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80Y1 -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80Y1
KR200456280Y1 KR2020090009892U KR20090009892U KR200456280Y1 KR 200456280 Y1 KR200456280 Y1 KR 200456280Y1 KR 2020090009892 U KR2020090009892 U KR 2020090009892U KR 20090009892 U KR20090009892 U KR 20090009892U KR 200456280 Y1 KR200456280 Y1 KR 200456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or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present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208U (ko
Inventor
정규림
Original Assignee
정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림 filed Critical 정규림
Priority to KR2020090009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8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잇몸 내부의 내외측 피질골을 일부 절개시킨 후 치열 교정구를 통해 치열을 교정토록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는 '+'의 십자형태로 고정편이 형성되고, 각 고정편의 단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스프링체결홈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치아, 교정, 피질골, 치열, 교정

Description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The plat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fter corticotomy}
본 고안은 잇몸 내부의 내외측 피질골을 일부 절개시킨 후 치열 교정구를 통해 치열을 교정토록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상은 그 사람의 성격을 어느정도 판단할 수 있는 바로미터역할을 하기 때문에 입학 또는 취업등의 면접시험을 실시할 때에도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작용하게 되며, 면접당사자들도 좋은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게되며 심지어는 성형수술도 마다하지 않는다.
인상을 좌우하는 요인으로는 후천적으로 형성되거나 선천적으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인상은 사고 또는 사람의 성격에 의해 형성되며, 선천적으로 형성되는 인상은 유전에 의해 애초부터 정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인상은 노력여하에 따라 변할 수가 있는데, 사람의 성격에 의해 후천적으로 변화되는 인상은 심리적 변화에 의해 좋은 이미지의 인상으로 바꿀수가 있 고, 사고 또는 선천적인 인상은 인위적인 교정치료에 의해 어느정도 바꿀 수가 있다.
인상을 좌우하는 요인으로서는 얼굴 형태나 이목구비의 배열형태에 따른 조화 및 각각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가 있는데, 그 중 입 특히 치열은 얼굴의 전체인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치열은 입술에 가려져 있기는 하지만 말을 할 때나 웃을 때 그 상태가 잘나타나게 되고 특히 아래·위턱 앞니 사이에 과다한 공간이 있는 부정교합에 의해 음식을 앞니로 절단할 수 없는 전치부 개방교합이나 치아전돌(뻐드렁니) 그리고 이가 가지런하지 못한 총생등과 같은 경우에는 입을 다물고 있다하더라도 그 상태가 그대로 나타나게 되므로 그 사람의 인상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
이러한 부정교합이나 치아전돌 및 총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치열상태를 교정할 때에는 치아에 플레이트 또는 강선을 설치하고 이를 치아교정구에 지지하여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치아가 조금씩 정상적인 위치로 자리잡도록 하고 있다. 특히 치아가 촘촘하게 자리잡은 상태일 경우에는 한두 개의 이를 뽑아 공간을 마련하고 이에 치아교정구를 장치하므로써 다른 치아가 공간쪽으로 이동하여 자리잡도록 하므로써 교정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치열교정치료는 영구치가 자리잡고 위송곳니가 반쯤 나온 만 12세쯤이 가장 유리하다. 이 시기를 놓치면 이를 뽑아 이동시키면서 치열을 교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치열교정치료는 치열교정장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치아에 텐션을 가하 여 치아를 치조골로부터 원하는 자리로이동시켜 자리잡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대략 2년에서 3년정도의 치료기간이 걸리게 된다.
특히 성인의 치열교정도 40세 이전까지는 가능하지만 성인이되면 치아 이동 속도가 느리고 치근이 치조골과 마찰해 흡수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섣불리 치료받기에 부담이 크며, 치열교정기간이 더욱 길어져 대략 3년정도는 치료기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비용 또한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 치열교정 장치를 2∼3년 간 입안에 넣고 다니기가 심적 부담이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대인관계에 지장을 줄 수도 있어 성인의 경우에는 치료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때문에 대부분 치료자체를 기피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은 도 1과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0337832호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를 출원하였으나, 상기 교정기구는 교정구(10)를 치조골에 체결하는 고정편(11)의 나사구멍(12)이 세개가 일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교정구(10)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력이 치조골 국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치조골이 약한 사람에게는 시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반인에 비해 치조골이 약한 사람이라도 치조골에 치열교정구를 체결 시술할 수 있는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의 십자형태로 고정편이 형성되고, 각 고정편의 단부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스프링체결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단부로 갈수록 고정편보다 높도록 굴곡져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체결홈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반인에 비해 치조골이 약한 사람이라도 치조골에 교정구를 체결 시술할 수 있고, 교정구에 체결된 스프링이 임의로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정구에 스프링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치아는 치근이 치조골에 박혀 견고히 지지되는데, 치조골은 외부가 피질골로 둘러싸여 있다. 이 상태에서 치아를 교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의 내외측 잇몸을 절개하여 그 내부의 치조골 외부를 둘러싼 피질골을 절개시킨 다음 교정치열의 치아에 강선이나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치열교정방향으로 텐션을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치아를 교정한다.
치아교정장치는 치아의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과 뒷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는데, 치아의 전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순측치열교정이라하고, 치아 뒷면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측치열교정이라고 한다.
순측치열교정은 도 2에서와 같이, 치아의 전면에 교정기고리(25)를 설치하고, 이에 강선(26)이나 치열교정용 헤드기어를 걸어 치열을 위쪽 후방으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설측치열교정은 도 2에서와 같이, 입천정(천궁)의 피부를 절개하여 교정구(10)를 피스로 체결하고, 치아의 내측면에 설치된 플레이트(24)와 상기 교정구(10)를 스프링(20)으로 연결하여 치열에 지속적으로 텐션을 가하도록 설치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24)는 치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편(23)과 이들을 치아의 간격 및 위치에 맞게 배열되도록 후측면에 고정결합시키는 강선(22)으로 구성되어있고, 강선(22)의 단부는 고리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20)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설측치열교정과 순측치열교정은 동시에 병행 시술하여 치열을 교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설측치열교정의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의한 치열 교정구(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태로 형성된 고정편(101)과, 상기 고정편(101)의 각 단부에 형성된 나사구멍(102)과 및 상기 고정편(101)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10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편(101)이 십자형태로 형성되고 각 고정편(101)의 단부에는 나사구멍(10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구멍(102)은 치열교정구를 치조골에 나사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십자형 고정편(101)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지지대(103)가 돌출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103)의 단부에는 스프링체결홈(10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입천정(천궁)의 피부를 절개하고 그 내부에 십자형 고정편(101)을 삽입시키고 나사구멍(102)에 피스를 박아 뼈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절개한 잇몸을 봉합한다. 이 상태는 도 5와 같이 4개의 고정편(101)이 피부밑에서 뼈에 체결된 상태로서 입천정에는 두 개의 지지대(103)만이 노출된 상태이다. 이는 상기 지지대(103)는 단부로 갈수록 고정편(101)보다 높도록 굴곡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양측 지지대(103)의 스프링체결홈(104)에 스프링(20)의 고리(20a)를 걸어 플레이트(24)에 텐션을 가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것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스프링체결홈(104)에 일부를 절단하여 개구부(10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5와 같이 교정구(100)에 스프링(20)을 체결할 때 상기 개구부(105)를 통해 스프링(20)의 고리(20a)를 간편하게 삽입함으로써 스프링(20)을 교정구(100)에 쉽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교정구는 고정편이 일렬로 구성되어 스프링의 텐션이 치조골의 국부에 작용하게 되어 치조골이 약한 사람에게는 시술할 수 없었지만, 본 고안에 의한 교정구(100)는 도 5와 같이 고정편(101)이 십자형태인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프링(20)의 텐션이 치조골에 분산 작용하기 때문에 치조골이 약한 사람에게도 시술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한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교정구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정구에 스프링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프링
20a : 고리
21 : 고리부
22 : 강선
23 : 고정편
24 : 플레이트
25 : 교정기고리
26 : 강선
100 : 교정구
101 : 고정편
102 : 나사구멍
103 : 지지대
104 : 스프링체결홈
105 : 개구부

Claims (3)

  1. '+' 형태로 고정편(101)이 형성되고, 고정편(101)의 각 단부에 나사구멍(102)이 형성된 고정편(101)과;
    상기 고정편(101)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단부로 갈수록 고정편(101)보다 높도록 굴곡져 형성된 지지대(103)와;
    상기 지지대(103)의 단부에는 개구부(105)가 구비된 스프링체결홈(1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9892U 2009-07-28 2009-07-28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200456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92U KR200456280Y1 (ko) 2009-07-28 2009-07-28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92U KR200456280Y1 (ko) 2009-07-28 2009-07-28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08U KR20110001208U (ko) 2011-02-08
KR200456280Y1 true KR200456280Y1 (ko) 2011-10-26

Family

ID=4420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892U KR200456280Y1 (ko) 2009-07-28 2009-07-28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69A2 (ko) * 2010-03-22 2011-09-29 Kim Seong Hoon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CN109567963A (zh) * 2019-01-24 2019-04-05 北京诺贝亚太教育科技有限公司 牙齿矫正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832B1 (ko) 2000-04-17 2002-05-27 정규림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200315723Y1 (ko) 2002-12-27 2003-06-09 박영철 치아교정 시술용 보조구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JP2005066068A (ja) 2003-08-26 2005-03-17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832B1 (ko) 2000-04-17 2002-05-27 정규림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200315723Y1 (ko) 2002-12-27 2003-06-09 박영철 치아교정 시술용 보조구
JP2005066068A (ja) 2003-08-26 2005-03-17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08U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832B1 (ko)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KR101200379B1 (ko)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KR100991447B1 (ko) 돌출입 교정장치 및 그 방법
JPH01259856A (ja) 小児の歯列矯正固定具
KR20170105429A (ko)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KR200457198Y1 (ko)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KR101592421B1 (ko) 상악 치열 교정 장치
KR101137926B1 (ko)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Case Principles of retention in orthodontia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KR101551381B1 (ko) 치과 교정술 또는 악안면 수술용 고정원
KR200456280Y1 (ko)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KR101314315B1 (ko) 레그부가 평행하게 후방으로 꺾인 치열 교정용 지지부재
KR101094139B1 (ko) 치과교정기구
Chakraborty et al. Tongue: Anatomy, functions and orthodontic implications
EP3482714A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KR102067802B1 (ko) 이소 매복된 영구치의 맹출 회복 장치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101156864B1 (ko) 교합평면의 기울어짐을 교정하는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과교정장치
KR200459306Y1 (ko) 치과교정 앵커용 나사
KR101108104B1 (ko) 치열교정기구
KR101129111B1 (ko) 악교정 수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