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822A - 상체 및 팔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상체 및 팔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822A
KR20010091822A KR1020000014372A KR20000014372A KR20010091822A KR 20010091822 A KR20010091822 A KR 20010091822A KR 1020000014372 A KR1020000014372 A KR 1020000014372A KR 20000014372 A KR20000014372 A KR 20000014372A KR 20010091822 A KR20010091822 A KR 20010091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mi
fixed
frame
bo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이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석 filed Critical 이상석
Priority to KR102000001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1822A/ko
Publication of KR20010091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체 및 팔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기구를 통해 팔운동, 허리비틀기, 몸통비틀기, 팔굽혀펴기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반원형을 띠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 1지지대, 상기 제 1지지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제 1지지대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제 2지지대, 상기 이동체 및 제 1, 2지지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이들의 높이를 높이거나 줄여주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가 고정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베이스와, 상기 제 1지지대의 하나의 연장부에 볼트로 고정된 채 상기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체 및 팔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OF THE UPPER BODY AND ARM}
본 발명은 상체 및 팔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기구를 통해 팔운동, 허리 비틀기, 몸통 비틀기, 팔굽혀펴기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통상적인 운동기구는, 팔운동 전용기구와 몸통운동 전용기구, 상체 비틀기 전용기구, 허리 비틀기 전용기구로 각각 나뉘어져 있다. 이를 하나의 프레임 상에 조립시킨 즉, 큰 사이즈의 종합적의 운동기구 하나로 여러 가지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가 등장하였으나, 본 발명과 같이 사이즈가 작으면서 상체를 비틀어줌과 동시에 팔운동과 허리 비틀기 운동을 큰 폭으로 할 수 있는 구조는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이즈가 작으면서 상체를 비틀어줌과 동시에 팔운동과 허리 비틀기 운동을 큰 폭으로 할 수 있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를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반원형을 띠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 1지지대, 상기 제 1지지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제 1지지대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제 2지지대, 상기 이동체 및 제 1, 2지지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이들의 높이를 높이거나 줄여주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가 고정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베이스와, 상기 제 1지지대의 하나의 연장부에 볼트로 고정된 채 상기 제 1 지지대와 제 2지지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이동체는, 2라인으로 된 반원형프레임과,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아래쪽 중앙을 연결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저면에 조립되는 관체 그리고 상기 관체의 저면에 접촉된 채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판체와 조립되는 추와,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위쪽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2개의 추와, 2개의 손잡이 및 핀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며 측면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봉이 저면에 고정된 2개의 손잡이 고정대와,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위에 용접되며 측면에는 원주길이의 1/4만큼 구멍이 형성된 채 상기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2개의 관체와,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관체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봉의 나사구멍에 조립되어 손잡이 고정대가 관체 상에서 90도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2개의 나사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제 1지지대는, 하기의 축이 관통하는 연장부 및 하기의 축과 하기의 스토퍼의 핀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연장부가 하방으로 대향 돌출되며 "U" 형태를 띠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보조판과, 상기 프레임 및 보조판을 관통하며 중앙에 단이 형성된 8개의 볼트와, 상기 8개의 볼트를 고정시키는 8개의 너트와, 상기 8개의 볼트 상에서 스냅링을 통해 고정되며 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고 외면으로는 반원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반원형프레임을 끼워서 지지하도록 하는 8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제 2지지대는, 제 1지지대의 연장부 2개를 지지하는 축 및 상기의 축을 고정시키는 스냅링, 반원부의 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상기의 축이 관통되는 구멍과 하기의 스토퍼핀이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이 반원부의 안쪽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되는 추 고정대 및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추 고정대에 고정되는 다수의 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승강장치는, 유압모타 및 유압모타와 연결된 채 하기의 베이스 위에 볼트로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의 실린더에 조립된 채 끝 부분은 상기 제 2지지대의 저면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유압모타와 연결되면서 하기의 베이스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피스톤로드 상승용 스위치 및 피스톤로드 하강용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스토퍼는, 상기 제 1지지대의 하나의 연장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스프링카바와, 상기 스프링카바 및 제 1지지대의 연장부에 형성된 구멍 42와 제 2지지대에 형성된 구멍 52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중앙에 단이 형성되어 있는 핀, 상기 핀의 단과 스프링카바 사이에 조립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베이스는, 상기의 유압모타가 저면에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4개의 바퀴가 부착되고, 윗면의 홈 안으로는 직경 5∼10mm의 크기를 가지는 바이오세라믹볼들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이동체는, 2라인으로 된 반원형프레임과,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윗면에 용접되는 다리 및 상기 다리와 일체를 이루는 플레이트와, 상기 반원형 프레임의 위쪽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2개의 추와, 2개의 손잡이 및 핀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며 측면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봉이 저면에 고정된 2개의 손잡이 고정대와,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위에 용접되며 측면에는 원주길이의 1/4만큼 구멍이 형성된 채 상기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2개의 관체와,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관체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봉의 나사구멍에 조립되어 손잡이 고정대가 관체 상에서 90도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2개의 나사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제 1지지대는, 제 2지지대의 축이 관통하는 연장부 및 제 2지지대의 축과 스토퍼의 핀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연장부가 하방으로 대향 돌출되며, 반원형프레임의 구름운동을 유도하는 다수의 금속볼 및 상기의 금속볼들이 삽입될 수 있는 금속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의 다리가 관통되는 2개의 원호형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판체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토퍼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고정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11, 12,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조변화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체 30:제 1지지대
50:제 2지지대 70:승강장치
80:베이스 100:스토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체 10은 도 1과 같이 파이프를 반원형으로 벤딩하여 그 끝 부분을 연결시킨 반원형프레임 10a가 주축을 이룬다. 이것의 양측의 끝 부분에는 2개의 추 11 이 볼트 12와 너트 13 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판체 22가 용접되어 있다. 이때 반원형프레임은 제 1지지대 30의 전방 4개의 롤러 36과 후방 4개의 롤러 36 사이에 삽입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상기 판체 22의 저면에는 관체 23 이 위치하며 관체 23의 아래에는 추 24가 위치하는데 이들은 볼트 25와 너트 26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의 추 24는 반원형프레임이 반원운동을 할 때 롤러 36들과 프레임 31 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도 3 참조). 반원형프레임 10a의 좌우 상면에는 관체 14가 각각 용접되어 있으며 관체 14 의 측면에는 구멍 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구멍 15의 길이는 관체 14의 원주길이의 1/4 만큼 형성되어 있다. 관체 14의 안으로는 손잡이 고정대 19의 봉 16이 삽입되고 나사봉 18은 관체 14의 구멍 15를 관통하여 봉 16의 나사구멍 17 에 조립된다. 손잡이 고정대 19의 위에는 손잡이 21 이 핀 22 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 고정대 19는 도 7, 8과 같이 90도 만큼 회전을 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가장 편리한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지지대 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각각 4개씩의 롤러 36들이 볼트 33들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들은 베어링 35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제 2지지대 50은, 제 1지지대의 2개의 연장부 40을 축 53을 이용하여 지지하고 있으며, 제 1지지대의 일측의 연장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 100의 핀 101 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 52들이 반원부 59의 안쪽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장치 70의 피스톤로드 72의 끝 부분이 저면을 관통하여 너트 73에 의해 고정된다(도 4 참조). 상기 스토퍼 100은, 제 1지지대의 하나의 연장부(도 4를 기준할 때 우측)에 볼트로 고정되는데, 핀 101은 연장부 40의 구멍 41과 제 2지지대의 프레임 51의 구멍 52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 1지지대는 제 2지지대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의 핀 101을 당겨서 핀 101의 끝 부분이 구멍 52를 벗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제 1지지대를 도 2와 같이 앞쪽으로 당겨주면 제 1지지대는 각도가 자유롭게 변화된다(도 5 참조). 사용자가 제 1지지대를 원하는 각도로 이동시키면 스토퍼의 핀 101은 가장 가까운 구멍 52 안으로 삽입되면서 그 각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지지대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제 2지지대의 뒤쪽에는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추고정대 55가 조립되고 이것의 위에는 다수의 추 56들이 볼트 57과 너트 5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추 56들은 본 발명품의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 승강장치 70은 실린더 71과 피스톤로드 72 및 유압모타 74, 피스톤로드 상승용 스위치 75 및 피스톤로드 하강용 스위치 76으로 구성된다. 이것의 전기적인 기술과 유압회로적 기술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피스톤로드 상승용 스위치 75를 밟아주면 유압모타 74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 72는 상승되고, 피스톤로드 하강용 스위치 76을 밟아주면 피스톤로드 72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키와 운동의 종류에 따라 피스톤로드의 상승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베이스 80은 도시와 같이 유압모타 74를 장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4개의 바퀴 82가 조립되어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윗면의 홈 81 속에는 직경 5∼10mm의 바이오세라믹볼 90들이 충진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마사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 21을 잡고 팔굽혀펴기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반원형프레임 10a를 수평 방향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주면 팔운동과 함께 몸통비틀기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추 11, 24들은 운동의 강도를 더욱 높여준다. 그리고 손잡이 2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가가 원하는 방향으로 즉, 90도의 범위 안에서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여 팔목의 운동도 가능하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의 핀 101을 뽑고 제 1지지대를 전방으로 45도로 기울인 다음, 위와 같이 운동을 하면 약간 강도가 낮은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제 1지지대를 전방으로 90만큼 이동시키면 앉은 자세에서도 위와 같이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로드 상승용 스위치 75를 밟아서 피스톤로드 72를 상승시키면 일어난 상태에서 팔운동 및 상체 비틀기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피스톤로드를 더욱 상승시킨 후 제 1지지대를 수평선을 기준하여 아래로 45도 혹은 90도 만큼 위치이동을 시키면 사용자는 선 자세에서 팔을 위로 들어올린 채 팔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의 길이는 최소 1M 정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체중을 팔에 실어주면서 반원형프레임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팔운동은 물론 상체 비틀기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반원형프레임의 형태는 반원형이기 때문에 운동시 신체의 균형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
베이스의 바이오세라믹볼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자극하여 마사지 작용을 가하며 동시에 발바닥에 땀이 차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9, 10, 11, 12, 13은 본 발명의 이동체와 제 1지지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동체 200의 반원형프레임 200a는 제 1실시예의 롤러접촉 구름식을 채택하지 않고, 제 1지지대 300 상의 원호형 부싱 302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호형의 부싱 302 안에는 금속볼 305들이 삽입되어 있어서 반원형프레임 200a의 구름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이때 제 1실시예의 추 24 대신에 금속으로 된 플레이트 201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다리 202 에 의해 반원형프레임 200a의 윗면에 용접되어 있어서 반원형프레임과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부싱 302의 윗면은 다리 202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 303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부분은 제 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작용 또한 동일하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제 2실시예는 구조를 보다 간단히 하면서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반원형프레임의 반원운동 작용을 이용하여 팔운동 및 상체 비틀기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신체의 균형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앉은 자세로부터 선 자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세에서 위와 같은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발바닥의 경혈을 마사지할 수 있는 효과 또한 크다. 아울러 바이오세라믹볼에 손을 짚고 팔굽혀펴기 운동을 하면 손바닥의 경혈을 마사지할 수 있는 효과도 더불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은 사이즈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이 폭 넓은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반원형프레임의 반원운동 작용을 이용하여 강도가 낮은 상태에서부터 강도가 높은 상태까지 운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9)

  1. 반원형을 띠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 1지지대, 상기 제 1지지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제 1지지대의 각도를 유지시키는 제 2지지대, 상기 이동체 및 제 1, 2지지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이들의 높이를 높이거나 줄여주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가 고정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베이스와, 상기 제 1지지대의 하나의 연장부에 볼트로 고정된 채 상기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2라인으로 된 반원형프레임과,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아래쪽 중앙을 연결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저면에 조립되는 관체 그리고 상기 관체의 저면에 접촉된 채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판체와 조립되는 추와,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위쪽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2개의 추와, 2개의 손잡이 및 핀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며 측면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봉이 저면에 고정된 2개의 손잡이 고정대와,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위에 용접되며 측면에는 원주길이의 1/4만큼 구멍이 형성된 채 상기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2개의 관체와,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관체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봉의 나사구멍에 조립되어 손잡이 고정대가 관체 상에서 90도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2개의 나사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지지대는, 하기의 축이 관통하는 연장부 및 하기의 축과 하기의 스토퍼의 핀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연장부가 하방으로 대향 돌출되며 "∪" 형태를 띠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후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보조판과, 상기 프레임 및 보조판을 관통하며 중앙에 단이 형성된 8개의 볼트와, 상기 8개의 볼트를 고정시키는 8개의 너트와, 상기 8개의 볼트 상에서 스냅링을 통해 고정되며 베어링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고 외면으로는 반원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반원형프레임을 끼워서 지지하도록 하는 8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제 2지지대는, 제 1지지대의 연장부 2개를 지지하는 축 및 상기의 축을 고정시키는 스냅링, 반원부의 중심과 동심을 이룬 채 상기의 축이 관통되는 구멍과 하기의 스토퍼핀이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이 반원부의 안쪽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되는 추 고정대 및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추 고정대에 고정되는 다수의 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장치는, 유압모타 및 유압모타와 연결된 채 하기의 베이스 위에 볼트로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의 실린더에 조립된 채 끝 부분은 상기 제 2지지대의 저면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유압모타와 연결되면서 하기의 베이스 상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피스톤로드 상승용 스위치 및피스톤로드 하강용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스토퍼는, 상기 제 1지지대의 하나의 연장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스프링카바와, 상기 스프링카바 및 제 1지지대의 연장부에 형성된 구멍 42와 제 2지지대에 형성된 구멍 52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중앙에 단이 형성되어 있는 핀, 상기 핀의 단과 스프링카바 사이에 조립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상기의 유압모타가 저면에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4개의 바퀴가 부착되고, 윗면의 홈 안으로는 직경 5∼10mm의 크기를 가지는 바이오세라믹볼들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2라인으로 된 반원형프레임과,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윗면에 용접되는 다리 및 상기 다리와 일체를 이루는 플레이트와,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위쪽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2개의 추와, 2개의 손잡이 및 핀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고정되며 측면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봉이 저면에 고정된 2개의 손잡이 고정대와, 상기 반원형프레임의 위에 용접되며 측면에는 원주길이의 1/4만큼 구멍이 형성된 채 상기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2개의 관체와, 손잡이 고정대의 봉이 관체 안으로 삽입되었을 때 봉의 나사구멍에 조립되어 손잡이 고정대가 관체 상에서 90도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2개의 나사봉으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제 1지지대는, 제 2지지대의 축이 관통하는 연장부 및 제 2지지대의 축과 스토퍼의 핀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연장부가 하방으로 대향 돌출되며, 반원형프레임의 구름운동을 유도하는 다수의 금속볼 및 상기의 금속볼들이 삽입될 수 있는 금속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의 다리가 관통되는 2개의 원호형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판체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체 및 팔운동기구.
KR1020000014372A 2000-03-18 2000-03-18 상체 및 팔운동기구 KR20010091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72A KR20010091822A (ko) 2000-03-18 2000-03-18 상체 및 팔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72A KR20010091822A (ko) 2000-03-18 2000-03-18 상체 및 팔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822A true KR20010091822A (ko) 2001-10-23

Family

ID=1965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372A KR20010091822A (ko) 2000-03-18 2000-03-18 상체 및 팔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18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06B1 (ko) * 2009-07-21 2011-05-02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해수 전해용 모노폴라형 전해조
KR20150083469A (ko) * 2014-01-09 2015-07-20 주식회사 케디엠 상지 근력강화 및 재활운동장치
KR20200059920A (ko) 2018-11-22 2020-05-29 윤준서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06B1 (ko) * 2009-07-21 2011-05-02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해수 전해용 모노폴라형 전해조
KR20150083469A (ko) * 2014-01-09 2015-07-20 주식회사 케디엠 상지 근력강화 및 재활운동장치
KR20200059920A (ko) 2018-11-22 2020-05-29 윤준서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100791B4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KR20090067007A (ko) 운동 기구
CA2146223A1 (en) Power massager
US6245000B1 (en) Exercise device and body toner with adjustable inclined roller platform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KR101665054B1 (ko)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010091822A (ko) 상체 및 팔운동기구
US9895574B2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20100101518A (ko) 전신 운동 기구
KR20210092955A (ko) 멀티 코어운동을 위한 헬스장치
KR100693202B1 (ko) 허리강화 걷기운동기구
JP2002200194A (ja) 運動具
KR102522850B1 (ko) 역기 운동장치
US11844976B2 (en) Fitness apparatus and method
CN215691345U (zh) 配重调节用连杆机构和健身器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WO2006094925A1 (en) Device for gymnastic exercises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101239994B1 (ko) 운동기구
KR101472218B1 (ko) 종합 운동기구
KR101632273B1 (ko) 하체 운동기구
JP3211954U (ja) 脚力トレーニング器具
CN109350919A (zh) 一种多功能健身器材
KR102434907B1 (ko) 아령 들어올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