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283A -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283A
KR20010099283A KR1020010057997A KR20010057997A KR20010099283A KR 20010099283 A KR20010099283 A KR 20010099283A KR 1020010057997 A KR1020010057997 A KR 1020010057997A KR 20010057997 A KR20010057997 A KR 20010057997A KR 20010099283 A KR20010099283 A KR 2001009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gain
radio frequency
coupler
power amplifier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윤종노
Original Assignee
김철동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동,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철동
Priority to KR102001005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283A/ko
Publication of KR2001009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5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using analogue-digital or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증폭기 내부에서 신호의 입/출력시에 발생될 수 있는 저 이득(low gain)을 검출하여 저 이득이 발생한 위치와 저 이득에 관한 사항을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 발생시 이를 확인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OW GAIN ADAPTED TO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증폭기 내부에서 신호의 입/출력시에 발생될 수 있는 저 이득(low gain)을 검출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 발생시 이를 확인하여 신속히 조치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력 증폭기는 송출하는 신호를 원하는 신호 대역으로 높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력 증폭기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여러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송 시스템, 교환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TS)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에 채용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시스템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는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전송되어야 수신측에서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여 다시 중계하거나 또는 복호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력 증폭기들이 불안정한 동작을 하거나, 동작하지 않는 경우 신호가 유실되어 전체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QoS)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 중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폴트(Fault)로 인한 문제가 전력 증폭기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데, RF 신호의 폴트 원인은 완전 폴트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른 폴트 등 폴트의 원인도 다양하나 종래 적용되는 전력 증폭기의 경우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는 RF 신호의 폴트를 검사하는 수단이 없어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상기 RF 신호의 폴트는 RF 신호의 저 이득(Low Gain)에 기인하는데, 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 각각에서 이러한 저 이득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증폭기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인 RF 신호의 폴트를 검출하여 전력 증폭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즉각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증폭기의 폴트를 야기하는 RF 신호의 저 이득 장소를 검출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무선주파수 파워 레벨을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커플러들과;
각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무선주파수 파워 레벨을 검출하는 무선주파수 검출부와;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무선주파수 파워 레벨로부터 저 이득 여부를 검사하여 저 이득인 경우 저 이득이 발생된 위치와 저 이득 발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전력 증폭기의 위치별로 저 이득 및 정상에 대응되는 표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는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서 검출한 아날로그 무선주파수 이득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의 상기 커플러는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의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는 입력이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고, 출력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에 연결되는 버랙터 다이오드가 구성되는 상기 커플러 각각에 대응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의 상기 저 이득 검출장치는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 연결된 스위치단을 상기 커플러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위치단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시키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 연결될 스위치를 특정 커플러에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의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색과, 점등 온/오프 및/또는 점등이나 점멸 시간의 제어에 따라 저 이득 여부 및 상기 저 이득이 발생한 위치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견지에 따른 적어도 둘 이상의 커플러를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구비하는 전력 증폭기에서 저 이득을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전위 커플러 후위에 위치한 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검출한 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 레벨과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한 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레벨을 비교하여 저 이득을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저 이득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 이득이 발생된 위치를 포함하는 저 이득 발생 정보를 표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서 저 이득 검출방법의 상기 제4단계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색과, 점등 온/오프 및/또는 점등이나 점멸 시간의 제어에 따라 저 이득 발생 및 상기 저 이득이 발생한 위치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방법의 상기 저 이득 검출 방법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커플러 각각에 대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견지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방법은 상기 무선주파수 이득이 정상인 경우 정상인 커플러 위치를 포함하는 정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5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여 저 이득 검출 위치를 표시하는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여 저 이득 검출 위치를 표시하는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커플러 20: 증폭기
30: 제2커플러 40: RF 검출부
5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60: 제어부 70: 표시부
80: 스위치 60':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력 증폭기는 RF 입력과 RF 출력 사이에 증폭기(20)가 위치하며, 상기 증폭기(20)의 입력단에는 제1커플러(10)가 위치하고, 상기증폭기(20)의 출력단에는 제2커플러(30)가 위치한다.
상기 제1커플러(10) 및 제2커플러(30)는 상기 증폭기(20)의 입력과 출력 각각에서 RF 파워 레벨을 RF 검출부(40)에 전달하고, 여기서 검출된 RF 레벨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50)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제어부(60)에 인가되어 상기 제어부(60)의 제어 하에 RF 레벨 검출 결과를 표시부(70)에 표시한다.
상기 RF 검출부(40)로는 후술할 도 2,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를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50)는 상기 RF 검출부(40)에서 검출한 아날로그의 RF 파워 레벨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0)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인가되는 RF 파워 레벨을 확인하여 두 커플러의 RF 파워 레벨을 통해 저 이득을 판단하고, 저 이득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상기 표시부(70)에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70)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시각적으로는 LED(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점등 여하에 따라 표시할 수도 있고,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청각적으로는 부저나 경보장치를 구성하여 저 이득이 발생하는 경우에 부저 또는 경보음이 울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중 RF의 저 이득이 발생한 위치를 알릴 수 있으면서 저가로 구현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표시부(70)를 LED로 구현하여 저가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저 이득이 발생한 위치 또한 알릴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이하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1커플러(10)에 제1버랙터 다이오드 VD1의 입력이 연결되고, 상기 VD1의 출력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5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커플러(30)에 제2버랙터 다이오드 VD2의 입력이 연결되고, 상기 VD2의 출력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0)에 연결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50)는 상기 VD1 및 VD2에서 출력된 RF 파워 레벨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6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기 RF 파워 레벨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부인 LED(70)에 제어신호 CTL을 인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여 저 이득 검출 위치를 표시하는 제어 흐름도로서, 도 2의 구성에 의거 설명한다.
301단계에서 전력 증폭기에 RF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1커플러(10)에서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303단계에서 상기 RF 검출부(40) VD1은 상기 제1커플러(10)를 통과하는 RF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한다. 이 결과를 305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는 307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RF 파워 레벨 값 'A'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309단계에서 상기 제2커플러(30)에서 증폭기 AMP에서 출력된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RF 검출부(40) VD2는 상기 제2커플러(30)를 통과하는 RF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한다. 이 결과를 311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는 313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RF 파워 레벨 값 'B'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3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저 이득 여부를 검사하는데, 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2커플러의 RF 파워 레벨 값 'B'와 상기 제1커플러의 RF 파워 레벨 값 'A'의 차를 통해 이득을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이득을 통해 저 이득을 검사하게 된다. 상기 저 이득 판단은 상기 "B-A"의 차를 구하여 나온 값이 정상 범위로 판단되는 범위 값을 초과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3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저 이득인 경우에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저 이득에 해당하는 LED를 표시, 예를 들어 적색 LED를 점등하고, 이득이 정상인 경우에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정상임을 알리는 LED를 표시, 예를 들어 녹색 LED를 점등한다. 그러면, 관리자는 구비된 LED의 점등색을 통해 저 이득 여부와 저 이득 발생위치를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30)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표시판넬에 LED 위치에 따라 제1커플러 및 제2커플러에 대응되는 LED를 구분 표기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점등색을 사용하여 구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점등 온/오프에 따라 저 이득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고, 점등 또는 점멸 시간의 제어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밖에도 LCD 표시창이나 부저 및 음성안내 등을 이용하여 저 이득 발생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RF 검출부(40)로 사용하는 버랙터 다이오드VD3(40')를 하나만 사용하고, 제1커플러(10) 및 제2커플러(30)의 RF 레벨 검출시 상기 제1커플러(10) 또는 상기 제2커플러(30)를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 VD3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칭 시키는 2단 스위치(80)를 구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 제어는 상기 제어부(60')에서 스위치 제어신호(SW CTL)를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도 4는 버랙터 다이오드를 하나만 사용하더라도 상기 제1커플러(10)와 상기 제2커플러(30)에서의 저 이득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플러(10) 또는 제2커플러(30)를 선택 스위칭 시키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에 따른 저 이득 검출 동작 흐름을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여 저 이득 검출 위치를 표시하는 제어 흐름도로서, 501단계에서 전력 증폭기에 RF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1커플러(10)에서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5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스위치(8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버랙터 다이오드 VD3에 연결될 스위치를 상기 제1커플러(10)에 연결시키도록 스위칭 시킨다. 이후, 505단계에서 상기 RF 검출부(40) VD3은 상기 제1커플러(10)를 통과하는 RF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한다. 이 결과를 507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는 509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RF 파워 레벨 값 'A'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511단계에서 상기 제2커플러(30)에서 증폭기 AMP에서 출력된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5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스위치(8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버랙터 다이오드 VD3에 연결될 스위치를 상기 제2커플러(30)에 연결시키도록 스위칭 시킨다. 이후, 515단계에서 상기 RF 검출부(40) VD3은 상기 제2커플러(30)를 통과하는 RF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한다. 이 결과를 517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는 519단계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RF 파워 레벨 값 'B'를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5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저 이득 여부를 검사하는데, 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2커플러의 RF 파워 레벨 값 'B'와 상기 제1커플러의 RF 파워 레벨 값 'A'의 차를 통해 이득을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이득을 통해 저 이득을 검사하게 된다. 5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저 이득인 경우에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저 이득에 해당하는 LED를 표시, 예를 들어 적색 LED를 점등하고, 이득이 정상인 경우에는 527단계로 진행하여 정상임을 알리는 LED를 표시, 예를 들어 녹색 LED를 점등한다. 그러면, 관리자는 구비된 LED의 점등색을 통해 저 이득 여부와 저 이득 발생위치를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6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RF 입력단과 RF 출력단 사이에 RF 레벨의 저 이득을 검출하는 다수의 노드를 구비하여 노드 각각을 버랙터 다이오드에 연결하는 RF 검출부(40)를 구비하여 이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50) 및 제어부(60)의 제어를 통해 표시부(70)에 저 이득 여부와 저 이득 발생장소를 표시한 전력 증폭기의 구성을 예를 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는 다수의 노드가 있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색(적색, 녹색, 오랜지색 등) LED를 사용하여 점멸/점등 및/또는 온/오프 및/또는 시간 제어에 의해 구별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작은 표시창을 두어 디지털 데이터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저 이득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도 6에 도시된 다수의 노드에서 RF 저 이득을 검출하는 회로에서 RF 검출부로 사용되는 버랙터 다이오드를 최소(도면에서는 하나의 버랙터 다이오드를 도시함.)로 가져가기 위해서 버랙터 다이오드를 각 노드와 연결시킬 수 있는 다단 스위치(40')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60')의 스위칭 제어에 의해 해당 노드의 저 이득 검출시 스위칭 될 수 있도록 구현한 예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 예의 동작 흐름은 상술한 흐름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인 RF신호의 폴트를 검출하여 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전력 증폭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즉각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알려 전력 증폭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의 폴트를 야기하는 RF 신호의 저 이득 장소를 검출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므로써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폴트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무선주파수 파워 레벨을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커플러들과;
    각 커플러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무선주파수 파워 레벨을 검출하는 무선주파수 검출부와;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무선주파수 파워 레벨로부터 저 이득 여부를 검사하여 저 이득인 경우 저 이득이 발생된 위치와 저 이득 발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전력 증폭기의 위치별로 저 이득 및 정상에 대응되는 표시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서 검출한 아날로그 무선주파수 이득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증폭기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커플러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커플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는 입력이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고, 출력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화기에 연결되는 버랙터 다이오드가 구성되는 상기 커플러 각각에 대응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 이득 검출장치는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 연결된 스위치단을 상기 커플러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위치단에 선택적으로 스위칭 시키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주파수 검출부에 연결될 스위치를 특정 커플러에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색과, 점등 온/오프 및/또는 점등이나 점멸 시간의 제어에 따라 저 이득 여부 및 상기 저 이득이 발생한 위치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7. 적어도 둘 이상의 커플러를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구비하는 전력 증폭기에서 저 이득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전위 커플러 후위에 위치한 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검출한 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 레벨과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한 후위 커플러를 통과하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파워레벨을 비교하여 저 이득을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저 이득으로 판단되면 상기 저 이득이 발생된 위치를 포함하는 저 이득 발생 정보를 표시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서 저 이득 검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표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색과, 점등 온/오프 및/또는 점등이나 점멸 시간의 제어에 따라 저 이득 발생 및 상기 저 이득이 발생한 위치를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 이득 검출 방법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무선주파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커플러 각각에 대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이득이 정상인 경우 정상인 커플러 위치를 포함하는 정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5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방법.
KR1020010057997A 2001-09-19 2001-09-19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10099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997A KR20010099283A (ko) 2001-09-19 2001-09-19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997A KR20010099283A (ko) 2001-09-19 2001-09-19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045U Division KR200258162Y1 (ko) 2001-09-20 2001-09-20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283A true KR20010099283A (ko) 2001-11-09

Family

ID=1971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997A KR20010099283A (ko) 2001-09-19 2001-09-19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283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166U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출력파워 레벨 검출장치
KR19990002976U (ko) * 1997-06-30 1999-01-25 조희재 자동 레벨 조정장치
KR20000054870A (ko) * 1999-02-01 2000-09-05 윤종용 3 데시벨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화된 증폭기 및 이득저하 감지 방법
JP2000341063A (ja) * 1999-05-31 2000-12-08 Hitachi Denshi Ltd 高周波電力増幅器
JP2001036351A (ja) * 1999-07-16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増幅装置
US6212479B1 (en) * 1998-07-31 2001-04-03 Agilent Technologies Inc. Super heterodyned power detector with enhanced linearity for use in power leveling loops
KR200222220Y1 (ko) * 2000-11-14 2001-05-02 엘지전자주식회사 다중 변조 지원을 위한 알에프 신호 송신 장치
KR20010092678A (ko) * 2000-03-24 2001-10-26 포만 제프리 엘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에 이득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및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 출력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166U (ko) * 1996-12-26 1998-09-25 구자홍 출력파워 레벨 검출장치
KR19990002976U (ko) * 1997-06-30 1999-01-25 조희재 자동 레벨 조정장치
US6212479B1 (en) * 1998-07-31 2001-04-03 Agilent Technologies Inc. Super heterodyned power detector with enhanced linearity for use in power leveling loops
KR20000054870A (ko) * 1999-02-01 2000-09-05 윤종용 3 데시벨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화된 증폭기 및 이득저하 감지 방법
JP2000341063A (ja) * 1999-05-31 2000-12-08 Hitachi Denshi Ltd 高周波電力増幅器
JP2001036351A (ja) * 1999-07-16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増幅装置
KR20010092678A (ko) * 2000-03-24 2001-10-26 포만 제프리 엘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에 이득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및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 출력 시스템
KR200222220Y1 (ko) * 2000-11-14 2001-05-02 엘지전자주식회사 다중 변조 지원을 위한 알에프 신호 송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398B1 (ko) 송신회로 및 그 송신회로를 구비한 송수신장치
KR200258162Y1 (ko)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KR100775996B1 (ko) 비상신호에 따라 비상음원을 출력하는 앰프를 갖는 방송시스템
KR20010099283A (ko) 전력 증폭기에 적용되는 저 이득 검출장치 및 방법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JPS602823B2 (ja) 共同受信システムの増幅器監視装置及び共同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増幅器監視方式
JP4460810B2 (ja) 切換式ダイバーシティシステムの検査回路装置および方法
CA2404840C (en) Rf detection and switcing system and method
JP2001244899A (ja) 反射影響度検出器
JPH06296168A (ja) 無線送信装置
KR20070010891A (ko) 안테나 성능 감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동작방법
KR101866278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
JP2007208680A (ja) 低雑音増幅装置
JP4521536B2 (ja) 分散型火災警報システムおよび分散型火災警報用火災センサー
KR100194032B1 (ko) Rf시스템의 안테나 이상현상 감지회로
KR200309696Y1 (ko) 광파워미터를 구비하는 광신호 송신장치
KR20020055245A (ko)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파워 측정 장치
JPH02309795A (ja) サイレン吹鳴装置
JP2008154144A (ja) 利得監視装置
KR20180048472A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2300049A (ja) 無線装置
KR20020080070A (ko) Cdma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트렌시버 테스트 장치
JPH01115225A (ja) アンテナ自動同調回路
JPH10208180A (ja) 信号伝送方法
TWM261918U (en) Improved equipment for wireless wave det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