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889A - 신규의 경피 전달성 소염제인 리포솜형 니플루믹산 - Google Patents

신규의 경피 전달성 소염제인 리포솜형 니플루믹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889A
KR20010089889A KR1020017008144A KR20017008144A KR20010089889A KR 20010089889 A KR20010089889 A KR 20010089889A KR 1020017008144 A KR1020017008144 A KR 1020017008144A KR 20017008144 A KR20017008144 A KR 20017008144A KR 20010089889 A KR20010089889 A KR 2001008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flumic acid
encapsulation
liposomes
drug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메초스콘스탄티노스
캄메노우헬렌
랄리스미칼리스
파파이오안노우게오르지오스
게오르고포울로스아리스티디스
차모우리스게오르지오스
하치안토니오우소피아
지안니시스게오르지오스
노우네시스게오르지오스
사바-디모포울로우크리스티나
Original Assignee
토번 라스무슨
피.엔 제롤리마토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번 라스무슨, 피.엔 제롤리마토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토번 라스무슨
Publication of KR2001008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 A61K9/1278Post-loading, e.g. by ion or pH gra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65Nicot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경피 전달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제형을 제조하기 위한 리포솜 중의 니플루믹산 약물의 캡슐화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니플루믹산뿐만 아니라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들을 유효 화합물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이한 지질 식을 갖는 리포솜으로 캡슐화하였다. 상기 캡슐화된 약물이 있거나 또는 없는 리포솜 현탁액을 크림으로서 제형화하였고, 최종 제형의 안정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Description

신규의 경피 전달성 소염제인 리포솜형 니플루믹산{Liposomic niflumic acid-new transdermal anti-inflammatory medicine}
리포솜으로 약제 분자를 캡슐화하는 기술은 큰 과학적 관심과 함께 지난 수년간 특별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다양한 다수의 분자들을 이미 성공적으로 캡슐화시켜 직접적으로 독성을 감소시켰고, 그의 약물 동력학적 성질을 개선시켰으며, 조직 및 표적 기관에 대한 그의 선택성과 특이성을 증가시켰다.
국제적인 관련 서적 목록에는 리포솜형 제형에 대한 참고문헌이 풍부하게 있다. 이들 중 다수는 임상적인 연구 단계에 있으며 다른 일부는 이미 등록되어 시판되고 있다.
다른 의약품들 중에서, 리포솜 형태로 에코나졸, 암포테리신 B, 미녹시딜, 및 임상적으로 연구 단계에 있는 몇몇 항암제 및 항바이러스성 의약품을 들 수 있다.
경피전달 용도와 관련하여, 피부를 통한 약제 물질 전달의 주요 문제점은 상기 물질의 투과성이 불만족스럽거나, 또는 혈액 및 림프액 내로 급속히 전달되어 목적하는 시한 내에 치료 집중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한다. 리포솜 형태는만족스러운 투과성뿐만 아니라 유효 성분의 조절된 방출을 위한 큰 잠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성질들은 리포솜 형태를 경피전달용에 이상적인 것으로 만든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리포솜을 제조하고 이것으로 소염성 물질인 니플루믹산 및 그의 에스테르를 캡슐화하는 것이다. 니플루믹산은 이미 다양한 경피전달 형태로 방출되었던 매우 널리 실증된 유효 성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탁월한 리포솜 형태와 향상된 약물 동력학적 성질을 갖는 새로운 소염제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의약품은 관절증, 및 외상학 및 류마티즘의 유사한 상태에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리포솜 제제를 위해 하기의 기준들을 만족시키는 지질의 선택이다:
·인간 피부와의 생체 적합성
·바람직한 물리화학적 특징들(구조, 형태, 치수, 지질 이중 층의 수, 결정화, 및 시간, 온도 및 농도 관련 안정성)을 갖는 리포솜으로의 제조
·약물을 그의 바람직한 물리화학적 특징들을 유지시키면서 캡슐화시키는 리포솜의 능력.
지질의 선택은 상기 기준들을 만족시키는 것들 중에서 약물 동력학적 연구의 결과에 따라 수행될 것이다.
평가하려는 지질 분자는 천연적인 것, 예를 들어 HSPC(수소화된 대두 지질), EPC(계란의 포화 및 불포화 지질의 혼합물), 및 일부 합성적인 것,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의 포화된 에스테르들인 DSPC, DMPC 및 DPPC이다. 리포솜-캡슐화된 의약품 시스템을 위한 상기 리포솜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화에 사용되는 기법들 및 또한 약물 동력학적 연구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과학적 방법(상세하고 분석적인 서술)
I. 지질 및 원료 물질 공급, 니플루믹산 에스테르의 제조
리포솜의 제조에 사용하려는 지질은 HSPC(수소화된 대두 지질), EPC와 같은 천연 지질이거나 또는 인지질, DSPC, DMPC, DPPC와 같은 합성 지질이다. 상기 합성 지질의 지방족 쇄는 리포솜의 물리화학적 특징에 결정적인 변수들인 탄소수, 지방족 쇄의 길이 및 융점이 상이한 스테아르산, 미리스테이트 또는 팔미트산이다.
리포솜을 다양한 인지질들을 결합시킴으로써 뿐만 아니라 인지질들을 다양한 수준의 콜레스테롤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할 것이다. 콜레스테롤은 리포솜의 안정성을 조절하며, 따라서 상기 약물의 조절된 방출에 필수적이다. 리포솜을 또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설페이트 및 지방산과 같은 성분들을 사용하여 피부에 유사한 조성으로 제조할 것이다. 목적은 생체적합 가능성이 보다 큰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II. 리포솜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화
제조 방법:
a) 지질 분자의 수화에 의한 지질 막의 제조: 수화는 진공 회전 증류 장치(플래시 증발기)에서 유기 용매(클로로포름)를 제거한 후에 일어날 것이다.
수화제의 선택은 리포솜의 내부 환경의 pH 조절에 중요하다. 상기 pH, 삼투압 및 이온 강도를 감시하는데 TES(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 2-아미노 에탄설폰산), MES(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HEPES(N-[2-하이드록시에틸] 피페라진-N-2-에탄설폰산), 암모늄 설페이트가 사용될 것이다. 지질의 수화로 다층의 리포솜이 자가 형성된다.
b) 단일 층 및 올리고-층 리포솜의 제조: 경피 전달 용도에 대해서, 올리고-층 리포솜은 다층 리포솜의 이점을 갖는다(보다 작은 크기로 인한 보다 양호한 투과성). 리포솜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은 다층 리포솜을 -70 ℃의 온도에서 동결시키고 지방족 쇄(시스-트랜스)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즉시 가열함을 포함한다. 상기 과정을 10 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올리고-층 리포솜을 수득하며, 이는 다음 단계에서 크기 균일화를 용이하게 한다.
c) 특정한 직경을 갖는 멀티카본 필터가 모인 압출 시스템을 사용하여 균일한(치수적으로) 리포솜 샘플을 수득한다.
d) 리포솜내로 캡슐화되어서는 안되는 완충 용액을 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시킨다.
상기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MLV(다층 라멜라 비히클), SUV(작은 단층 라멜라 비히클) 및 LUV(큰 단층 라멜라 비히클) 리포솜을 제조하여, 한편으로는 니플루믹산의 친수성 부분의 단일 층 리포솜의 수화 부분내로의 캡슐화, 및 다른 한편으로는 에스테르의 친지성 생성물의 다층 리포솜의 지질 이중 층내로의 캡슐화에대해 평가할 것이다.
물리화학적 특성화
이 단계에서 평가해야하는 리포솜의 물리화학적 변수는 하기와 같다:
치수-치수 균일성-이중 층의 수-형태, 열역학적 안정성(온도 및 지질 샘플 농도와 관련하여), 샘플 중의 상호작용의 존재, 상 분리 가능성.
사용되는 물리화학적 기법들은 해결 가능성이 크며, 정량적 및 정성적인 광학-열 기법으로 기술된다.
1. 준-탄성 광 산란:리포솜 치수의 완전한 분포를 연구할 수 있음.
샘플 중의 가능한 상호 작용들에 관한 연구, 리포솜의 가능한 응집에 관한 연구, 구형 형태(Bi-reftactiveness)에 대한 평가.
2. 현미경 검사법:영상 조작 분석을 겸한 상 대비 현미경 검사법 및 역접합성 대비 현미경 검사법(Nomarski-DIC). 이 기법은 0.5 ㎛ 이상의 크기를 갖는 리포솜을 나타내는 능력을 갖는다.
3. 원자력 현미경 검사법(AFM):10 ㎚ 내지 2 ㎛ 크기의 리포솜을 나타내며 또한 지질 이중 층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4. 차동 주사 열량 측정법(DSC):리포솜 안정성의 열역학적 연구. 상들, 및 지질 이중 층의 변환 상의 평가 및 특성화. 리포솜의 간접적인 순도 시험.
III. 약제 분자의 캡슐화, 약물-리포솜 시스템의 물리화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다양한 종류의 리포솜들을 약제 분자의 캡슐화에 사용할 것이다.
a) 니플루믹산 캡슐화
니플루믹산을 리포솜의 내부 및 외부에 생성되는 상이한 pH에 기인한 능동 전달 방법에 따라 리포솜의 내부 부분 안에 캡슐화할 것이다. 상기 약제 분자가 이온 그룹을 함유하므로, 리포솜의 산성적인 내부 환경 하에서 상기 분자는 양자를 받아 결과적으로 캡슐화될 것이다. 캡슐화는 리포솜 지방족 쇄의 전이 온도에서 일어날 것이다. 캡슐화율은 대략 60 내지 80%이다. 니플루믹산 대 지질의 비는 1:53(이론치 1:50)이다. 캡슐화되지 않은 니플루믹산의 분리는 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며, 니플루믹산을 함유하는 리포솜이 수득될 것이다. 캡슐화된 니플루믹산의 분석은 HPLC 및 UV-Vis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니플루믹산/지질의 평가를 UV/Vis에 의해 수행하였다. 니플루믹산의 캡슐화를 위해서 가능한 내부 값이 가장 큰 MLV(다층 라멜라 비히클), SUV(작은 단층 라멜라 비히클) 및 LUV(큰 단층 라멜라 비히클) 리포솜을 사용하였다.
MLV 리포솜내로의 캡슐화는 90% 이상인 반면, 니플루믹산 대 지질의 비는 1:55(이론치 1:50)이었다.
b) 니플루믹산의 친지성 에스테르의 캡슐화
니플루믹산의 친지성 에스테르를 리포솜의 지질 이중 층내로 캡슐화할 것이다. 캡슐화에 이용가능한 부피(이중 층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층 리포솜을 사용할 것이다. 친지성 분자의 첨가는 지질 막의 제조를 위해 상기 지질로부터 유기 용매를 휘발시키는 동안 일어날 것이다(2a 참조). 캡슐화되지 않은 약물의 분리는 약물/지질 비의 시험과 함께 겔-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처리될것이다. 상기 약물의 분석은 HPLC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c) 약물-리포솜 시스템의 물리화학적 특성화
물리화학적 변수들은 4 및 5 쪽의 1,2,3,4이다. 또한, 약물의 캡슐화에 대한 열역학적 연구를 위해서 등온 적정을 적용하였다.
이 점에 있어서, 특히 약물의 캡슐화로 인해 리포솜에서 발생하는 물리화학적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관심이 대단하다.
사용되는 기법은 단계 2에 대한 기법과 유사하다.
추가로, 등온 미세 열량측정 적정 기법을 약제 분자 캡슐화의 열역학적 연구에 적용할 것이다. 제안된 현미경 검사법의 개선은 연구 중인 리포솜 표면의 화학 조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낼 것이다. 특히 지질 이중 층 내로의 캡슐화의 경우에 유효 성분들의 <도표 작성>이 가능할 것이다.
IV. 약물 동력학적 연구
약물의 동력학적 연구는 50% 래트 혈장(생체 내)에서의 시험과 함께 완충액(생체 외)에서의 상기 약물의 방출에 대한 시험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학적 연구는 약물의 안정성을 연구하고(냉장 온도 2 ℃, 실온 25 ℃), 37 ℃에서의 상기 약물의 방출을 연구하기 위해서 시간과 관련하여 수행될 것이다.
고온 연구는 약물의 점진적인 방출을 시험하고 또한 가능한 독성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45 ℃ 및 55 ℃에서 수행될 것이다. 상기 모든 경우에, 겔-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약제를 캡슐화된 것에 대하여 통제하게 될 것이며,분석을 UV-Vis에 의해 수행할 것이다. 약물/지질의 비를 또한 측정할 것이다.
분석 방법은 하기와 같다:
a) 완충액에서의 방출 연구
TES(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 2-아미노 에탄설폰산), MES(2-[N-모르폴리노]-에탄설폰산), HEPES(N-[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설폰산.
상기는 리포솜으로부터의 물질 방출에 대한 지표이다. 리포솜으로의 상기 물질을 캡슐화한 후에, 특정한 간격으로,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동 상 에탄올-물) 및 UV-Vis를 사용하여 상기 물질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b) 피부에 대한 약물의 생체 외 방출
털없는 마우스로부터 등 피부를 얻고,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지방 조직을 제거하고, 60 초간 가열 기법에 의해 표피를 분리시킨다. 리포솜 용액을 가하고 혈청 샘플을 표준 시간 간격으로 수거하여 HPLC 방법으로 분석한다.
c) 피부로부터의 약물 흡수에 대한 생체 내 연구
또한 혈청 또는 혈장으로부터 혈액 샘플을 취하여 원심분리시킨 후에, 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고 HPLC 및 UV-Vis에 의해 측정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전체적인 흡수와 함께 피부 상, 혈 중, 체내의 상기 약물의 국소적인 농도를 일일이 나타낸다.
V. 최종 제형의 개발-품질 관리
가장 잘 흡수되는 리포솜 약물은 크림, 겔 또는 로션 형태이다. 이러한 이유로, 리포솜 생성물의 분산 및/또는 용해가 가능한 제법을 선택한다.
제조된 생성물로부터, 몇가지 기준, 예를 들어 적용 방식, 외관 및 점도를 최선의 방식으로 만족시키는 2 가지 제법을 선택한다.
2 개의 생성물을 이들의 수명을 명시하기 위해서 하기의 변수들을 연구함으로써 안정성에 대해 시험한다: 외관, pH, 점도, 고체 잔사, 유효 성분 및 보존성 측정 등. 상기 연구를 다양한 온도, 예를 들어 4, 25, 37, 45 ℃에서 냉동-해동과 같은 교대 주기로 수행한다.
선택된 생성물들을 미생물 농도에 대해서 미생물학적으로 시험한다. 보존 시스템의 효율을 입증하기 위해서 공격 시험을 또한 수행한다.
VI. 리포솜 약물의 효능
a) 약물 동력학적 연구
상기 연구를 4 항에서와 같이 수행한다, 즉 지표 결과를 위한 생체 외 연구 및 털없는 마우스에서의 생체 내 연구를 수행한다. 이후의 방법은 리포솜 샘플 대신에 최종 생성물을 피부에 직접 적용시킴을 제외하고 4 항과 동일하다. 상기 연구들을 비 리포솜 형태의 약물과 비교하였다.
선행 단계의 최종 생성물로부터, 최상의 약물 동력학적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선택하나, 상기 약물의 방출과 관련하여 상기 조성물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도 또한 가능하다.
b) 약리학적 연구
최종 선택된 생성물을 생체 내에서 그의 약리학적 성질에 대해 시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털 없는 마우스의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다.상기 염증을 프로스타글란딘 형성의 측정에 관해 시험하고, 상기와 같은 유리 라디칼의 원인 작용을 천연 산화방지성 피부 보호의 감소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피부 중의 비타민 E, 비타민 C,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과 같은 산화방지제의 감소로 나타낸다.

Claims (17)

  1. EPC(계란 포스파티딜콜린), DSPC(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DMPC(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DPPC(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HSPC(수소화된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지질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한 지질들의 혼합물과 콜레스테롤 및 세라마이드와의 배합에 의해 제조된 리포솜 중의 소염제, 니플루믹산 및 합성 에스테르로서의 그의 모든 유도체들의 캡슐화.
  2. 제 1 항에 있어서, 리포솜의 내부 지질 층 내 및 그 표면 상에서의 캡슐화.
  3. 제 1 항에 있어서, 신규 리포솜 생성물을 소염제, 류머티즘 억제제 및 진통제로서 피부, 눈, 귀 및 구강에 뿐만 아니라 관절증 및 유사한 외상 관련 질환에 국소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
  4. EPC(계란 포스파티딜콜린), DSPC(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DMPC(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DPPC(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HSPC(수소화된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지질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한 지질들의 혼합물과 콜레스테롤 및 세라마이드와의 배합에 의해 제조된 리포솜 중의 방사능표지된 니플루믹산 및 합성 에스테르로서의 그의 모든 유도체들의 캡슐화.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물의 능동적인 전달을 리포솜의 내부로 pH 구배에 의해 수행하는 캡슐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니플루믹산 및 그의 모든 합성 에스테르의 캡슐화.
  6. 피부, 눈, 귀 및 구강에 대한 국소 치료 후의 피부 염증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포솜 생성물 및 그의 제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1 내지 10에서의 약물의 용해 시험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중의 니플루믹산 및 그의 모든 합성 에스테르의 캡슐화.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4.5에서의 약물의 용해 시험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중의 니플루믹산 및 그의 모든 합성 에스테르의 캡슐화.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7.1에서의 약물의 용해 시험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중의 니플루믹산 및 그의 모든 합성 에스테르의 캡슐화.
  10. 고분해능, 정성, 정량 및 광열 기법과 같은 물리화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약물-리포솜 시스템의 물리화학적 변수들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포솜 중의 캡슐화 이후의 니플루믹산 및 그의 모든 합성 에스테르.
  11. 2 내지 55 ℃의 온도에서 마우스, 래트에 대한 생체 외/생체 내 약물 동력학적 연구를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리포솜 생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화된 니플루믹산 및 그의 모든 합성 에스테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니플루믹산을 함유하고,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액,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일 수도 있는 피부 및 경피전달용 제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니플루믹산을 함유하고, 양치액, 잇몸액, 구강점막 현탁액, 구강점막 점적제, 구강점막 겔, 잇몸 겔, 구강점막액, 양치질약일 수도 있는 경구용 제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니플루믹산을 함유하고, 눈 크림, 눈 연고, 눈 겔, 점안액, 점안 현탁액, 연장된 방출용 점안제일 수도 있는 눈 용 제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니플루믹산을 함유하고, 귀 크림, 귀 겔, 귀 연고, 귀 점적액, 귀 점적 현탁액, 귀 점적 유화액, 귀 탐폰일 수도 있는 귀 용 제형.
  17. 캡슐화된 니플루믹산을 함유하는 제 1 항에 따른 리포솜 생성물 및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형.
KR1020017008144A 1998-12-24 1999-12-22 신규의 경피 전달성 소염제인 리포솜형 니플루믹산 KR20010089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980100469 1998-12-24
GR98100469 1998-12-24
PCT/GR1999/000048 WO2000038681A1 (en) 1998-12-24 1999-12-22 Liposomic niflumic acid - new transdermal anti-inflammatory medic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889A true KR20010089889A (ko) 2001-10-12

Family

ID=1094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144A KR20010089889A (ko) 1998-12-24 1999-12-22 신규의 경피 전달성 소염제인 리포솜형 니플루믹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140089A1 (ko)
JP (1) JP2002533394A (ko)
KR (1) KR20010089889A (ko)
CN (1) CN1331592A (ko)
AU (1) AU1673400A (ko)
BR (1) BR9917006A (ko)
CA (1) CA2357765A1 (ko)
CZ (1) CZ20012240A3 (ko)
GR (1) GR1003359B (ko)
HU (1) HUP0104853A3 (ko)
IL (1) IL143499A0 (ko)
IS (1) IS5964A (ko)
MX (1) MXPA01006462A (ko)
NO (1) NO20013015D0 (ko)
PL (1) PL349344A1 (ko)
SK (1) SK7962001A3 (ko)
WO (1) WO2000038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4547B2 (ja) * 2002-11-26 2012-02-15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勾配によるリポソームへの薬物充填方法
US9028863B2 (en) 2003-04-25 2015-05-12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stemic delivery of growth arresting, lipid-derived bioactive compounds
US20050255154A1 (en) 2004-05-11 2005-11-17 Lena Pereswetoff-Morath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rhinitis
JP4791082B2 (ja) * 2005-05-30 2011-10-12 株式会社クラレ リポソームおよび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
JP4931369B2 (ja) * 2005-05-31 2012-05-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ポソームおよびそれを含む処置用の組成物
JP5846711B2 (ja) 2005-06-09 2016-01-20 メダ アーベー 炎症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US20120028335A1 (en) 2010-07-28 2012-02-02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Anti-viral azide-containing compounds
BR112013003658B1 (pt) 2010-07-28 2022-02-22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ácido graxo, carboidrato e lipídio de isoprenoide modificados com azida, uso de tais componentes e método para inibir infectividade de um vírus
KR20140129054A (ko) 2012-01-26 2014-11-06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바이러스의 감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8193A (en) * 1978-12-27 1985-07-09 A. Natterman & Cie. Gmbh Inflammation-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oral administration
EP0225162B1 (en) * 1985-11-27 1992-01-22 Ethicon, Inc. Inhibition of post-surgical adhesion formation by the topical administra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CA1320130C (en) * 1986-06-12 1993-07-13 Alan L. Weiner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liposome-encapsulate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WO1996032930A1 (en) * 1995-04-18 1996-10-24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iposome drug-loading method and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57765A1 (en) 2000-07-06
GR1003359B (el) 2000-04-10
AU1673400A (en) 2000-07-31
CZ20012240A3 (cs) 2001-11-14
MXPA01006462A (es) 2002-06-04
IL143499A0 (en) 2002-04-21
HUP0104853A2 (hu) 2002-05-29
IS5964A (is) 2001-06-08
PL349344A1 (en) 2002-07-15
CN1331592A (zh) 2002-01-16
JP2002533394A (ja) 2002-10-08
NO20013015L (no) 2001-06-18
BR9917006A (pt) 2001-10-30
SK7962001A3 (en) 2002-02-05
WO2000038681A1 (en) 2000-07-06
HUP0104853A3 (en) 2003-05-28
NO20013015D0 (no) 2001-06-18
EP1140089A1 (en)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4837B1 (de) Hautwirksame Pharmaka mit Liposomen als Wirkstoffträger
US5376379A (en) Liposomes of thermal waters stabilized in a DNA gel
DE60126072T2 (de) Auf lipiden basierende arzneistoffabgabesysteme zur topischen anwendung
PT92622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uma composicao cosmetica ou farmaceutica contendo microsferas de polimeros ou de corpos gordos carregadas com pelo menos um produto activo
JPH07309781A (ja) 皮膚の表層と深層とを同時に処置する抗ざ瘡用組成物、その用途およびざ瘡処置の方法
JP2022523422A (ja) 皮膚吸収増進のための多重層陽イオン性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89889A (ko) 신규의 경피 전달성 소염제인 리포솜형 니플루믹산
Begum et al. A Review on Emulgels-A Novel Approach for Topical Drug Delivery
DE3936328A1 (de) Pharmazeutische praeparate
AU2021206858B2 (en) Isotretinoin formulations and uses and methods thereof
Valenta et al. Influence of phloretin and 6-ketocholestanol on the permeation of progesterone through porcine skin
BRPI0714256A2 (pt) composiÇço tàpica, formulaÇço tàpica, mÉtodo para preparar uma composiÇço tàpica, mÉtodo para tratar uma condiÇço de pele, mÉtodo para tratar uma irritaÇço de pele e mÉtodo para fortalecer, firmar, rejuvenescer ou restaurar a condiÇço da pele
Sułkowski et al. Effect of temperature on liposome structures studied using EPR spectroscopy
EP1214926A1 (en) Topical composition
DK3145490T3 (en) LIPOSOMES CONTAINING DI-HOMO-GAMMA LINOLIC ACID (DGLA),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AND APPLICATION THEREOF
Paul et al. Topical liposomal gel: A new strategy of novel drug delivery
EP0571063A1 (de) Pharmazeutische Präparate
EP0458924A1 (de) Pharmazeutische präparate
Manjul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embrane Moderated Therapeutic Systems and Liposomal Systems as Carrier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Few Novel Nsaid’s
WO2002069912A1 (es) Utilización de fracciones de lanolina ricas en ceramidas para el tratamiento de la piel, y composiciones que las contienen
CARRIER Innovative Drug Dis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