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404A -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404A
KR20010088404A KR1020010011406A KR20010011406A KR20010088404A KR 20010088404 A KR20010088404 A KR 20010088404A KR 1020010011406 A KR1020010011406 A KR 1020010011406A KR 20010011406 A KR20010011406 A KR 20010011406A KR 20010088404 A KR20010088404 A KR 20010088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onductive plate
radio communication
ground conductor
dielectric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히로키
오카야마카츠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8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1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for modifying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of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장치와 휴대용 통신장치는 무선통신주파수가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상응하는 어떤 무선통신주파수의 경우에도, 휴대용 통신장치에서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주파수 분산성이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상대유전율을 변화시키는 유전체(13)는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서의 전도성 평판(1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L2)와 같을 수 있다. 이는 어떤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도 거의 동등한 단 하나의 전도성 평판(11)의 개방단에서의 임피던스가 표면전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따라서 인체에 흡수된 전자파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Antenna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사용된 무선통신 주파수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시스템에 대응하도록 만들어진 소위 멀티-밴드 휴대용 통신장치에 적당하게 적용된다.
최근, 휴대용 통신장치는 회선을 단 한 개의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해서 사용하면 회선수가 급속하게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두 종류의 무선통신시스템을 병용하여 필요한 회선수를 확보하는 것이 고려되며, 소형화 및 경량화 기술의 현저한 진보에 의해 한 개의 휴대용 통신장치로 두 종류의 무선통신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이 개발되어 왔다.
한편, 통화시 휴대용 통신장치로부터 방출된 전자파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화시 단위시간 및 단위중량마다 인체의 특정부위(주로 머리)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흡수율은 국소평균SAR(Specific Absorption Rate)로서 정의되어 왔으며, 국소평균SAR의 최대값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부호(1)은 전체로서 국소평균SAR의 최대값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할 목적으로 개발된 휴대용 통신장치를 나타낸다.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내부에는 무선통신에 필요한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그 회로기판은 접지부재(grounding member)로서 실드케이스(2)에 의해서 덮여있다.
이 휴대용 통신장치(1)에 관하여, 내부에 수납된 회로기판을 실드케이스(2)로 덮는 것은, 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송수신회로나 다른 각종의 회로가 서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과 안테나(4)또는 다른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내부회로기판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회로에 의해서 소정의 신호형식의 송신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안테나 급전부(3)를 거쳐서 안테나(4)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안테나(4)로 수신한 수신신호를 안테나 급전부(3)를 거쳐서 취한 후에 복조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4)는 예를 들면, 전도성 선재로 이루어진 봉형 로드안테나(rod-antenna)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 이외에도, 전도성 선재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된 헬리컬 안테나나 상기 안테나를 복합한 신축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안테나에 있어서는, 해당 안테나(4)만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것은 아니며, 회로기판의 접지도체나 실드케이스(2)로도 안테나 급전부(3)로부터 고주파전류가 흐르고, 그 결과 휴대용 통신장치(1) 전체가 안테나로서 동작한다.
휴대용 통신장치(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시 국소평균SAR을 측정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국소평균SAR이 최대치를 나타내는 스폿(이하, 핫 스폿이라고 함)이 스피커(7)와 접촉하게 되는 귀의 근방에 놓이는지 확인되어 왔다.
이는 휴대용 통신장치(1)의 스피커(7)가 인체의 귀에 접촉되어 사용되거나, 스피커(7)의 뒤쪽에 존재하는 회로기판의 접지도체나 실드케이스(2)가 안테나의 일부로서 동작하여 전자파를 방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고려된다.
그 경우에서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통신장치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7)와 대향하는 실드케이스(2)의 상면(2A)으로부터 약간 뜨는 위치에 상면(2A)과 평행하게 되도록 전도성 평판(5)을 배치한다.
이 때, 전도성 평판(5)에서는, 일단이 단락도체(6)에 의해서 실드케이스(2)와 단락되며, 타단이 화살표(a)로 나타낸 상측으로 향하여 실드케이스(2)로부터 전기적으로 개방되도록 만들어진다. 단락단에서 개방단까지의 거리(L1)는 무선통신주파수의 1/4파장(λ/4)이 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장치(1)에서, 전도성 평판(5)과 실드케이스(2) 사이의 임피던스는 단락단에서 거의 "0"이 되나, 개방단에서의 임피던스는 무한대에 가까워지며, 그 결과 안테나 급전부(3)의 근방에서 전도성 평판(5)이나 실드케이스(2)로 고주파전류가 흐르는 것이 어려워진다.
말하자면, 그것은 단락단에서 개방단까지의 거리(L1)가 무선통신주파수의 1/4파장(λ/4)이 되도록 선택될 때 개방단에서의 임피던스가 최대가 되는 전도성 평판(5)에서 실험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장치(1)에서, 안테나 급전부(3)의 근방에서 전도성 평판(5)이나 실드케이스(2)까지 고주파전류가 흐르는 것이 어려워짐으로써, 전도성 평판(5)이나 실드케이스(2)로부터 방사된 전자파의 방사량이 감소되어, 귀의 근방의 국소평균SAR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통신장치(1)에서는, 전도성 평판(5)의 단락단에서 개방단까지의 거리(L1)가 무선통신주파수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단락단에서 개방단까지의 거리(L1)가 각각 다른 두 종류의 전도성 평판을 설치하지 않으면, 무선통신주파수의 다른 두 종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각각 대응하는 국소평균SAR을 감소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상기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주파수가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통신시스템에 대응하여, 어떤 무선통신주파수의 경우에도, 인체에 흡수된 전자파의 양을 각각 감소시킬 수 있는 안테나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접지도체와, 일단이 접지도체에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고, 타단이 접지도체에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전도성 평판과, 전도성 평판과 접지도체사이에 삽입되며,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를 주파수 분산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동등하게 만든 유전체로 이루어진 안테나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왔다.
따라서,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가 유전체에 따라서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동등하게 됨으로써,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안테나소자를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어떤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해서도 한 개의 전도성 평판의 일단에서의 임피던스를 거의 동등하게 하여 표면전류를 억제하여 인체에 흡수된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나 동일문자로 지정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성, 원리, 이용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통신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국소평균SAR의 핫스폿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통신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에 있어서의 상대유전율의 주파수특성을 나타내는 특성곡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0. 휴대용 통신장치 2. 실드 케이스
3. 안테나 급전부 4. 안테나
5, 11. 전도성 평판 12. 단락도체
13.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1과의 대응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인 도 3에 있어서, 도면부호(10)는 휴대용 통신장치를 전체로서 나타낸다. 무선통신에 필요한 회로기판은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으며, 접지부재로서 실드케이스(2)로 덮여있다.
이 휴대용 통신장치(10)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된 회로기판을 실드케이스(2)로 덮는 것은 회로기판상에 실장된 송수신회로나 다른 각종회로가 서로에 악영향을 미치고 안테나(4)나 다른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내부회로기판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회로에 의해서 소정의 신호형식의 송신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안테나 급전부(3)를 거쳐서 안테나(4)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안테나(4)에 의해서 수신된 수신신호를 안테나급전부(3)를 거쳐서 취한 후에 복조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4)는 전도성 선재로 이루어진 봉형 로드안테나(rod antenna)로 구성되고, 해당 안테나(4)만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것은 아니며, 회로기판의 접지도체나 실드케이스(2)에도 안테나 급전부(3)로부터 고주파 전류가 흘러서 그 결과, 휴대용 통신장치(10) 전체가 안테나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휴대용 통신장치(10)에서 국소평균SAR이 최대가 되는 스폿이 스피커(도시하지 않음)와 접촉하게 되는 귀의 근방에 놓이게 된다고 가정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휴대용 통신장치(10)에 있어서, 스피커와 대향하는 실드케이스(2)의 상면(2A)으로부터 약간 뜨는 위치에 상면(2A)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전도성평판(5)을 배치한다. 전도성 평판(11)의 일단이 단락도체(12)에 의해서 실드케이스(2)에 단락되어 있고, 타단이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실드케이스(2)로부터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 전도성 평판(11)과 실드케이스(2)사이에는, 주파수에 대하여 상대유전율(relative dielectric)을 변화시키는 주파수 분산성의 유전체(이하,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가 삽입되어 있다.
이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는 고무나 수지와 같은 절연성물질에 육방체의 페라이트(ferrite)를 주입하고 그 혼합물을 경화시켜서 형성되며, 주파수에 대하여 상대유전율이 변화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육방체의 페라이트의 조성으로서는, BaFe12-2XMe1XMe2XO19, SrFe12-2XMe1XMe2XO19등을 들 수 있으며, 여기서 Me1은 Ti, Zr, Sn과 같은 4가 금속이온을 나타내며, Me2는 Co, Mn, Zn, Cu, Mg, Ni와 같은 2가 금속이온을 나타낸다.
여기서, 휴대용 통신장치(10)는 제 1무선통신주파수(f1) 및 제 2무선통신주파수(f2) 두 개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한 종류의 유전성 평판(11)만을 사용함으로써 개방단의 임피던스를 무한대에 가깝게 가져올 수 있으며, 이 원리를 이하에 설명한다.
즉, 제 1상대 유전율(ε1)에 대한 제 1무선통신주파수(f1)에서의 파장(λ1)은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λ1= λ01/√ε1(1)
여기서, λ01는 제 1무선통신주파수(f1)에서 어떤 유전체를 거치지 않는 공기에서의 파장을 나타내며,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λ01= C/f1(C: 전파속도, 3.0×108[m/s]) (2)
게다가, 제 2상대 유전율(ε2)에 대한 제 2무선통신주파수(f2)에서의 파장(λ2)은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λ2= λ02/√ε2(3)
여기서, λ02는 제 2무선통신주파수(f2)에서 어떤 유전체를 거치지 않는 공기에서의 파장을 나타내며,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λ02= C/f2(C: 전파속도, 3.0×108[m/s]) (4)
식(1)과 식(3)을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도록 전개하면:
λ1= λ2(5)
이하의 식이 얻어진다:
f1/f2= [ε21]1/2(6)
그리고 식(6)을 전개함으로써, 이하의 식이 얻어진다:
ε2= ε1·f1 2/f2 2(7)
즉, 제 1무선통신주파수(f1)에서의 제 1상대유전율(ε1)과 제 2무선통신주파수(f2)에서의 제 2상대유전율(ε2)과의 비는 제 1무선통신주파수(f1)와 제 2무선통신주파수(f2)와의 비의 역수의 제곱과 거의 동등하게 된다.
실제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7)을 만족시키는 지수곡선상에서는, 개개의 무선통신주파수(fn)에 대응하는 상대유전율(εn)이 존재하며, 개개의 무선통신주파수(fn)에 대한 파장(λn)이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λn= λ0n/√εn(8)
이는 전체파장이 각각의 상대유전율(εn)을 이용하여 길이가 동등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λ0n는 n번째 무선통신주파수(fn)에 있어서 어떤 유전체를 거치지 않는 공기에서의 파장이다.
한편, 전도성 평판(11)에서는,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가 1/4무선통신파장(λ/4)으로 선택되면, 개방단에서의 임피던스는 무한대로 접근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통신장치(10)에서는, 식(7)을 만족시키는 지수곡선이 제 1무선통신주파수(f1) 및 제 2무선통신주파수(f2)에서 교차하는 바와 같은 주파수 특성의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를 전도성평판(11)과 실드케이스(2)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거리(L2)를제 1무선통신주파수(f1)의 1/4파장(λ/4)에 제 1상대유전율(ε1)의 역수의 제곱근을 승산하여 산출된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거리(L2)는 이하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L2 = λ1/4 × 1/√ε1(9)
게다가, 휴대용 통신장치(10)에서는, 전도성 평판(11)과 실드케이스(2)사이에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를 삽입함으로써,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는 제 2무선통신주파수(f2)에서의 1/4파장(λ2/4)에 제 2상대유전율(ε2)의 역수의 제곱근을 승산하여 산출된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는 이하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L2 = λ2/4 × 1/√ε2(10)
식(1) 및 식(2)에 기초하여, 제 1무선통신주파수(f1)가 900MHz인 파장(λ1)은 예를 들면, λ1= 0.33 m/√ε1이 된다.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는 식(9)에 기초하여 (0.33m/4√ε1) × (1/√ε1) = 0.0833 m/√ε1이 된다.
이에 대하여, 제 2무선통신주파수(f2)가 1.8 GHz인 파장(λ2)은 식(3) 및식(4)에 기초하여, λ2= 0.166 m/√ε2이 되며,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는 식(10)에 기초하여 (0.166m/4√ε2) × (1/√ε2) = 0.0416 m/√ε2이 된다.
따라서,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에 있어서의 제 1상대유전율(ε1)이 "2"가 되고, 제 2상대유전율(ε2)이 "1"이 된다고 가정하면,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는 제 1무선통신주파수(f1)(900 MHz)인지 제 2무선통신주파수(f2)(1.8 GHz)인지에 관계없이 모두 4.26 cm가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휴대용 통신장치(10)는 전도성 평판(11)과 실드케이스(2) 사이에서 주파수에 대하여 상대유전율이 변화하는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무선통신주파수(f1)나 제 2무선통신주파수(f2)중 어느 것에 대하여 개방단의 임피던스가 무한대에 가까워질 때 물리적 길이(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의 전도성 평판(11)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장치(10)는 두 종류의 다른 무선통신주파수(f1및 f2)에 대한 각각의 1/4파장(λ/4)에 상응하는 길이(L2)의 전도성 평판을 두 종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와 같은 이점으로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휴대용 통신장치(10)에서는, 제 1무선통신주파수(f1)와 제 2무선통신주파수(f2) 모두에 대하여 전도성 평판(11)이나 실드케이스(2)에 흐르는 고주파수가 다르게 되어 있음으로써 전자파의 방사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1무선통신주파수(f1)와 제 2무선통신주파수(f2) 모두에 대하여 귀 근방의 국소평균SAR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말하자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국소평균SAR이 두 종류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국소평균SAR은 세 종류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전도성 평판(11)에 있어서의 개방단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7)을 만족시키는 지수곡선을 제 1무선통신주파수(f1), 제 2무선통신주파수(f2), 제 3무선통신주파수(f3)에서 교차할 때 주파수특성과 같은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를 전도성 평판(11)과 실드케이스(2) 사이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가 육방체 페라이트를 절연성 물질에 주입함으로써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파수 분산성 유전체(13)는 제 1상대유전율(ε1)과 제 2상대유전율(ε2)이 식(6)을 만족시키는 주파수 분산성을 갖는 절연성물질에 다른 각종 물질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되도록 되어있을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평판(11)이 스피커와 대향하도록 실드케이스(2)의 상면(2A)으로부터 약간 뜬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평판(11)은 국소평균SAR이 큰 값을 나타내는 위치(핫 스폿)와 대향하도록 실드케이스(2)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평판(11)의 단락단으로부터 개방단까지의 길이(L2)가 거의 1/4파장(λ/4)이 되도록 선택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L2)가 개방단에서 설정되는 원하는 임피던스에 상응하는 다른 각종 길이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드안테나로 이루어진 안테나(4)가 안테나소자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다른 각종 안테나소자가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테나(4)가 안테나 급전부(3)를 거쳐서 송수신회로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테나(4)는 송신전용 송신회로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휴대용 통신장치(10)에 적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통신을 행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각종의 휴대용 통신장치에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진의와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기술분야의 숙련자로부터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가 유전체에 따라서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동등하게 됨으로써,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안테나소자를 거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어떤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해서도 한 개의 전도성 평판의 일단에서의 임피던스를 거의 동등하게 하여 표면전류를 억제하여서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양을 감소시키는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2)

  1.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접지도체와,
    일단이 상기 접지도체에 전기적으로 단락되어(short-circuited) 있고, 타단이 상기 접지도체에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전도성 평판과,
    상기 전도성 평판과 상기 접지도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를 주파수 분산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동등하게 만든 유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에서, 상기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 중, 제 1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제 1상대유전율과 제 2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제 2상대유전율의 비는 상기 제 1무선통신주파수와 상기 제 2무선통신주파수의 비의 역수의 제곱과 거의 동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는 상기 제 1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파장의 1/4에 상기 제 1상대유전율의 역수의 제곱근을 승산하여산출된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는 상기 제 2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파장의 1/4에 상기 제 2상대유전율의 역수의 제곱근을 승산하여 산출된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육방체의 페라이트(ferrite)를 절연성물질에 주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평판은 상기 접지도체로 흐르는 상기 표면전류에 의해서 발생한 전자파가 최대로 흡수되는 인체의 특정영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접지도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휴대용 통신장치에 있어서,
    접지도체와,
    일단이 상기 접지도체에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접지도체에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전도성 평판과,
    상기 전도성 평판과 상기 접지도체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를 주파수 분산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에 대하여 동등하게 만든 유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에서, 상기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주파수 중, 제 1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제 1상대유전율과 제 2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제 2상대유전율의 비는 상기 제 1무선통신주파수와 상기 제 2무선통신주파수의 비의 역수의 제곱과 거의 동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는 상기 제 1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파장의 1/4에 상기 제 1상대유전율의 역수의 제곱근을 승산하여 산출된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평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전기길이는 상기 제 2무선통신주파수에 있어서의 파장의 1/4에 상기 제 2상대유전율의 역수의 제곱근을 승산하여 산출된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육방체의 페라이트를 절연성 물질에 주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평판은 상기 접지도체로 흐르는 상기 표면전류에 의해서 발생한 전자파가 최대로 흡수되는 인체의 특정영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접지도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치.
KR1020010011406A 2000-03-09 2001-03-06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 KR20010088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1089A JP2001257522A (ja) 2000-03-09 2000-03-09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JP2000-071089 2000-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404A true KR20010088404A (ko) 2001-09-26

Family

ID=1858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06A KR20010088404A (ko) 2000-03-09 2001-03-06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07318B2 (ko)
EP (1) EP1132998B1 (ko)
JP (1) JP2001257522A (ko)
KR (1) KR20010088404A (ko)
CN (1) CN1315755A (ko)
DE (1) DE60103198T2 (ko)
TW (1) TW5266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472A (ko) * 2002-09-06 2002-09-26 이명호 알루미늄 광판(光板)을 후면에 부착한 휴대전화기
KR100971931B1 (ko) * 2008-03-19 2010-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7938B2 (ja) * 2000-04-20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JP3798733B2 (ja) * 2001-06-13 2006-07-19 株式会社東芝 無線モジュールとこの無線モジュールを備えた無線通信端末
GB0122226D0 (en) 2001-09-13 2001-11-07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terminal
DE20221946U1 (de) * 2002-03-07 2009-09-17 Kathrein-Werke Kg Kombi-Antennenanordnung zum Empfang terrestrischer sowie Satelliten-Signale
FI121519B (fi) * 2002-04-09 2010-12-15 Pulse Finland Oy Suuntakuvioiltaan muokattava antenni
JP3925420B2 (ja) 2003-02-07 2007-06-0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無線機
KR100625121B1 (ko) * 2003-07-01 2006-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핸드셋 장치에서의 sar 노출 감소 방법 및 장치
TWI349473B (en) * 2003-07-11 2011-09-21 Sk Telecom Co Ltd Apparatus for reducing ground effects in a folder-type communications handset device
JP4312100B2 (ja) 2003-11-18 2009-08-1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2005278067A (ja) * 2004-03-26 2005-10-06 Sony Corp アンテナ装置
JP4108660B2 (ja) 2004-09-15 2008-06-25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EP1679761A1 (de) * 2005-01-07 2006-07-12 Success Chip Ltd., c/o Offshore Incorporations Ltd., P.O. Box 957, Offshore Incorporations Center Antenne für eine mobile Sende- und/ oder Empfangseinrichtung
TWI265656B (en) * 2005-05-12 2006-11-01 Benq Corp Antenna and electrical device utilizing the same
ES2313232T3 (es) * 2005-12-27 2009-03-01 TCL & ALCATEL MOBILE PHONES LIMITED Equipo portatil de comunicaciones para telefonia y television movil y accesorio correspondiente.
JP4146478B2 (ja) * 2006-07-07 2008-09-10 株式会社東芝 無線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
US7453406B2 (en) * 2006-12-29 2008-11-18 Motorola, Inc. Low interference internal antenna system for wireless devices
TWI423524B (zh) * 2009-05-20 2014-01-11 Ind Tech Res Inst 具切換不同輻射場形之特性的天線結構與製作方法
US20120044112A1 (en) * 2010-08-18 2012-02-23 Symbol Technologies, Inc. Local area network antenna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CN103209773B (zh) * 2010-11-15 2016-06-08 代表阿拉巴马大学的阿拉巴马大学理事会 用于无线通信设备中的m型六角铁氧体天线
JP6064732B2 (ja) * 2013-03-27 2017-01-25 Tdk株式会社 磁性酸化物焼結体、及びこれを用いた高周波磁性部品
CN104836023A (zh) * 2015-04-08 2015-08-1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天线系统
CN110383579B (zh) * 2017-03-06 2021-12-10 斯纳普公司 可穿戴设备天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0345A1 (en) * 1996-04-29 2003-02-27 H. Stephen Berger Radio-frequency hearing aid protec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products
SE508365C2 (sv) * 1996-11-04 1998-09-28 Ericsson Telefon Ab L M Radiotelefon med hög antenneffektivitet
JP3252786B2 (ja) * 1998-02-24 2002-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装置
JP2000059132A (ja) * 1998-08-10 2000-02-25 Sony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WO2000052783A1 (en) * 1999-02-27 2000-09-08 Rangestar International Corporation Broadband antenna assembly of matching circuitry and ground plane conductive radiating element
DE19911304A1 (de) * 1999-03-13 2000-09-14 New Materials Establishment Va Anstrich oder Folie zur elektromagnetischen Abschirmung in einem breiten Frequenzberei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472A (ko) * 2002-09-06 2002-09-26 이명호 알루미늄 광판(光板)을 후면에 부착한 휴대전화기
KR100971931B1 (ko) * 2008-03-19 2010-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사체에서 전자파 저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6622B (en) 2003-04-01
EP1132998A3 (en) 2002-10-09
US20020005808A1 (en) 2002-01-17
EP1132998B1 (en) 2004-05-12
EP1132998A2 (en) 2001-09-12
JP2001257522A (ja) 2001-09-21
CN1315755A (zh) 2001-10-03
DE60103198D1 (de) 2004-06-17
US6507318B2 (en) 2003-01-14
DE60103198T2 (de)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8404A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
US6515625B1 (en) Antenna
EP1055266B1 (en) Dual band diversity antenna having parasitic radiating element
US7852272B2 (en) Wireless unit antenna apparatus and mobile wireless unit
TWI411160B (zh) 天線及具有該天線之通訊裝置
US6771223B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machine
US102502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EP0623967A1 (en) Antenna apparatus
US20050128151A1 (en) Internal multi-band antenna with multiple layers
JPH0471368B2 (ko)
KR20040099274A (ko) RF 간섭을 감소하기 위한 이용 방법 및PIFA-Type 형 장치
JP4105987B2 (ja) 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具備した無線通信装置
US11431093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built-in dual-band antenn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JP421793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US7482984B2 (en) Hoop antenna
US20240039148A1 (en) Devices with Radiating Systems Proximate to Conductive Bodies
US8274435B2 (en) Antenna apparatus
EP0821428B1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N115296026A (zh) 麦克风天线装置
JP4257659B2 (ja) アンテナ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CN110534874A (zh) 一种终端设备天线装置及实现方法
KR20020026132A (ko) 두 개의 헬릭스로 구성된 휴대폰용 안테나
AU4898000A (en) Antenna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