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150A -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및 그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및 그 교정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150A
KR20010096150A KR1020000020102A KR20000020102A KR20010096150A KR 20010096150 A KR20010096150 A KR 20010096150A KR 1020000020102 A KR1020000020102 A KR 1020000020102A KR 20000020102 A KR20000020102 A KR 20000020102A KR 20010096150 A KR20010096150 A KR 2001009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teeth
piece
fixing
cruci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832B1 (ko
Inventor
정규림
Original Assignee
정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림 filed Critical 정규림
Priority to KR2020000010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064Y1/ko
Priority to KR1020000020102A priority patent/KR100337832B1/ko
Priority to US10/257,808 priority patent/US20030104335A1/en
Priority to AU2001252717A priority patent/AU2001252717A1/en
Priority to CNB018081533A priority patent/CN1307948C/zh
Priority to PCT/KR2001/000628 priority patent/WO2001082822A1/en
Priority to DE10196111T priority patent/DE10196111T1/de
Priority to JP2001579700A priority patent/JP3751562B2/ja
Publication of KR2001009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1Juxtaosseous implants, i.e. implants lying 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jaw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잇몸내부의 내외측 피질골을 일부 절개시킨 후 치열 교정구를 통해 치열을 교정토록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및 그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치열교정치료는 치열교정장치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치아에 텐션을 가하여 치아를 치조골로부터 원하는 자리로 이동시켜 자리잡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대략 2년 내지 3년 정도의 치료기간이 걸리게 된다. 특히 성인의 치열교정은 40세 이전까지는 가능하다고 하지만 성인이되면 치아 이동 속도가 느리고 치근이 치조골과 마찰해 흡수되는 부작용이 많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열교정기간이 더욱길어짐과 아울러 비용 또한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열을 교정할 때 교정하고자하는 치열에 따라 그 범위를 설정하여 잇몸을 절개하고 그 내부의 피질골(121) 전후면을 길이방향으로 절결한 후 봉합하고 각 치아(10)에 치아교정구를 장치하여 교정하고자하는 방향으로 텐션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치열을 신속하게 교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잇몸내부의 내외측 피질골을 일부 절개시킨 후 치열 교정구를 통해 치열을 교정토록 하므로써 빠른 시간내에 그리고 전신마취하에서 치조골절단을 시행하고 치열을 교정하는 기존의 수술방법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치열교정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및 그 교정기구{The orthodontic treatment after the corticotomy, and the brace}
본 발명은 치열 교정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잇몸내부의 내외측 피질골을 일부 절개시킨 후 치열 교정구를 통해 치열을 교정토록 하는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및 그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상은 그 사람의 성격을 어느정도 판단할 수 있는 바로미터역할을 하기 때문에 입학 또는 취업등의 면접시험을 실시할 때에도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작용하게 되며, 면접당사자들도 좋은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게되며 심지어는 성형수술도 마다하지 않는다.
인상을 좌우하는 요인으로는 후천적으로 형성되거나 선천적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인상은 사고 또는 사람의 성격에 의해 형성되며, 선천적으로 형성되는 인상은 유전에 의해 애초부터 정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인상은 노력여하에 따라 변할 수가 있는데, 사람의 성격에 의해 후천적으로 변화되는 인상은 심리적 변화에 의해 좋은 이미지의 인상으로 바꿀수가 있고, 사고 또는 선천적인 인상은 인위적인 교정치료에 의해 어느정도 바꿀 수가 있다.
인상을 좌우하는 요인으로서는 얼굴 형태나 이목구비의 배열형태에 따른 조화 및 각각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가 있는데, 그 중 입 특히 치열은 얼굴의 전체인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치열은 입술에 가려져 있기는 하지만 말을 할 때나 웃을 때 그 상태가 잘나타나게 되고 특히 아래·위턱 앞니 사이에 과다한 공간이 있는 부정교합에 의해 음식을 앞니로 절단할 수 없는 전치부 개방교합이나 치아전돌(뻐드렁니) 그리고 이가 가지런하지 못한 총생등과 같은 경우에는 입을 다물고 있다하더라도 그 상태가 그대로 나타나게 되므로 그 사람의 인상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
이러한 부정교합이나 치아전돌 및 총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치열상태를 교정할 때에는 치아에 플레이트 또는 강선을 설치하고 이를 치아교정구에 지지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치아가 조금씩 정상적인 위치로 자리잡도록 하고 있다. 특히 치아가 촘촘하게 자리잡은 상태일 경우에는한두 개의 이를 뽑아 공간을 마련하고 이에 치아교정구를 장치하므로써 다른 치아가 공간쪽으로 이동하여 자리잡도록 하므로써 교정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치열교정치료는 영구치가 자리잡고 위송곳니가 반쯤 나온 만 12세쯤이 가장 유리하다.
이 시기를 놓치면 이를 뽑아 이동시키면서 치열을 교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치열교정치료는 치열교정장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치아에 텐션을 가하여 치아를 치조골로부터 원하는 자리로이동시켜 자리잡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대략 2년에서 3년정도의 치료기간이 걸리게 된다.
특히 성인의 치열교정도 40세 이전까지는 가능하지만 성인이되면 치아 이동 속도가 느리고 치근이 치조골과 마찰해 흡수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섣불리 치료받기에 부담이 크며, 치열교정기간이 더욱길어져 대략 3년정도는 치료기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비용 또한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 치열교정 장치를 2∼3년 간 입안에 넣고 다니기가 심적 부담이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대인관계에 지장을 줄 수도 있어 성인의 경우에는 치료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때문에 대부분 치료자체를 기피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잇몸내부의 내외측 피질골을 일부 절개시킨 후 치열 교정구를 통해 치열을 교정토록 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그리고 저렴한 가격으로 치열교정치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성인도 빠른 시간내에 치료 할 수 있는 치조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및 그 교정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정하고자하는 치열에 따라 그 범위를 설정하여 잇몸 내부의 피질골 전후면을 길이방향으로 절결하고, 각 치아에 치아교정구를 장치하여 교정하고자하는 방향으로 텐션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치열을 교정하도록 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질골 절단술의 시술방법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기구의 장착상태도.
도 3a,3b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구의 고정구 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치아 교정기구의 십자형 고정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구의 L형 고정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구의 T형 고정구 사시도.
도 10a,10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T형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구의 I형 고정구 사시도.
도 12a,12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I형 고정구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치아 11 - 치근 12 - 치조골
121 - 피질골 13 - 강선 15 - 교정기고리
16 - 어금니 17 - 밴드 18 - 고리
19 - 스프링 20 - 플레이트 20 - 십자형고정구
21 - 고정편 22 - 나사구멍 23 - 지지편
231 - 절결홈 24 - 고리 33 - 지지편
34 - 고리부 35 - 강선고정구멍 36 - 돌기형고리
40 - L형 고정구 41 - 고정편 42 - 나사구멍
43 - 지지편 45 - 강선고정구멍 46 - 돌기형고리
50 - T형 고정구 51 - 고정편 52 - 나사구멍
53 - 지지편 54 - 강선고정구멍 55 - 돌기형고리
60 - I형 고정구 61 - 고정편 62 - 나사구멍
63 - 지지편 64 - 강선고정구멍 65 - 돌기형고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질골 절단술의 시술방법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0)는 치근(11)이 치조골(12)에 박혀 견고히 지지되는데, 치조골(12)은 외부가 피질골(121)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치아(10)를 교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정하고자하는 치아(10)의 내외측 잇몸을 절개하여 그 내부의 치조골(12) 외부를 둘러싼 피질골(121)을 절개시킨다음 교정치열의 치아(10)에 강선(130)이나 플레이트(70)를 장착하여 치열교정방향으로 텐션을 지속적으로 가한다.
지속적으로 텐션이 가해지게 되면 치아(10)가 이동하게됨과 동시에 치조골(12) 또한 텐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정렬된다. 이 때문에 치열교정은 두배의 속도로 진행이 되며, 또한 치아(10)가 이동하면서 치근(11)이 치조골(12)과 마찰되어 닳아 없이지거나 치주조직이 심하게 약화될 수 있는 부작용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절개된 피질골(121)은 시간이 지나면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치아교정장치는 치아(10)의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과 뒷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는데, 치아(10)의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순측치열교정이라하고 뒷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측치열교정이라고 한다.
순측치열교정은 도 2에서와 같이 치아(10)의 전면에 교정기고리(15)를 설치하고, 이에 지지강선(13)이나 치열교정용 헤드기어를 걸어 치열을 위쪽 후방으로 정렬시킨다.
또 설측치열교정은 양측 어금니(16)에 밴드(17)를 감아 고정하고, 밴드(17)에 강선(130)을 연결한다. 그리고 치아(10)의 내측면에 플레이트(70)를 부착설치하여 양단부를 강선(130)에 스프링(19)으로 연결하여 치열에 지속적으로 텐션을 가하도록 하여 설치한다.
플레이트(70)는 치아(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편(71)과 이들을 치아(10)의 간격 및 위치에 맞게 배열되도록 후측면에 고정결합시키는 강선(73)으로 구성되어 있고, 강선(73)의 단부는 고리부(74)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설측치열교정과 순측치열교정은 동시에 병행설치하여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설측치열교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치아(10)의 내측면에 플레이트(70)를 부착하고 이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도 3a와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고정구는 세개의 나사구멍(22)을 일열로 구성한 고정편(21)을 구비하고,또 이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양측에 원형 고리(24)를 갖는 지지편(23)을 일체로 형성한 십자형 구조로 되어 있다. 원형고리(23)는 스프링(19)의 단부를 걸기 용이하도록 도 3b와 같이 후측에 개구홈(23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십자형 고정구(20)를 입천정(천궁)의 피부를 전후 일열로 절개시키고 그 내부에 십자형 고정구(20)의 고정편(21)을 삽입시키고 나사구멍(22)에 피스를 박아 뼈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교정치열에 부착된 플레이트(70)의 양단을 스프링(19)으로 십자형 고정구(21)의 양측 원형고리(24)에 걸어 도 4a,4b와 같이 고정시킨다. 텐션은 이 십자형 고정구(20)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입천정 가운데에 위치한 뼈는 다른 곳의 뼈보다 견고하기 때문에 하나의 십자형 고정구(20)로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십자형 고정구의 고리를 도 5와 같이 형성할 수가 있다.
십자형 고정구(30)의 고리는 지지편(33)의 양측에 전후로 강선고정구멍(35)을 갖고 또 그 하부에 돌기형고리(36)를 갖는 고리부(34)를 구비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십자형 고정구(30)는 도 6과 같이 플레이트(70)의 양단에 연결된 스프링(19)을 돌기형고리(36)에 걸어 고정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시 강선(13)의 단부는 강선고정구멍(35)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L형 고정구 사시도로서, L형 고정구(40)가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사구멍(42)이 형성된 고정편(41)의 일측에 지지편(43)이 L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강선고정구멍(45)과 외부에 형성된 돌기형고리(4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L형 고정구(40)는 한쌍이 구성되며, 이는 어금니(16)쪽의 잇몸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된다. 즉, 양측 잇몸의 내측 또는 외측 피부를 절개하고 그 내부의 피질골(121)에 고정편(41)을 삽입시켜 나사구멍(42)에 피스를 박아 치조골(12)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그리고 절개한 잇몸을 봉합한 후 도 8과 같이 강선고정구멍(45)에 강선(13)의 단부를 삽입시켜 고정시키거나 또는 교정치아(10)에 부착시킨 플레이트(70)의 양측단부에 연결된 스프링(19)의 단부를 걸어 고정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T형 고정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고정구(50)는 나사구멍(52)이 형성된 고정편(51)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강선고정구멍(54)과 돌기형고리(56)를 갖는 지지편(53)이 형성되어 고정구가 T형을 이룬다.
이러한 T형 고정구(50)를 한쌍을 구성하여 어금니(16)쪽의 잇몸 내측 또는 외측에 도 10a,10b와 같이 설치된다. 설치방법은 L형 고정구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구의 I형 고정구의 사시도로서, 나사구멍(62)이 형성된 고정편(61)의 일측단에 강선고정구멍(64)과 돌기형고리(65)를 갖는 지지편(63)이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I형 고정구(60)를 설치할 때에는 어금니(16)쪽의 잇몸 내측 또는 외측의 각각 설치하되, 지지편(63)이 치아(10)쪽을 향하도록 세로로 설치한다.
그리고 치아(10)교정용 강선(13)과 플레이트(70)를 고정하는 방법은 도 11a,11b와 같이 설치하여 설치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L형 고정구(40) 및 T형 고정구(50)와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잇몸내부의 내외측 피질골(121)을 일부 절개시킨 후 치열 교정구를 통해 치열을 교정토록 하므로써 빠른 시간내에 그리고 저렴한 가격으로 치열교정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치열교정기구의 고정구를 입천정 중앙부의 뼈나 잇몸의 내외측면에 피스로 고정하여 치열교정용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치료토록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치열교정기구를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십자형 고정구는 뼈가 가장 견고한 부분인 입천정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한곳에 설치하여도 충분히 치열교정기를 지탱할 수 있으며, 또 한 곳에만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시술이 보다 간단할 뿐만 아니라 치료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치열을 교정함에 있어서,
    교정하고자하는 치열에 따라 그 범위를 설정하여 잇몸을 절개하고 그 내부의 피질골(121) 전후면을 길이방향으로 절결한 후 봉합하고 각 치아(10)에 치아교정구를 장치하여 교정하고자하는 방향으로 텐션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치열을 교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2. 치열교정 치료시 치아에 부착 설치되는 강선(13) 또는 플레이트(70)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세개의 나사구멍(22)을 일열로 구성한 고정편(21)을 구비하고, 또 이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양측에 원형 고리(24)를 갖는 지지편(23)을 일체로 형성한 십자형 고정구(20)를 구비하여 입천정(천궁)의 피부를 전후 일열로 절개시키고 그 내부에 십자형 고정구(20)의 고정편(21)을 삽입시키고 나사구멍(22)에 피스를 박아 뼈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봉합한 후 교정치열에 부착된 플레이트(70)의 양단을 스프링(19)으로 양측 원형고리(24)에 걸어 교정치료를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고정구의 양측 고리구멍 후측에 개구홈(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고정구(30)의 지지편(33)의 양측에 전후로 강선고정구멍(35)을 갖고 또 그 하부에 돌기형고리(36)를 갖는 고리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나사구멍(42)이 형성된 고정편(41)의 일측에 지지편(43)이 L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강선고정구멍(45)과 외부에 형성된 돌기형고리(46)가 돌출형성된 L형 고정구(4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나사구멍(52)이 형성된 고정편(51)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강선고정구멍(54)과 돌기형고리(56)를 갖는 지지편(53)이 형성된 T형 고정구(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나사구멍(62)이 형성된 고정편(61)의 일측단에 강선고정구멍(64)과 돌기형고리(65)를 갖는 지지편(63)이 나란하게 설치된 I형 고정구(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구.
KR1020000020102A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10033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817U KR200196064Y1 (ko)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1020000020102A KR100337832B1 (ko)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US10/257,808 US20030104335A1 (en) 2000-04-17 2001-04-16 Rapid orthodontics treatment method after corticotomy and the skeletal anchorage plate
AU2001252717A AU2001252717A1 (en) 2000-04-17 2001-04-16 The rapid orthodontics treatment method after corticotomy and the skeletal anchorage plate
CNB018081533A CN1307948C (zh) 2000-04-17 2001-04-16 一种畸齿矫正器具
PCT/KR2001/000628 WO2001082822A1 (en) 2000-04-17 2001-04-16 The rapid orthodontics treatment method after corticotomy and the skeletal anchorage plate
DE10196111T DE10196111T1 (de) 2000-04-17 2001-04-16 Das schnelle kieferorthopädische Behandlungsverfahren nach Corticotomie und die Skelett-Verankerungsplatte
JP2001579700A JP3751562B2 (ja) 2000-04-17 2001-04-16 皮質骨切り術による急速歯列矯正方法及びその矯正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102A KR100337832B1 (ko)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817U Division KR200196064Y1 (ko)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150A true KR20010096150A (ko) 2001-11-07
KR100337832B1 KR100337832B1 (ko) 2002-05-27

Family

ID=196648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817U KR200196064Y1 (ko)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1020000020102A KR100337832B1 (ko)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817U KR200196064Y1 (ko) 2000-04-17 2000-04-17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04335A1 (ko)
JP (1) JP3751562B2 (ko)
KR (2) KR200196064Y1 (ko)
CN (1) CN1307948C (ko)
AU (1) AU2001252717A1 (ko)
DE (1) DE10196111T1 (ko)
WO (1) WO200108282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09B1 (ko) * 2007-02-12 2008-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클릭 인장력을 인가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WO2011118941A2 (ko) * 2010-03-22 2011-09-29 Kim Seong Hoon 치열 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11129647A2 (ko) * 2010-04-16 2011-10-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교정기구
WO2011136493A2 (ko) * 2010-04-30 2011-11-03 Ahn Jang Hoon 치열교정용 구개고정구
WO2011139030A2 (ko) * 2010-05-06 2011-11-10 Ahn Jang Hoon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KR101371410B1 (ko) * 2012-05-11 2014-03-07 김진경 치아교정구용 플레이트 및 그 고정스크류
KR101423819B1 (ko) * 2012-04-12 2014-07-25 권윤희 돌출입 전용 치아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3630A3 (nl) * 2000-06-30 2002-05-07 Mommaerts Maurice Orthodontisch en orthopedisch kaakbotanker.
US8251698B2 (en) 2001-05-17 2012-08-28 Hugo De Clerck Orthodontic implant
BE1013760A6 (nl) 2001-05-17 2002-07-02 Clerck Hugo De Orthodontisch implantaat.
ATE355796T1 (de) * 2003-07-21 2007-03-15 Giuseppe Scuzzo Klammer für die kieferorthopädie
JP3928173B2 (ja) * 2003-12-26 2007-06-13 堀田 康記 歯科矯正用支持体
US7559764B2 (en) * 2004-01-06 2009-07-14 John Devincenzo Orthodontic bone anchor
US7070410B2 (en) * 2004-09-02 2006-07-04 Cacchiotti Dino A Orthodontic device for attachment to orthodontic wire
KR100602799B1 (ko) 2004-10-22 2006-07-20 임성훈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US7329122B1 (en) * 2004-11-30 2008-02-12 Michael Glenn Scott Accelerated orthodontic apparatus and method
US7878803B2 (en) 2005-11-18 2011-02-01 Mayadontics Llc Method for correction of the form of dental alveolar arch
US7955075B2 (en) * 2005-08-09 2011-06-07 Mayadontics Llc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form of dental alveolar arch
US7357633B2 (en) 2005-08-09 2008-04-15 Mayadontics, Llc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form of upper jaw
US7717707B2 (en) * 2006-03-31 2010-05-18 Under Dog Media, L.P. Orthodontic transpalatal intrusion arch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7281923B1 (en) * 2006-05-01 2007-10-16 John Devincenzo Orthodontic anchor appliance
WO2008045917A2 (en) * 2006-10-10 2008-04-17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double spring
US7931469B1 (en) * 2007-04-09 2011-04-26 Schendel Stephen A Orthodontic anchor
WO2009097386A1 (en) * 2008-02-01 2009-08-06 Synthes Usa, Llc Orthodontic bone anchor plate with mesh pad
GB0814417D0 (en) * 2008-08-06 2008-09-10 Ortho Pro Teknica Ltd Orthodontic space closing appliances
US20110223554A1 (en) * 2008-11-19 2011-09-15 Marino Musilli Cantilever arm for orthodontic anchorage
KR200456280Y1 (ko) 2009-07-28 2011-10-26 정규림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101183992B1 (ko) 2010-03-22 2012-09-18 김성훈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200451511Y1 (ko) * 2010-07-20 2010-12-17 이철규 치열교정용 고정장치
WO2012046888A1 (ko) * 2010-10-05 2012-04-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KR101200379B1 (ko) * 2011-03-29 2012-11-12 권순용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KR101249175B1 (ko) 2012-09-17 2013-04-03 이종국 치아 교정장치
ITMI20131796A1 (it) * 2013-10-29 2015-04-30 Massimo Zanna Impianto dentale
US11452578B2 (en) 2015-05-14 2022-09-27 Cosmo Haralambidis Orthodontic retention components, kit and system
US10098710B2 (en) * 2015-05-14 2018-10-16 Cosmo Haralambidis Orthodontic retention components, kit and system
US10478271B2 (en) * 2015-09-18 2019-11-19 Vishnu Jagdishbhai Patel Orthodontic appliance for distalization and/or space closure
CN107174355B (zh) * 2016-03-09 2020-04-28 洪澄祥 可拆式齿列矫正装置
KR101760251B1 (ko) 2016-04-14 2017-07-21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CN106473821A (zh) * 2016-11-24 2017-03-08 上海市徐汇区牙病防治所 一种关闭上颌拔牙间隙的装置
TWI642415B (zh) * 2017-11-21 2018-12-01 羅秋美 Lingual anterior tra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547A (en) * 1975-04-03 1976-10-26 Dan Moss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US4026023A (en) * 1975-11-26 1977-05-31 Robert Leon Fisher Closed flap spring for orthodontic appliances
US4592725A (en) * 1985-04-29 1986-06-03 Goshgarian Robert A Orthodontic palatal arch bar and method of using same
EP0528015B1 (en) * 1991-02-25 1998-10-07 Nobel Biocare AB Bone anchor
JP2568207Y2 (ja) * 1993-11-15 1998-04-08 和也 渡辺 矯正歯科用バッカルチューブ
US5376004A (en) * 1993-11-18 1994-12-27 Mena; Raul Dental implant device
US5599183A (en) * 1994-04-04 1997-02-04 Razdolsky; Yan Assembly tool for assembling a mandibular distraction device
US5735688A (en) * 1996-02-22 1998-04-07 Razdolsky; Yan Attachments for a mandibular distraction device for use in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CA2186199A1 (en) * 1994-04-04 1995-10-05 Yan Razdolsky Method of making an oral osteodistraction device
US5829971A (en) * 1994-04-04 1998-11-03 Razdolsky; Yan Osteodistraction device for use in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a method of making the device
US5622493A (en) * 1994-04-04 1997-04-22 Razdolsky; Yan Mandibular distration device for use in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U4251296A (en) * 1994-12-23 1996-07-19 Institut Straumann Ag Fastening system for mounting an orthodontic device on a dental implant
DE69608968T2 (de) * 1995-12-01 2001-02-01 David A Walker Teleskopische knochenplatte zur knochenverlängerung durch streck-osteogenesis
JPH09234208A (ja) * 1996-02-29 1997-09-09 Sankin Kogyo Kk 歯列矯正具
EP0846446B1 (en) * 1996-12-09 2003-08-20 Leone S.p.A. Orthodontic screw for a fast expansion on the anterior sector of the maxillary arch
US6033412A (en) * 1997-04-03 2000-03-07 Losken; H. Wolfgang Automated implantable bone distractor for incremental bone adjustment
US5853291A (en) * 1997-10-10 1998-12-29 Devincenzo; John Subperiosteal bone anchor
JP3869543B2 (ja) * 1997-12-05 2007-01-17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歯科矯正用支持体
US5967772A (en) * 1998-12-09 1999-10-19 Gray; James B. Orthodontic anchor syste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09B1 (ko) * 2007-02-12 2008-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클릭 인장력을 인가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WO2011118941A2 (ko) * 2010-03-22 2011-09-29 Kim Seong Hoon 치열 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11118941A3 (ko) * 2010-03-22 2012-02-23 Kim Seong Hoon 치열 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11129647A2 (ko) * 2010-04-16 2011-10-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교정기구
WO2011129647A3 (ko) * 2010-04-16 2012-03-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교정기구
WO2011136493A2 (ko) * 2010-04-30 2011-11-03 Ahn Jang Hoon 치열교정용 구개고정구
WO2011136493A3 (ko) * 2010-04-30 2012-03-01 Ahn Jang Hoon 치열교정용 구개고정구
WO2011139030A2 (ko) * 2010-05-06 2011-11-10 Ahn Jang Hoon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WO2011139030A3 (ko) * 2010-05-06 2012-03-01 Ahn Jang Hoon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KR101137926B1 (ko) * 2010-05-06 2012-05-09 안장훈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KR101423819B1 (ko) * 2012-04-12 2014-07-25 권윤희 돌출입 전용 치아교정장치
KR101371410B1 (ko) * 2012-05-11 2014-03-07 김진경 치아교정구용 플레이트 및 그 고정스크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7948C (zh) 2007-04-04
DE10196111T1 (de) 2003-05-15
AU2001252717A1 (en) 2001-11-12
JP3751562B2 (ja) 2006-03-01
KR200196064Y1 (ko) 2000-09-15
US20030104335A1 (en) 2003-06-05
WO2001082822A1 (en) 2001-11-08
JP2003531670A (ja) 2003-10-28
KR100337832B1 (ko) 2002-05-27
CN1423542A (zh)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6150A (ko)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방법 및 그 교정기구
US11000324B1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8662889B2 (en) Arch bars for use in maxillofacial surgery and orthodontics
Harzer et al. Rapid maxillary expansion with palatal anchorage of the hyrax expansion screw—pilot study with case presentation
KR20140020317A (ko) 기능적인 악안면 치과교정 장치
KR100986821B1 (ko) 입술보호기를 이용한 치열교정기
KR101592421B1 (ko) 상악 치열 교정 장치
KR20110123153A (ko)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KR101132495B1 (ko) 치과교정 앵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장치
JP2023501493A (ja) 上顎直接牽引用および下顎間接牽引用口腔外矯正装置
KR101094139B1 (ko) 치과교정기구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200456280Y1 (ko)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100942180B1 (ko) 악외(顎外)장치를 구비한 기능성 치열교정장치
KR101479598B1 (ko) 치과용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200315723Y1 (ko) 치아교정 시술용 보조구
KR101129111B1 (ko) 악교정 수술기구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KR101833808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및 이를 위한 교정 서포터
CN219846874U (zh) 牙科器械及牙科器械系统
KR0178104B1 (ko) 치과 교정용 악 정형장치
Sindet-Pedersen et al. Intermaxillary fixation of mandibular fractures with the bracket-bar
KR20120000590U (ko) 치과교정 앵커용 나사
KR20170050468A (ko) 하악지에 고정되는 교정 플레이트
Bouletreau et al. Incorporating the maxillary transverse dimension in the treatment p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