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452A - 정보 재생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재생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452A
KR20010090452A KR1020010013569A KR20010013569A KR20010090452A KR 20010090452 A KR20010090452 A KR 20010090452A KR 1020010013569 A KR1020010013569 A KR 1020010013569A KR 20010013569 A KR20010013569 A KR 20010013569A KR 20010090452 A KR20010090452 A KR 20010090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program
recording medium
mark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6540B1 (ko
Inventor
다나까히로끼
스기야마가쯔히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9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편집에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의 IN점 및 OUT점을 마크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파인더 LCD 패널에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설정 가능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수의 마크(33)를 백색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편집에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의 IN점이 설정된 경우, 마크(33-1a)는 청색으로 표시된다.

Description

정보 재생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재생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집에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의 시점(IN점) 및 종점(OUT점)을 마크 표시함으로써, 용이하게 영상 데이터의 편집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재생 장치 및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디지털 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그것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그 상태 그대로 DVTR(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에 장착되어 있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에기록하거나,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 기호에 맞게 편집하여 또 다른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손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DVTR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화상)을 보면서 편집 작업을 행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인덱스 정보(일, 시, 분, 초 및 프레임 등의 타임 스탬프 등)나 편집 작업을 재촉하기 위한 설정 정보가 화면 전체에 표시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화면 전체에 표시된 인덱스 정보나 설정 정보에 의해 영상을 보는 것이 어렵고, 결과적으로, 편집 작업을 방해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편집에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의 IN점 및 OUT점을 마크 표시함으로써, 용이하게 영상 데이터의 편집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을 적어도 1 이상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 제어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 가능한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수의 마크가 표시되도록 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제어 수단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색이, 아직 기억되어 있지 않은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와 다른 색이 되도록 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재생 수단에 의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시점과 종점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가 재생되어 있을 때, 표시 제어 수단은 이미 재생된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색이, 아직 재생되어 있지 않은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와 다른 색이 되도록 그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제어 방법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와,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을 적어도 1 이상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기억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와,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을 적어도 1 이상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기억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가 재생되고,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이 적어도 1 이상 설정되고,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이 기억되며, 기억된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가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일체형의 DVTR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다른 예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또 다른 예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또 다른 예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또 다른 예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또 다른 예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또 다른 예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기록의 편차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프로그램 정보 설정 처리 및 에디트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부
2 : 마이크로 프로세서
4 : 신호 처리 회로
5 : IR 커맨더
6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
7 : 비디오 카메라
8 :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
9 : 기록 회로
10 : 기록 매체
11 : 재생 회로
14 : 파인더 LCD 패널
18 : D-VHS
33 : 마크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일체형의 DVTR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입력부(1)는 키보드, 마우스, 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입력부(1)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하여 컨트롤 신호를 생성하고, 각 부를 각각 제어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또 입력부(1)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하여 프로그램 정보인, 편집에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의 IN점 및 OUT점을 버퍼에 기억시키거나, 버퍼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의 IN점 및 OUT점을 판독하기도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또한, 버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D-VHS(18)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발행하고, 내장되는 출력 스위치를 전환하여 대응하는 신호 처리 회로(4) 혹은 IR(Infrared Radiation) 커맨더(5)로 출력한다. 또,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는 드라이브(3)가 접속되어 있고, 자기 디스크 (101), 광 디스크(102), 광자기 디스크(103), 또는 반도체 메모리(104) 등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신호 처리 회로(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공급되는 D-VHS(18)를 제어하기 위한 AV/C(Audio Video/Control) 커맨드를 패킷화하고,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인터페이스(I/F : 16), IEEE1394 직렬 버스(17)를 통해 D-VHS(Digital-Video Home System : 18)(상표)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IR 커맨더(5)는, 예를 들면, SIRCS(Standard Code for Infrared Remote Control System)가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공급되는 D-VHS(18)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커맨드에 기초하여 도시하지 않는 적외선 발광부로부터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IR 신호)를 D-VHS(18)의 도시하지 않는 수광부를 향하여 출력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공급되는 컨트롤 신호에 기초하여 텍스트 정보를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스위치(13)의 단자 b, 또는 라인 출력 단자(15)에 공급한다.
비디오 카메라(7)는 포커스 모터(21), 디스플레이(22), 이메이져(23)로 구성되어 있다. 포커스 모터(2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공급되는 컨트롤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2)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이메이져(23)에 의해 촬영되도록 구동한다. 이메이져(23)는, 예를 들면, 렌즈계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으로 이루어지고, 촬상된 이메이져 신호(촬상 신호)를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8)에 공급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공급되는 컨트롤 신호에 기초하여, 이메이져(23)로부터 공급된 이메이져 신호에 대해 A/D(Analog to Digital) 변환 처리 등을 실시하고, 영상(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 회로(9)에공급한다.
기록 회로(9)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공급되는 컨트롤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8)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방식(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 부호화하고, 또한 오류 정정 처리 및 변조 처리 등의 기록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기록 매체(10)에 기록한다. 기록 매체(10)는,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이다.
재생 회로(11)는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복조 처리, 오류 정정 처리, 복호 처리 및 D/A 변환 처리 등의 소정의 재생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12)의 단자 b, 스위치(13)의 단자 a를 통해 파인더 LCD(Liquid Crystal Digital) 패널(14)로 출력한다.
스위치(1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공급되는 컨트롤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8)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스위치(13)를 통해 파인더 LCD 패널(14)로 출력할 때 단자 a를 선택하도록 전환되고, 재생 회로(11)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스위치(13)를 통해 파인더 LCD 패널(14)로 출력할 때, 단자 b를 선택하도록 전환된다.
스위치(1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의해 제어되어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6)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파인더 LCD 패널(14)로 출력할 때 단자 a를 선택하도록 전환되고,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6)로부터의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파인더 LCD 패널(14)로 출력할 때 단자 b를 선택하도록 전환된다.
파인더 LCD 패널(14)은 스위치(12) 및 스위치(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6) 및 스위치(13)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 등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카운터에 관한 정보는 라인 출력 단자(15)를 통해 D-VHS(18)로 출력된다.
D-VHS(18)는 도시하지 않은 AV 케이블 또는 IEEE1394 직렬 버스(17)를 통해 DVTR과 접속되어 있고, DVTR로부터 출력되는 커맨드에 기초하여 거기에 장착되어 있는 D-VHS 테이프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그 구체예는 후술함). D-VHS(18)는 또 DVTR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카운터를 D-VHS 테이프에 기록한다.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DVTR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록 시, 비디오 카메라(7)의 이메이져(23)는 디스플레이(22)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촬상하고,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8)에 공급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8)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7)로부터 공급된 이메이져 신호에 대해 A/D 변환 처리 등을 실시하고, 영상 데이터를 기록 회로(9)에 공급한다. 기록 회로(9)는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8)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기록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기록 매체(10)에 기록한다. 이 때, 편집 작업(에디트 처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에 에디트 모드가 설정된다(영상 데이터의 선두부에 PICT_INDE_EDIT가 부가됨).
재생 시, 재생 회로(11)는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에디트 모드가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소정의 재생 신호 처리(복조 처리, 오류 정정 처리, 복호 처리 및 D/A 변환 처리 등)를 실시하여 스위치(12)의 단자 b 및 스위치(13)의 단자 a를 통해 파인더 LCD 패널(14)로 출력하여 영상을 재생시킨다.
파인더 LCD 패널(14)에 재생되어 있는 영상을 참조한 사용자가 에디트 처리에 사용하는 프로그램 정보(영상 데이터의 IN점과 OUT점)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사용자로부터의 지령(프로그램 정보의 설정)에 기초하여 그 프로그램 정보를 버퍼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에디트 처리가 개시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버퍼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AV 케이블을 통해 D-VHS(18)에 장착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D-VHS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5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참조하여, 편집에 사용하는 영상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IN점 및 OUT점)를 설정하는 처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 기록 매체(10)에는 1분 40초 5프레임(이하, 간단하게 하기 위해, 0:01:40:05로 기재함)의 에디트 모드가 설정된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그 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지시되면, 기록 매체(1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재생 회로(11), 스위치(12)의 단자 b, 스위치(13)의 단자 a를 통해 파인더 LCD 패널(14)로 출력, 재생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 직후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아직 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편집 모드 표시 영역(31)의 편집 모드의 「마크」는 선택 가능해지지만, 「마크 취소」, 「모두 소거」 및 「스타트」는 선택할 수 없도록 무효 표시가 된다. 지금의 경우, 커서(32)는 「마크」에만 위치 정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크(33)는 한번에 설정 가능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수의 마크(예를 들면, 20개의 마크)로 구성되어 있고,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되면, 대응하는 마크가 청색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1)의 IN점이 설정되면, 마크(33-1a)가 청색으로 표시되고, 프로그램(1)의 OUT점이 설정되면, 마크(33-1b)가 청색으로 표시된다. 도 2의 예의 경우, 아직 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백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에는 프로그램(지금의 경우, 0)의 총 시간(토탈)이 표시되고(지금의 경우, 0:00:00:00), 또한, 「1 여기부터」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 프로그램(1)의 IN점의 설정이 재촉되고 있다.
사용자는 파인더 LCD 패널(14)에 재생되어 있는 영상(도 2)을 참조하여,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편집에 사용하고 싶은 영상 데이터의 IN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0:46:20의 시각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편집에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의 버튼이 조작되어(눌러져) 프로그램(1)의 IN점이 결정(설정)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사용자로부터의 지령(마크 커맨드)에 기초하여 프로그램(1)의 IN점을 버퍼에 기억시킴과 함께, 파인더 LCD 패널(14)에 새로운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이 표시된다.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지금의 경우, 프로그램(1)]의 IN점이 설정되었기 때문에, 20개의 마크(33) 중 마크(33-1a)가 청색으로 표시됨과 함께 편집 모드 표시 영역(31)의 편집 모드의 「스타트」 이외의 편집 모드는 전부 선택 가능해진다. 또한, 프로그램의 토탈인 0:00:04:11(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IN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표시되고, 또한, 「1 여기까지」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 프로그램(1)의 OUT점의 설정이 재촉된다.
또, 편집 모드 표시 영역(31)의 편집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가 이용되어 커서(32)를 「마크 취소」, 또는, 「모두 소거」의 위치에 맞춰 실행 커맨드를 입력하면, 도 2에 도시된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파인더 LCD 패널(14)에 재생되어 있는 영상(도 4)을 참조하여,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편집에 사용하고 싶은 영상 데이터의 OUT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0:51:01의 시각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편집에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의 버튼이 조작되어 프로그램(1)의 OUT점이 결정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사용자로부터의 지령(마크 커맨드)에 기초하여, 프로그램(1)의 OUT점을 버퍼에 기억시킴과 함께 파인더 LCD 패널(14)에 새로운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이 표시된다.
도 5의 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지금의 경우, 프로그램(1)]의 OUT점이 설정되었기 때문에, 20개의 마크(33) 중 마크(33-1b)가 청색으로 표시된다. 또, 마크(33-1a)는 이미 청색 표시되어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프로그램(1)의 IN점과 OUT점이 설정되면, 편집 모드 표시 영역(31)의 편집 모드의 지금까지 선택할 수 없었던 「스타트」가 선택 가능해지고, 에디트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 편집 모드 표시 영역(31)의 편집 모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가 이용되어 커서(32)를 「스타트」에 맞춰 실행 커맨드를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버퍼에 기억된 프로그램 정보[프로그램(1)의 IN점(마크(33-1a)) 및 OUT점(마크(33-1b))]에 기초하여 에디트 처리가 개시된다.
또, 프로그램(1)의 OUT점이 결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여기부터」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대해 프로그램(2)의 IN점의 설정이 재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그램(2) 이후의 프로그램 정보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프로그램 정보의 설정이 종료된 경우, 사용자는 커서(32)를 편집 모드 표시 영역(31)의 「스타트」에 맞춰 실행 커맨드를 입력하여 에디트 처리를 개시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8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처리에 의해 설정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에디트 처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버퍼에는 이미 프로그램 정보[프로그램(1) 내지 프로그램(5)]가 설정, 기억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마크(33-1a) 내지 마크(33-5 a) 및 마크(33-1b) 내지 마크(33-5b)가 청색 표시되어 있다. 또한, D-VHS(18)에는 D-VHS 테이프가 장착되고 기록 일시 정지(Recording Pause)로 대기하고 있다.
도 6의 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가 이용되어 편집 모드 표시영역(31)의 「스타트」에 커서(32)를 맞춰 실행 커맨드를 입력시킨 직후의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되면, 설정 완료 마크(33-1a) 내지 마크(33-5a) 및 마크(33-1b) 내지 마크(33-5b)가 청색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에디트 처리가 실행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사용자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파인더 LCD 패널(14)에 새로운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표시한다[청색 표시되어 있던 마크(33-1a) 내지 마크(33-5a) 및 마크(33-1b) 내지 마크(33-5b)가 백색 표시로 변함).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또 에디트 처리가 개시되면, 재생 회로(11)를 제어하고,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시켜 AV 케이블을 통해 D-VHS(18)로 출력시킨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버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프로그램(1)의 IN점(지금의 경우, 00:00:46:20의 시각)이 도래하면, IR 커맨더(5)에 대해 D-VHS(18)의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시키는 리모콘 커맨드를 발행하고, IR 커맨더(5)의 도시하지 않은 적외선 발광부로부터 IR 신호가 출력된다. D-VHS(18)는 IR 커맨더(5)로부터의 지령(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하는 커맨드)을 수취하여 장착되어 있는 D-VHS 테이프에 DVTR로부터 AV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시킨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또 사용자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파인더 LCD 패널(14)에 새로운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이 표시된다.
도 7의 예는 프로그램(1)의 기록 중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의 경우, 프로그램(1)의 기록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마크(33-1a)가 백색 표시로부터 청색 표시로 변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버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프로그램(1)의 OUT점(지금의 경우, 00:00:51:01의 시각)이 도래하면, IR 커맨더(5)에 대해 D-VHS(18)의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시키는 리모콘 커맨드를 발행하고, IR 커맨더(5)의 도시하지 않은 적외선 발광부로부터 IR 신호가 출력된다. D-VHS(18)는 IR 커맨더(5)로부터의 지령(기록을 일시 정지시키는 커맨드)을 수취하여 D-VHS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었던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일시 정지시킨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또 사용자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파인더 LCD 패널(14)에 새로운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이 표시된다.
도 8의 예는 프로그램(1)의 기록이 종료된 후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의 경우, 프로그램(1)의 기록이 종료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마크(33-1b)가 백색 표시로부터 청색 표시로 변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버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프로그램(2)의 IN점이 도래하면, D-VHS(18)에 대해 기록일시 정지를 해제시키는 커맨드를 보내어 D-VHS 테이프에 다시 영상 데이터를 기록시킨다. 그리고, 프로그램(2)의 OUT점이 도래하면, D-VHS(18)에 대해 기록을 일시 정지시키는 커맨드를 보내어 D-VHS 테이프로의 기록을 일시 정지시킨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3) 내지 프로그램(5)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에디트 처리가 반복된다.
그런데, D-VHS(18)는 DVTR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했을 때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하거나, 혹은,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일시 정지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시키는 커맨드가 수취되고 나서, 실제로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에는 편차가 생긴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TR은 버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의 IN점(도 9의 예에서는, 0:00:46:20의 시각)이 도래했을 때, D-VHS(18)에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시키는 커맨드를 보낸다. D-VHS(18)는 DVTR로부터의 커맨드를 수취하고 나서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하고, 장착되어 있는 D-VHS 테이프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시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용자가 설정한 IN점보다 지연되어(도 9의 예의 경우, 3프레임분 지연됨) 기록이 개시된다(즉, 0:00:46:23의 시각에서 기록이 개시됨). 마찬가지로, OUT점(0:00:51:02의 시각)이 도래했을 때, DVTR로부터 D-VHS (18)에 기록을 일시 정지시키는 커맨드가 보내어지지만, 실제로는 3프레임분 지연되어 기록이 일시 정지된다(즉, 0:00:51:05의 시각까지 기록된 후, 일시 정지됨).
그래서, 에디트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카운터에 관한 정보를 라인 출력 단자(15)를 통해 D-VHS(18)로 출력하고, 거기에 기록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무효 데이터를 이용하여 D-VHS 테이프에 더미 편집을 행하여 설정된 IN점의 프레임 카운터와, 실제로 D-VHS 테이프에 기록된 프레임 카운터의 편차(지연)를 모니터에 표시시켜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모니터에 표시된 프레임 카운터의 지연분을 산출하여(지금의 경우, 3 프레임)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DVTR은 D-VHS(18)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IN점의 3프레임 전이 도래했을 때,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시키는 커맨드를 보내고, 사용자가 설정한 OUT점의 3프레임 전이 도래했을 때 기록을 일시 정지시키는 커맨드를 보낼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정보 설정 처리 및 에디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 처리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가 이용되어 프로그램 정보 설정 처리 또는 에디트 편집을 개시시키기 위한 커맨드가 입력됨으로써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사용자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재생 회로(11)를 제어하고,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시킨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판독된 영상 데이터에 에디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판독된 영상 데이터의 선두부에 PICT_INDE_EDIT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영상 데이터에 에디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에 에디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프로그램 설정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프로그램 설정 모드임이 판정된 경우,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영상 데이터를 파인더 LCD 패널(14)로 출력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설정 가능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수의 마크(33)를 백색으로 표시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사용자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의 설정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 즉,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가 이용되어 프로그램 정보를 종료시키는 커맨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프로그램 정보의 설정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단계 S4에 있어서, 프로그램 정보의 설정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마크 커맨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 즉,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가 이용되어 프로그램의 IN점 또는 OUT점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마크 커맨드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에 있어서, 마크 커맨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단계 S5에 있어서, 마크 커맨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입력된 마크 커맨드가 n번째의 IN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입력된 마크 커맨드가 n번째의 IN점임이 판정된 경우,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단계 S5의 처리에서 입력된 n번째의 프로그램의 IN점을 메모리(4)에 기억시킴과 함께 파인더 LCD 패널(14)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의 n번째의 프로그램의 IN점의 마크[지금의 경우, 마크(33-1a)]를 청색으로 표시한다(도 4). 그 후, 단계 S4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6에 있어서, 입력된 마크 커맨드가 n번째의 IN점이 아니다고 판정된 경우, 즉, 입력된 마크 커맨드가 n번째의 OUT점임이 판정된 경우, 단계 S8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단계 S5의 처리에서 입력된 n번째의 프로그램의 OUT점을 메모리(4)에 기억시킴과 함께 파인더 LCD 패널(14)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의 n번째의 프로그램의 OUT점의 마크[지금의 경우, 마크(33-1b)] 를 청색으로 표시한다(도 5). 그 후, 단계 S4로 되돌아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단계 S2에 있어서, 프로그램 설정 모드가 아니다고 판정된 경우, 즉, 이미 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 S9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파인더 LCD 패널(14)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의 프로그램 정보 설정 완료 마크(33)를 백색 표시한다(도 6). 이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재생 회로(11)를 제어하고,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시켜 AV 케이블을 통해 D-VHS(18)로 출력시킨다.
단계 S10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메모리(4)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n번째의 프로그램의 IN점이 도래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n번째의 프로그램의 IN점이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에 있어서 n번째의 프로그램의 IN점이 도래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단계 S10에 있어서 n번째의 프로그램의 IN점이 도래했다고 판정되면, 단계 S11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D-VHS(18)에 기록 일시 정지를 해제시키는 커맨드를 보내어 D-VHS 테이프에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시킴과 함께, 파인더 LCD 패널(14)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의 n번째의 프로그램의 IN점의 마크[지금의 경우, 마크(33-1a)]를 청색으로 표시한다(도 7).
단계 S12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메모리(4)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n번째의 프로그램의 OUT점이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n번째의 프로그램의 OUT점이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4에 있어서, n번째의 프로그램의 OUT점이 도래했다고 판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 때, D-VHS(18)의 기록은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단계 S12에 있어서, n번째의 프로그램의 OUT점이 도래했다고 판정되면,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D-VHS(18)에 기록을 일시 정지시키는 커맨드를 보내어 D-VHS 테이프로의 재생 데이터의 기록을 일시 정지시킴과 함께, 파인더 LCD 패널(14)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에디트 화면의 n번째의 프로그램의 OUT점의 마크[지금의 경우, 마크(33-1b)]를 청색으로 표시한다 (도 8).
단계 S14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파인더 LCD 패널(14)에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설정 완료 마크(33)[도 8의 예의 경우, 마크(33-1a) 내지 마크(33-5a) 및 마크(33-1b) 내지 마크(33-5b)] 중 백색 표시의 마크[도 8의 예의 경우, 마크(33-2a) 내지 마크(33-5a) 및 마크(33-2b) 내지 마크(33-5b)]가 아직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백색 표시의 마크가 아직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으로 되돌아가 상술한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백색 표시의 마크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5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에디트 처리가 종료되었다고 판정하고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상과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프로그램 정보를 버퍼에 기억시킴과 함께, 파인더 LCD 패널(14)에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마크(33)를 표시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설정 정보를 단시간에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표시된 마크(33)로부터 에디트 처리(편집 작업)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정보가 설정된 마크(33)를 청색 표시하고, 편집 작업이 종료되지 않은 마크(33)를 백색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색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편집 중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마크를 점멸 표시시키거나, 마크의 형상을 바꾸어도 좋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한번에 설정 가능한 프로그램의 수를 20으로 했지만, 이 값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01)(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10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103)(MD (Mini-Disk)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10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르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을 적어도 1 이상 설정하고,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을 기억하며, 기억된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를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영상 데이터의 편집 작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을 적어도 1 이상 설정하는 설정 수단,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상기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 가능한 상기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수의 상기 마크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상기 마크의 색이, 아직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기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상기마크와 다른 색이 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시점과 종점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가 재생되어 있을 때,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이미 재생된 상기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상기 마크의 색이, 아직 재생되어 있지 않은 상기 시점과 종점에 대응하는 상기 마크와 다른 색이 되도록, 상기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5.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을 적어도 1 이상 설정하는 설정 단계,
    상기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상기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 및
    상기 기억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상기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제어 방법.
  6.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단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화상 신호 중 편집을 위한 시점 및 종점을 적어도 1 이상 설정하는 설정 단계,
    상기 설정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1 이상의 상기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 및
    상기 기억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상기 화상 신호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하는 마크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010013569A 2000-03-17 2001-03-16 정보 재생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46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5643A JP4168307B2 (ja) 2000-03-17 2000-03-17 情報再生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0-075643 2000-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452A true KR20010090452A (ko) 2001-10-18
KR100746540B1 KR100746540B1 (ko) 2007-08-06

Family

ID=185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569A KR100746540B1 (ko) 2000-03-17 2001-03-16 정보 재생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83099B2 (ko)
EP (1) EP1134739A3 (ko)
JP (1) JP4168307B2 (ko)
KR (1) KR100746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481A (ko) * 2000-12-20 2002-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모듈러 하드 디스크 유닛 및 이 모듈러 하드 디스크유닛을 시동 및 정지시키는 수단을 갖는 비디오 레코더
JP4305065B2 (ja) 2003-06-12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Av同期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av記録装置
TWI350450B (en) * 2004-02-12 2011-10-11 Pioneer Corp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7113128B1 (en) * 2004-10-15 2006-09-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Culled satellite ephemeris information for quick, accurate assisted locating satellite location determination for cell site antenna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4B1 (ko) * 1981-10-02 1990-01-19 미쓰다 가쓰시게 광 검출용 반도체장치
US4774600A (en) * 1985-05-06 1988-09-27 Eastman Kodak Company Video tape editing technique
US5999173A (en) * 1992-04-03 1999-12-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diting with video clip representations displayed along a time line
JP3837746B2 (ja) 1995-04-08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編集システム
JP2747251B2 (ja) * 1995-07-24 1998-05-06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音声編集システム
US5760767A (en) * 1995-10-26 1998-06-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nd out points during video editing
US5953481A (en) * 1996-01-08 1999-09-14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editing function
US6064793A (en) * 1996-09-18 2000-05-16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editing function
JP3895848B2 (ja) * 1997-11-11 2007-03-2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ノンリニア映像編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22890A1 (en) 2001-09-20
US6983099B2 (en) 2006-01-03
JP4168307B2 (ja) 2008-10-22
EP1134739A3 (en) 2004-03-10
EP1134739A2 (en) 2001-09-19
JP2001266549A (ja) 2001-09-28
KR100746540B1 (ko) 200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4062B2 (en) Playback system
JP2001111963A (ja) 光ディスクを利用したビデオカメラにおける録画再生方法
JP2000138888A (ja) 録画再生装置
KR100746540B1 (ko) 정보 재생 장치, 정보 처리 장치, 화상 표시 제어 방법,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6279262A (ja) 符号化映像変換装置、変換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687939B2 (en) Recording/reproducing syste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7418196B2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7127150B2 (en) Image data recording apparatus
EP1353329A2 (en) Recording medium player apparatus
JP2005318185A (ja) 映像記録装置
JP2006128880A (ja)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dvdレコーダ、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ディジタル録画装置
JPH05198141A (ja) ビデオ編集システム
JP2006127600A (ja)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dvdレコーダ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録画装置
JP2009095047A (ja) 録画再生装置
JP2001218156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4045655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記録再生装置、並びに入力操作装置
JP2000350130A (ja) 録画再生装置及びタイムシフト再生装置
JP4033839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方法
JPH1188819A (ja) 画像編集システム
JP2989844B2 (ja) 映像情報記録再生装置
JP4135157B2 (ja) データ放送番組記録再生装置
JPH0532532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7124058A (ja) 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23544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KR20040058871A (ko) 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