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710A - 펜타플루오로프로판과 디클로로 트리 플루오로에탄을포함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펜타플루오로프로판과 디클로로 트리 플루오로에탄을포함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710A
KR20010089710A KR1020017008158A KR20017008158A KR20010089710A KR 20010089710 A KR20010089710 A KR 20010089710A KR 1020017008158 A KR1020017008158 A KR 1020017008158A KR 20017008158 A KR20017008158 A KR 20017008158A KR 20010089710 A KR20010089710 A KR 2001008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olant
azeotropic
blowing agent
trifluoro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비드폴 윌슨
라지브라트나 싱
이안 로버트 생크랜드
Original Assignee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 로저 에이치, 알라이드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스 로저 에이치
Publication of KR2001008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 C09K5/045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3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08J2207/04Aerosol, e.g. polyurethane foam spr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2Hydrocarbons
    • C09K2205/12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32The mixture being azeotrop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과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으로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냉각제, 에어로졸 추진제, 중합체 포움용 취입제, 열 전달 매체, 기체 절연체 및 용매로 사용하기에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펜타플루오로프로판과 디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한 조성물{COMPOSITIONS OF PENTAFLUOROPROPANE AND DICHLOROTRIFLUOROETHANE}
플루오로카본계 유체는 산업계에서 냉각제, 에어로졸 추진제, 취입제, 열 전달 매체 및 기체 절연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적용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몇몇 유체의 사용과 관련하여 의심되는 환경적 문제로 인해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s") 및/또는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s")과 같은 보다 적은 오존 파괴 문제가 보다 적은 유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CFC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CFC대신에 HCFC를 함유하는 유체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혼합물이 비등 및 증발시 분별되지않는 단일 성분 유체나 공비 혼합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비물 형성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때문에, 새롭고 환경적으로 안전한 공비 혼합물을 식별하는 것은 복잡하다.
이 분야에서는 CFC 및 HCFC에 대한 대체물을 제공하며 환경적으로 안전한 새로운 플루오로카본 기초 혼합물을 찾고있다. 특히 관심있는 것은 모두 낮은 오존 파괴 문제점을 갖는 플루오로카본과 하이드로클로로카본을 함유하는 혼합물들이며, 이러한 혼합물들이 본 발명의 대상이다.
본 발명은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HFC-245fa")과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HCFC-123")의 혼합물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냉각제로서, 원심 냉각기에 그리고 에어로졸 추진제(aerosol propellants), 미터 도즈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s), 소화제, 중합체 포움용 취입제, 열 전달 매체, 기체 절연체 및 용매로 사용하기에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HFC-245fa과 HCFC-123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HFC-245fa 및 HCFC-123의 공비성 및 비-공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HFC-245fa 및 HCFC-123은 각각 0 및 매우 낮은 오존 파괴 문제점을 갖기때문에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재 사용되는 CFC 및 HCFC에 대하여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HFC-245fa 또는 HCFC-123 단독 보다 우수한 CFC 및 HCFC 대체물을 형성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화는 유효량의 HFC-245fa 및 HCFC-123를 포함하는 공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효량"은 다른 성분과 조합시 공비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각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은 15℃±2℃의 비등점, 바람직하게 760mm에서 15℃±1℃의 비등점을 갖고, 바람직하게 HFC-245fa 약 90-99중량% 및 HCFC-123 약 10-1중량%으로된 공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보다 바람직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수치 범위는 용어 "약"이 선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분 바람직함(중량%) 보다 바람직함(중량%) 가장 바람직함(중량%)
HFC-245fa 90-99 94-99 97-99
HCFC-123 10-1 6-1 3-1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공비성 조성물은 공비혼합물들과 같이 작용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원리로, 유체의 열역학적 상태는 압력, 온도, 액체 조성 및 증기 조성으로 정의된다. 공비 혼합물은 액체 조성과 증기 조성이 동일한 상태 압력 및 온도를 갖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성분들의 시스템이다. 실제로, 이것은 공비 혼합물의 성분들이 일정한 비등을 가지며 상 변이도중에 분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공비성 조성물은 공비혼합물과 같이, 즉 일정하게 비등한 또는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비등한다. 다시말하면, 공비성 조성물에 대하여, 가열 또는 증발 도중에 형성된 증기 조성물은 본래 액체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가열 또는 증발로 인한 액체 조성물의 변화는 만일 있다면 단지 최소이거나 무시해도 좋은 범위인 것이다. 이것은 비-공비성 조성물이 가열 또는 증발도중에 본질적인 정도로 액체 조성이 변하는 것과는 대조되는 것이다. 표시된 범위 뿐만아니라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는 특정 조성물을 갖는 본 발명의 모든 공비성 조성물은 공비성이다.
본 발명의 공비성 조성물은 새로운 공비성 혼합물 또는 공비성 시스템을 형성하지않는 부가적인 성분들 또는 첫번째 증류 컷내에 존재하지 않는 부가적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증류 컷은 증류 컬럼이 총 환류 조건하에서 안정한 상태의 작용을 나타낸 후 취해진 첫번째 컷이다. 성분의 첨가가 새로운 공비혼합물 또는 공비성 시스템을 형성하여 본 발명을 벗어나게되는지 조사하는 한 방법은 비공비혼합물이 그 분리 성분들로 분리되는 것으로 기대되는 조건하에서 상기 성분들을 갖는 조성물의 시료를 증류하는 것이다. 만일 부가적인 성분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비공비혼합물 또는 비공비성인 경우, 상기 부가적인 성분은 상기 공비혼합물 또는 비공비성 성분들로 부터 분별될 것이다. 만일 상기 혼합물이 공비성인 경우, 첫번째 증류 컷의 일부 한정된 양이 얻어질 것이며 이는 일정한 비등 또는 단일 물질로 기능을 나타내는 상기 혼합물 성분들의 모두를 함유할 것이다.
이에 후속하여 또 다른 특성의 공비성 조성물이 얻어지며 이는 공비성이거나 일정한 비등을 갖는 다른 비율의 동일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모든 조성물은 "공비성" 및 "항 비등"의 용어로 다뤄진다. 일예로, 다른 압력에서 주어진 공비혼합물의 조성물은 적어도 그 조성물의 비등점이 나타내는 것과 적어도 미미하게 달라질 것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A와 B의 공비혼합물은 동일한 타입의 관련성을 나타내지만, 온도 및/또는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조성을 갖는다. 공비성 조성물에 대하여, 비율이 다른 동일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공비성 조성물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모든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공비성으로 다뤄진다.
본 명세서의 다른 구체화로, 조성물이 HFC-245fa 및 HCFC-123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는 20℃에서 약 18-19psia의 증기압을 갖는 비공비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HFC-245fa 약 90-99중량% 및 HCFC-123a 약 10-1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보다 바람직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한 조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수치 범위는 용어 "약"이 이 선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성분 바람직함(중량%) 보다 바람직함(중량%) 가장 바람직함(중량%)
HFC-245fa 90-99 94-99 97-99
HCFC-123 10-1 6-1 3-1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낮은 오존 파괴성을 가지며 그린하우스 지구 온난화에 무시할 정도로 기여하며, 비가연성이며 그리고 적절한 압축기 배출 온도를 갖는 CFC/HCFC 혼합물에 요구되는 사항에 부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HFCfa 또는 HCFC-123 단독물과 같은 유체에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냉각 능력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공비성 조성물은 그 액체 혼합물이 증발되는 경우 일정한 증기압 특성 및 상대적으로 적은 조성 변환을 나타내기때문에, 본 발명의 공비성 조성물은 일정한 비등 단일 성분 냉각제 또는 공비혼합물 냉각제와 비교할 만 하다.
공정 구체화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공비성 또는 비-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냉각제를 응축시키는 단계 및 그후, 냉각되어지는 물체(body) 주변의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각 형성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공정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열되어지는 물체 주변의 본 발명의 공비성또는 비-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냉각제를 응축시키는 단계 및 그후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화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심 냉각기에 사용될 수 있다. "원심 냉각기"는 냉각제를 압축시키는 원심 압축에 사용되는 냉각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공비성 또는 비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냉각제를 압축시키는 단계 및 그후 냉각되어지는 물체 주변의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심 압축기를 이용하는 냉각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구체화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 가소된 수지와 본 발명의 공비성 또는 비-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성 취입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포우밍을 일으키기기위해 상기 수지/휘발성 취입제 혼합물을 보다 낮은 기압의 영역내로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움 형성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공정 구체화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 형성 방법에 사용된다. 상기 어느 방법은 "Polyurethanes Chemistry and Technology," Volumes I and II, Saunders and Frisch, 1962,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법은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의 혼합물, 취입제 또는 취입제들의 혼합물 및 촉매, 계면활성제 및 임의로 가소 방염제, 착색제 또는 다른 첨가제들과 같은 이외 물질들을 혼합함으로써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취입제 또는 사용된 시약들은 본 발명의 공비성 또는 비공비성 조성물의 휘발성 혼합물이 될 것이다.
다수의 적용에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에 대한 성분들은 예비혼합된 배합물로 제공하는 것이 편리하다. 가장 전형적으로, 상기 포움 형성 배합물은 두 성분으로 예비혼합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및 임의의 특정 계면활성제들 및 취입제들은 보통 "A"성분이라고 칭하는 제1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 또는 폴리올 혼합물, 계면활성제, 촉매, 취입제, 가소 방염제 및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성분들은 보통 "B"성분이라고 칭하는 제2성분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들은 상기 A 및 B 부 성분들을 소량인 경우 손으로 혼합하거나 블록, 슬래브, 라미네이트, 포어-인-플래이스 패널(pour-in-place panels) 및 다른 아이템들, 분무 적용 포움, 포말(froths) 등인 경우 기계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함께 혼합함으로써 쉽게 제조된다. 임의로, 방염제, 착색제, 보조 취입제, 물 및 다른 폴리올과 같은 다른 성분들이 상기 혼합 헤드 또는 반응 사이트에 제3 스트림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열가소성 포움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포움 폴리우레탄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배합물들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상기 공비성 또는 비공비성 조성물과 혼합되어 단단한 포움을 제조할 수 있다.
HFC-245fa로 팽창된 포움들은 낮은 상대 초기 및 성장 열 전도성 및 저온에서 우수한 범위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발견되기때문에 HFC-245fa를 함유하는 공비성 및 비공비성 혼합물들은 특히 포움 취입제로 적절하다. 이중에서 특히 관심있는 것은 HFC-245fa 및 이외에 0 또는 낮은 오존 고갈 HFC 및/또는 HCFC를 함유하는 혼합물들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열 전달 유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냉각 시스템에서 특정 온도로 상기 시스템을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원하는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열의 부가 또는 제거를 필요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열 전달 유체를 함유하는 제2 가열 루프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열 전달 유체는 순환의 일부에서 열을 흡수하며 그리고 그 열이 감지가능한 경우 상태를 변화시키지않은채로 또는 그 열이 잠재적인 경우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그 열을 또 다른 부분의 순환으로 전달한다.
또 다른 구체화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분무가능한 조성물에 단독 또는 알려진 추진제와 혼합하여 추진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무가능한 조성물은 분무되는 물질을 필수적으로 그리고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리고 본 발명의 혼합물 또는 조성물을 필수적으로 그리고 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포함하는 추진제를 포함한다. 불활성 성분들, 용매들 및 이외 물질들이 또한 상기 분무가능한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무가능한 조성물은 에어로졸이다. 분무되는 적절한 물질들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탈취제, 향수, 헤어 스프레이, 세정제 및 광택제와 같은 화장품 재료 뿐만 아니라 항-천식제 및 입냄새방지 약품과 같은 의약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과 기질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질의 표면으로 부터 오염물을 용해시키거나 제거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화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 및 혼합물들은 또한 소화제(fireextinguishing agent)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들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거나 또는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알려진 재료들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분들은 그 시스템의 특성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않도록 충분히 고 순도이다.
필요한 경우 부가적인 성분들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성들을 맞추는데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냉각제로 사용되는 경우에 오일 용해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상부에 콘덴서를 갖는 진공-재킷 튜브로 이루어진 에뷸리오미터(ebulliometer)를 사용하였다. HFC-245fa 약 11.3g을 상기 에뷸리오미터에 장입하고 HCFC-123을 적은, 측정된 증분(increments)으로 첨가하였다. 백금 저항 온도계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HCFC-123 약 0-0.8중량% 조성물의 비등점은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이 범위에서 항-비등 조성물로서 비등된다.
실시예 2
상부에 콘덴서를 갖는 진공-재킷 튜브로 이루어진 에뷸리오미터(ebulliometer)를 사용하였다. HFC-245fa 약 16.7g을 상기 에뷸리오미터에 장입하고 HCFC-123을 적은, 측정된 증분(increments)으로 첨가하였다. 백금 저항 온도계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HCFC-123 약 0-1.7중량% 조성물의 비등점은 단지 0.02℃ 변하였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이 범위에서 항-비등 조성물로서 비등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HFC-245fa와 HCFC-123의 항-비등 혼합물이 HFC-245fa 또는 HCFC-123 단독에 비하여 특정한 장점을 가짐을 입증한다. 특정 가동 조건에서 냉각제의 이론적 성능은 표준 냉각 순환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냉각제의 열역학적 특성들로 부터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C. DowningFluorocarbon Refrigerants Handbook, Prentice Hall(1988) 참조. 성능의 상관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는 냉각제의 증발 또는 응축과 관련된 특정 가열 또는 냉각 순환에서 냉각제의 상대적인 열역학적 효율을 나타내는데 매우 유용한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척도이다. 이 용어는 증기 압축에서 압축기에 적용된 에너지에 대한 유용한 냉각 비율을 나타낸다. 냉각제의 능력은 그 냉각제의 체적 효율을 나타낸다. 이 값은 냉각제의 주어진 체적 흐름 속도에 대한 열의 량을 펌프하는 압축기의 능력을 나타낸다. 즉, 주어진 특정 압축기, 보다 높은 능력을 갖는 냉각제는 보다 우수한 냉각 또는 가열 력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계산은 상기 콘덴서 온도는 110°F 및 상기 증발기 온도는 35℃인 에어 컨디셔닝 순환에 대하여 수행된다. 압축 효율 85%, 과열 20°F 및 서브쿨링 10°F 로 추정하였다. 계산은 HFC-245fa 및 HCFC-123의 여러 조합으로 그리고 단독 성분들로서 HFC-245fa 및 HCFC-123으로 수행하였다. 표 3은 HFC-245fa 및 HCFC-123와 관련된 본 발명의 조성물의 COP 및 능력을 나타낸다.
열역학적 성능
냉각제 COP 능력(cfm)
HCFC-123 4.85 540
HFC-245fa/HCFC-123(99/1중량%) 4.76 833
HFC-245fa/HCFC-123(97/3중량%) 4.76 833
HFC-245fa/HCFC-123(94/6중량%) 4.77 831
HFC-245fa/HCFC-123(90/10중량%) 4.77 829
HFC-245fa 4.70 812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순수 성분 HFC-245fa 또는 HCFC-123에 비하여 냉각 능력에서 우수하며 COP는 상당하다.
실시예 4
표 2에 주어진 상기 공비성 조성물 각각 40g을 Dow 스티렌 685D를 함유하는 별도의 밀봉된 200cc 용기에 장입하였다. 상기 용기를 250°F 오븐에 밤새방치하였다. 24시간후, 상기 용기들은 오븐에서 제거되어 신속히 감압되었다. 그 결과물인 포움들은 조사되어 우수한 품질로 발견되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배출) 인쇄된 배선판 및 인쇄된 배선 조립체들을 세정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공비성 조성물의 용도를 나타낸다. 상업용 로진 기초 플럭스 즉, Kenco 885(Kenco Industries, Inc.에 의해 제조됨)가 이 시험에 사용된다.
플럭스 및 후속적인 세정에 1"×2.25" 크기로 잘려진 FR-4 에옥시 쿠폰들이 본 실험에 사용된다. 플럭싱전에 모든 시료들은 예비세정되어 플럭싱전 오염 수준을 매우 낮게하는 것을 확실히 한다. 오염은 전도성 브릿지를 사용하여 보오드의 인치제곱당 세척액의 전도성(염화 나트륨의 등가 마이코그램으로)을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참조 미국 특허 제 4,816,175). 이 기술을 이용하여 염화나트륨 등량 0.05 또는 그 미만의 마이코그램으로 예비세정된 모든 시료들을 측정한다.
Kenco 885 플러스의 측정된 양은 상기 각 쿠폰에 적용된다. 상기 쿠폰들은 공기 건조되고 90℃에서 5분동안 건조되고 230℃에서 1분동안 구어진다. 이 방법은 Hollis 웨이브 솔더 기계를 모방하는 것이다. 건조 공정후에 상기 보오드에 잔류하는 이온성 물질의 양은 웨이브 솔더 기계에서와 동일한 순위의 등급이다.
그 다음 이들 플럭스된 쿠폰들은 2분동안 상기 비등 용매에서 세정되고, 이후 상기 양의 이온은 75/25중량%의 물/이소프로판올(IPA) 혼합물에 24시간동안 세척된다. 상기 물/IPA의 전도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된다.
세정 연구 결과 본 발명의 상기 용매(245fa/123) 혼합물들은 245fa 단독보다 효율적으로 이온성 불순물들을 제거함을 나타낸다.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 및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냉각제, 중합체 포움용 에어로졸 추진제, 열 전달 매체, 가스성 절연체 및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

Claims (22)

  1. 유효량의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 및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비등점이 760mmHg에서 약 15℃±2℃인 공비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 약 99-90중량% 및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약 1-10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 약 99-94중량% 및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약 1-6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 약 99-97중량% 및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약 1-3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20℃에서 약 18-19psia의 증기압을 갖는,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 및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1,1,1,3,3-펜탄플루오로프로판 및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냉각제를 응축시키는 단계 및 그 후 냉각되어지는 물체 주변에서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각 방법.
  8. 제 5항 또는 6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냉각제를 응축시키는 단계 및 그 후 냉각되어지는 물체 주변에서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각 방법.
  9. 가열되어지는 물체 주변에서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상기 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냉각제를 응축시키는 단계 및 그 후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형성 방법.
  10. 가열되어지는 물체 주변에서 제 5항 또는 6항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냉각제를 응축시키는 단계 및 그 후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형성 방법.
  11.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상기 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성 취입제의 존재하에서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형성할 성분 혼합물을 반응 및 포우밍시킴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 제조 방법.
  12. 제 5항 또는 6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성 취입제의 존재하에서 반응하여 폴리우레탄과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형성할 성분 혼합물을 반응 및 포우밍시킴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 제조 방법.
  13. 폴리올과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상기 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취입제의 예비혼합물.
  14. 폴리올과 제 5항 또는 6항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취입제의 예비혼합물.
  15. 열 가소화된 수지와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상기 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성 취입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포우밍을 일으키기위해 상기 수지/휘발성 취입제 혼합물을 보다 낮은 압력 영역내로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움 형성 방법.
  16. 열 가소화된 수지와 제 5항 또는 6항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성 취입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포우밍을 일으키기위해 상기 수지/휘발성 취입제 혼합물을 보다 낮은 압력의 영역내로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움 형성 방법.
  17. 물체로 또는 물체로 부터 열을 전달하도록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상기 공비성 조성물을 상기 물체 주변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물체의 가열 또는 냉각 방법.
  18. 물체로 또는 물체로 부터 열을 전달하도록 제 5항 또는 6항의 상기 조성물을 상기 물체 주변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물체의 가열 또는 냉각 방법.
  19. 냉각제를 압축시키는 단계 및 그 후 냉각되어지는 물체 주변에서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제는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상기 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를 이용한 냉각 형성 방법.
  20. 냉각제를 압축시키는 단계 및 그 후 냉각되어지는 물체 주변에서 상기 냉각제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제는 제 5항 또는 6항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압축기를 이용한 냉각 형성 방법.
  21. 추진제 및 분무되어지는 물질들을 포함하며, 상기 추진제는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의 상기 공비성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조성물.
  22. 추진제 및 분무되어지는 물질들을 포함하며, 상기 추진제는 제 5항 또는 6항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조성물.
KR1020017008158A 1998-12-24 1999-12-21 펜타플루오로프로판과 디클로로 트리 플루오로에탄을포함한 조성물 KR20010089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68798P 1998-12-24 1998-12-24
US60/113,687 1998-12-24
US09/468,399 1999-12-20
US09/468,399 US6362153B1 (en) 1998-12-24 1999-12-20 Compositions of pentafluoropropane and dichlorotrifluoroethane
PCT/US1999/030411 WO2000039243A1 (en) 1998-12-24 1999-12-21 Compositions of pentafluoropropane and dichlorotrifluoroeth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710A true KR20010089710A (ko) 2001-10-08

Family

ID=2681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158A KR20010089710A (ko) 1998-12-24 1999-12-21 펜타플루오로프로판과 디클로로 트리 플루오로에탄을포함한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62153B1 (ko)
EP (1) EP1144538B1 (ko)
KR (1) KR20010089710A (ko)
AT (1) ATE233304T1 (ko)
AU (1) AU2201100A (ko)
CA (1) CA2356521A1 (ko)
DE (1) DE69905617T2 (ko)
ES (1) ES2191490T3 (ko)
WO (1) WO2000039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2476A1 (en) * 2001-09-21 2004-06-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US7478541B2 (en) * 2004-11-01 2009-01-20 Tecumseh Products Company Compact refrigeration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levels of cooling
WO2014117014A2 (en) * 2013-01-25 2014-07-31 Trane International Inc. Refrigerant additives and compositions
CN103694962A (zh) * 2013-12-31 2014-04-02 淄博桑特动力设备有限公司 汽轮机有机混合工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357A (en) 1991-10-31 1994-03-22 Idemitsu Kosan Co, Ltd. Method for lubricating compression type refrigerating system
JPH05239251A (ja) 1991-11-18 1993-09-17 Daikin Ind Ltd フルオロプロパンからなる発泡剤およびプラスチック発泡体の製造方法
US5447646A (en) 1993-11-12 1995-09-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s of 2,2-dichloro-1,1,1-trifluoroethane and pentafluoropropane
US5565497A (en) * 1995-12-07 1996-10-15 The Celotex Corporation Dispersant for filled, rigid cellular polymers
US5683974A (en) 1996-06-20 1997-11-04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1,3,3-pentafluoropropane and C1 -C3 alcohols for cleaning
US5688833A (en) * 1996-07-11 1997-11-18 Alliedsig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 1 1 3 3-pentafluoropropane and 1 1-dichloro-1-fluoroethane
MY115694A (en) * 1996-09-09 2003-08-30 Asahi Glass Co Ltd Fluorine- containing hydrocarbo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62153B1 (en) 2002-03-26
ATE233304T1 (de) 2003-03-15
WO2000039243A1 (en) 2000-07-06
ES2191490T3 (es) 2003-09-01
CA2356521A1 (en) 2000-07-06
DE69905617D1 (de) 2003-04-03
AU2201100A (en) 2000-07-31
EP1144538A1 (en) 2001-10-17
EP1144538B1 (en) 2003-02-26
DE69905617T2 (de)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8176B2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tetrafluoropropene and pentafluoropropene
US7825081B2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tetrafluoropropene and hydrofluorocarbons
JP2006503961A (ja) ペンタフルオロプロペンに基づく組成物
US20110147638A1 (en) Azeotropic and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z-1,1,1,4,4,4-hexafluoro-2-butene, trans-1,2-dichloroethylene, and cyclopentane
JP2015227467A (ja) Z−1,1,1,4,4,4−ヘキサフルオロ−2−ブテンの共沸および共沸混合物様組成物
JP3369559B2 (ja) ジフルオロメタンと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の組成物
US6557359B1 (en) Process for heating or cooling using mixtures of pentafluoropropane and a hydrofluorocarbon having 3 to 6 carbon atoms
US8623233B2 (en) Azeotropic and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Z-1,1,1,4,4,4-hexafluoro-2-butene, trans-1,2-dichloroethylene, and 1,1,1,3,3-pentafluorobutane
JP2005520884A (ja) 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組成物
WO2005123868A1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pentafluoropropane, methanol and dichloroethylene
EP1144538B1 (en) Compositions of pentafluoropropane and dichlorotrifluoroethane
US5562855A (en) Octafluorobutane compositions
JPH05503099A (ja) 1,2―ジフルオロエタンおよびジクロロトリフルオロエタンの共沸混合物様組成物
JP2006526700A (ja) 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及びクロロプロパンの共沸様組成物
US6423757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foam using mixtures of pentafluoropropane and a hydrofluorocarbon having 3 to 6 carbon atoms
JPH08503461A (ja) ジフルオロメタン、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および1,1,1−トリフルオロエタンからなる共沸様組成物
US20030218149A1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tetrafluoroethane and chlorodifluoroethane
WO1998037164A1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pentafluoropropane and tetrafluoroeth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