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758Y1 - 집진식 폐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집진식 폐열교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8758Y1 KR200448758Y1 KR2020080005239U KR20080005239U KR200448758Y1 KR 200448758 Y1 KR200448758 Y1 KR 200448758Y1 KR 2020080005239 U KR2020080005239 U KR 2020080005239U KR 20080005239 U KR20080005239 U KR 20080005239U KR 200448758 Y1 KR200448758 Y1 KR 2004487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combustion gas
- heat exchange
- communication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24H1/2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 F24H1/28—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including one or more furnace or fire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35—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domestic or space heating, e.g. heating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화목보일러 또는 소각로의 연통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화목보일러나 소각로로부터 발생되는 연소가스 중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제거하면서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열교환식으로 물을 가열하여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사용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케이싱으로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하부연통이 관통 개재되어 있어 통상적인 화목보일러의 연통에 연결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분진제거수가 일정수위로 채워져 있어 내부로 유입되는 화목보일러로부터의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집진제거실과, 상기 집진제거실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착되며 상기 집진제거실과 연통된 상태로 집진제거실 내부에 모인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부쪽으로 나누어 이송시키면서 외부의 난방수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열교환배관과, 원통형 케이싱으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 상면부에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면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상부연통이 연설되어 있어 다수개의 열교환배관을 통해 이송된 연소가스를 하나로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실로 이루어진 집진식열교환부와; 상기 집진식열교환부의 외측둘레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에는 난방수가 저장되어 있어 집진식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의 난방수가 열교환식으로 가열되어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난방수저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식 폐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집진식 폐열교환기, 집진식열교환부, 집진제거실, 분진제거수, 열교환배관, 난방수저장부
Description
본 고안은 통상의 화목보일러 또는 소각로의 연통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화목보일러나 소각로로부터 발생되는 연소가스 중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제거하면서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열교환식으로 물을 가열하여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사용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케이싱으로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하부연통이 관통 개재되어 있어 통상적인 화목보일러의 연통에 연결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분진제거수가 일정수위로 채워져 있어 내부로 유입되는 화목보일러로부터의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집진제거실과, 상기 집진제거실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착되며 상기 집진제거실과 연통된 상태로 집진제거실 내부에 모인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부쪽으로 나누어 이송시키면서 외부의 난방수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열교환배관과, 원통형 케이싱으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 상면부에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면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상부연통이 연설되어 있어 다수개의 열교환배관을 통해 이송된 연소가스를 하나로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실로 이루어진 집진식열교환부와; 상기 집진식열교환부의 외측둘레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에는 난방수가 저장되어 있어 집진식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의 난방수가 열교환식으로 가열되어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난방수저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식 폐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전자 점화 방식 등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버너가 점화된 상태로 운전되면서 물탱크를 가열시켜 난방수 및 급탕수를 얻는 장치로서, 주로 기름이나 가스 보일러가 채택되어 설치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일러에는 각종 안전장치들이 부설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적정 실내온도 유지와 급탕수의 사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건강 및 생활의 편의성을 도모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 기름 또는 가스 보일러는 연료로 사용되는 유류나 가스 등의 비용이 매우 높고 각종 전자, 전기적 구조를 갖춘 보일러로 제작됨으로써 보일러 장치의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들이 있어 최근에는 연료비의 부담이 적고 보일러의 제작비용이 저렴한 화목 보일러가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활발하게 개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소각로나 화목보일러는 화실 내부에서 화목 등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불완전연소로 인한 많은 양의 그을음이나 연기 및 유해가스 등이 발생되고 화목의 연소로 인한 다량의 분진이 함께 발생되어 집진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연통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어 각종 환경오염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화실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만 난방수를 가열하도록 되어 있어 고온의 연소가스에서 발생되는 여분의 열은 외부로 손실됨으로써 사용되는 목재 등의 연료소비량에 비하여 열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인 소각로나 화목보일러의 연통에 연결 장착되면서 상기 소각로나 화목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열교환식으로 내부의 난방수를 가열함으로써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이용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소각로나 화목보일러의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 등이 분진제거실에서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케이싱으로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하부연통이 관통 개재되어 있어 통상적인 화목보일러의 연통에 연결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분진제거수가 일정수위로 채워져 있어 내부로 유입되는 화목보일러로부터의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집진제거실과 상기 집진제거실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착되며 상기 집진제거실과 연통된 상태로 집진제거실 내부에 모인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부쪽으로 나누어 이송시키면서 외부의 난방수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열교환배관과 원통형 케이싱으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 상면부에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면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상부연통이 연설되어 있어 다수개의 열교환배관을 통해 이송된 연소가스를 하나로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실로 이루어진 집진식열교환부와; 상기 집진식열교환부의 외측둘레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에는 난방수가 저장되어 있어 집진식열교환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의 난방수가 열교환식으로 가열되어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난방수저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통상적인 소각로나 화목보일러의 연통에 간단하게 연결 장착되면서 상기 소각로나 화목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열교환식으로 내부의 난방수를 가열함으로써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이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각로나 화목보일러의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 등이 분진제거실에서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집진식 폐열교환기(1)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소각로 또는 화목보일러(18)의 연통(19)에 연결 장착되며 상기 소각로나 화 목보일러(18)로부터 발생되는 연소가스 중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제거하면서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열교환식으로 내부의 난방수를 가열하여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사용하는 열교환기로서, 상기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통과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가 제거되면서 열교환식으로 외부의 난방수를 가열하는 집진식열교환부(2)와, 상기 집진식열교환부(2)의 외측둘레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에는 난방수가 저장되어 있어 집진식열교환부(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의 난방수가 열교환식으로 가열되어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공급되도록 하는 난방수저장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식열교환부(2)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로부터의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집진 제거하면서 외부의 난방수를 열교환식으로 가열하는 부분으로, 하부에는 원통형 케이싱으로 된 집진제거실(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집진제거실(3)의 상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이 일체로 연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의 상부에는 원통형 케이싱으로 된 연소가스배출실(5)이 일체로 연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진제거실(3)은 원통형의 케이싱으로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수직하방으로 하부연통(6)이 일체로 관통 개재(介在)되어 있어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연통(6)의 하부가 통상적인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의 연통(19)에 끼움 결합식으로 연결 장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연통(6)의 상부는 집진제거실(3)의 내측 상부쪽으로 돌출되게 관통 개재되어 있고 상기 집진제거실(3)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연통(6)보다 낮은 높이로 일정량의 분진제거수(7)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연통(6)의 상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집진제거실(3)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연소가스가이드캡(8)이 고정설치되어 있되, 상기 연소가스가이드캡(8)은 상부는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된 통상의 캡과 같은 ""형상으로 하부연통(6)의 상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그 상부를 감싸고 있으며 연소가스가이드캡(8)의 하단부는 하부연통(6)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분진제거수(7)의 수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근접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통(6)을 통해 집진제거실(3) 내부로 배출된 분진 등이 포함된 연소가스가 그대로 상부로 배출되지 않고 연소가스가이드캡(8)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연소가스가이드캡(8)의 하단부와 분진제거수(7) 사이로 배출되면서 분진제거수(7)에 닿아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은 가라앉고 수용성 연소가스는 용해되어 제거되고 나머지 연소가스만 상부의 열교환배관(4)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연통(6)은 집진식열교환부(2)의 외부를 둘러싼 난방수저장부(12)의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하면부 외측으로 관통 개재(介在)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집진제거실(3)은 일측면에 보충수공급관(9)이 설치되어 있어 집진제거실(3)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연소가스 및 하부에 위치된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의 열기에 의해 내부의 분진제거수(7)가 증발되어 상부의 열교환배관(4)으로 배출될 경우 외부에 설치된 통상의 보충수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에서 일정량의 보충수를 보충수공급관(9)을 통해 공급하여 보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제거실(3)은 전면부에 소제도어(1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소제도어(10)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를 둘러싼 난방수저장부(12)의 난방수저장케이스(13) 전면 하부를 통해 개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소제도어(10)를 개폐하여 집진제거실(3)의 내부에 남은 분진찌끼기 및 앙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진제거수(7)는 통상의 물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소정의 비율로 물과 석회가 함유된 석회수로 되어 있어 상기 석회수로 된 분진제거수(7)가 연소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해 제거 및 석회 특유의 탈취기능 등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은 다수개의 긴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집진제거실(3)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제거실(3)과 연통된 상태로 집진제거실(3) 내부에 모인 고온의 연소가스가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고 여러갈래로 나누어져 각 열교환배관(4)을 통해 상부쪽으로 이송되면서 각각의 열교환배관(4)이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가온되어 외부를 둘러싼 난방수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소가스배출실(5)은 원통형 케이싱으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 상면부에 일체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상부연통(11)이 연설되어 있어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을 통해 열교환되면서 이송된 연소가스가 하나로 모여 상부연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통(11)은 집진식열교환부(2)의 외부를 둘러싼 난방수저장부(12)의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상면부 외측으로 관통 개재(介在)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난방수저장부(12)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식열교환부(2)의 외측 둘레를 전체적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싼 난방수저장케이스(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내부에는 난방수가 저장되어 있어 집진식열교환부(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의 난방수가 열교환식으로 가열되어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난방수저장케이스(13)는 일측면 상부에 난방수배출관(14)이 설치되어 있어 난방수저장케이스(13) 내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난방수가 난방수배출관(14)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난방 및 급탕용으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통상의 순환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난방수회수관(15)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난방수배출관(14)을 통해 실내로 공급 순환되면서 저온으로 된 난방수가 다시 회수되어 난방수회수관(15)을 통해 난방수저장케이스(13)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난방수저장케이스(13)는 상면부에 수증기배출변(16)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증기배출변(16)은 난방수저장케이스(13) 내부와 연통 설치되어 있어 난방수저장케이스(13) 내부의 난방수가 가열되면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와 통기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난방수저장케이스(13)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감압밸브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상면부에는 통상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온도감지센서(17)가 구비되어 있어 난방수의 수온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난방수의 수온이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한 온도이상으로 가온되면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고온의 난방수가 실내로 순환되도록 하고, 난방후 수온이 낮아진 저온의 난방수 또는 상기 난방수회수관(15)에 연결된 통상의 보충수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보충되는 저온의 난방수를 난방수저장케이스(13)내부로 공급하여 일정수온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집진식 폐열교환기(1)의 집진식열교환부(2)의 하부연통(6)을 통상의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의 연통(19)에 끼움 결합식으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를 연소작동시키면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에서 발생 되는 각종 분진 등이 포함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집진식열교환부(2)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하부연통(6)을 통해 집진식열교환부(2)의 집진제거실(3)로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통(6)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그 상부를 감싸고 있는 연소가스가이드캡(8)에 의해 곧바로 상부쪽으로 상승되지 않고 차단되어 연소가스가이드캡(8)의 하부쪽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연소가스가이드캡(8)의 하단부는 집진제거실(3)의 내측 하부에 일정수위로 채워져 있는 분진제거수(7)의 수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근접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연소가스가 연소가스가이드캡(8)의 하단부와 분진제거수(7) 사이로 배출되면서 석회수성분으로 된 분진제거수(7)에 닿아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 이산화탄소, 및 각종 냄새성분 등이 침전되어 가라앉아 제거되고 나머지 연소가스만 집진제거실(3)의 상면부에 연통설치된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으로 보내지며,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을 통해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이송되면서 외부의 난방수와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되어 효율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연소가스는 상부의 연소가스배출실(5)에서 하나로 모여 상부에 관통 설치된 상부연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집진식열교환부(2)의 외측 둘레를 둘러싼 난방수저장부(12)의 난방수저장케이스(13) 내부의 난방수가 집진식열교환부(2)에 의해 열교환식으로 가열되고 상기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가온된 난방수는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난방 수회수관(15)에 연결된 순환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일측면 상부에 설치된 난방수배출관(14)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면서 난방 및 급탕수로 사용되고, 난방 후 수온이 낮아진 저온의 난방수나 급탕으로 사용되어 부족한 난방수에 대하여 보충수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보충되는 난방수는 다시 난방수저장케이스(13)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된 난방수회수관(15)을 통해 난방수저장케이스(13) 내부로 유입되어 가온 순환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식 폐열교환기의 내부를 투시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식 폐열교환기의 단면개략도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식 폐열교환기가 통상의 소각로나 화목보일러의 연통에 연결장착된 상태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집진식 폐열교환기 2. 집진식열교환부
3. 집진제거실 4. 열교환배관
5. 연소가스배출실 6. 하부연통
7. 분진제거수 8. 연소가스가이드캡
9. 보충수공급관 10. 소제도어
11. 상부연통 12. 난방수저장부
13. 난방수저장케이스 14. 난방수배출관
15. 난방수회수관 16. 수증기배출변
17. 온도감지센서 18. 소각로나 화목보일러
19. 연통
Claims (4)
- 원통형의 케이싱으로 내부에는 분진제거수가 일정수위로 채워져 있어 내부로 유입되는 통상적인 소각로나 화목보일러 연통으로부터의 분진 및 수용성 연소가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집진제거실과, 연소가스를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수직상방으로 상부연통이 연설되어 있는 집진식 폐열교환기에 있어서,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하부연통(6)이 관통 개재되어 있어 상기 소각로나 화목보일러(18)의 연통(19)에 연결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집진제거실(3)과, 상기 집진제거실(3)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착되며 상기 집진제거실(3)과 연통된 상태로 집진제거실(3) 내부에 모인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부쪽으로 나누어 이송시키면서 외부의 난방수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과, 원통형 케이싱으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 상면부에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열교환배관(4)을 통해 이송된 연소가스를 하나로 모아 상면부에 연설된 상기 상부연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배출실(5)로 이루어진 집진식열교환부(2)와; 상기 집진식열교환부(2)의 외측 둘레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에는 난방수가 저장되어 있어 집진식열교환부(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의 난방수가 열교환식으로 가열되어 실내 난방 및 급탕수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난방수저장부(1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식 폐열교환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제거실(3)은 원통형의 케이싱으로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일체로 관통 개재된 하부연통(6)의 상부는 집진제거실(3)의 내측 상부쪽으로 돌출되게 관통 재개되어 있고 상기 집진제거실(3)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연통(6)보다 낮은 높이로 일정량의 분진제거수(7)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연통(6)의 상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집진제거실(3)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연소가스가이드캡(8)이 고정설치되어 있되, 상기 연소가스가이드캡(8)은 상부는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된 캡형상으로 하부연통(6)의 상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그 상부를 감싸고 있으며 연소가스가이드캡(8)의 하단부는 하부연통(6)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분진제거수(7)의 수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근접된 상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하부연통(6)을 통해 집진제거실(3) 내부로 배출된 연소가스가 그대로 상부로 배출되지 않고 연소가스가이드캡(8)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연소가스가이드캡(8)의 하단부와 분진제거수(7) 사이로 배출되면서 상기 분진제거수(7)에 닿아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은 가라앉고 수용성 연소가스는 용해되어 제거되고 나머지 연소가스만 상부의 열교환배관(4)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식 폐열교환기.
- 삭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제거실(3)은 전면부에 소제도어(1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소제도어(10)는 외부를 둘러싼 난방수저장부(12)의 난방수저장케이스(13) 전면 하부를 통해 개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소제도어(10)를 개폐하여 집진제거실(3)의 내부에 남은 각종 분진찌끼기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식 폐열교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239U KR200448758Y1 (ko) | 2008-04-21 | 2008-04-21 | 집진식 폐열교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239U KR200448758Y1 (ko) | 2008-04-21 | 2008-04-21 | 집진식 폐열교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845U KR20090010845U (ko) | 2009-10-26 |
KR200448758Y1 true KR200448758Y1 (ko) | 2010-05-13 |
Family
ID=4153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5239U KR200448758Y1 (ko) | 2008-04-21 | 2008-04-21 | 집진식 폐열교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875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6428A (ko) | 2015-07-08 | 2017-01-18 | 전상국 | 보일러의 워터재킷 청소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4106B1 (ko) * | 2010-06-18 | 2011-08-03 | 원종암 | 굴뚝 배출형 폐기열을 이용한 열교환장치 |
KR101408665B1 (ko) * | 2012-08-31 | 2014-06-19 | 주식회사 부강테크 | 분리막 복합형 열교환기 |
KR102500664B1 (ko) * | 2021-04-15 | 2023-02-16 | 기검 | 무동력 온풍공급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9472A (ko) * | 2001-10-05 | 2001-11-09 | 선윤관 |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
JP2007303693A (ja) | 2006-05-09 | 2007-11-22 | Geo Power System:Kk | 地中熱交換器を利用した空調機構 |
-
2008
- 2008-04-21 KR KR2020080005239U patent/KR2004487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9472A (ko) * | 2001-10-05 | 2001-11-09 | 선윤관 | 폐열회수형 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의유해성분제거 및 폐열회수 시스템 |
JP2007303693A (ja) | 2006-05-09 | 2007-11-22 | Geo Power System:Kk | 地中熱交換器を利用した空調機構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6428A (ko) | 2015-07-08 | 2017-01-18 | 전상국 | 보일러의 워터재킷 청소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845U (ko) | 2009-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57236A1 (en) | Smokeless furnace | |
KR101288589B1 (ko) | 펠릿겸용화목보일러 | |
CN105716101B (zh) | 一种锅炉烟气处理装置 | |
KR200448758Y1 (ko) | 집진식 폐열교환기 | |
CN201327039Y (zh) | 一种垃圾无害化燃烧产生蒸汽热水的设备 | |
CN201072309Y (zh) | 一种锅炉烟气的余热回收装置 | |
CN100595495C (zh) | 敞口反水往复烟道式常压锅炉 | |
CN106016244A (zh) | 一种余热利用的双燃烧室锅炉 | |
KR101207959B1 (ko) | 완전 연소를 유도하는 화목보일러 | |
CN202195584U (zh) | 一体化锅炉 | |
KR100799196B1 (ko) | 고체연료용 보일러 | |
CN205561248U (zh) | 立式新型高效节能环保锅炉 | |
KR101611030B1 (ko) | 화목보일러용 배기가스 집진장치 | |
CN205316334U (zh) | 垃圾气化蓄热燃烧装置 | |
CN201129850Y (zh) | 节能净尘锅炉 | |
CN209763473U (zh) | 一种高效节能采暖炉 | |
CN201165514Y (zh) | 负压式节能环保煤气发生炉及煤气净化装置 | |
CN201836928U (zh) | 一种水暖炉 | |
CN105823090A (zh) | 一种基于蜂窝陶瓷蓄热体的采暖炉 | |
KR20090115617A (ko) | 목재 칩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 |
CN112066363A (zh) | 一种节能环保型锅炉 | |
KR200265150Y1 (ko) | 스팀보일러 | |
CN205909513U (zh) | 一种高效节能环保热水锅炉 | |
KR101082324B1 (ko) | 무연통 보일러 | |
KR101040089B1 (ko) | 폐비닐 소각보일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B701 | Decision to gr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