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355A -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355A
KR20010096355A KR1020000020454A KR20000020454A KR20010096355A KR 20010096355 A KR20010096355 A KR 20010096355A KR 1020000020454 A KR1020000020454 A KR 1020000020454A KR 20000020454 A KR20000020454 A KR 20000020454A KR 20010096355 A KR20010096355 A KR 2001009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livery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deliver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익재
Original Assignee
전익재
주식회사 이써브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익재, 주식회사 이써브웨이 filed Critical 전익재
Priority to KR102000002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6355A/ko
Publication of KR2001009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3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개시된 임의의 지하철역에 드롭 존(drop zone)/픽업 존(pick up zone)을 형성하고, 이 드롭 존을 통해 이루어지는 배송 스케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그 배송 스케줄에 따라 정확하게 물품을 배송시키기 위한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송 관리 서버의 운영자는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지하철역을 이용하여 드롭 존/픽업 존을 형성하고, 상술한 드롭 존/픽업 존을 갖는 역세권 정보 및 운행시간 등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한 후 사용자 PC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로의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 PC로 사용자가 소정의 물품을 지하철을 이용하여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배송 서비스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술한 배송 서비스 웹 페이지를 통해 배송 정보를 입력하면,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송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이 배송 스케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등록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는 한편, 상술한 배송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식별 코드를 배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사용자가 배송 스케줄 정보에 따라 드롭 존에 방문하여 배달된 물품을 전달받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사용자 식별 코드를 배송 담당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배달된 물품이 배달되는 경로 및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A goods delivery system using a subway}
본 발명은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지하철역에 드롭 존(drop zone)/픽업 존(pick up zone)을 형성하고, 이 드롭 존을 통해 이루어지는 배송 스케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그 배송 스케줄에 따라 정확하게 물품을 배송시키기 위한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배송 시스템이라 하면, 제일 먼저 우체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포를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소포는 직접 우체국으로 소포를 들고 가서 사용자가 배송시키고 싶은 장소의 주소를 정확하게 기입한 후 접수시키면, 소정의 시일이 흐른 후에 상대방에게 배달되었다.
이러한 소포는 우선 배송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정확한 배송 시점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물품이 배송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새롭게 등장한 배송 시스템이 택배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상술한 택배 시스템은 소정의 물건을 배송시키고자 하는 사용자가 택배업자에게 전화를 걸어 배송을 요청하게 되면, 배송할 택배업자가 직접 방문을 하게 되고, 배송할 물품을 직접 수령한 후 배송할 장소의 전화번호만을 이용하여 상대방을 직접 방문하여 물품을 전달하게 된다.
상술한 택배 시스템은 빠른 시간에 물품을 배송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우선 배송료가 비싸고, 어떠한 경로를 거쳐 상대방에게 물품이 배송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등, 배송 시스템의 규격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지하철역에 드롭 존(drop zone)/픽업 존(pick up zone)을 형성하고, 이 드롭 존을 통해 이루어지는 배송 스케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그 배송 스케줄에 따라 정확하게 물품을 배송시키기 위한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적용된 각 서브루틴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네트워크 통신망 20 : 사용자 PC
30 : 배송 담당자 단말기 40 : 제휴업체 서버
50 : 배송 관리 서버 51 : 배송관리 서버제어수단
52 : 통신 수단 60 : 데이터 베이스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포스트 존/픽업 존이 형성된 지하철 역세권 정보, 최소환승경로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배송 요금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사용자가 물품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배송을 요청한 경우 각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베이스 엔진과 통신수단을 구비한 배송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배송 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배송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배송 담당 단말기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배송 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소정의 물품을 배송시키기 위한 정보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복수의 사용자 PC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소정의 물품을 배송시키기 위해 배송 관리 서버로 최소환승경로에 대한 정보와 소요시간을 요청하게 되는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최소환승경로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PC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며, 출발시간, 현재시간 및 운행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배송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PC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하며, 사용자가 배송 요청을 하는 경우, 배송 정보 입력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배송 정보 입력이 완료되어 배송 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1) 사용자 PC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로의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과, (2)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 PC로 로그인 정보입력 페이지가 구비된 초기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3)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과, (4)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부에 등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5)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배송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복수의 메뉴 항목을 구비한 서비스 웹 페이지를 사용자 PC로 전송하는 과정과, (6) 사용자가 서비스 웹 페이지의 소정 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그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망(10)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PC(20)가 후술하는 배송 관리 서버(50)에 접속하여 배송 관리 서버(50)에서 제공하는 각종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PC(20)는, 상술한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후술하는 배송 관리 서버(50)로 통신 접속을 이룬 후 배송 관리 서버(5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서비스 웹 페이지는 신규회원 등록 메뉴항목, 회원정보 수정 메뉴항목, 배송요금 조회신청 메뉴항목, 역세권 조회정보 메뉴항목, 최소환승경로 조회정보 메뉴항목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배송 담당자 단말기(30)는, 상술한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와 연결되며, 배송 관리 서버(50)로부터 사용자에게 전달될 물품정보, 배달 시간정보, 사용자가 식별코드 정보가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배송 담당자는 사용자가 물품을 찾으러 온 경우,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식별코드를 상술한 배송 담당자 단말기(30)로 입력하고, 배송 담당자 단말기(30)는 이미 저장된 사용자 식별 코드와 입력된 사용자 식별코드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일치하는 식별코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저장된 물품 정보를 화면상으로 출력하여 배송담당자가 알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배송 담당자가 클릭한 배송 완료 메뉴 항목에 응하여 배송 관리 서버(50)로 배송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
제휴업체 서버(40)는, 사용자가 소정의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물품 정보와 상술한 사용자가 소정의 물품을 구매한 경우 배송 관리 서버(50)를 통해 배송할수 있도록 배송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 항목을 가지는 서비스 웹 페이지를 사용자 PC(20)로 전송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배송 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상술한 사용자 PC(20)와 배송 관리 서버(50)가 링크되도록 한다.
배송 관리 서버(50)는, 상술한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통신접속된 사용자 PC(20)의 사용자가 제휴업체 서버(40)를 통해 물품을 구매한 경우나,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소정의 물품을 배달시키고자 배송 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 PC(20)로 배송 서비스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술한 배송 서비스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 스케줄 정보를 상술한 사용자 PC(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PC(20)로부터 입력되는 배송 등록 정보에 응하여 사용자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상기 사용자 PC(20)로 전송하는 한편, 살술한 배송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 식별코드를 배송 담당자 단말기(30)로도 전송하여 배송 담당자도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간에 물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베이스부(60)는, 포스트 존/픽업 존이 형성된 지하철 역세권 정보, 최소환승경로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배송 요금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술한 배송 등록 배송 스케줄 정보는, 지하철의 출발시간, 현재시간 및 운행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생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적용된 각 서브루틴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배송 관리 서버 운영자는 일단 소정의 지하철역을 거점으로 하여 드롭 업/픽 업 영역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드롭 업/픽 업 영역이 형성된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역세권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들에게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한 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한다.
그리고, 지하철의 출발 시점 및 각 지하철의 운행시간, 즉 지하철이 각 역에 도착하는 시간, 정차하는 시간, 출발하는 시간 및 배송요금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한 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한다.
또한, 배송 관리 서버 운영자는 사용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각종 상품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는 한편, 신규회원 가입 메뉴항목, 회원정보 수정신청 메뉴항목, 배송요금 조회요청 메뉴항목, 역세권 조회 메뉴항목, 최소환승 경로조회 메뉴항목, 동호회 가입 메뉴항목, 상품검색 요청 메뉴항목, 배송조회 정보 메뉴항목, 마일리지 조회요청 메뉴항목, 및 상품주문 메뉴항목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웹 페이지를 제작하고, 제작된 서비스 웹 페이지는 사용자 PC(20)가 배송 관리 서버(50)에 접속한 경우 제공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PC(2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50)로의 통신 접속을 수행한다(S10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PC(20)와 배송 관리 서버(50) 상호간에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배송 관리 서버(50)는 사용자 PC(10)로 로그인 정보입력 페이지가 구비된 초기화면 데이터를 전송한다(S200).
그리고, 사용자가 상술한 로그인 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로그인 정보인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S300), 이렇게 입력되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는 배송 관리 서버(50)로 전송되고, 배송 관리 서버(50)의 통신수단(51)을 통해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 엔진(52)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부(60)에 등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0).
상술한 S400 과정의 판단 결과, 배송 관리 서버(50)에 접속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배송 관리 서버(50)는 배송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복수의 메뉴 항목을 구비한 서비스 웹 페이지를 사용자 PC(20)로 전송한다(S50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 웹 페이지의 소정 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배송 관리 서버(50)는 그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루틴을 수행한다(S600∼S700).
즉, 상술한 서비스 웹 페이지에 구비된 복수의 메뉴 항목 중 배송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배송 관리 서버(50)는 통신수단(10)을 통해 사용자가 배송메뉴 항목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한다(S710).
상술한 S710 과정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배송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배송 관리 서버(50)의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은 배송을 위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PC(20)로 전송한다(S72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술한 배송을 위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배송 정보를 입력한 후(S730), 사용자에 의해 배송 등록버튼이 클릭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40).
상술한 배송 정보는 희망 지하철역, 배송시킬 물품 정보, 희망 배송시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S740 과정의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배송 등록버튼이 클릭된 경우, 상술한 배송 관리 서버(5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식별코드를 부여하고(S750), 상술한 사용자가 입력한 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배송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배송 정보, 배송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 식별코드를 배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760).
한편, 배송 스케줄은 2시간 단위로 주문된 상품을 분류하여 1시간 이내에 배송준비를 완료한 후 배송인원이 정해진 구역을 1시간 내에 배송되도록 하여 작성된다.
상술한 사용자 식별코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물품이 도착해 있는 지하철역에 구비된 드롭다운 존의 포스트(POST)을 방문하여 물품을 수령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정보이다. 즉, 포스트의 배송 담당자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식별코드 정보 및 물품 정보가 단말기(3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코드정보, 물품 정보 등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물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사용자 식별코드이외에 배송 담당자는 물품을 전달할 경우 수치인의 서명을 받게 되며, 결제방법은 사용자의 배송 정보 서비스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정보로서, 현금, 카드 결제 또는 전자화폐를 이용한 결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S770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이전화면을 되돌아가기 위한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지금까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취소시킨 후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배송 관리 서버(50)에 제공하는 있는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고자 상품구매 메뉴항목을 클릭한 경우,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은 통신 수단(51)을 통해 이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810).
상술한 S810 과정의 판단 결과, 상품 구매 메뉴항목이 클릭된 경우,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은 사용자 PC(20)로 상품 정보 웹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한다(S820). 그리고, 사용자가 상술한 상품 정보 웹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구매할 상품 정보를 선택한 후 상품 구매 정보 등록 버튼이 클릭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30).
상술한 S830 과정의 판단 결과, 상품구매 정보 등록 버튼이 클릭된 경우,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을 통해 배송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S840).
만약, 사용자가 지하철역에 구비된 포스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경우,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은 상술한 S700 과정인 배송루틴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배송 의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S860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이전화면을 되돌아가기 위한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지금까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취소시킨 후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S400 과정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회원으로 등록해야 하는데 그 상세한 과정은 첨부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은 통신 수단(51)을 통해 사용자가 회원 가입메뉴항목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한다(S910). 판단 결과, 사용자가 회원 가입 메뉴항목을 클릭한 경우,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은 통신 수단(51)을 통해 회원 가입용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S920).
그리고, 사용자 PC(20)는 상술한 회원 가입용 웹 페이지를 화면상에 출력시킨 후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고, 회원등록 버튼이 클릭되었는지를 판단하고(S940), 그에 대응하는 신호 및 사용자 정보를 통신수단(51)을 통해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으로 출력하고,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60)에 등록시킨다.
그리고, 배송 관리 제어수단(52)은 통신 수단(51)을 통해 회원으로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 PC(2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S970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이전화면을 되돌아가기 위한 메뉴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지금까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취소시킨 후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PC(20)가 배송 관리 서버(50)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 제휴업체 서버(40), 즉 배송수단으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배송 관리 서버(50)를 링크시킬 수 있는 배송 메뉴항목을 구비하고 있는 서버로 직접 접속한 후 그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한 후 상술한 배송 메뉴항목을 사용자가 클릭한 경우, 제휴업체 서버(40)는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이 배송 관리 서버(50)에서 관리하는 물류센터로 입고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S700 과정을 거쳐 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배송뿐만 아니라, 물품 반품 및 퀵서비스 기능도 함께 구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기능이외에 전술한 서비스 웹 페이지를 통해 회원정보를 수정하거나, 배송요금을 조회하거나, 역세권 정보(예를 들면, 첫/막차 시간정보, 주벽기관 정보, 환승주차장 정보, 연계버스 정보, 민원실 정보, 출구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또한, 배송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부(60)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 베이스부(60)는 편의상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로 한정하였으나, 데이터 베이스부를 회원 데이터 베이스, 배송요금 데이터 베이스, 역세권 데이터 베이스, 지하철 데이터베이스, 동호회 데이터 베이스, 배송 데이터 베이스, 주문 데이터 베이스 등과 같이 복수개로 구현하고, 복수의 데이터 베이스를 연계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배달될 물품의 배송경로 및 배송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시스템의 구현방식이 일반적인 택배 시스템보다 규격화되어 있어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철역을 이용하여 물품을 배달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요청한 배달시간을 정확하게 엄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포스트 존/픽업 존이 형성된 지하철 역세권 정보, 최소환승경로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배송 요금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
    사용자가 소정 물품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배송을 요청한 경우 각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배송관리 제어수단과 통신수단을 구비한 배송 관리 서버;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배송 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배송 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배송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배송 담당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배송 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소정의 물품을 배송시키기 위한 정보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복수의 사용자 PC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물품을 배송시키기 위해 상기 배송 관리 서버로 최소환승경로에 대한 정보와 소요시간을 요청하게 되는 경우,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최소환승경로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PC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며, 출발시간, 현재시간 및 운행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배송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PC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배송 요청을 하는 경우, 배송 정보 입력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배송 정보 입력이 완료되어 배송관리 서버에 등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와 링크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정의 물품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PC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에 대해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제휴업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3. (1) 사용자 PC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배송 관리 서버로의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과정;
    (2)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 PC로 로그인 정보입력 페이지가 구비된 초기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3)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 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
    (4)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부에 등록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5) 상기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배송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복수의 메뉴 항목을 구비한 서비스 웹 페이지를 사용자 PC로 전송하는 과정; 및
    (6)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웹 페이지의 소정 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그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웹 페이지는,
    신규회원 등록 메뉴항목, 회원정보 수정 메뉴항목, 배송요금 조회신청 메뉴항목, 역세권 조회정보 메뉴항목, 최소환승경로 조회정보 메뉴항목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6)에서 사용자가 배송메뉴 항목을 클릭한 경우,
    (6-1)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배송메뉴 항목이 클릭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6-2) 상기 배송메뉴 항목이 클릭된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배송을 위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PC로 전송하는 과정;
    (6-3) 사용자가 상기 배송을 위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배송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6-4) 상기 배송 정보 입력 후 사용자에 의해 배송 등록버튼이 클릭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6-5) 사용자에 의해 배송 등록버튼이 클릭된 경우,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사용자에게 사용자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과정; 및
    (6-6)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배송 스케줄 정보 및 사용자 식별코드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배송정보 및 사용자 식별코드를 배송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배송 등록 배송 스케줄 정보는,
    출발시간, 현재시간 및 운행소요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6)에서 사용자가 상품구매 메뉴항목을 클릭한 경우,
    (6-1)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상품구매 메뉴항목이 클릭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6-2) 상기 상품구매 메뉴항목이 클릭된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상품 구매를 위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PC로 전송하는 과정;
    (6-3) 사용자가 상기 상품 구매를 위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6-4) 상기 상품 구매 정보 입력 후 사용자에 의해 상품 구매 정보 등록버튼이 클릭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6-5) 상기 상품구매 정보 등록 버튼이 클릭된 경우, 배송 관리 서버는 사용자 PC로 배송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배송루틴에 따라 배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00020454A 2000-04-18 2000-04-18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20010096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454A KR20010096355A (ko) 2000-04-18 2000-04-18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454A KR20010096355A (ko) 2000-04-18 2000-04-18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355A true KR20010096355A (ko) 2001-11-07

Family

ID=1966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454A KR20010096355A (ko) 2000-04-18 2000-04-18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3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11A (ko) * 2000-08-03 2002-02-09 김재우 물류 링크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20386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대중교통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송 시스템 및 그 운송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683A (ko) * 1996-11-08 1998-08-05 김덕우 대도시권 택배(宅配)시스템과 택배방법
JPH10214284A (ja) * 1997-01-30 1998-08-11 Victor Co Of Japan Ltd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バー
JP2000030093A (ja) * 1998-07-09 2000-01-28 Nippon Signal Co Ltd:The 宅配便報知装置
KR20000023990A (ko) * 2000-01-03 2000-05-06 이성균 바코드와 포스트를 기초로하는 물품보관 및 전달시스템
KR20000037030A (ko) * 2000-04-04 2000-07-05 윤선규 하프 써비스
KR20000053700A (ko) * 1999-12-30 2000-09-05 박용진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물류 배송 시스템 및 그 물류 배송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683A (ko) * 1996-11-08 1998-08-05 김덕우 대도시권 택배(宅配)시스템과 택배방법
JPH10214284A (ja) * 1997-01-30 1998-08-11 Victor Co Of Japan Ltd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バー
JP2000030093A (ja) * 1998-07-09 2000-01-28 Nippon Signal Co Ltd:The 宅配便報知装置
KR20000053700A (ko) * 1999-12-30 2000-09-05 박용진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물류 배송 시스템 및 그 물류 배송방법
KR20000023990A (ko) * 2000-01-03 2000-05-06 이성균 바코드와 포스트를 기초로하는 물품보관 및 전달시스템
KR20000037030A (ko) * 2000-04-04 2000-07-05 윤선규 하프 써비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11A (ko) * 2000-08-03 2002-02-09 김재우 물류 링크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20386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대중교통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송 시스템 및 그 운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55641A (ja) チケット提供及び利用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1696358B1 (ko) 해외 구매대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외 구매대행 서비스 방법
KR20010062689A (ko)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650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보험료 비교 및 계약 서비스 방법
KR20010096355A (ko) 지하철을 이용한 물품 배송 시스템
KR102264139B1 (ko) 지역 거점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4113A (ko)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KR20200109530A (ko)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시스템
US20050111642A1 (en) Service supply system
JP5143201B2 (ja) 車載器に情報を発行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121698B1 (ko)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JP2002032629A (ja) 移動端末を利用した取引方法及び装置、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KR101731954B1 (ko) 통신 모듈 임대의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1710361B1 (ko) 배송오더 제공 방법
JP2005234918A (ja) 交通手段情報提供システム
JP4398104B2 (ja) 電子チケット購入方式
KR101614616B1 (ko) 이벤트 권리의 승인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7478A (ko) 경로 기반 배송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44077A1 (en) Apparatus for point system that provides real-time cashback
KR20190062719A (ko) P2p 카셰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2p 카셰어링 방법
KR20210154665A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이동시간 공유 기반 주문방법
WO202318919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40169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 주문 서비스의 선택적 인센티브 제공 방법
KR20220145532A (ko) 가맹점 판매데이터와 카드 매출전표 데이터의 매칭을 통한 전자영수증 발송 방법 및 시스템
JP2004094944A (ja) チケット購入システム、購入仲介システム、チケット購入画面サーバ、チケット購入管理システム、チケット購入管理方法、サプライヤ予約システム及びサプライヤ予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