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453A - 기능성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53A
KR20010096453A KR1020000042309A KR20000042309A KR20010096453A KR 20010096453 A KR20010096453 A KR 20010096453A KR 1020000042309 A KR1020000042309 A KR 1020000042309A KR 20000042309 A KR20000042309 A KR 20000042309A KR 20010096453 A KR20010096453 A KR 20010096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ilter
extract
soluble materia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달웅
Original Assignee
조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달웅 filed Critical 조달웅
Publication of KR20010096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차 등을 누구나 균일한 농도와 맛으로 추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추출용 컵(1)을 컵(2)의 위에 놓고, 본체(1a) 안에 필터(3)를 넣어, 그 속에 커피 원두, 차, 약초 등의 추출재(4)를 소정량 넣고, 소정량의 추출액(5)을 붓는다. 이것을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면, 추출액의 온도 상승과 함께 필터에 함침되어 있는 열가용성 재료가 용해를 시작하고, 추출액이 필터를 관통하기 시작하며,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급격한 용해와 함께 추출액의 낙하도 세차지고, 쓴 맛이나 떫은 맛이 나오기 전에 추출이 종료되어, 누구나 능숙하게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출 장치{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REWING DE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차, 커피, 약초 등의 추출재에 열탕을 가하여 추출할 때, 추출재와 추출액을 분리하기 위한 기능성 필터, 이 기능성 필터의 제조 방법 및 이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 커피, 약초·건강 음료 등을 각각의 추출 재료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커피의 경우를 예로 들면, 예를 들어 도9의 종래의 추출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와 같이, 적하용 컵(21)에 필터(23)를 넣고, 필터(23) 속에 간 커피 원두(24)를 소정량 넣고, 위에서부터 가열한 온수를 화살표와 같이 서서히 주입하여 커피 원두(24)로부터 추출하고, 필터(23)로 커피 원두(24)를 여과하여 추출액만을 임의의 컵(22)에 흘려 내리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추출 방법에서는 온수를 주입하는 신속성이라든가 온수의 온도 등이 까다롭고 너무 엷거나, 반대로 너무 짙어지는 등 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또 필터가 관통하기 어려운 것인 경우에는, 쓴 맛이나 떫은 맛이 나오기도 하여 적절한 맛을 내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전자 레인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가열하는 방법도 있지만, 동시에 다수의 커피를 만드는 경우에는, 전자 레인지 내에서의 컵의 갯수나 컵의 위치에 따라서 가열의 정도가 다르고, 커피가 너무 짙거나 엷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출하는 시간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쉽고 누구나 균일한 농도와 맛을 추출할 수 있는 음료 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의 단면도.
도2는 필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 확대도.
도3은 필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a)는 열가용성 재료를 분무하고 있는 상태, (b)는 필터를 프레스로 형성하고 있는 상태, (c)는 필터의 완성품을 도시한 도면.
도4는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을 이용한 경우의 특성도로서, (a)는 온도에 대한 용해율, (b)는 시간에 대한 용해율을 도시한 도면.
도5는 최적 추출을 위한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필터의 제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7은 필터의 완성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추출 장치의 단면도.
도9는 종래의 추출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7 : 추출용 컵
1a : 본체
1d, 17c : 추출 구멍
2 : 컵
3, 16, 18 : 필터
3b : 열가용성 재료
4 : 추출재
5 : 추출액
6, 13 : 펄프 섬유 시트
7 : 함침된 펄프 섬유 시트
8, 14 : 하형
9, 15 : 상형
11 : 용기
12 : 용해액
16a : 절곡 부분
16b : 엠보스 가공 부분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기능성 필터의 구성은,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의 간극, 또는 가는 구멍이 형성된 플라스틱 등에 있어서의 상기 가는 구멍을 소정 온도 부근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 재료로 막히도록 도포 또는 함침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액체를 통과하기 어려운 반면,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통과하기 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서 기능성 필터는 저온에서는 거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추출재와 추출액을 안에 넣더라도 추출된 액체는 거의 새지 않고, 추출이 엷어지는 일이 없고, 온도가 상승하면서 열가용성 재료는 서서히 녹기 시작하여 필터는 서서히 수분을 통과시키게 되고, 일정 온도부터는 추출된 액체가 급격히 새어 나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기능성 필터의 구성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 및 칼라기난, 파셀레란, 듀란검, 전분, 가공 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糊料)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한천은 식용에 알맞고 맛도 별로 없어 추출액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기능성 필터의 구성은,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청구항 2의 작용에 덧붙여 용해 온도 부근까지는 거의 용해되지 않고, 용해 온도 부근에서는 급격히 용해하므로, 기능성 필터로서 더욱 적합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기능성 필터의 제조 방법은, 소정 온도 부근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 재료를 물에 녹여 용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공정과, 가열되어뜨거운 물에 용해한 열가용성 재료를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의 간극, 또는 가는 구멍이 형성된 플라스틱 등에 있어서는 상기 가는 구멍을 막도록 내뿜어, 도포 또는 함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기능성 필터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4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 및 칼라기난, 파셀레란, 듀란검, 전분, 가공 전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를 이용한 것이며, 청구항 6에서는 청구항 4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을 이용한 것이며, 이들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각각 청구항 1 내지 3의 기능성 필터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는, 전자 레인지의 전자파를 투과시켜 자신은 발열하지 않고 하방으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추출 구멍을 갖는 추출컵과,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의 간극, 또는 가는 구멍을 형성한 플라스틱 등에 있어서의 상기 가는 구멍을 소정 온도 부근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 재료로 막히도록 도포 또는 함침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액체를 통과하기 어렵고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통과하기 쉽게 한 기능성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추출컵 내에 상기 필터를 배치하여 이 필터상에 추출재를 배치하고 이 추출재를 침지하도록 추출액을 주입하여 제2 컵의 위에 놓고, 전자 레인지에서 가열함으로써 상기 추출액을 가열하여, 이 추출액의 온도 상승에 의해 상기 필터의 열가용성 재료를 용해시켜 상기 필터는 상기 추출액을 통과시키고, 상기 추출컵의 추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컵에 낙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서 기능성 필터는 저온에 있어서는 거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추출재와 추출액을 안에 넣더라도 추출된 액은 거의 새어 나오지 않고, 추출이 엷어지는 일이 없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는 것에 의한 온도의 상승과 함께 열가용성 재료는 서서히 녹기 시작하고 필터는 서서히 수분을 통과시키고, 일정 온도가 되면 추출된 액체가 급격히 새어 나오도록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의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는, 청구항 7의 구성에 있어서, 기능성 필터에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 청구항 9의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는, 청구항 7의 구성에 있어서, 기능성 필터는 열가용성 재료로서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들 구성은 각각 청구항 2, 3에 대응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은 실시 형태 1의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의 단면도, 도2는 같은 기능성 필터의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필터의 단면 확대도, 도3은 필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로, (a)는 열가용성 재료를 분무하고 있는 상태, (b)는 필터를 프레스로 형성하고 있는 상태, (c)는 필터의 완성품을 도시한다. 도4는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을 이용한 경우의 특성도로서, (a)는 온도에 대한 용해율, (b)는 시간에 대한 용해율을 도시한다.도5는 최적 추출을 위한 설명도이다.
도1에 있어서 추출용 컵(1)의 본체부(1a)는 바닥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필요에 따라 취급용 손가락 걸이(1b)를 일체로 적절히 형성하고, 바닥면에서 외주로 향하여 넓게, 컵(2)에 적재하기 위한 다이 시트부(1c)를 일체로 형성하고, 다이 시트부(1b)의 내주부에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추출 구멍(1d)을 설치하고 있다.
컵(2)은 공급자쪽에서 추출용 컵(1)과 쌍으로 준비해도 좋은데, 이 경우는 치수가 특정되기 때문에, 추출용 컵(1)의 하면에 컵(2)에 합치하는 링형의 돌기(1e)를 설치하여, 컵(2)에 추출용 컵(1)을 놓았을 때에 안정된 자세를 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적절한 크기의 컵(2)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추출용 컵(1)과 컵(2)을 함께 전자 레인지에 넣어 가열하므로, 열을 받아도 파손하지 않는 재료로, 또한 전자 레인지의 고주파를 투과시키고, 자체적으로는 발열하지 않는 재료가 필수이며, 내열 유리, 도자기, 또는 플라스틱 등을 이용한다. 플라스틱에 관하여는, 최근의 건강 지향의 고조로부터 용출 물질의 해가 걱정되고 있으므로, 이 점에도 배려하여 재질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체부(1a) 내면에 수납한 주머니형의 필터(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향하여 조금 넓어지는 테이퍼가 붙은 형상이고, 펄프 섬유로 만든 종이, 펄프 섬유, 면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섬유로 만들어진 직물 또는 부직포 등, 또는 가는 구멍을 형성한 플라스틱 등을 기초 재료로 하고, 이 섬유(3a)의 사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가는 구멍을 메우도록, 소정 온도 부근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 재료(3b)를 도포 또는 함침시킨 것이다. 이 열가용성 재료(3b)는, 식용에 알맞은 것으로서, 그다지 맛도 없고, 소정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액체를 통과하기 어렵고,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통과하기 쉬워질 것을 요하는데, 예를 들면 한천이 이 조건에 딱 알맞는다. 한천은 천초(天草) 등의 홍조류의 해조에 존재하는 점성 물질을 뜨거운 물로 추출하여 수분을 제거한 것으로, 융점은 80도 내지 100도, 응고점은 35도 내지 45도 정도라는 자기 이력을 갖고 있다. 그 이외에 열가용성 재료(3b)로서, 카라기난, 파세레란, 듀란검, 전분, 가공 전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를 사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유효하다. 또한, 용도는 한정되지만 당질의 엿 형상 물질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도3을 이용하여 이 필터(3)의 제조 방법의 일예로서 펄프 섬유의 시트를 프레스하여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분말 한천 또는 고형 한천 등을 뜨거운 물에 용해하고, 약 1 내지 1.5 % 정도의 한천 용액을 제조, 비등시켜 용해시켜 용해액으로 한다. 일반 가정용 각한천이나 실한천 등은 불순물이 많고 이러한 용도에는 그다지 적당하지 않다. 이 용해한 것이 응고(응고점은 약 35도 전후)하기 전에 도포, 함침 가공한다. 도3의 (a)와 같이 펄프 섬유 시트(6)에 스프레이에 의해서 한천 용해액을 분무한다. 또는, 스프레이하는 대신 솔 등으로 도포해도 좋고, 또 한천 용해액의 안에 펄프 섬유 시트(6)를 침지하더라도 좋다. 도포, 함침이 끝나면 자연 건조, 가열 건조 또는 진공 건조 등에 의해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함침된 펄프 섬유 시트(7)로 한다. 건조 방법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 또는 함침된 한천 용액을 겔화 온도 이상으로 건조하는 것이다. 이 한천은 겔화 공정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용융하기 쉬워진다. 이어서, 도3의 (b)와 같이 하형(8)에 함침된 펄프 섬유 시트(7)를 놓고, 위에서 상형(9)을 밀어 넣고 프레스하여 필터(3)가 완성된다. 이 필터(3)는 섬유의 간극에 열가용성 재료인 한천이 들어가 응고한 상태로 되어 막힘을 일으키고 있다. 여기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스한 것은 주변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품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레스 후에 가장자리 잘라내기 등을 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이어서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추출용 컵(1)을 컵(2)의 위에 놓고, 본체(1a) 중에 필터(3)를 넣어, 그 속에 커피 원두, 차, 약초 등의 추출재(4)를 소정량 넣어, 소정량의 추출액(5)을 붓는다. 추출액은 일반적으로 물을 이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당류나 향료 등을 첨가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그렇게 하여 전체를 전자 레인지에 넣어 가열한다. 가열전부터 필터(3)의 열가용성 재료(3a)를 통해서 추출액은 약간 배어 나오기는 하지만, 그 양은 극소량이며, 또한 상온에서도 극히 약간이나마 추출재로부터의 추출은 행해지고 있지만 문제는 없다. 가열과 함께 추출액의 온도가 상승하면 이 열에 의해 열가용성 재료인 한천은 조금씩 녹기 시작하고, 따라서 필터(3)의 한천에 의한 막힘은 해소되어 가고, 추출액(5)의 낙하도 점점 빨라진다.
이 추출 속도에 관해서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의 (a) 및 (b)에 있어서 파선은 보통의 한천이 겔화된 후, 자연 냉각된 보통의 한천의 특성이며, 실선은 겔화 온도 이상에서 건조시켜, 용융하기 쉽게 한 한천의 특성이다. 도4의 (a)와 같이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은 낮은 온도로서는 용해하기 어렵고, 일정 온도가 되면 급격히 용해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한천 분자를, 보다 관련이 적은 상태로 입자화한 것이다. 또한, 도4의 (b)와 같이 온도를 비등시의 100도로 고정한 경우, 보통의 한천에서는 완전히 용해하는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은 단시간에 용해된다. 본 발명의 필터에도 이 특성이 적합하다.
그리고, 추출액이 비등점 부근에 오게 되면 열가용성 재료(3a)의 용해율은 급격히 커져 추출액의 낙하도 빨라지고, 단시간에 남은 추출액(5)이 낙하하여 추출이 완료되어 버리므로, 여기서 전자 레인지의 가열을 종료하면 된다.
이 추출의 과정을 도5의 설명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는 커피의 경우의 설명도로, (a)는 전자 레인지 내의 추출액의 온도, (b)는 추출컵 내의 추출액의 양, (c)는 추출액이 맛있는지 쓴 맛이 증가하는지의 경계를 도시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추출액의 온도가 높아져 가고, 그와 함께 추출컵 내의 추출액도 조금씩 감소되어 간다. 어느 정도가 되면 추출액은 급격히 낙하되어 양이 적어지고, 비등하기 직전에는 거의 없어진다. 이와 같이 경계선(c)의 부근에서 추출이 끝나고, 만일 이를 넘으면 쓴 맛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곳에서 종료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커피 등을 맛있게 끓이기 위해서는「삼온 추출법」이 주장되고 있다. 즉, 삼온이란 저온, 중온, 고온의 것으로, 예를 들면 옥로(玉露) 등은 저온으로 긴 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조금 뜨겁게 끓인 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커피로서는, 소위 물내리는 커피가 있는 것 같이 찬물의 상태로부터 뜨겁게 될 때까지 각각의 온도로 다른 맛을 추출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추출 장치에서는 찬물의 상태로부터 시작되어(저온), 중온을 거쳐서, 열탕(고온)까지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목적으로는 극히 안성마춤이며, 아마추어라도 보통 이상으로, 간단히 프로와 같은 커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변형으로서, 추출컵(1)에 필터와, 그 속에 추출재를 셋트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컵(1)의 상부에 접착이나 열수축 등으로 커버를 씌워두고, 이 커버를 제거하여 물을 붓는 것 만으로 준비가 갖추어지도록 실시하더라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6은 실시 형태 2의 필터의 제법을 도시한 설명도, 도7은 그 필터의 완성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6에 있어서 일예로서 펄프 섬유의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6의 (a)와 같이 용기(11)에 실시 형태 1과 같이 한천 분말을 뜨거운 물에 풀고 약 1 내지 1.5 % 정도의 한천 용액을 제조, 비등시켜 용해하여 용해액으로 한다. 이 용해액(12)을 채워두고 펄프 섬유 시트(13)를 이 속에 담궈, 건조시켜 수분을 뽑는다. 또한, 건조는 실시 형태 1과 같이 겔화 온도 이상으로 행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도6의 (b)와 같이 절첩하고, 도6의 (c)와 같이 하형(14)의 위에 놓고, 상형(15)에 의해 프레스하여 시트의 단부를 엠보스 가공한다. 엠보스 가공하는 이유는, 필터는 식품이 되는 추출액이 통과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쓰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6의 (d)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상하의 시트가 요철에 파고들어 일체화되어 도7에 도시한 것 같은 필터(16)가 완성된다. 최초로 절곡된 절곡 부분은 16a이며, 엠보스 가공으로 일체화된 엠보스 가공 부분은 사선으로 도시한 16b의 부분이다. 이것은 도1에 있어서의 필터(3)와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한천을 용해액에 침지하여 도포하는 방법으로 설명했지만, 물론 실시 형태 1과 같이 스프레이나 도포에 의해서 한천 용해액을 바르더라도 지장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천을 함침한 펄프 섬유 시트를 절곡하여 엠보스 가공하면 되므로, 재료의 낭비가 없고 염가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3>
도8은 실시 형태 3의 추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8에 있어서 도1에 도시한 실시 형태 1의 추출 장치와의 차이는, 추출컵(17)에 있어서 필터(18)가 도1과 같이 컵 형상이 아니라 추출컵(17)의 바닥면에 부착한 평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때문에 필터의 프레스 성형이나 엠보스 가공 등의 시간이 불필요하여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필터(18)는 추출컵(17)의 바닥면에 끼워 넣을 수 있게 가이드(17a)를 설치하고, 필터(18)를 이 가이드(17a)의 밑에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하면 된다. 혹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터(18)를 바닥면에 두고, 위에서 프레임형의 추를 얹어도 좋다. 그리고, 다이 시트부(17b)를 컵에 놓아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면 된다. 가열에 의해서 필터에 함침시킨 한천 등의 열가용성 재료가 용해하여 필터의 통수성이 좋아지고, 추출이 진행하여, 추출된 추출액은 추출컵(17) 하방의 추출 구멍(17c)으로 낙하한다.
도1의 추출 장치에서는 필터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그 전체면으로부터 추출액은 유출할 수 있지만, 이 경우는 필터 면적이 작기 때문에, 추출컵의 바닥 면적을 넓히는 등으로, 될 수 있는 한 필터를 크게 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의 형상이 단순하며, 필터의 면적이 작아도 되므로 비용을 더욱 더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이나 재료 등은 일예이며, 구성의 세부에 관하여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치 등은 일예로 든 것에 불과하며, 다소의 증감이 있더라도 지장이 없다. 또한, 필터에 사용하는 섬유의 종류나 컵의 재료 등도 예시한 것일 뿐만 아니라, 이들 예시한 것과 동등한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필터의 제조 방법을 기초로 하여 제조된 기능성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추출 장치는, 기능성 필터가 저온에 있어서는 거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추출재와 추출액을 속에 넣더라도 추출된 액체는 거의 새지 않고, 추출이 흐려지는 일이 없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함으로써 추출액의 온도의 상승과 함께 열가용성 재료는 서서히 녹기 시작하여 필터는 서서히 수분을 통과시키고, 일정 온도부터 급격히 추출된 액체가 새기 때문에, 추출하는 시간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쉽고 누구나 균일한 농도와 맛의 추출을 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9)

  1.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의 간극, 또는 가는 구멍을 형성한 플라스틱 등에 있어서 상기 가는 구멍을 소정 온도 부근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 재료로 막히도록 도포 또는 함침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액체를 통과하기 어렵고,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통과하기 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 및 카라기난, 파세레란, 듀란검, 전분, 가공 전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
  4. 소정 온도 부근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 재료를 물에 녹여 용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공정과,
    가열되어 물과 함께 용해한 열가용성 재료를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의 간극, 또는 가는 구멍을 형성한 플라스틱 등에 있어서의 상기 가는 구멍을 메우도록 스프레이하거나, 도포 또는 함침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 및 카라기난, 파세레란, 듀란검, 전분, 가공 전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열가용성 재료로서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의 제조 방법.
  7. 전자 레인지의 전자파를 투과시켜 자체로는 발열하지 않고 하방에 하나 또는 여러개의 추출 구멍을 갖는 추출컵과,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섬유의 간극, 또는 가는 구멍을 형성한 플라스틱 등에 있어서의 상기 가는 구멍을 소정 온도 부근에서 용해하는 열가용성 재료로 메우도록 도포 또는 함침하여 상기 소정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액체를 통과하기 어렵고, 상기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통과하기 쉽게 한 기능성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추출컵 내에 상기 필터를 배치하고 이 필터 상에 추출재를 배치하여 이 추출재를 침지하도록 추출액을 주입하여 제2 컵의 위에 놓고, 전자 레인지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추출액을 가열하여, 이 추출액의 온도 상승에 의해 상기 필터의 열가용성 재료를 용해시켜 상기 필터는 상기 추출액을 통과시키고, 상기 추출컵의 추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컵으로 추출액이 낙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기능성 필터는 열가용성 재료로서 한천, 및 카라기난, 파세레란, 듀란검, 전분, 가공 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호료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기능성 필터는 열가용성 재료로서 용융되기 쉽게 한 한천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터를 이용한 추출 장치.
KR1020000042309A 2000-03-30 2000-07-24 기능성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출 장치 KR20010096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6454 2000-03-30
JP2000136454A JP2001275842A (ja) 2000-03-30 2000-03-30 機能性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抽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53A true KR20010096453A (ko) 2001-11-07

Family

ID=1864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309A KR20010096453A (ko) 2000-03-30 2000-07-24 기능성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75842A (ko)
KR (1) KR200100964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7663B2 (en) 2003-09-09 2012-03-06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brew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30209A1 (en) * 2002-02-08 2003-09-02 Farnge Co., Ltd. Functional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ter, and extracting device using the filter
US7856922B2 (en) * 2007-04-25 2010-12-28 Eddy Tjen Instant extraction cup
TWI401052B (zh) * 2007-04-25 2013-07-11 Tjen Eddy 飲料泡製裝置
US9546038B2 (en) * 2009-09-21 2017-01-17 Conair Corporation Disposable whole bean coffee filter
US9763461B2 (en) 2009-10-28 2017-09-19 Bkon Llc Vacuum infusion method
US9295358B2 (en) 2009-10-28 2016-03-29 Bkon Llc Vacuum brewed beverage machine and vacuum brewing method
US8383180B2 (en) * 2009-10-28 2013-02-26 Dean J. Vastardis Vacuum brewed beverage method
CN103079437B (zh) 2010-07-14 2016-08-03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饮料泡制设备和方法
EA025023B1 (ru) 2010-07-14 2016-11-30 Юнилевер Нв Способ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и картридж, содержащий заварочный материал
TWI450696B (zh) * 2013-12-06 2014-09-01 Tsung Ying Lin 沖泡器
TWI601505B (zh) * 2016-03-24 2017-10-11 Pei-Ti Lin Beverage filtering method
WO2019010643A1 (zh) * 2017-07-12 2019-01-17 邹建良 过滤杯、滤纸及具有该过滤杯和滤纸的手冲咖啡壶套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7663B2 (en) 2003-09-09 2012-03-06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brew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75842A (ja) 2001-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6453A (ko) 기능성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출 장치
EP2869739B1 (en)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US4756915A (en) Process for preparing a brewed beverage
RO117889B1 (ro) Filtru pentru bauturi turnate, in special filtru de cafea, si procedeu pentru realizarea acestuia
EP3484788A1 (en) Coffee capsule for preparing turkish coffee
KR101483252B1 (ko) 커피 머신용 커피 캡슐
CN113396114A (zh) 单剂量冲泡咖啡单元以及该单元的生产和泡制方法
US2801736A (en) Tea bag or similar container
KR100929274B1 (ko) 원두커피 티백의 제조 방법
JP2002066224A (ja) 機能性積層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抽出装置
JP2779653B2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用の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58598A (ja) 抽出装置
US20170273499A1 (en) Coffee percolator
JP3370364B2 (ja) お茶用成形フィルタ容器の製造法および使用法
JP3719291B2 (ja) コーヒードリップバッグ
JP4004142B2 (ja) 組立式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19142043A1 (en) Tea dispensing apparatus
WO2003065858A1 (fr) Filtre fonctionnel,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filtre et dispositif d&#39;extraction utilisant ce filtre
KR102530326B1 (ko) 추출 성분 및 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추출장치 및 그 추출방법
JP2019031329A (ja) 飲料ディッパーおよび飲料ディッパーの製造方法
JPS5824854Y2 (ja) コ−ヒ−等の透過型バッグ
JPH09271617A (ja) フィルター
KR20190121230A (ko) 커피원두 압축블록과 이를 이용한 티백
JPH0431263A (ja) 縦溝スティック付きコーヒーバッグ
JPH0574434U (ja) 抽出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