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875A -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 Google Patents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875A
KR20010089875A KR1020010014815A KR20010014815A KR20010089875A KR 20010089875 A KR20010089875 A KR 20010089875A KR 1020010014815 A KR1020010014815 A KR 1020010014815A KR 20010014815 A KR20010014815 A KR 20010014815A KR 20010089875 A KR20010089875 A KR 2001008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caffeine
food
composi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치데쓰오
Original Assignee
마츠우라 야스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우라 야스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우라 야스오
Publication of KR2001008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8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지방의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에 관한 것으로, 동 조성물은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및 카페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료품에 있어서, 1식분 당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을 하이드록시 구연산 환산으로 250∼3,000mg, 카페인을 50∼200mg 함유함으로써 지방 대사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FAT METABOLISM-ACCELERATING COMPOSITION, AND FOOD AND BEVERAGE CONTAINING IT}
본 발명은 운동 시 지방의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칼로리 섭취의 증가 및 운동부족 등에 의한 칼로리 소비의 감소에 의해 여분의 칼로리가 체지방(體脂肪)으로서 축적되어 비만의 경향이 있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 칼로리를 증대시키기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은 효과적인 비만 해소법(다이어트 방법)의 하나이지만, 운동에는 운동 강도가 높고 에너지원으로서 주로 당(糖)이 소비되는 무산소 운동과, 운동 강도가 낮고 에너지원으로서 주로 지방이 소비되는 유산소 운동의 2 종류가 있으며, 지방을 소비하기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이 차지하는 비율을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건강유지를 위해서는 30분 이상의 워킹"이라는 말과 같이, 유산소 운동에 의해 지방을 소비하기 위해서는 운동 강도가 낮은 상태로 비교적 장시간 운동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되고, 어느 정도의 인내가 필요하게 되어 계속적인 실행이곤란하다.
그래서 동일한 운동량으로 보다 많은 지방을 소비할 수 있는 다이어트 음식료품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지방의 소비는 혈중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의 양에 비례하므로, 우선 운동중에 혈중 유리지방산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카페인에는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고, 혈중 유리지방산의 양을 높이는 작용이 있어, 운동 전에 카페인을 섭취하면 지방이 더욱 많이 이용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Jacques L. 등, J. Apply. Physiol., 59(3), 832-837(1985)).
또한, 가르시니아(garcinia)(가르시니아·캄보디아)는 그 과피(果皮)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드록시 구연산((-)-하이드록시 구연산(HCA), 이하 동일)이 과잉으로 섭취한 당질이 체지방으로서 축적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다이어트 음식료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의 연구에 의해 운동중에 지방 소비를 촉진한다는 것이 밝혀졌다(日本農藝化學會, 1999년도 대회 요지집, 2쪽 440D).
그러나, 기존의 카페인이나 가르시니아를 함유하는 다이어트 음식료품을 섭취하여도 지방의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즉, 혈중 유리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에 넣어짐으로써 처음으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므로, 단순히 혈중 유리지방산의 양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지방 소비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전에 섭취함으로써 동일한 운동 부하(강도및 시간)로 보다 많은 지방을 소비시킬 수 있는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extract)과 카페인을 병용하여 섭취함으로써, 운동중에 지방 소비가 예상보다 더욱 촉진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하나는,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및 카페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에 있어서는,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하이드록시 구연산 및 카페인을 질량비로 1.25∼60 : 1이 되도록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은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및 카페인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므로, 혈중 유리지방산의 양이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지방산이 효율적으로 에너지원으로서 이용되므로, 지방의 소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는 상기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료품이다.
본 발명의 음식료품에 있어서는, 1식분 당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을 하이드록시 구연산 환산으로 250∼3,000mg, 카페인을 50∼200mg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료품을 운동 전에 섭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지방을 소비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운동량으로 보다 많은 지방을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이라 함은 가르시니아(가르시니아·캄보디아, 가르시니아·인디카, 가르시니아·아트로비리디스 등)의 과피를 뜨거운 물이나 함수 알콜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진액을 말하고, 하이드록시 구연산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은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가르시니아 엑기스 S"(상품명, 日本新藥(株) 제품) 등이 있다.
카페인은 커피나 차 등에 널리 포함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추출물 등의 어느 정도 카페인이 농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카페인(추출물)은 일반에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챠노모토"(상품명, 白鳥製藥(株) 제품)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에 있어서는,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하이드록시 구연산과 카페인을 질량비로 1.25∼60 : 1이 되도록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60 : 1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 구연산과 카페인의 함유비가 상기 범위내에 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지방을 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에 의한 지방 소비의 촉진작용 기구 및 순서는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먼저, 카페인에 의해 지방의 분해가 촉진되고, 혈중 유리지방산의 양이 증가한다. 한편, 하이드록시 구연산은 그 구조가 구연산과 유사하여 체내에서 구연산의 대사와 길항(拮抗)하므로, 그것의 대사산물인 아세틸 CoA의 양이 감소한다. 아세틸 CoA의 대사산물인 말로닐 CoA는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 속으로 이행(移行)하는 것을 저해하므로, 그 전구체인 아세틸 CoA의 감소에 의해 말로닐 CoA가 감소하고, 그 결과 지방산의 미토콘드리아로의 이행이 개방되어 에너지원으로서 지방을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은 각종 음식료품, 예를 들면 음료, 젤리, 캔디, 검, 시리얼, 비스켓, 초콜렛, 햄 등에 첨가될 수 있다. 그 중에도 운동 전에 섭취하기 용이한 음식료품, 예를 들면 젤리 음료나 스포츠 음료 등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에 부형제, 감미료 등을 첨가하여 정제나 캡슐제 등으로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의 음식료품에 대한 첨가량은 1식분 당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HCA 환산)을 250∼3,000mg, 카페인을 50∼200mg 함유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HCA 환산)을 1,500∼2,000mg, 카페인을 50∼100mg 함유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CA의 함유량이 250mg 미만, 또는 카페인의 함유량이 50mg 미만이면 지방의 소비 촉진 효과가 부족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HCA의 함유량이 3,000mg을 초과하면 산미(酸味)가 강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카페인의 함유량이 200mg을 초과하면 체질에 따라서는 심장에 부담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실시예]
시험예 1
실제로 체내에서 당과 지방 중 어느 것이 에너지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는가는호기(呼氣)에 대한 가스 분석을 행하고, 호흡상(呼吸商; respiratory quotient)(RQ)을 구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로 에너지원으로서 당질(糖質)이 소비되는 무산소 운동 시에는 RQ가 1.0에 가까워지고, 에너지원으로서 주로 지방이 소비되는 유산소 운동 시에는 RQ가 0.7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RQ가 높을 때(1에 가까울 때)에는 당질이 많이 이용되고, RQ가 낮아짐에 따라 지방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건강한 남성(28세) 및 여성(24세)인 2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하였다.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HCA 함량 50질량%, 이하 동일) 1,500mg과 카페인 100mg의 혼합물을 복용하게 하고, 30분 후에 자전차형 에르고미터(상품명 "에아로바이크 EZ10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제)에 의해 맥박을 모니터하면서 65% VO2max(최대 산소 소비량)를 유지하도록 운동 부하를 30분간 부여하여 유산소 운동을 행하였다. 운동 중에 배설되는 호기는 호흡 대사 시스템(상품명 "에아로시스템 AE-10", 미나토醫科學株式會社 제)을 사용하여 전부 회수하고,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장치에 익숙해진 최후의 5분간(25∼30분)의 호기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기 식(1)∼(5)에 의해 소비 에너지에 차지하는 지방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1]
C = 4.114VCO2- 2.908VO2- 0.032 …(1)
C: 탄수화물 산화량(g)(이하 동일), VCO2: 이산화탄소 배설량(리터/ml)(이하 동일), VO2: 산소 소비량(리터/ml)(이하 동일)
[수학식 2]
F = 1.689(VO2- VCO2) - 0.024 …(2)
F: 지방 산화량(g)(이하 동일)
[수학식 3]
Ce = 4 x C …(3)
Ce: 탄수화물 이화(異化) 대사 에너지 (kcal)(이하 동일)
[수학식 4]
Fe = 9 x F …(4)
Fe: 지방 이화 대사 에너지 (kcal)(이하 동일)
[수학식 5]
운동중 소비 에너지에 차지하는 지방으로부터 유래한 에너지의 비율
= Fe / (Ce + Fe) x 100 …(5)
또, 아무것도 섭취하지 않은 경우(대조),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1,500mg)을 단독으로 섭취한 경우, 및 카페인(100mg)을 단독으로 섭취한 경우에 관하여, 각각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하고, 소비 에너지에 점하는 지방으로부터 유래한 에너지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남성 여성
대조 19.1±3.2% 15.6±3.9%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단독 30.6±4.3% 24.1±1.8%
카페인 단독 25.3±1.9% 18.9±0.6%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및카페인 병용 41.4±2.5% 31.0±4.0%
평균치 ±표준편차(n=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남녀 공히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과 카페인을 병용하여 섭취한 경우, 각 성분을 단독으로 섭취하는 것에 비해 소비 에너지에 점하는 지방의 비율(%)이 상승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성에 있어서,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을 단독으로 섭취한 경우의 소비 에너지에 차지하는 지방 유래 에너지의 비율이 대조에 비해 증가된 양 A1은 11.5%이다. 또, 동 남성의 카페인을 단독으로 섭취한 경우의 소비 에너지에 차지하는 지방 유래 에너지의 비율이 대조에 비해 증가된 양 B1은 6.2%이다. 이에 반하여, 동 남성의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과 카페인을 병용한 경우의 소비 에너지에 차지하는 지방 유래 에너지의 비율이 대조에 비해 증가된 양 C1은 22.3%이다. 따라서, C1 > A1 + B1이 되어 두 가지를 병용함으로써 예상보다 높은 효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성에 관하여 검토하면,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을 단독으로 섭취한 경우의 소비 에너지에 점하는 지방 유래 에너지의 비율이 대조에 비해 증가된 양 A2는 8.5%이다. 또, 동 여성의 카페인을 단독으로 섭취한 경우의 소비 에너지에 점하는 지방 유래 에너지의 비율이 대조에 비해 증가된 양 B2는 3.3%이다. 이에 반하여, 동 여성의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과 카페인을 병용한 경우의 소비 에너지에 점하는 지방 유래 에너지의 비율이 대조에 비해 증가된 양 C2는 15.4%이다. 따라서, C2> A2 + B2가 되어, 두 가지를 병용함으로써 예상보다 높은 효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젤리 음료)
표 2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각 원료를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리 음료(200ml/포)를 조제하였다.
[표 2]
원료 배합량 (200ml/포)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1.50g
카페인(추출물) 0.10g
말토덱스트린 3.00g
환원 맥아당 물엿 2.70g
과당 2.00g
겔화제 1.80g
농축과즙 1.00g
구연산나트륨 0.75g
감미료(L-페닐알라닌 화합물) 0.03g
향료 0.20g
정제수 186.92g
실시예 2(청량음료수)
표 3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각 원료를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청량음료수(350ml/개)를 조제하였다.
[표 3]
원료 배합량 (350ml/개)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1.50g
카페인(추출물) 0.10g
말토덱스트린 9.00g
환원 맥아당 물엿 5.00g
과당 3.50g
농축과즙 3.50g
구연산나트륨 0.70g
감미료(L-페닐알라닌 화합물) 0.08g
향료 0.40g
정제수 326.22g
실시예 3(정제(錠劑))
표 4에 나타낸 배합 비율로 각 원료를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300mg/정)를 조제하였다.
[표 4]
원료 배합량 (3050mg/정)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210.0mg
카페인(추출물) 16.7mg
환원 맥아당 물엿 15.0mg
파라티니트 9.0mg
결정 셀룰로스 27.0mg
발효유 파우더 7.5mg
올리고당 에스테르 12.0mg
향료 1.5mg
감미료(L-페닐알라닌 화합물) 1.3m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과 카페인을 병용함으로써 지방을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전에 그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료품을 섭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지방을 소비시킬 수 있고, 동일한 운동량으로 더욱 많은 지방을 소비할 수 있다.

Claims (4)

  1.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津液; extract) 및 카페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하이드록시 구연산 및 카페인을 질량비로 1.25∼60 : 1이 되도록 함유하는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4. 제3항에 있어서,
    1식분 당 가르시니아 추출 진액을 하이드록시 구연산 환산으로 250∼3,000mg, 카페인을 50∼200mg 함유하는 음식료품.
KR1020010014815A 2000-03-24 2001-03-22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KR20010089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84094 2000-03-24
JP2000084094A JP4122121B2 (ja) 2000-03-24 2000-03-24 脂肪代謝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875A true KR20010089875A (ko) 2001-10-12

Family

ID=1860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15A KR20010089875A (ko) 2000-03-24 2001-03-22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22121B2 (ko)
KR (1) KR200100898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706A (ja) * 2004-03-19 2005-09-29 Combi Corp 脂肪代謝促進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JP5345778B2 (ja) * 2004-04-27 2013-11-20 ラジェンドラン,ラムズワーミー 肥満、肥満に関連する障害、および他の障害の治療/管理におけるプレグナン配糖体の使用
AU2005240125A1 (en) * 2004-04-30 2005-11-17 New Hc Formulations Ltd. Weight loss composition and method of inducing weight loss
FR2938731B1 (fr) * 2008-11-21 2010-11-12 Holymark Composition nutritive pour sportifs destinee a etre absorbee avant un exercice phys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22121B2 (ja) 2008-07-23
JP2001258506A (ja)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133B1 (ko) 탄수화물 및 전해질 보충 조성물
Patil et al. Lactitol, a new hydrogenated lactose derivative: intestinal absorption and laxative threshold in normal human subjects
US9872871B2 (en) Compositions for use in restoring muscle glycogen and/or muscle mass
EP3850954A1 (en) Anti-aging agent and anti-aging method
WO2013078658A1 (en) Morus berries and avoiding glucose peaks
KR102107387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CN112369606A (zh) 一种低碳的生酮食品及其制备方法
CN111032037A (zh) 含山奈酚类似物的组合物
US20030104107A1 (en) Energy drink formula and method
KR20070113460A (ko) 체중조절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21145B1 (ko) L-카르니틴 구연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배변촉진 겸용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20010089875A (ko) 지방 대사촉진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료품
KR20010103065A (ko) 식이섬유 함유 다이어트 조성물
US902888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angover
RAO et al. Biologic effects of chronic ethanol consumption related to a deficient intake of carbohydrates
US4273794A (en) Composition containing honey
JP5192105B2 (ja) レムナントリポ蛋白低減剤及び機能性食品
JP2005263706A (ja) 脂肪代謝促進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US7371415B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sexual fitness
KR102156880B1 (ko)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01269135A (ja) 体タンパク質蓄積効率を亢進する栄養組成物
JP2002306130A (ja) 肥満予防改善飲食品
KR102226434B1 (ko) 장 운동을 촉진하는 혼합야채분말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 건강 개선용 분말식품 조성물.
KR20050115017A (ko)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413787B (zh) 一种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