포함한 혼합액을 상기 흡열부에 공급하는 수공급부가 순차로 형성된 흡수장치와,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고온의 혼합액 중 일부를 공급받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물과 열교환을 일으켜, 온도가 떨어진 혼합액을 상기 흡수장치의 상기 혼합액 공급부로 회송하고, 온도가 올라간 물은 외부로 순환시키는 열교환 장치와, 상기 혼합액 공급부에 혼합액을 공급하는 혼합액 저장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일러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은 흡수장치의 수공급부의 상부에 흡열부를 통과하여 열교환 장치로 추출되는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 중 일부를 공급받아 폐가스의 백연을 방지하도록 하는 백연 방지부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백연 방지부를 통과한 물 또는 혼합액이 상기 수공급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혼합액 저장조로부터 상기 흡수장치의 세정부로 혼합액이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흡수장치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세정부로 세정이 끝난 혼합액이 순환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흡수장치의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으로 세정하되, 고압으로 세정하는 1차 세정부와, 저압으로 세정하는 2차 세정부로 구비되며, 상기 2차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하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그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덮도록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에 침적되는 캡을 구비하여, 상기 폐가스가 상기 연통관을 통해 캡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을 관통하면서 세정되도록 하는 버블 캡 세정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100)는 하단부에 유입관(180)이 설치되어 보일러에서 배기된 폐가스가 장치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하고, 최상단에는 배기관(170)이 설치되어 정화된 폐가스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 유입관(180)과 배기관(170)의 사이에는 하부로부터 세정부(110), 흡열부(120), 수공급부(130)가 순차로 설치된다. 그리고, 수공급부(130)의 상부에는 물 또는 혼합액의 비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150)가 설치되며, 그 상부로는 폐가스의 백연(white smoke)을 방지하는 백연방지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세정부(110)는 폐가스 중의 분진을 제거하고, 폐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SOx와 같은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배기중의 SOx와 반응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는 Mg(OH)2와 같은 첨가제를 혼합한 혼합액(A)을 사용하여 세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폐가스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다른 유해성분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그에 알맞은 적당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세정부(110)에 혼합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폐가스 중의 SO2와 혼합액 중의 Mg(OH)2가 반응해 MgSO3가 생성되는 데, 이 MgSO3의 농도가 포화농도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는 결정염이 발생하여 분진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정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1차적으로 고압의 액체로 분사하여 제거하고, 2차로 저압의 세정을 한다.
본 발명의 세정부(110)는 이렇게 1차 세정부와 2차 세정부를 구비한다.
1차 세정부는 고압의 스프레이 세정기(112)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스프레이 세정기(112)는 스프레이 노즐로 고압의 액체를 분사하여 액적을 생성시킨 다음 폐가스 중의 분진과 접촉시켜 분진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2차 세정부는 저압의 세정부로, 도 2와 같이 버블캡 세정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다. 도 2는 상기 버블캡 세정기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레이 세정기(112)와 같은 분무형 세정기는 혼합액의 액적을 고속으로 분사시켜 그 액적에 폐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이 충돌, 포집되어 중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인데, 액과 가스의 접촉면적이 그다지 크지 않아서 충분한 세정이 곤란하다.
도 2와 같은 버블캡 세정기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혼합액이 저장되는 수조(12)에 군데 군데 개구부(14)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4)에는 상방으로 연통관(16)이 연장된다. 수조(12)에 저장되는 혼합액은 이 연통관(16)을 넘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연통관(16)의 상부로부터 중심부가 돌출된 캡(18)을 씌운다. 이 때, 캡(18)의 하단은 수조(12)의 혼합액(A)에 항상 침적되어 있도록 하며, 캡(18)의 내면과 연통관(16)의 상단과는 도 2와 같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의 버블캡 세정기(114)를 통해 가스는 하부 연통관(16)을 통해 유입되어 혼합액(A)을 통과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폐가스 내의 유해성분과 혼합액(A) 내의 첨가제가 충분히 반응하도록 하며, 또한 폐가스 내의 분진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세정기에서 다단으로 사용하던 것도 상기와 같은 버블캡 세정기의 경우에는 1~2단이면 충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버블캡 세정기에서는 처리되는 폐가스의 속도가 대략 1.5 내지 6.5 ㎧정도는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가스의 속도가 불규칙하거나 이보다 작으면 버블캡 세정기에 익류현상이 발생하며, 또한 가스의 충돌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도 1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흡수장치에서는 세정부(110)를 1차 세정부인 스프레이 세정기(112)와 2차 세정부인 버블캡 세정기(114)(116)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세정부(110)에는 혼합액(A)을 투입하여 탈황등 유해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세정이 끝나고 흡수장치의 하부로 저장되는 혼합액은 흡수장치(100) 하부의 밸브(172)를 통해 혼합액을 추출하여 펌프(미도시)등을 통해 다시 세정부(110)로 공급한다. 이렇게 세정부(110)에서 혼합액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의 흡열부와 분리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때 세정부(110)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버블캡 세정기(116)에는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최상부 버블캡 세정기(116)로부터는 하기 설명될 바와 같이 흡열된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세정부(110)에서는 혼합액의 pH를 측정하여 연속적으로 혼합액을 세정부에 공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세정이 끝난 후에 혼합액을 유출할 수 있도록 밸브구조(174)를 설치한다.
이러한 세정부(110)의 상부에는 폐가스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120)를 구비하고, 흡열부(120)의 상부에는 수공급부(130)를 설치하여 이 흡열부(120)에 저온의 물(C)을 공급해준다. 흡열부(120)에는 고온의 폐가스와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충진물들이 채워지는 데, 그 형태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충진물들이 채워진 흡열부(120)를 하부에서 고온의 폐가스가 통과하고, 상부로부터는 저온의 물이 통과하여, 충진물이 고온의 폐가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온의 물에 공급하면서 하부로 고온의 물을 흘려보내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흡열부(120)에서 폐가스의 열을 공급받는 것은 물인데, 이는 하부의 세정부에서 사용되는 혼합액과 분리되도록 하여 충진물이 충진된 흡열부의 오염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세정부(110)의 2차 세정부를 구성하는 버블캡 세정기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버블캡 세정기(116)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혼합액(A)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최상단의 버블캡 세정기(116)에서는 수조에 저장된 고온의 물(H)을 흡수장치(100) 밖으로 유출해 내어 외부에서 열교환에 의해 폐가스의 고열을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수공급부(130)는 외부에서 공급된 저온의 물(C)을 분사하는 제 1분무기(132)를 구비하며, 하기 설명될 백연방지부(140)에서 사용된 물을 회수하여 흡열부로 분사하는 제 2분무기(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 수공급부(130)에는 흡열부(120)에서 열흡수액으로 사용될 액체, 예컨대 물을 공급하나, 세정부에서 미처리된 잔여 SOx를 흡수처리하기 위해 Mg(OH)2용액을 투입할 수 있고, 또는, 혼합액의 중화를 위해 NaOH 용액(B)을 투입할 수도 있다.
수공급부(130)의 상부에는 하부로부터 상승해오는 폐가스에 의해 흡열부(120)로 분사되는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비산방지부(150)를 설치한다. 이 비산방지부(150)는 메쉬형의 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처리된 폐가스는 이를 통해 배기관(170)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런데, 배기관(170)을 통과하는 폐가스는 흡열부(120)를 통과하면서 온도는 저하되었으나, 상대습도는 항상 포화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가스는 열회수율과는 관계없이 항상 백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백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기되는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노점을 낮추어 대기와 접촉하였을 때 응축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렇게 배기되는 폐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흡열부(120)를 통과한 후 배출되는 고온의 물(H) 또는 혼합액의 일부를 이용한다. 곧, 이 고온의 물(H) 또는 혼합액을 펌프(미도시) 등을 사용해 백연 방지부(140)의 재열기(142)(144)로 통과시켜, 이를 관통하는 폐가스를 가열하게 되며, 배출되는 폐가스의 백연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폐가스와 열교환을 이뤄 온도가 낮아진 물은 다시 제 2분무기(134)로 이송시켜 흡열부(120)로 분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흡수장치(100)를 구비한 보일러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일러 배기가스의 유해성분 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폐열회수형 흡수장치(100)외에 흡수장치(100)로부터 추출되는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장치(300) 및 혼합액을 공급하는 혼합액 저장조(400)를 더 구비한다.
혼합액 저장조(400)로부터 흡수장치(100)의 세정부(110)에서 사용될 혼합액을 흡수장치(100)로 공급하면, 흡수장치(100)의 세정부(110)에서는 이를 순환시키면서 유입관(180)을 통해 유입된 폐가스를 세정한다. 그리고 이 세정부(110)에는 외부에서 별도로 물(C)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세정이 끝난 폐가스는 흡열부(120)로 상승하며, 여기서 충진물과 열교환을 일으키며,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저온의 물 또는 혼합액은 충진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세정부(110) 최상단의 버블캡 세정기(116)로 유입된다. 이 때, 이 버블캡 세정기(116)에 고인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은 유출되어 열교환장치(300)로 보내질 수 있는 데, 그 전에 저장조(200)에 일단 저장될 수 있다.
저장조(200)에 일차로 저장된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은 일부는 열교환장치(300)로 보내지고 일부는 흡수장치(100)의 백연방지부(140)로 보내진다. 저장조(200)에는 혼합액 저장조(400)로부터 NaOH 또는 Mg(OH)2와 같은 혼합액이 공급되어질 수 있으며, 기타 필요에 따라서는 폐가스 내의 타 유해성분과 반응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는 혼합액이 첨가되어 흡수장치(100)로 이송되어질 수 있다.
저장조(200)로부터 열교환 장치(300)로 보내진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저온의 물(C)과 열교환을 일으키게 되고, 열교환을 마치고 온도가 낮아진 물 또는 혼합액은 다시 흡수장치(100)의 수공급부(130)의 제 1분무기(132)로 보내어져 흡열부(120)로 분사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유입된 저온의 물(C)은 열교환장치(300)에서 열을 공급받은 후 다시 외부로 보내져 외부설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저장조(200)로부터 백연방지부(140)로 보내진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은 배출되는 폐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백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온도가 떨어지면 다시 수공급부(130)의 제2분무기(134)로 이송되어 흡열부(120)에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폐가스의분진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황성분 등 가스 내의 유해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고온의 폐가스의 열을 충분히 회수하여 에너지 재활용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백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과정을 하나의 장치내에서 수행함으로써, 전체 설비 면적을 대폭 감축할 수 있으며, 폐가스를 정화하는 공정을 단축할 수 있어, 경비절감의 측면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단부에 부착되어 고온의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폐가스를 세정하는 세정부;
    상기 세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가스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
    상기 흡열부의 상부에서 저온의 물 또는 상기 폐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첨가제를 포함한 혼합액을 상기 흡열부에 공급하는 수공급부; 및
    상단부에 상기 폐가스가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특징으로 하는 폐열 회수형 흡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공급부와 배기관의 사이에는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을 이용하여 유출되는 폐가스의 백연을 방지하도록 하는 백연 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공급부의 상부에는 상승되는 폐가스에 의해 상기 저온의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비산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 회수형 흡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으로 세정하되, 고압으로 세정하는 1차 세정부와, 저압으로 세정하는 2차 세정부로 구비되며, 상기 2차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하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그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덮도록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에 침적되는 캡을 구비하여, 상기 폐가스가 상기 연통관을 통해 캡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을 관통하면서 세정되도록 하는 버블 캡 세정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폐열 회수형 흡수장치.
  5. 하단부로부터 고온의 폐가스가 유입되어 하부로부터 상기 폐가스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폐가스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와, 저온의 물 또는 상기 폐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첨가제를 포함한 혼합액을 상기 흡열부에 공급하는 수공급부가 순차로 형성된 흡수장치;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을 공급받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물과 열교환을 일으키고, 온도가 떨어진 물 또는 혼합액을 상기 흡수장치의 수공급부로 회송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온도가 올라간 물은 다시 외부로 순환시키는 열교환 장치; 및
    상기 흡수장치에 상기 혼합액을 공급하는 혼합액 저장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장치의 상기 수공급부의 상부에는 상기 흡열부를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 장치로 추출되는 고온의 물 또는 혼합액 중 일부를 공급받아 폐가스의 백연을 방지하도록 하는 백연 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백연 방지부를 통과한 물 또는 혼합액이 상기 수공급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저장조로부터 상기 흡수장치의 세정부로 혼합액이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흡수장치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세정부로 세정이 끝난 혼합액이 순환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저장조로부터 상기 흡수장치의 수공급부로 상기 혼합액이 공급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10.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장치의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으로 세정하되, 고압으로 세정하는 1차 세정부와, 저압으로 세정하는 2차 세정부로 구비되며, 상기 2차 세정부는 상기 혼합액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하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그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덮도록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에 침적되는 캡을 구비하여,상기 폐가스가 상기 연통관을 통해 캡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수조에 채워진 혼합액을 관통하면서 세정되도록 하는 버블 캡 세정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KR1020010061387A 2001-10-05 2001-10-05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KR20010099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87A KR20010099472A (ko) 2001-10-05 2001-10-05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87A KR20010099472A (ko) 2001-10-05 2001-10-05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43U Division KR200262003Y1 (ko) 2001-10-05 2001-10-05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472A true KR20010099472A (ko) 2001-11-09

Family

ID=1971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387A KR20010099472A (ko) 2001-10-05 2001-10-05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47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522B1 (ko) * 2002-12-03 2005-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가열 시스템
KR100500697B1 (ko) * 2002-10-21 2005-07-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계 열회수형 물유동층 열교환기
KR100701577B1 (ko) * 2006-09-13 2007-03-29 권오덕 응축형 열교환기
KR100856055B1 (ko) * 2008-03-17 2008-09-02 주식회사 시원기업 열교환형 세정장치
KR100946362B1 (ko) * 2009-10-29 2010-03-09 정영철 분진 제거가 가능한 자동 세척형 열교환기
KR200448758Y1 (ko) * 2008-04-21 2010-05-13 이상훈 집진식 폐열교환기
KR101126022B1 (ko) * 2009-12-29 2012-03-19 주식회사 포스코 백연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614A (ja) * 1986-07-19 1988-02-20 メタルゲゼルシャフ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煙道ガスの浄化方法
JPS6397216A (ja) * 1986-10-13 1988-04-27 Hitachi Zosen Corp 排ガスの湿式処理方法
JPH057729A (ja) * 1991-07-03 1993-01-19 Babcock Hitachi Kk 排煙脱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614A (ja) * 1986-07-19 1988-02-20 メタルゲゼルシャフ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煙道ガスの浄化方法
JPS6397216A (ja) * 1986-10-13 1988-04-27 Hitachi Zosen Corp 排ガスの湿式処理方法
JPH057729A (ja) * 1991-07-03 1993-01-19 Babcock Hitachi Kk 排煙脱硫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97B1 (ko) * 2002-10-21 2005-07-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계 열회수형 물유동층 열교환기
KR100474522B1 (ko) * 2002-12-03 2005-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가열 시스템
KR100701577B1 (ko) * 2006-09-13 2007-03-29 권오덕 응축형 열교환기
KR100856055B1 (ko) * 2008-03-17 2008-09-02 주식회사 시원기업 열교환형 세정장치
KR200448758Y1 (ko) * 2008-04-21 2010-05-13 이상훈 집진식 폐열교환기
KR100946362B1 (ko) * 2009-10-29 2010-03-09 정영철 분진 제거가 가능한 자동 세척형 열교환기
KR101126022B1 (ko) * 2009-12-29 2012-03-19 주식회사 포스코 백연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4948B (zh) 一种超声波脱硫除尘一体化超低排放方法
KR100613264B1 (ko)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US94688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t desulfurization spray towers
CN101956991B (zh) 一种湿法烟气净化尾气的除湿工艺及装置
KR20160088261A (ko) 습식 스크러버 노즐 시스템 및 공정 가스를 세정하기 위한 사용 방법
PL183592B1 (pl) Urządzenie płuczące do oczyszczania gazów spalinowych
CN103547355A (zh) 来自脱硫废水的脱水滤液的喷雾干燥装置及废气处理系统
JPH06254345A (ja) 水平湿式洗浄装置およびガス流から二酸化イオウ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
JP2014188406A (ja) 海水排煙脱硫装置とその運用方法
CA24465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val of sulfur and dust from waste gases
CN1048506A (zh) 处理含有灰尘和化学污染物的废气的方法与设备
JP2015144980A (ja) 気液接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co2回収装置
KR20010099472A (ko)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JPH08108042A (ja) 排煙の脱硫、脱硫・脱硝、脱硫・脱硝・二酸化炭素除去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る触媒、吸収剤
KR200262003Y1 (ko)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CN208878263U (zh) 一种湿法烟气脱硫喷淋吸收塔
KR20180079492A (ko)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집진시스템
KR19990014503A (ko) 철강제조 및 벙커씨유 연소시 배가스의 제진 및 탈황을 위한 설비와 그 방법
JP3870375B2 (ja) 空気浄化装置
CN105396451B (zh) 一种喷淋脱硫塔内碱液清洗高效脱除so3的工艺
JP2014200768A (ja) 海水式排煙脱硫装置
JPH1133352A (ja) 排煙脱硫装置の吸収塔
CN205235747U (zh) 一种喷淋脱硫塔内碱液清洗高效脱除so3的工艺装置
JP3834341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
KR100521398B1 (ko) 산성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