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408A - 대장암 조기발견 선별시험 - Google Patents

대장암 조기발견 선별시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408A
KR20010089408A KR1020017005707A KR20017005707A KR20010089408A KR 20010089408 A KR20010089408 A KR 20010089408A KR 1020017005707 A KR1020017005707 A KR 1020017005707A KR 20017005707 A KR20017005707 A KR 20017005707A KR 20010089408 A KR20010089408 A KR 20010089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cus
sample
cancer
reagent
co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리 제이 크레핀스키
초시에즈자섹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크레핀스키, 지리, 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크레핀스키, 지리, 제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riority claimed from PCT/CA1999/001034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28329A1/en
Publication of KR2001008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9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col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46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stomach or intest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0Oxygen containing
    • Y10T436/200833Carbonyl, ether, aldehyde or ketone cont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장 또는 직장의 종양이나 암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환자의 직장으로부터 대장 점액의 샘플을 채취하는 단계 및 12-20 탄소 원자 특히, CH3(CH2)14CHO 및 CH3(CH2)16CHO를 포함하여 긴 사슬 지방족 알데히드 및 플라스마로겐-결합 전구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표시의 존재를 발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방법은 쉬프(Schiff) 시약으로 상기 샘플을 치유하고 상기 치료에 의해 상기 샘플에서 약 550-590nm로 발생된 정색을 토대로 직장 또는 결장의 종양이나 암을 발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이당류 표지물 β-D-Gal(1-3)-D-GalNAc(α1-Thr/Ser) 및 D-갈락토스 및/또는 2-아세트아미드-2-디옥시-D-갈락토스를 함유하는 단당류 표지물을 발견하기 위해 효소를 첨가하는 단계가 필요없다.

Description

대장암 조기발견 선별시험{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대장암은 남성 및 여성에 있어 두 번째로 빈번한 암 치사의 원인으로서 북미에 있어 모든 악성종양 관련 사망의 거의 삼분의 일의 원인이 된다. 궁극적으로는 캐나다인 및 미국인의 6%나 되는 많은 사람이 하부 장에서 악성종양을 일으킬 것이고 그들의 50% 이상이 진단 받은지 5 년 이내에 사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많은 권위자들은, 일단 암이 장의 벽을 넘어 퍼지면 치유율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 전망이 없기 때문에(1) 대장암은 오직 예방 조치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일차적 예방, 즉 생물학적 위험 인자를 변경시킴에 의해 종양의 발육을 방지하는 방법은 이 병의 병인학에 관해서는 거의 이해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아직 시행 가능하지 않다. 또는, 이차적 예방 조치, 즉 무증후성의 치료 가능 상태에서의 검출은 유효한 선별 시험(스크리닝 시험)을 이용할 수 있다면 가능할 것이다.실로, 하부 장의 신생물은, 이것을 선별 시험의 진전을 위한 적당한 후보가 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ⅰ)이들 신생물은 암 관련 사망의 공통 원인이고, (ⅱ)한편 진정한 암 단계에 일단 도달하고 증상을 보이면 치사율은 50%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신생물의 최초 무증후 단계에서의 장의 신생물의 제거는 그다지 위험 없이 비 외과적 내시경 폴리펙토미(폴립의 외과적 절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더욱이, 선종형 폴립이 암 단계에 이르기까지에는 적어도 4 내지 6 년이 걸리기 때문에 이들 신생물을 그들의 치료 가능 단계에서 검출할 기회는 충분히 있다. 최근의 임상 연구는, 이들 이론적 고려에 의해 예측되는 바와 같이, 대장암 선별의 결과로 치사율이 감소하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최신의 문제점은 내시경만에 의해 폴립을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대장암은 선별 프로그램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는, 다음의 세 가지 질병 기준을 하나 하나 만족한다. 첫째는, 대장암은 비교적 공통적(흔히 있는) 조건인데 결과는 심각하다는 점이다. 둘째는, 초기에 검출되면 치유적 치료를 얻을 수 있는 것, 즉 결장경을 통한 계제 폴리펙토미 또는 외과적 부분 장 적출에 의해 치유될 수 있다. 셋째는 이환율이 충분히 높기 때문에 선별 프로그램의 비용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2).
선별의 원리
의학적 선별 프로그램의 목표는 치유적 치료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초기에 질병을 검출함으로써 이병율 및 치사율을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이 목표는 꼭 질병을 진단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무증후적이고 병이 없는 것 같아 보이는 어떤 개인이일부러 진단을 받아야 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 이상의 평가를 받을 필요가 있는 사람들을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구별할 수 있는 선별 시험의 능력은 역학적 용어로 표현된다. "민감도"라는 용어는 양성 시험을 보이는 이병 개인들의 비율, 즉 병을 가진 모든 사람들에 대한 진정한 양성자의 비로서 정의된다. "특이도"은 음성 시험을 보이는 무병 피험자의 비율, 즉 병이 없는 사람들에 대한 진정한 음성의 비이다. "양성 예측도"라는 용어는 질병으로 인한 양성 시험자의 비율, 즉 모든 양성자에 대한 진정한 양성자의 비이다. 거의 언제나, 민감도와 특이도는 서로 교환(대응)될 수 있어야 한다. 직관적으로는, 가급적 많은 이병자들을 검출하기 위해서, 민감도를 최적화(최대화)하도록 치사 질병 선별 시험을 설계하는 것이 현명한 것 같다. 그러나 민감도를 최대화하면, 엄청나게 높은 비용, 불량한 일치성, 그리고 진단 설비의 "홍수"가 야기될 정도로 특이도가 감소할 우려가 생긴다는 점을 강조해야 할 것 같다. 더욱이, 특히 유용한 선별 시험 값의 표현인 양성 예측도는 선별된 모집단 내에 있어 특이도 및 이병율에 임계적으로 의존한다.
선별 시험의 효과는 임의의 시행착오적 조절에 의해서만 적절히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 왔다. 암의 경우에는, 증상이 발생된 후에 종양이 진단되었을 때에 비해, 악성종양이 양성 선별시험에 의해 검출될 때에 수명이 연장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 대신에, 시험된 사람들이 그런 선별시험에 등록하지 않은 유사한 사람들 보다 악성 종양에 의한 치사율이 낮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선별 시험의 예측도는, 이 예측도가 보통 원래 의도된 바는 초기의 최소의 병을 가진 건강한 모집단에서의 것이기 때문에, 보통 이 시험을 처음으로 해보게 되는 병이 많이 진행한 입원 모집단에서 값이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크게 잘못된 생각이다.
현재의 모집단 선별 방법
S상 결장경은 가끔 선별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S상 결장경 또는 전장 직장경과 같은 내시경법은 선별 기법이라기 보다는 진단기법이다. 일반 다중에 있어 현재의 유일한 대장암 선별방법은 대변 중에서 육안으로 안 보이는 혈액을 찾는 것이다(3). 변 시료를 과이억-함침된 종이에 묻히고 과산화수소 함유 현상제로 처리한 후 혈액(헤모글로빈)이 존재하면 청색을 나타내는 기법, 예컨대 HemOccult 법(잠혈 시험법)이 현재의 방법이다. 이 방법론에 의한 거의 이십년의 경험 후, 전문 센터에서조차 치료 가능한 신생물의 경우 50% 이하이고, 양성 예측도는 기껏해야 임상 모집단에 있어 단지 40%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미국 미네소타 미네소타 대학교 대규모 (n=97, 205) 장차 시험의 최신 데이터는 단지 2.2%의 대장암에 대한 양성 예측도를 보여준다(4). 또한 약물, 여러 음식 성분, 시료 취급 지연, 배설물 수화에 있어서의 변화성 및 분석 재료의 저장이 보통 결과치를 혼란스럽게 한다. HemOccult 값을 평가하는 3 개의 세 무작위 조절 조사 중 하나를 분석했던 바 선별된 집단과 대조 모집단에 있어 서로 비견할만 치사율을 보여주었다(5). 안보이는 혈액, 예컨대 포르피린 분석[HemoQuant]에 기초하거나 또는 인간 헤모글로빈에 특이적인 항체에 기초하는 방법들은 이들 결과를 개선한다. 그러나 세가지 한계적 문제점은 정복되지 않고 남을 것 같다. 이들은, 대장 악성종양은 단지 간헐적으로 출혈하는 것, 위장관 출혈은 결과를 잘못 양성으로 판정하게 할 수 있다는 것, 또한하부 장에서의 여러 병변은 대장 신생물과는 무관하게 공통으로 출혈하는 것의 셋이다. 그런 병변은 치질, 게실, 궤양 및 맥관 확장을 포함한다. 선별과정을 거치지 않은 모집단에 있어서는 정확도(일치율)가 30% 이하인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그 이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 방법에서는 환자들 자신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꺼려할 뿐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어려운 작업인, 자기 변을 슬라이드 또는 스트립에 바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에도 불구하고, 미국 암 협회가 비록 불완전한 시험으로도 많은 인명이 구해질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50 세 이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연례적인 잠재 혈액 서험을 추천하고 있기 때문에, HemOccult는 계속 널리 사용되고 있다. HemOccult 가치에 관한 논의 속에 감추어져 있는 것은, 비록 현재 형태의 잠재 혈액적 선별도 대장암에 의한 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악성 장 종양에 대한 선별 기법에 있어 약간의 개선만 있어도 대장암 치사율에 극적인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실험적 선별 방법
(ⅰ) 대변의 DNA 분석에 의한 대장암 선별(7). 이 방법은 결장 관 내에 다수 낙하되어 있는 신생물 세포가 대변 속에 존재하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원리상, 신생물에 흔히 있는 돌연변이는 이들 세포에서 DNA를 분석함에 의해 고정밀도로 검출될 수 있다. 현재,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대장암 및 선종의 약 40%에 존재하는 K-ras 종양유전자 돌연변이이다. 따라서 K-ras 유전자 선별은 최고의 경우 모든 신생물 중 단 40%만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현재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ⅱ) 결장 무친 중에 암-관련 이당류, D-Galp(β1-3)-D-GalpNAc(αl,Ser/ Thr), T-(톰젠-프리덴라이히) 항원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선별, 왜냐하면 T-항원은 건강한 결장에 의해서는 발현되지 않고 반면에 암에 의해 발현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8).
(a) 모노클론 항체 및 렉틴: 합성 T-항원에 대해 배양된 모노클론 항체가 암세포를 인식하고 그 세포에 결합하는 것이 밝혀졌다. 유사하게 렉틴인 땅콩 응집소(PNA)는 같은 이당류에 강하게 결합하지만 악성종양은 보다 낮은 선택성으로 인식한다. Amaranthus caudatus에서 얻는 렉틴인 아마란틴은 PNA 보다 T-항원에 대한 더 양호한 선택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마란틴도 PNA도 정상 점막의 조직부에는 결합하지 않지만 그들 둘은 종양 및 혹종의 폴립의 귀블러 세포 내 및 천이성 점막에 있는 무친에는 결합한다. 결합은 형광 표지된 항체 및 렉틴을 이용하여 가시화될 수 있다(9).
(b) 갈락토스 산화효소 시험. T-항원도 또한 갈락토스 산화제를 사용하여 갈락토스의 OH-6을 산화하고 얻어지는 알데히드를 시프 시약으로 가시화한 후 비색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각각 Shamsuddin 등에게 1989 년 8 월 15 일 발행된 미국 특허 제 4,857,457 호, 1994 년 8 월 20 일 발행된 미국 특허 제 5,348,86057 호, 및 1992 년 11 월 10 일 발행된 미국 특허 제 5,162,202 호. 렉틴을 사용하는 시험과는 달리, 이 시험은 디지털 직장 검사에 의해 얻어져 지지체에 문질러진 점액 시료로 수행되었다. 이 체계는 한 연구에서 대장 신생물, 즉 선종성 폴립과 암의 경우 선택도 74%, 특이도 50%를 보였는데, 암환자 59 명 중 단 1 명만착오로 음성 결과를 보였다. 이어서, 기본적으로 같은 시험의 다수의 보고서가 선택도 범위 35% 내지 100% 및 특이도 범위 15% 내지 76%로 나타났다. 일부 연구가들은 그 시험이 HemOccult 보다 선택도는 더 양호하지만 특이도는 못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선택도가 불량한 것은 게실염 및 궤양성 장염과 같은 어떤 종류의 염증조건을 가진 환자에서의 시험의 양성 때문이었다.
상기 선행 기술과는 반대로, 이당류 마커 베타-D-Gal(1->3)-D-GalNAc 및 D-갈락토스 및/또는 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갈락토스를 함유하는 당류 마커의 검출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장 점액 분석이 1995 년 5 월 16 일 발행된 Krepenskty 등의 미국특허 제 5,416,025 호에 기재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한 이당류 마커의 검출을 위해 효소를 가하고 시료의 색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없이 대장 점막 시료를 시프 시약으로 처리한다.
미국 특허 제 5,4186,025 호에 기재된 방법은 25 명의 암 환자에 대한 시험으로부터 대장암 민감도 92%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특이도는, 여러 등급의 분홍색이 가끔 얻어져 잘못된 몇 양성이 얻어진 관계로 약간 절충적인 것이었다.
미국 특허 제 5,4186,025 호에 기재된 선발 방법은 효소 예비처리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착오 양성 및 착오 음성 결과의 상대적 수가 감소한 점에서 선행 기술 방법에 비해서는 상당한 진보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착오 양성 및 착오 음성 판독결과일 것 같은 것을 더욱 감소시키는 간단한 분석법을 제공하는 것은 여전히 바람직해 보인다.
문헌 목록
본 명세서는 다음 문헌들을 참고로 하고, 각 문헌은 참고로서 명시적으로 통합되어 있다.
간행물
1. Lieberman D.A.: 표적 결장암 선별: 어떤 사람의 인생이 거의 다 되었는지에 대한 개념. Amer.J.Gastroenterol. 1992,87,1085.
2. Eddy D.M.: 대장암 선별법. Ann.Int.Med. 1990,113,373.
3. Rex D.K., Lehman G.,A., Ulbright T.M., Smith J.J., Pound D.C., Hawes R.H., Helper D.J., Wiersema M.J., Langefeld C.D., Li W.: 대변잠혈 시험이 음성인 무증후성 사람에 있어서의 결장 신생물: 연령, 성별 및 가족 역사의 영향. Amer.J.Gastroenterol. 1993,88,825.
4. Mandel J.S., Bond J.H., Brandley M., Snover D.C., Church T.R., Williams S., Watt G., Schuman L.M., Ederer F., Gilbertsen V.: 대장암 선별에 대한 잠혈 시험의 민감도, 특이도 및 양성 예상도. Gastroenterol. 1989,97,597.
5. Selby J.V., Friedman G.D., Quesenberry Jr C.P., Weiss N.S.: 대변 잠혈 시험의 대장암 치사율에 대한 영향. Ann. Intern. Med. 1993, 118,1.
6. Mandel J.S., Bond J.H., Church T.R., Snover D.C., Brandley G.M., Schuman L.M., Ederer F.: 대변 잠혈 선별 시험에 의한 대장암의 치사율 감소. New Engl.J.Med. 1993,328,1365.
7. 편집기사: 대변 DNA 분석에 의한 대장암 선별. Lancet 1992, 339,1141.
8. Boland C.R., Montgomery C.K., Kim Y.S.: 세포분화 및 악성변형과 함께일어나는 인간 결장 무친의 변화. Proc.Natl.Acad.Sci. USA 1982,79,2051.
9. Rinderle S.J., Goldstein I.J., Matta K.L., Ratcliffe R.M.: T-(또는 잠재성 T) 항원을 인식하는 Amaranthus caudatus의 종자에 존재하는 렉틴인 아마란틴의 분리 및 특성결정. J.Biol.Chem. 1989,264,16123.
10. Sakamoto K., Muratani M., Ogawa T., Nagamachi Y.: 대장 신생물에 대한 새 시험법의 평가: 무증후성 모집단에 대한 예견되는 연구. Cancer Biotherapy 1993,8.49.
11. Robins J.H., Abrams, G.D., Pincock J.A.: 핵자기 공명 분광법으로 구한, 시프 시약 알데히드 부가물의 구조 및 시프 반응의 기전. Can.J.Chem. 1980,58.339.
12. Kasten F.H.: 시프 시약의 화학. Int.Revs.Cytol. 1960,10,1.
13. Shamsuddin A: 결장암의 진단 시험. CRC Press, Boca Raton, F1,1991.
특허
미국 특허 제 4,857,457 호, Shamsuddin 등, 1989, 8월 15일.
미국 특허 제 4,762,800 호, Rettig 등, 1988, 8월 9일.
미국 특허 제 4,863,854 호, Mattes 등, 1989, 9월 5일.
미국 특허 제 4,962,187 호, Pant 등, 1990, 10월 95일.
미국 특허 제 5,073,493 호, Yamashina 등, 1991, 4월 16일.
미국 특허 제 5,162,202 호, Shamsuddin 등, 1992, 11월 10일.
미국 특허 제 5,348,860 호, Shamsuddin 등, 1994, 9월 20일.
미국 특허 제 5,416,025 호, Krepinsky 등, 1995, 5월 16일.
본 발명은 대장암에 대한 간단한 선별 시험을 하여 직장 점액에서 표지를 검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표지는 시프 시약을 사용하여 지지체에 부착하는 점액에서 검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장 및 직장 암에 대한 무증후성 사람들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혈성 암의 발생 이전에 대장 및 직장의 신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개선된 선별시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이도가 개선된 대장 암 선별 시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기타 목적 및 이점은 전체 명세서를 읽으면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양태에 있어서, 환자의 직장으로부터 대장 점액 시료를 얻고, 선택적으로는 올레핀 기를 가진, 12 - 20 탄소 원자를 가진 장쇄 지방족 알데히드 기; 가장 특별하게는 C16 - C18을 가진 지방족 알데히드 기; 및 플라스말로겐 결합된 그들의 전구체로부터 선택된 표지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결장 또는 직장의 신생물, 전암 조건 또는 암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a) 환자의 직장으로부터 대장 점액의 시료를 얻고;
(b) CH3(CH2)14CHO, CH3(CH2)16CHO 및 그들의 전구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데히드 표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시료를 분석하고,
(c) 점액에서 검출된 알데히드의 존재에 기초하여 대장의 신생물, 전암 또는 암을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대장의 신생물, 전암 조건 또는 암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지는 바람직하게는 면역화학적으로 또한 선택적으로는 정량적으로 결정된다. 표지의 전구체는 플라스말로겐 결합된 것으로 믿어진다.
표지는 바람직하게는 옥타데카날, 화학식 CH3(CH2)16CHO의 보통명 스테아르알데히드, 헥사데카날, 화학식 CH3(CH2)14CHO의 보통명 팔미트알데히드, 9-옥타데카날, 화학식 CH3(CH2)7CH=CH(CH2)7CHO의 보통명 올레알데히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에 있어서, 알데히드 표지의 구조에 관한 지식은, 예컨대 폴라로그라프에 의해 알데히드 기의 특정 성질을 이용함에 의해, 또는 알데히드 기 형성 화합물과 특정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을 사용하여, 색, 예컨대 특정 분광 성질, 형광, 질량분석, 화학 형광 및 기타 색 및 착색 성질 검출성 생물반응과 같은, 얻어지는 적당한 물성에 의해 그 알데히드 기 형성 화합물이 검출될 수 있게 함에 의해 상기한 대장 점액 내 알데히드의 존재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알데히드는 산성 조건 하에서 산 민감 플라스말로겐으로부터 방출되고 방출후에는 즉시 시약과 반응한다고 믿어진다. 과잉의 미반응 시약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물 및/또는 완충액에 의해 반복 세척함에 의해 제거된다. 공지의 많은 알데히드 검출 화합물 및 조성물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특히, 산성 조건 하에서 알데히드와 더불어 부가 화합물을 생성하는 아미노 기를 가진 화합물은, 형광 또는 색과 같은 용이 검출성 물성을 갖는다. 그러한 아미노 기를 가진 화합물의 예는 아닐린계 염료 군에서 발견된다. p-로사닐린은 특히 적합한 염료인데, 그 이유는 이것은, 염산수 중에서 아황산염 또는 그 유사물과 반응하여 무색의 시프 시약으로 변환된 후에 그 시약은 높은 민감도로 알데히드와 반응하여 약 λmax560 - 590 nm에서의 흡수에 의해 정의되는 자주색 부가 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대장 점액 중에 있는 알데히드를 검출하기 위해 시프 시약의 형태로 p-로사닐린을 이용하는 것에 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상기 시료를 시프 시약으로 처리하고, 이 처리에 의해 상기 시약 내에서 약 560 - 590 nm λmax에서 발생되는 착색에 기초하여 결장 또는 직장의 신생물 또는 암을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발생된 특정 착색은 가시화 될 수 있거나 또는 약 560 nm에서의 분광측광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이 방법은, 이당류 표지 베타-D-Gal(1-3)-D-GalNAc(α1-Thr/Ser) 및 D-갈락토스 및/또는 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갈락토스를 함유하는 당류 표지를 검출하는 추가의 효소 처리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대장의 신생물 질병을 가진 환자들로부터 채취한 점액의 성분에 시프 시약이 작용함에 의해 얻어진 좁은 범위의 색을 가시적으로 보거나 또는 분광 광도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진정한 양성을 더욱 확실하게 표시하고 잘못된 양성을제외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그런 사람들로부터 채취된 점액은 검출 가능한 양의 장쇄 지방족 알데히드 CH3(CH2)14CHO 및 CH3(CH2)16CHO, 및 올레핀알데히드 CH3(CH2)7CH=CH(CH2)7CHO을 그 자체적으로 또는 점액에 존재하는 플라스말로겐 내에 결합된 형태로 함유하고 있어 이들 알데히드가 시프 시약의 산에 의해 거기에서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우리는 약 560 - 590 nm에서 광 흡수 대역을 갖는 자주색 색이 상기 알데히드로 인해 시프 시약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는 신생물 질병을 가진 환자의 점액에서는 보여지는데 반해 신생물 질병이 없는 사람들의 점액은 그러한 가시적으로 식별 가능한 색 스펙트럼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자는 대장 장액은 쉬퍼 시약이 원래의 염료인 p-로사닐린으로 복귀하게 하여 538 nmλmax에서 광 흡수를 갖는 분홍-적색을 발생하게 하는 기본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색표를 사용하지 않고 이 바람직하지 않은 색을 추구하는 약한 자주색과 구별하는 것이 가끔 어렵고, 그 결과로 틀린 양성이 증가하게, 그래서 시험의 특이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자는, 다수의 저분자량 지방족 알데히드가 대장 장액에 존재하지만, 그 몇은 카르복시 산 기능부를 갖고 있는 이들 알데히드는 수 용해도 덕택으로 바람직하게 충분히 점액을 수세하면 본 발명의 시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상기 선행 기술과는 반대로, 수세를 행하고, 약 560 - 590 nm에서의 자주색을, 고분자 알데히드 존재, 그래서 전암 상태 또는 암의 존재의 적당한 지시계로서 엄밀한 관찰을 유지하면, 착오 양성의 현저한 감소 및 결과적으로 시험의 특이도의 현격한 상승이 얻어진다.
상기한 장쇄 지방족 알데히드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발생된 자주색은, 수세 후에 점액 내에 잔류하는 대장 점액내에 존재하는 기타 물질들에 기인하는 여러 농담의 분홍 및 적색과는 구별될 수 있다. 각 키트에 동봉되는 색표는 비록 훈련되지 않은 사람에 의해서도 자주색을 적당히 식별할 수 있게 도와주고 그래서 조작자가 높은 시험 특이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가치 있는 특이적인 자주 착색은, 시프 시약 자체는 p-로사닐린으로부터 제조되지만, p-로사닐린 단독만으로는 발색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시프 시약 장쇄 알데히드 부가물의 경우 정확한 λmax위치는 용제 의존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디클로로메탄 중에 있어서의 스테아르알데히드-시프 시약 부가물은, 견부는 약 555±1 nm에 둔채 약 590±1 nm에 비교적 넓은 흡수 최대를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부가물은 에탄올 중에서는 약 578nm에 견부가 위치하는 약 547 nm에 한 흡수대를 나타낸다. 후자의 용액에서는, 색이 자주색에서 적색으로 변했는데 이것은 부가물이 에탄올 중에서는 불안정한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부가물은 수 불용성이다.
p-로사닐린은 수중에서 약 538 nm에서 흡수를 갖지만 디클로로메탄에는 불용성이다.
탄소쇄 길이가 긴 알데히드는 시프 시약에 의해 스테아르 알데히드 부가물에서와 유사하게 거동한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미리스트알데히드의 부가물은 견부(숄더)는 약 556 nm에 위치하고 약 586 nm에서 최대 흡수를 보인다.
수중에서 포름알데히드 부가물은 약 560 - 593 nm에서 뻗는 평평하게 넓은 최대를 나타낸다.
종양 조직의 조직부에 결합하는 렉틴 또는 항체에 비해, 직장 점액 시험의 중요한 이점은, 시험할 재료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결장의 관 표면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점액, 즉 물, 전해질, 유기 화학물질, 예컨대 누클레오시드와 핵산염, 아미노산, 펩티드, 인지질과 지질 산화생성물을 포함하는 지질, 및 대분자량 당단백질(무친), 탈락된 세포와 세균으로 구성되어있고 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점탄성 겔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장 점액은 전체 결장으로부터의 점액을 포함하고, 즉 원격 신생물 조직에 의해 분비된 점액이 장을 따라 샘플링을 하는 직장 내로 흘러내리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일반적 이용절차는 다음과 같다:
선별된 사람으로부터 디지털 직장 검사 중 시프 시약에 어떤 색 변화도 야기하지 않는 MUCO 또는 유사한 윤활제로 윤활된 장갑 낀 손가락을 사용하여 의사 또는 훈련된 간호사가 획득한 점액 시료를 적당한 수 불용성 기판 위, 또는 패드나 디스크와 같은 지지체에 부착한다. 적합한 지지체 재료는 예컨대 유리 미소섬유, 혹종의 중합체 섬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셀룰로스 또는 변형된 셀룰로스섬유로부터 제조된다. 지지체는 BHT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또는 BHA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와 같은 항 산화제로 사전처리될 수도 있고 또는 않을 수도 있다.
다음 절차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액시료를 하기와 같이 지지체에 부착시키고 세척시키기 전 약 90 분동안 거기에 유지시키거나 또는 냉장고로부터 꺼냈을 경우에는 해동하도록 약 90분간 방치한다. 이어서 점액을 가진 지지체를 0.1M 인산칼슘 완충액에서 대략 10 분간 세척하고 2 분간 물로 세척하고 과잉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15 분간 공기 건조시키고, 지지체를 단시간, 예컨대 2 분간 시프 시약 중에 투입하고, 증류수로 간략하게 세척하고 공기중 건조시킨다. 시프 시약으로부터 제거한 후 20 내지 25 분 내에 필터에 자주빛이 나타나면 양성반응으로 계수한다.
시료가 아무 색도 발색하지 않으면, 점액 중에 장쇄 지방족 알데히드 또는 플라스말로겐 전구체가 없기 때문에 그렇던지 또는 장갑 낀 손가락에 의해 점액이 채취되지 않았고 따라서 지지체에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이들 두 가능성을 구별하기 위해, 음성 시험 지지체를 0.5% 과요드산 용액으로 5 분간 처리하고 물로 씻고 시프 시약으로 5 분간 염색하고 다시 세척한다. 점액은 없는데 표지가 존재하면, 점액이 부착되었던 곳에 자주색이 나타나고; 그렇지 않으면 어떤 배경색은 발색할지 모르지만 지지체는 무색인채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 과정을 실시하는 동안에는, 자주 빛 이외의 다른 색, 사실 붉은 분홍 색조에 가까운 색이 관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색들은 무색 시프 시약으로부터의 원래의 붉은 분홍색 염료 p-로사닐린을 방출하는 기본 물질의 존재를 반영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본 물질은 정상적으로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이들 변화는 보통 시프 시약으로 처리하기 전 시료의 세척이 불완전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프 시약의 성질은 p-로사닐린 제제 상품에 존재하는 혼합된 여러 이성체에 의해 또한 시프 시약 자체의 제조 방법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인 Krepinsky 등의 미국 특허 제 5,416,025 호와는 반대로, 이들 변화는 시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제조사가 알데히드 특성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또한 적당한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된 시프 시약과 알데히드 사이의 부가물의 화학적 성질 때문이다. 적절한 시프 시약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절차는 이하에 기재되어 있다. 최대의 민감도와 안정성을 가진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전에 시약을 냉장고에, 즉 +3℃ - +5℃에서 4 내지 6 주간 숙성시킬 필요가 있다.
추가의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예컨대 대장 점액을 흡착할 수 있는 또한 물과 수용액에 의해 또한 시프 시약에 의해 습윤될 수 있는 수 불용성 기판을 포함하는, 포장물, 판지, 관, 상자, 롤, 테이프 또는 기타 캡슐 모양의 물체와 같은 용기로 되어 있는 선별 키트를 제공한다.
기판은 일반적으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치밀하게 밀폐된 직사각형의 두 경질 플라스틱 판 사이에서 예컨대 1.0 - 1.3 cm 직경의 적당한 원형의 구멍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밀폐 조립된 판들의 치수는, 현미경 슬라이드들이 동시에 현상될 수 있도록 장치 표준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현미경 슬라이드의치수로 한다.
조작에 있어서는, 의사나 간호사가 예컨대 점액 시료를 판 내 지지체의 표면에 바른다. 판들을 실험실에 옮기고, 거기에서 그 판들을 뱃치(묶음)로 처리하는데, 그 뱃치의 크기는 하기와 같이 시험 실시에 이용되는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데 예컨대 판 10 개다. 결과를 판독한 후에는 판들은 폐기한다.
이하에 대장과 직장의 신생물을 조기에 검출하기 위한 선별 시험으로서의 절차를 기재한다.
판에 고정된 지지체 위에, 의사 방에서 취급하기에 편리한 하기와 같이, 직장 조사에서 얻어진 점액 시료를 바른다. 시프 시약과 반응하지 않는 윤활제 중에서 MUKO와 같은 직장 조사에 적합한 윤활제를 선정한다. 처리 진행을 위해서는, 다음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포된 점액 시료를 가진 각 판들을 10 개 판을 수용하는 홀더에 배치한다. 홀더를 0.1 M 인산 칼륨 완충액(pH 7.0)을 수용하는 용기 내에 10 분간 침지시키고 그동안에 탱크를 완만하게 기계적으로 진동시킨다. 진동을 중지시키고 홀더를 탱크로부터 들어올리고 이어서 홀더를 증류수가 든 탱크 내에 침지하고 다시 2 분간 완만하게 진동시킨다. 수세를 한번 반복하고 그런 뒤 홀더를 탱크 위로 올리고 10 분간 과잉의 물은 다시 탱크 내로 적하하게 둔다. 이어서 판들을 가진 홀더를 하기한 시프 시약을 수용하는 다른 탱크에 침지하고 조용히 2 분간 진동시키고 그런 뒤 꺼내고 각 경우 2 분씩 물 탱크에 침지시킴에 의해 증류수로 3 회 세척한다. 그런 뒤 판을 가진 홀더를 공기 건조시키고 20 - 25 분 내에 지지체 위에 자주색이 나타나면 계수 기록한다. 시간(분)은 시프 시약으로부터 제거한 시각으로부터 계산한다. 색을 색표와 비교하고 자색 이외의 색들은 음성으로 계수한다.
점액과 함께 지지체에 부착된 변은 부착된 점액에 공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현상전 저장 중에 소망스럽지 않은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착오 양성시험 판독치가 얻어질 수 있다. 이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액을 부착시키기 전에 0.1% 산화제 용액, 예컨대 95% 에탄올 내 BHT, 또는 BHA로 점액 없는 지지체의 사전 처리를 행한다.
지지체에 색이 없는 까닭으로 시험이 음성이면, 점액이 판에 부착되었던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유용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료를 과요드산-시프 시약으로 처리하여 판에 점액이 퇴적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점액이 존재하면 자색이 나타난다. 도포물은 가끔 점액이 존재할 때 담황색을 보이는데, 무색 부착물은 보통 단지 무색의 윤활제만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단지 소량의 점액만이 지지체에 존재하면 약한 양성 시험 결과가 예상될 수 있지만 그것은 충분히 많은 점액 시료량에서의 강 양성 결과와 같은 유효성을 갖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현재 얻어진 결과는 일부 환자들은 증후전 악성 종양 또는 신생물 우려를 짙게 하는 조건을 갖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예컨대 염증 있는 장의 일부는 전 신생물 조건으로 변환되었고 이것이 아마 시험에 의해 검출되었다.
신생물 시험의 높은 민감도는 결장 내시경을 받을 필요가 있는 환자의 수를감소시킬 것인데, 그 이유는 그들은 직장 출혈, 설명되지 않는 철분 결핍성 허혈, 또는 제 1 도 종양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
시프 시약의 제조
증류수(220 ml)를 비등시키고 열원으로부터 제거하고 p-로사닐린(0.4 g)을 가한다. 혼합물을 잘 교반하고 5 분간 다시 비등시키고 50℃로 냉각하고 용액을 중첩한 여과지를 통해 여과한다. 교반하면서 여액에 1 N 염산(34 mL)를 가하고 실온에 방냉한다. 아황산나트륨(2.34 g)을 가하고 잘 교반하고 암실에서 4 일간 실온에서 저장한다. 약한 짚색의 용액이 얻어지고 거기에 숯(NORT, 300 mg)을 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강교반한다. 이어서 용액을 이중지 여과기를 통해 암흑색 유리병에 투입하고 3 - 5℃에서 냉장고에 저장한다.
실시예 2
대장암을 가진 및 추측컨대 전암 조건을 가진 환자
거의 한 암도 빠뜨리지 않았기 때문에 시험의 민감도는 일관적으로 대단히 높았다. 그러나, 임상 대조 모집단에서 측정된 특이도는, 그 시험 순간에는, 임상적으로 검출된 신생물을 갖고 있지 않고, 미래에는 다분히 암으로 발전할 것 같은 어떤 다른 규명하지 않은 질병을 가진 환자들에게서는 부정확하다. 그 전에는, 건강한 젊은 지원자 - 환자 아님 - 에 있어 착오 양성율은 10.6%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대장의 염증성 조건은 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증이 있는 장의 일부가 전 신생물 조건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것이 아마 시험에 의해 검출된다. 표 1은, 그 환자들 일부는 대장암 및 추정 전암 조건으로 진단된, Wellesley 병원 내시경 부의 환자군으로부터의 점액에 대해 행한 시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표 1
이 표는, 점액 시험을 받기를 스스로 동의한 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 Wellesley 병원 내시경 부에서의 결과를 보여준다.
양성 음성
조건 전체 # % 95% CI* # % 95% CI*
게실 질병 4 3 1
선종성 폴립 3 3
폴립<1 cm+ 21 10 48 26-70 11 52 29-74
큰 폴립>1cm++ 1 1
신생물 없음 45 13 29 16-44 32 71 56-84
암 5 5
재조사:
암 제거+++ 5 3 2
크론 병 2 1 1
궤양성 염증 4 3 1
* CI: 퍼센트 양성 또는 퍼센트 음성의 신뢰구간
+ 직경 1 cm 미만
++ 직경 1 cm 초과
+++ 점액 채취 수주전에 제거됨.
다음 주해를 보면 표 1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신생물 없음" 항목을 제외하고는 양성/음성 항목(난)은 일부 사람들에 있어서는 이들 조건이 암 전조이고 일부는 아니라는 주지의 관찰을 반영하는 것이다. "신생물 없음" 항목에 있는 양성은 잘 설명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일부 양성자는 여전히 전암 조건을 표현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13 양성자 전부가 잘못된 양성 범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이하를 보라).
(b) 신생물 없음은 또한 다음을 포함한다: 암 가족 역사(5, 1+, 4-), 장 감응 증상(2, 1+, 1-), 치질(3, 1+, 2-), (1, 1-). 선종성 폴립은 게실염을 가진 선종(1, 1+)을 포함한다. 작은 폴립은 게실염을 가진 폴립(2, 2+)을 포함한다.
(c) 그 전에 암종양을 제거한 경우의 시험의 양성/음성은 암제거의 완전성을 반영할 것이다.
(d) 염증 상태는 대장 암에 대한 위험 인자로 생각된다. 시험의 양성은 염증이 얼마나 심하게 암 초기로 진행했는가를 반영할 것이다.
(e) 피험자가 10 미만인 군의 퍼센트와 CI는 계산되지 않았다.
(f) 이 시험은 "양성"으로 표현된 색을 보다 명확하게 구별함에 의해 8 경우를 "양성"으로부터 음성으로 재분류했다. 이 8 경우는 다음 범주에 있는 것이었다: 3 건 "신생물 없음", 1 건 "암 가족 역사", 1 건 "암종양 이전에 제거" 및 3 건 "작은 폴립'.
실시예 3
대장암을 가진 결장 적출 시료 중에서의 점액 반응.
알데히드 표지를 화학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결직장 점액을 얻기 위해, 대장암 환자로부터 제거된 결장의 일부로부터 점액을 채취했다. 그와 동시에 시프 시약에 의한 표지 존재 조사를 행했다. 이때 나타난 결과는 본 시험의 높은 민감도를 확인시켰다.
표 2는 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의 여러 병원의 수술실로부터 얻어진 결장 절제 시료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수술 후 15 - 20 분의 결장 절제 시편을 혈액 제거를 위해 물로 세척했다. 작은 주걱으로 아래의 점막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표면을 온건하게 긁음으로써 점액을 채집했다. 그 점액을 작은 플라스틱 바이알에 넣어 동결했다. 시프 시약에 의한 시험 분석을 위해, 바이알들을 냉장고로부터 꺼내고 실온에서 해동되도록 60 분간 방치하고 소량의 점액을 주걱 끝으로 지지체 위에 도포하고 분석했다.
표 2
양성 음성
조건 전체 # % CI # %
암 15 14 93.4 68-100 1* 6.6
* 이 점액 시료의 원래의 색은 진한 녹색이었고 따라서 시프 시약과의 반응 후 색을 판정하기가 어려웠다는 것을 주목하라.
실시예 4
표지의 단리 및 특성 결정
실시예 3에서 기재된 것과 같은 인간 결장절제 시편으로부터 얻어진 점액을 합해 모으고(66g) 24 시간 동결 건조시켜 반고체 잔사를 얻었다(6.0 g). 이 잔사를 수종의 용제로 연속적으로 추출했고 클로로포름-메탄올(2:1) 및 아세트산 에틸에 의한 추출물은 시프 시약에 의해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들 추출물을 합치고 실리카 겔 컬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처리를 받게 했다. 클로로포름-메탄올(7:2.5) 용리로 액체 부분을 얻었는데, 그 부분은 증발 건조 후 시프 시약과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잔사(36.6 mg)를 제공했다. 몇 번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후, 높은 반응성을 가진 반응물질(4.2 mg)을 얻고 다시 NMR 분광 측정에 의해 분석했다. NMR 시험으로 그 부분은, 각각 콜린(-N(CH3)3에 대한 δ3.240 ppm에서의 신호) 및 에탄올아민을 함유하는 두 인지질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글리세롤의 1 및 2 위에 있는 히드록실들은 약 40%의 화합물에 있어 모두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 되어 있었다. 나머지 60%는 단지 글리세롤의 2 위에서만 에스테르화 되어 있었고, 한편 1 위에는 α,β-불포화 에테르가 결합되어 있었는데 이것은 비닐 양성자 O-CH=CH-에 해당하는 δ5.90 ppm에서의 이중선에 의해 확인되었다. α,β-불포화 에테르는 고분자량 알데히드의, 주로 스테아르알데히드와 팔미트알데히드의 유도체이다. 비닐에테르를 함유하는 인지질(=플라스말로겐)과 완전히 에스테르화된 인지질 사이의 비는, δ5.58 ppm에 있어 플라스말로겐 중에 있는 글리세롤 부분의 CH-2에 대한 신호 강도(이것의 적분은 δ5.90 ppm에서의 비닐 신호와 양호한 상관관계를나타냈다)와 δ5.218 ppm에서의 디에스테르 인지질 중에 있는 글리세롤 부분의 CH-2에 대한 신호 강도의 비교에 기초하여, 3:2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알데히드는, 질량 분광측정 및 기액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알데히드의 O-(2,3,4,5,6-펜타플루오로벤질) 옥심의 진정한 시료와 비교함에 의해 식별되었다. 두 알데히드는 분자 이온 대신에, 팔미트알데히드의 경우에는 m/z 415.1 또한 스테아르알데히드의 경우에는 m/z 443.2의, M-20 이온을 나타냈다.
알데히드의 O-(2,3,4,5,6-펜타플루오로벤질) 옥심은, O-(2,3,4,5,6-펜타플루오로벤질) 히드록실아민(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 중 0.05 M 용액 250 ㎕, pH 5)을 인지질 혼합물(100 ㎕ 물 중 1 mg)에 가하고 그 혼합물을 1 분간 와류 교반하고 30 분간 반응되게 하여 제조했다. 그런뒤 1 N HCl(10 ㎕)을 가하고 그 반응 혼합물을 3 회 헥산(1 ㎖)으로 추출했다. 합친 헥산 추출물을 황산 나트륨 위에서 건조(탈수)하고 질소 흐름 아래에서 증발 건조시키고 잔사를 다시 헥산(50 ㎕) 중에 재용해했다. 이 용액(1 ㎕ 주입액)을, 알데히드의 기액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 측정 식별에 이용했다.
이 명세서는 발명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하고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들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 예시된 특정 실시형 및 특징에 기능적 또는 기계적으로 유사한 모든 실시예를 포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장암 등과 관련하여 많은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간단한 선별 시험을 하여 직장 점액에서 표지를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1)

  1. 환자의 직장으로부터 대장 점액 시료를 얻고, 12 - 20 탄소 원자를 가진 장쇄 지방족 알데히드들 및 플라스말로겐에 결합된 그들의 전구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표지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결장 또는 직장의 신생물, 전암 조건 또는 암을 검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알데히드는 CH3(CH2)14CHO 와 CH3(CH2)16CHO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a) 환자의 직장으로부터 대장 점액의 시료를 얻고;
    (b) CH3(CH2)14CHO, CH3(CH2)16CHO 및 플라스말로겐에 결합된 그들의 전구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데히드 표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시료를 분석하고,
    (c) 점액에서 검출된 알데히드의 존재에 기초하여 대장의 신생물, 전암 또는 암을 표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대장의 신생물, 전암 조건 또는 암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를 면역화학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를 정량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를 시프 시약으로 처리하고, 이 처리에 의해 상기 시약 내에서 약 550 - 590 nm에서 발생되는 착색에 기초하여 결장 또는 직장의 신생물, 전암 조건 또는 암을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방법.
  7. 환자의 직장으로부터 대장 점액의 시료를 얻고, 상기 시료를 시프 시약으로 처리하고, 이 처리에 의해 상기 시약 내에서 약 550 - 590 nm에서 발생되는 착색에 기초하여 결장 또는 직장의 신생물, 전암 조건 또는 암을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결장 또는 직장의 신생물, 전암 또는 암을 검출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을 색표의 표준색 세트의 색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을 약 550 - 590 nm에서의 분광광도 흡수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 내지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당류 표지 β-D-Gal(1-3) -D-GalNAc(α1-Thr/Ser) 및 D-갈락토스 및/또는 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갈락토스를 포함하는 당류 표지를 검출하기 위한 효소 첨가 단계 없이, 상기 시료를 시프 시약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 항 내지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액을 수 불용성 기판 위에 흡수시키는 것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단쇄장의 지방족 알데히드를 제거하기 위해 그 흡수된 점액을 수용액으로 세척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5707A 1998-11-06 1999-11-03 대장암 조기발견 선별시험 KR20010089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253,093 1998-11-06
CA002253093A CA2253093A1 (en) 1998-11-06 1998-11-06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US09/270,103 US6187591B1 (en) 1998-11-06 1999-03-16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US09/270,103 1999-03-16
PCT/CA1999/001034 WO2000028329A1 (en) 1998-11-06 1999-11-03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408A true KR20010089408A (ko) 2001-10-06

Family

ID=416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707A KR20010089408A (ko) 1998-11-06 1999-11-03 대장암 조기발견 선별시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87591B1 (ko)
KR (1) KR20010089408A (ko)
CA (1) CA2253093A1 (ko)
HK (1) HK1040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715A (ja) 1999-08-06 2003-02-18 アイエムアイ・インターナショナル・メディカル・イノベ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色に基づく生化学的及び免疫学的アッセイにおける分光学的測定
US20020117169A1 (en) 2001-02-27 2002-08-29 Kurz Daniel R. Cover and applicator for a portion of a mammalian body
CN100577628C (zh) * 2002-03-25 2010-01-06 嘉吉有限公司 制造β-羟基羧酸衍生物的方法
WO2004034059A1 (en) * 2002-10-11 2004-04-22 Sentina Biotechnology Incorporated Methods for detection of breast cancer
US8114587B2 (en) * 2005-06-23 2012-02-14 Ambergen, Inc.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CN101305100A (zh) * 2005-09-19 2008-11-12 普雷姆德股份有限公司 液相半乳糖氧化酶希夫测定法
US20070141713A1 (en) * 2005-12-21 2007-06-21 Donndelinger Thomas M Method of diagnosing chronic diarrhea
US20100256464A1 (en) * 2007-05-14 2010-10-07 Dr. Susan Love Research Foundation Device for determining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and method thereof
TWI404931B (zh) * 2009-02-20 2013-08-11 Nat Synchrotron Radiation Res Ct 癌化生物樣本之檢測方法及其使用之檢驗試劑
US9097692B2 (en) * 2010-10-01 2015-08-04 Aug. Hedinger Gmbh & Co. Kg 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impurities in glycerin
GB201107466D0 (en) 2011-05-05 2011-06-15 Loktionov Alexandre Device and method for non-invasive collection of colorectal mucocellular layer and disease detection
GB2566681B (en) * 2017-09-14 2021-07-28 Ip2Ipo Innovations Ltd Biomark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4864A (en) 1980-09-19 1982-04-01 Fujirebio Inc Standard blood filtering paper for measurement of methionine
US4762800A (en) 1984-04-26 1988-08-09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Monoclonal antibodies to cell surface antigens of human teratocarcinomas
NZ212419A (en) 1984-06-25 1988-08-30 Mucan Diagnostics Pty Ltd In vitro diagnostic test for detecting cancer cells producing mucin antigens
US4962187A (en) 1984-11-28 1990-10-09 Cota Biotech Common antigen for colorectal and mucinous ovarian tumors and process for isolating the same
US4863854A (en) 1985-08-12 1989-09-05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Monoclonal antibodies to mucin-like human differentiation antigens
US4857457A (en) 1986-07-24 1989-08-15 Shamsuddin Abulkalam M Screening test for large intestinal cancer
US5073493A (en) 1987-05-29 1991-12-17 Ikuo Yamashina Monoclonal antibody nky13
US5162202A (en) 1989-12-12 1992-11-10 Shamsuddin Abulkalam M Rectal mucus test and kit for detecting cancerous and precancerous conditions
US5348860A (en) 1988-08-04 1994-09-20 Shamsuddin Abulkalam M Screening test and kit for cancerous and precancerous conditions
US5790761A (en) * 1992-12-11 1998-08-04 Heseltine; Gary 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US5416025A (en) 1993-11-29 1995-05-16 Krepinsky; Jiri J.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0283A1 (zh) 2002-05-31
US6187591B1 (en) 2001-02-13
CA2253093A1 (en)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1914B1 (en)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neoplasia
US8712491B2 (en) Measurement of an analyte on the skin using a hue angle
KR20010089408A (ko) 대장암 조기발견 선별시험
AU615419B2 (en) Cancer screening test
US5470750A (en) Detection of appendicitis by measurement of orthohydroxyhippuric acid
US20070292900A1 (en) Zinc-based screening test and kit for early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Sánchez-Carbayo et al. Initial evaluation of the new urinary bladder cancer rapid test in the detection of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CA2256362A1 (en) Method of detecting gynecological carcinomas
AU766057B2 (en)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CA2352184C (en)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RU2612021C1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аденокарциномы желудка при хрон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ах язвообразования органа
CA2176508C (en)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neoplasia
TWI686395B (zh) 作為前列腺癌偵測生物標記的尿液聚胺
MXPA00012243A (en) Screening test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US20070207509A1 (en) Zinc-based screening test and kit for early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RU2105306C1 (ru) Способ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облигатных форм предрака и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Poh-Htzpatrick Laboratory testing in the porphyrias.
Maurus et al. Biologic markers in neuroblastoma
CN113671180A (zh) Paip1自身抗体在食管鳞癌辅助诊断中的应用
GREGORY et al. Department zyxwvutsrqpon
WO2014054729A1 (ja) 肝臓・胆道疾患マーカーの検出方法
NO883752L (no) Masseundersoekelsesmetode for kre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