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698B1 -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 Google Patents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698B1
KR102121698B1 KR1020190128571A KR20190128571A KR102121698B1 KR 102121698 B1 KR102121698 B1 KR 102121698B1 KR 1020190128571 A KR1020190128571 A KR 1020190128571A KR 20190128571 A KR20190128571 A KR 20190128571A KR 102121698 B1 KR102121698 B1 KR 10212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information
overseas
terminal
overseas tra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손동익
고영석
Original Assignee
김동현
손동익
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손동익, 고영석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9012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외 여행자로부터 여행정보를 입력받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 국내 구매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수령기한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국내 구매자 단말기; 및 여행정보를 저장하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복수의 구매처 위치정보와 복수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되, 국내 구매자 단말기가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결제하였을 때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을 때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 후 해외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수신하여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도록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구매 대행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SYSTEM FOR SUBSTITUTION FOR PURCHASING USING OVERSEAS TRAVELERS INFORMATION AND METHOD FOR SUBSTITUTION FOR PURCHASING THEREOF}
본 발명은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내 구매자가 해외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현장에서 판매하는 가격에 대행 수고비를 추가한 최소한의 금액으로 본인이 선택한 수령기한 내에 귀국하는 해외 여행자와 매칭시키는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공공기관이나 조직단체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절차 및 제도의 특성상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물품을 직접 구매할 수 없고, 설정된 구매절차에 따라 계약된 물품 구매 협력업체로부터 인터넷 쇼핑몰의 물품을 구매해야 한다.
이때, 공공기관이나 조직단체에서 물품을 주문하는 경우, 인터넷을 이용하여 조직의 업무 진행에 필요한 소모성 자재를 구매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0449호(2004.08.09 공개)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ASP 기반의 기업 소모성 자재 구매 시스템에서 온라인을 이용하여 기업 운영에 필요한 부속별 소모성 자재의 전략적 구매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소모성 자재의 유통 경로를 단순화시켜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밴더(Vendor)사와 클라이언트의 직거래 방식에 의한 온라인 구매가 수행되도록 하여 납품 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온라인을 이용하여 부속별 소모성 자재를 판매하는 협력업체는 일반적으로 협력업체 회사 운영비가 포함된 가격이 견적서 가격에 포함되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 가격보다는 비싼 가격으로 운영되며, 견적서와 조직 내에서의 결재 과정에 따른 의사 결정, 납품 의뢰와 세금 계산서 발행 및 결제까지의 과정을 위하여, 총무팀이 운영되어야 할 정도의 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인력 및 시간 대비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 현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0449호(2004.08.09)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국내 구매자는 해외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현장에서 판매하는 가격에 대행 수고비를 추가한 최소한의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본인이 선택한 수령기한 내에 귀국하는 해외 여행자와 매칭됨으로써 원하는 날짜에 상품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외 여행자가 본인의 여행 스케쥴이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여행 동선에 맞추어 구매 대행을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을 즐기면서도 여행 경비를 벌 수 있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은, 해외 여행자로부터 여행정보를 입력받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 국내 구매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수령기한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국내 구매자 단말기; 및 여행정보를 저장하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복수의 구매처 위치정보와 복수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처 정보 데 이터베이스를 구비하되, 국내 구매자 단말기가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결제하였을 때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을 때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 후 해외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수신하여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도록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구매 대행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외 거주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았을 때, 구매 대행 서버는 해외 거주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을 구매 가능한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아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할 때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있을 때 추출된 여행정보를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있지 않을 때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된 구매처 환경점수가 높은 순으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와 매칭시킨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인지를 판단하고,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일 때 평균 거래시간과 거래 성사율이 높은 순서대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는 설정된 매칭우선순위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하되, 선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매칭우선순위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의 현재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여행 동선, 구매처의 거래 성공 가능성, 여행자의 귀국날짜, 여행자의 귀국시간의 순이다.
또한, 구매처 서버를 더 포함하고, 구매 대행 서버가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 구매처 서버로부터 설정시간 내에 특정 상품을 구매하였다는 구매완료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대행을 취소하도록 구매대행 취소신호를 송신하고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구매정보는 특정 상품에 대한 사진, 구매처 주소, 가격 및 책정 수고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은,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해외 여행자로부터 여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국내 구매자 단말기가 국내 구매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수령기한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국내 구매자 단말기가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결제하였을 때, 구매 대행 서버가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을 때, 구매 대행 서버가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구매 대행 서버가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구매 대행 서버가 해외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구매 대행 서버가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도록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 구매자는 해외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현장에서 판매하는 가격에 대행 수고비를 추가한 최소한의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본인이 선택한 수령기한 내에 귀국하는 해외 여행자와 매칭됨으로써 원하는 날짜에 상품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외 여행자는 본인의 여행 스케쥴이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여행 동선에 맞추어 구매 대행을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을 즐기면서도 여행 경비를 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대행 서버가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처의 구매처 환경점수에 따른 매칭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매처의 평균거래시간에 따른 매칭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매처의 거래성사율에 따른 매칭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의 제3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대행 서버가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은,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 구매 대행 서버(300), 해외 거주자 단말기(400) 및 구매처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 구매 대행 서버 (300), 해외 거주자 단말기(400) 및 구매처 서버(5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 구매 대행 서버(300), 해외 거주자 단말기(400) 및 구매처 서버(500)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일 경우, 해외 여행자는 구매 대행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구매 대행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는 구매 대행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구매 대행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구매 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일 경우, 국내 구매자는 구매 대행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구매 대행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는 구매 대행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구매 대행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구매 대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 또는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일 경우, 아이폰, 안드로이드, 블랙베리, 윈도우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는 해외 여행자의 단말기이며, 해외 여행자로부터 여행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여행정보는 여행자의 귀국날짜, 여행국가, 여행도시 및 여행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는 국내 구매자의 단말기이며, 국내 구매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수령기한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특정 상품은 신발, 가방, 옷, 여행지 특산품 등 해외 여행지에서 구입할 수 있는 모든 물품을 포함할 수 있고, 구매정보는 상품수령기한, 특정 상품에 대한 사진, 구매처 주소, 가격 및 책정 수고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수령기한은 특정날짜로 구현될 수 있다.
구매 대행 서버(300)는 구매 대행자가 운용할 수 있는 서버이며, 여행정보를 저장하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310)와, 복수의 구매처 위치정보와 복수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매처 위치정보는 구매처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일 수 있고, 상품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신발, 가방, 옷, 여행지 특산품 등 해외 여행지에서 구입할 수 있는 모든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300)는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가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결제하였을 때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었을 때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다.
이와는 달리,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지 않았을 때, 구매 대행 서버(300)는 해외 거주자 단말기(310)에 특정 상품을 구매 가능한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아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구매 대행 서버(300)가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이유는,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300)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310)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수신하여 해외 여행자 단말기(310)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도록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한다. 구매 대행 서버(300)가 매칭수락정보를 수신하여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이유는, 해외 여행자가 국내 구매자를 대신하여 구매를 하겠다는 의사를 확인하여 구매 대행을 허가하기 위해서이다. 구매대행 확인신호는 해외 여행자에게 특정 상품의 구매를 대행하라는 것을 알리는 신호이다.
매칭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구매에 대한 인증을 하고 매칭 상대(국내 구매자와 해외 여행자) 간의 소통을 위한 거래창이 열린다. 해당 거래창에서는 특정 상품의 구매에 대한 인증과 배송에 대한 인증을 실시한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300)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한다.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는 이유는, 수령기한 내에 국내 구매자에게 특정 상품을 발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300)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할 때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있을 때, 구매 대행 서버 (300)는 추출된 여행정보를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특정 상품을 신속히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는 달리, 구매 대행 서버(300)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있지 않을 때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된 구매처 환경점수가 높은 순으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와 매칭시킨다. 구매처 환경점수는 품절 위험도, 거래 성공률 및 매장 규모 등급을 반영한 점수이며, 이들 각각의 가중치는 동일하게 정할 수도 있고 달리 정할 수도 있다. 구매처 환경점수는 구매 대행 서버(300)에 설정되어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300)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일 때 구매 대행 서버(300)는 평균 거래시간 또는 거래 성사율이 높은 순서대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평균 거래시간 또는 거래 성사율이 높은 순서대로 송신하는 이유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와 거래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300)는 설정된 매칭우선순위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 (100)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하되, 선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 (100)가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매칭우선순위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의 현재의 GPS 위치, 여행 동선, 구매처의 거래 성공 가능성, 여행자의 귀국날짜, 여행자의 귀국시간의 순이다. 이와 같은 매칭우선순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구매 대행 서버(300)가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 구매처 서버(500)로부터 설정시간 내에 특정 상품을 구매하였다는 구매완료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대행을 취소하도록 구매대행 취소신호를 송신한다. 설정시간은 30분, 1시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매 대행 서버(300)는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다. 구매대행 취소신호를 송신하는 이유는, 선 순위의 해외 여행자가 특정 상품을 신속히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가 특정 상품을 신속히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국내 구매자는 해외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현장에서 판매하는 가격에 대행 수고비를 추가한 최소한의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본인이 선택한 수령기한 내에 귀국하는 해외 여행자와 매칭됨으로써 원하는 날짜에 상품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처의 구매처 환경점수에 따른 매칭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A, B, C, D, E의 구매처와 각 구매처에 따른 구매처 환경점수와 매칭순서를 나타내었다. A, B, C, D, E 각각의 구매처 환경점수는 80점, 90점, 70점, 60점, 50점이며, 매칭순서는 B, A, C, D, E임을 알 수 있다.
구매처 환경점수는 구매 대행 서버(300)에 설정되어 있으며, 구매 대행 서버(300)가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구매처 환경점수가 높은 순으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와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를 매칭시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매처의 평균거래시간에 따른 매칭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A, B, C, D, E의 구매처와 각 구매처에 따른 평균거래시간을 나타내었다. A, B, C, D, E 각각의 평균거래시간은 30분, 20분, 10분, 40분, 50분이며, 매칭순서는 C, B, A, D, E임을 알 수 있다.
평균거래시간은 구매 대행 서버(300)에 설정되어 있으며, 구매 대행 서버(300)가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일 때 평균거래시간이 높은 순으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와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를 매칭시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매처의 거래성사율에 따른 매칭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A, B, C, D, E의 구매처와 각 구매처에 따른 거래성사율을 나타내었다. A, B, C, D, E 각각의 거래성사율은 80%, 90%, 60%, 40%, 50%이며, 매칭순서는 B, A, C, E, D임을 알 수 있다.
거래성사율은 구매 대행 서버(300)에 설정되어 있으며, 구매 대행 서버(300)가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졍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일 때 거래성사율이 높은 순으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와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를 매칭시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의 제1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의 제2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의 제3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은 S100 내지 S1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해외 여행자로부터 여행정보를 입력받는다 (S100).
S100 이후,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가 국내 구매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수령기한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입력받는다(S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200이 S10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S100과 S200은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S200 이후,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가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결제하였을 때(S300), 구매 대행 서버(300)가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0).
S400에서,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었을 때, 구매 대행 서버(300)가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한다(S500). 그러나, S400에서,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되지 않았을 때, 구매 대행 서버(300)는 해외 거주자 단말기(310)에 특정 상품을 구매 가능한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아(S510)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하고,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 (320)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한다(S520).
S500 또는 S520 이후, 구매 대행 서버(300)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할 때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600).
S600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있을 때, 구매 대행 서버(300)는 추출된 여행정보를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송신한다(S700).
S700 이후, 구매 대행 서버(300)가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다(S800).
한편, S600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가 있지 않을 때, 구매 대행 서버(300)는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된 구매처 환경점수가 높은 순으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와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를 매칭시킨 후(S710),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인지를 판단한다(S720).
S720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여러 명일 때, 구매 대행 서버(300)는 평균 거래시간 또는 거래 성사율이 높은 순서대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와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를 매칭시킨다(S730).
한편, S700 이후, 구매 대행 서버(300)가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한다(S800).
S800 이후, 구매 대행 서버(300)가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 구매처 서버(500)로부터 설정시간 내에 특정 상품을 구매하였다는 구매완료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900).
S900에서, 구매 대행 서버(300)가 구매처 서버(500)로부터 설정시간 내에 특정 상품을 구매하였다는 구매완료신호를 수신하면 구매 대행이 완료된다. 해외 여행자는 국내에 입국하여 특정 상품을 국내 구매자에게 발송하고(S1000), 운송장 번호를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의 거래창에 입력한다. 해외 여행자가 특정 상품을 발송하기 전에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의 거래 페이지에서 특정 상품의 현재 상태를 인증한다. 국내 구매자가 특정 상품을 받고 국내 구매자 단말기(200)의 거래완료버튼을 누르면 거래가 종료되며, 해외 여행자는 물건값과 수수료를 제외한 수고비를 획득한다(S1200).
그러나, S900에서, 구매처 서버(500)로부터 설정시간 내에 특정 상품을 구매하였다는 구매완료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구매 대행 서버(300)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100)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대행을 취소하도록 구매대행 취소신호를 송신하고(S910)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다(S920).
S920 이후, 구매 대행 서버(300)는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송신하고(S930), 구매에 대한 인증과 배송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940). S940 이후, 전술한 S1000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해외 여행자 단말기 200 : 국내 여행자 단말기
300 : 구매 대행 서버 310 :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
320 :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 400 : 해외 거주자 단말기
500 : 구매처 서버

Claims (10)

  1. 해외 여행자로부터 여행정보를 입력받는 해외 여행자 단말기와 국내 구매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수령기한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국내 구매자 단말기; 및 상기 여행정보를 저장하는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복수의 구매처 위치정보와 복수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되, 상기 국내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결제하였을 때 상기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가 상기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가 상기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을 때 상기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대행 매칭 수락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도록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하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없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품절 위험도, 거래 성공률, 매장 규모 중 적어도 하나가 등급 점수로 반영되어 설정된 구매처 환경점수가 높은 순으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와 상기 국내 구매자 단말기를 매칭시키되,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복수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복수인 경우 평균 거래시간 또는 거래 성사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구매 대행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해외 거주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가 상기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았을 때, 상기 구매 대행 서버는 상기 해외 거주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을 구매 가능한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아 상기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대행 서버는 상기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할 때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있을 때 추출된 여행정보를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대행 서버는 설정된 매칭우선순위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송신하되, 선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상기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우선순위는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의 현재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여행 동선, 구매처의 거래 성공 가능성, 여행자의 귀국날짜, 여행자의 귀국시간의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구매처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매 대행 서버가 상기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구매처 서버로부터 설정시간 내에 상기 특정 상품을 구매하였다는 구매완료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대행을 취소하도록 구매대행 취소신호를 송신하고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후 순위의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는 특정 상품에 대한 사진, 구매처 주소, 가격 및 책정 수고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10.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해외 여행자로부터 여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국내 구매자 단말기가 국내 구매자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수령기한을 포함한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국내 구매자 단말기가 상기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결제하였을 때, 구매 대행 서버가 상기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품정보가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구매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가 상기 구매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었을 때, 상기 구매 대행 서버가 상기 여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수령기한 내에 국내에 귀국할 수 있는 해외 여행자의 여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구매 대행 서버가 추출된 여행정보가 입력된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상기 구매처 위치정보와 상기 상품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대행 서버가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대행 매칭수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대행 서버가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를 대행하도록 구매대행 확인신호를 송청구항 3의 병합, 발명의 설명 부가한정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설정거리 내에 해외 여행자 단말기가 없는 경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 중 품절 위험도, 거래 성공률, 매장 규모 중 적어도 하나가 등급 점수로 반영되어 설정된 구매처 환경점수가 높은 순으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와 상기 국내 구매자 단말기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복수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처를 코스로 설정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를 갖는 해외 여행자가 복수인 경우 평균 거래시간 또는 거래 성사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해외 여행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방법.








KR1020190128571A 2019-10-16 2019-10-16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KR10212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71A KR102121698B1 (ko) 2019-10-16 2019-10-16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71A KR102121698B1 (ko) 2019-10-16 2019-10-16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698B1 true KR102121698B1 (ko) 2020-06-10

Family

ID=7108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571A KR102121698B1 (ko) 2019-10-16 2019-10-16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671A (ko) * 2012-07-12 2015-03-05 알까뗄 루슨트 공통 채널 획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91A (ko) * 2001-08-02 2001-08-30 이재영 인터넷을 이용한 물품의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70449A (ko) 2004-04-14 2004-08-09 주식회사 이화에스디엘 인터넷을 이용한 에이에스피 기반의 기업소모성자재의통합 구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2276A (ko) * 2015-03-18 2016-09-28 우혜련 여행경로를 기반으로한 구매대행 중계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759662B1 (ko) * 2016-01-26 2017-07-19 류지아 여행자에 의한 현지 물품 구매 중개시스템
KR101883305B1 (ko) * 2017-03-21 2018-07-30 주식회사 다날 해외 상품 구매 대행 매칭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91A (ko) * 2001-08-02 2001-08-30 이재영 인터넷을 이용한 물품의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70449A (ko) 2004-04-14 2004-08-09 주식회사 이화에스디엘 인터넷을 이용한 에이에스피 기반의 기업소모성자재의통합 구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2276A (ko) * 2015-03-18 2016-09-28 우혜련 여행경로를 기반으로한 구매대행 중계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759662B1 (ko) * 2016-01-26 2017-07-19 류지아 여행자에 의한 현지 물품 구매 중개시스템
KR101883305B1 (ko) * 2017-03-21 2018-07-30 주식회사 다날 해외 상품 구매 대행 매칭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671A (ko) * 2012-07-12 2015-03-05 알까뗄 루슨트 공통 채널 획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358B1 (ko) 해외 구매대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외 구매대행 서비스 방법
JP6456586B2 (ja) 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89668A1 (en) On-demand active cash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KR101949526B1 (ko) 더치 페이 시스템
KR20160127915A (ko) 마켓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218807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인증/거래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865350B1 (ko) 온/오프라인 모바일 및 간편 결제 서비스의 통합 처리 시스템
KR20160004211A (ko) Qr 코드를 이용한 상품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6012A (ko) 모바일 쇼핑에서의 대리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6615980B2 (ja) 決済処理システムおよび決済処理方法
KR102121698B1 (ko)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US20130311336A1 (en) Price negotiation from user device
JP2018045733A (ja) 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84112A1 (en) Goods sales method and goods sales apparatus
KR101868045B1 (ko) 오프라인 매장에서 모바일 결제 방법
KR102264139B1 (ko) 지역 거점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7328B1 (ko)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물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638587B1 (ko) 사용자 선택형 상품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544734B2 (en) Smart shopping method and smart shopping management server
KR20170074225A (ko) 오프라인 중고물품거래 결제 방법
KR101731954B1 (ko) 통신 모듈 임대의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60145279A (ko) 스마트 영수증 발급 방법
KR20160087369A (ko) 오프라인 중고물품거래 결제 시스템
US11461815B1 (en) Merchant invoicing and customer relationship tracking system
KR20160142799A (ko) 물건 매매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쇼핑 지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