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569A - 연결장치 및 연결소자 - Google Patents

연결장치 및 연결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569A
KR20010085569A KR1020010009462A KR20010009462A KR20010085569A KR 20010085569 A KR20010085569 A KR 20010085569A KR 1020010009462 A KR1020010009462 A KR 1020010009462A KR 20010009462 A KR20010009462 A KR 20010009462A KR 20010085569 A KR20010085569 A KR 20010085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lug
main body
signal cabl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구치마사하루
야스다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8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5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신호케이블의 한쪽 끝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또한 잭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잭에 제공된 잠금갈고리와 플러그에 제공된 잠금갈고리수용부 사이를 잠금(lock)으로써 플러그가 잭에 연결된 상태에서 신호케이블이 당겨질 때 플러그가 잭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플러그에 제공된 하우징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상술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따라서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장치 및 연결소자{Connector device and connection element}
본 발명은 한쪽 끝에 신호케이블과 결합되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와 연결되는 잭(jack)을 포함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호케이블이 잡아당겨질 때 잭으로부터 플러그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러그의 주몸체에 제공된 하우징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용신호케이블(exclusive signal cable)은 복수의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며, 이 신호케이블들을 전자기기에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신호케이블의 한쪽 끝에 설치된 플러그 또는 잭을 전자기기측에 설치된 잭 또는 플러그에 삽입함으로써, 신호케이블이 전자기기에 연결된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신호케이블과 같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전기신호케이블 뿐만 아니라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광신호케이블도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자기기측에 설치되는 커넥터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볼 때 예를 들어 전자기기의 뒤쪽의 눈에 띄지 않는 위치에 주로 설치된다. 따라서, 잭 또는 플러그에 각각 플러그 또는 잭을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제거할 수 있으면 좋다.
한편, 정보기기의 보급에 따라, 복수의 전자기기가 많은 수의 신호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신호케이블 중 하나의 연결이 어떠한 이유로 제거되면, 제거된 신호케이블을 검출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와 잭 사이의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큰 장력이 신호케이블에 주어졌을 경우에도 제거되지 않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신호케이블의 한쪽 끝에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연결되는 피연결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신호케이블이 잡아당겨질 때 연결부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부의 하우징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상기 피연결부로부터 연결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사용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넥터의 플러그쪽의 구조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잭에 삽입된 상태의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의한 커넥터의 잭으로부터 뽑힌 상태의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잭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잭의 구조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잭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잭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뽑아내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플러그가 잭에 꼭 끼워져 잠긴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뽑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플러그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뽑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플러그가 잭으로부터 빠지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뽑아내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잠금갈고리가 플러그의 테이퍼부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잭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잠금갈고리가 열리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잭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잠금갈고리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팩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잠금갈고리가 잠금갈고리수용부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플러그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이 잠금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서, 도 7a에 나타낸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하우징이 잠금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잭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커넥터 2. 플러그
3. 잭 4. 광케이블
5. 전자기기 6. 케이블커넥터
11. 플러그주몸체 21. 하우징
32. 암 33. 잠금갈고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의하면, 신호케이블의 단부(end portion)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해서 삽입 및 제거되는 피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피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호케이블이 결합되는 연결주몸체수단(connection main body means)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몸체수단은 상기 신호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연결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연결부의 상기 잠금수단이 끼워지는 끼움부(fitting portion)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또한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의 돌출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의 외주면에 제공된 하우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잠금상태는 상기 하우징수단의 이동에 따른 상기 피연결부의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이동에 의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의하면, 신호케이블과 결합되며 대응소자(counter element)에 연결되어지는 연결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소자가 상기 대응소자에 연결된 후에 상기 연결소자가 상기 대응소자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거방지수단을 상기 대응소자가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소자는 상기 신호케이블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 플러그주몸체수단과;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의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의 외주측(outer peripheral side)에 제공된 하우징수단과; 상기 연결소자가 상기 대응소자에 연결될 때 상기 대응수단의 상기 제거방지수단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신호케이블이 당겨졌을 때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이 상기 대응소자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하우징수단이 상기 대응소자로부터 상기 연결소자가 제거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대응소자의 상기 제거방지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끼워맞춤에 의한 상기 대응소자와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 사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의하면, 연결플러그가 삽입되고 제거되는 연결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플러그는 신호케이블의 한쪽 단부와 결합되는 연결주몸체와, 상기 연결주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연결주몸체부의 돌출방향에 평행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주몸체의 외주측에 제공된 하우징을 가진다. 상기 연결소자는 상기 신호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플러그의 제거를 막는 잠금수단과;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하우징이 특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연결플러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용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대표물로서의 커넥터(1)는 플러그(2)와 잭(3)을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2)는 예를 들어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케이블(4)의 단부(end portion)에 설치되며, 잭(3)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5)의 후측에 설치된다.
커넥터(1)에서, 플러그(2)가 잭(3)에 삽입되면, 플러그(2)의 끝(tip)에 노출되어 있는 광케이블(4)의 케이블컨덕터(6)는 잭(3)에 노출되어 있는 전자기기(5)측의 도시하지 않은 광송수신기의 개구창(opening window) 또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컨덕터에 연결된다.
또한, 같은 형태의 플러그(2)가 양단부에 설치되는 광케이블(4)을 도 1에 나타내었지만, 광케이블(4)에 설치된 양 플러그가 반드시 같은 형태의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다. 광케이블(4)의 한쪽 단부는 전자기기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구조에 대해서 도 2a,2b,2c,3,4a,4b,4c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2)의 구조에 대해서 도 2a,2b,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2b,2c는 본 실시예의 플러그(2)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여기에서 도 2a는 플러그(2)의 평면도이고, 도 2b,2c는 플러그(2)의 단면도이다.
플러그(2)는 플러그주몸체(11)와 플러그주몸체(11)의 외주(外周)측에 형성되는 하우징(21)을 포함하고 있다.
플러그주몸체(11)의 내부는 도 2b,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팅으로 덮여있는 광케이블은 그 코팅이 제거된 광케이블의 컨덕터가 플러그주몸체(11)의 끝에 형성된 개구부(13)로 노출된 상태로 이 속이 빈 할로우부(12)에 삽입된다.
도 2b,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1)으로 덮여있는 플러그주몸체(11)의외주면(外周面)(outer peripheral surface)의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에 돌출부(14)가 형성되며, 플러그(2)의 장축방향으로 돌출부(1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각각 가지고 있는 함몰부(22)가 하우징(21) 내주면의 돌출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하우징(21)은 돌출부(14)가 함몰부(22)의 좌측면(22a)과 접하고 있는 위치(도 2b참조)로부터 돌출부(14)가 함몰부(22)의 우측면(22b)과 접하고 있는 위치(도 2c참조)까지의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lock releasing claw receiving portion)(23)는 후술하는 잭(3)측의 잠금해제갈고리와 연동하여 잠금해제구조를 구성하고 있으며, 하우징(21) 끝쪽의 외주면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23)의 플러그주몸체(11)측에 있는 우벽면(right wall surface)은 테이퍼면(taper surface)(23a)으로 형성된다.
잠금갈고리수용부(15)는 후술하는 잭(3)측의 잠금갈고리와 연동하여 잠금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플러그주몸체(11) 끝쪽의 하우징(21)으로 덮여있지 않은 외주면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갈고리수용부(15) 끝쪽에 있는 벽면은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23)의 테이퍼부(23A) 보다 경사가 급한 테이퍼면(15a)으로 형성된다.
잭(3)의 구조에 대해서 도 3,4a,4b,4c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잭(3)의 구조를 나타낸 전개투시도이며, 도 4a,4b,4c는 각각 잭(3)의 투시도, 평면도,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잭(3)은 잠금부(31)와 홀더(41)를 가지고 있다. 잠금부(31)는 탄성을 가진 3개의 암(32)을 가지고 있으며, 3개의 암(32)은 서로 같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암(32)의 개수는 반드시 3개일 필요는 없으며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잠금갈고리(33)는 암(32) 각각의 끝에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잠금갈고리(33)의 끝은 둥글게 형성된다.
한쌍의 잠금해제갈고리(34)는 각각 그 단면이 둥근 돌출부의 구조를 가지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에 잠금갈고리(33)가 있는 암(32)의 중앙 근처의 양쪽에 제공된다.
잠금부(31)는 홀더(41)에 의해 잠금부(31)의 조립시에 잠금부(31)의 위치를 정하는 위치결정홈(36)을 가지고 있다. 홀더(41)는 위치결정홈(36)에 대응하는 위치돌출부(42)를 가지고 있다. 잠금부(31)를 홀더(41)에 설치할 경우, 위치돌출부(42)는 위치결정홈(36)에 맞추어짐으로써, 홀더(41)에 대한 잠금부(31)의 위치가 결정된다.
홀더(41)에 잠금부(31)를 삽입할 때에 암(32)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43)은 홀더(41)의 내면에 형성된다. 잠금부(31)는 안내홈(43)을 따라 홀더(41)에 삽입된다. 도 3에 단자 하나의 안내홈(43)만을 나타내었지만, 실제로는 도 4b에서처럼 암(32)마다 안내홈(43)이 제공된다. 플러그(2)는 홀더(41)의 개구부에서부터 삽입되기 때문에, 홀더(41)의 바닥면은 플러그(2) 끝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전자기기의 회로기판 등으로부터의 인출된 광케이블의 컨덕터(100)는홀더(41)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홀더(41)내의 잠금부(31)의 조립시에, 잠금부(31)는 다양한 방식으로 홀더(41)에 맞추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중 하나는 잠금부(31)를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렌지(37)로 홀더(41)에 맞추는 것이다.
잠금부(31) 및 홀더(41) 각각의 재질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최소한 잠금부(31)의 암(32)은 탄성재질로 만들 필요가 있다. 도 3,4a,4b,4c에 나타낸 잠금부(31) 및 홀더(41) 각각의 구조는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잠금부(31) 및 홀더(41) 각각의 생산시에 몰드로부터 상대적으로 쉽게 때어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잠금부(31) 및 홀더(41) 각각의 재질로서 나이론 등의 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생산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어 효과적이다.
잠금부(31)를 마모방지특성(wear resistance)이 필요한 많큼 높은 부재로 형성하지 않은 경우, 잠금갈고리(33)의 끝이 가장 잘 마모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잠금갈고리(34)의 끝에 구형의 금속부재 또는 롤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잠금해제갈고리(34)를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1)의 삽입/뽑기동작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잭(3)으로부터 플러그(2)를 뽑아내는 동작을 도 5a,5b,5c,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2)와 잭(3)이 연결상태에 있을 때, 잠금갈고리(33)와 잠금갈고리수용부(15)로 구성된 잠금구조에 의해 플러그(2)는 잭(3)에 잠기게 된다. 이때, 잠금갈고리(33)의 둥근 끝은 잠금갈고리수용부(15)의 테이퍼면(15a)과 접촉하게 되어, 플러그주몸체(11)의 끝으로부터 노출된 광케이블(4)의 컨덕터(6)는 맞닿아 있는 잭(3)의 코어(100)와 접하게 된다.
이때, 플러그주몸체(11)에 대한 하우징(21)의 위치가 하우징(21) 내에 형성된 함몰부(22)의 좌측벽(22a)과 돌출부(14)의 접촉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잠금해제갈고리(34)와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23)로 구성된 잠금해제구조는 맞물림(engagement) 상태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잭(3)으로부터 플러그(2)를 잡아당기어 플러그(2)가 왼쪽으로, 즉 뽑는 방향으로 미끄러지면, 플러그(2)의 하우징(21)은 우선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뽑는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잠금해제갈고리(34)는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23)의 테이퍼면(23a)을 따라 바깥쪽으로 늘어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잠금해제갈고리(34)가 형성되어 있는 암(32)에 형성된 잠금갈고리(33)는 잠금해제갈고리(34)와 함께 바깥쪽으로 즉 잠금해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잠금갈고리(33)의 바깥방향 즉 잠금해제방향으로의 이동량은 대응하는 잠금해제갈고리(34)의 바깥방향으로의 이동량보다 크게 되며, 그 이유는 암(32)의 지레의 지(支)점(fulcrum)에서부터 잠금갈고리(33)까지의 사이거리가 암(32)의 지점에서부터 잠금해제갈고리(34)까지의 사이거리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갈고리(33)는 잠금갈고리수용부(15)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따라, 잠금구조에 의한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2)가 사용자에 의해 뽑기방향으로 더 미끄러지면, 플러그주몸체(11)의 돌출부(14)는 하우징(21)의 함몰부(22)의 우측면(22b)과 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주몸체(11)는 하우징(21)과 함께 뽑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잠금갈고리(33)는 플러그주몸체(11)의 외주(外周)에 위치하여, 잠금갈고리수용부(15)로부터 완전히 해제된 상태로 된다. 그후,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플러그(2)가 뽑기방향으로 더 미끄러짐에 따라, 잠금갈고리(33)는 플러그주몸체(11)의 외주를 따라 이용하여, 결국 잭(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 의해, 잭(3)으로부터 플러그(2)를 뽑을 때에, 플러그(2)를 뽑기방향으로 미끄러뜨리는 단순동작에 의해 플러그(2)가 잭(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반면에, 플러그(2)에 결합된 광케이블(4)을 어떠한 이유로 뽑기방향으로 당기면, 광케이블(4)로부터 플러그주몸체(11)쪽으로 장력이 직접 인가된다. 이때, 도 5a,5b,5c,5d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즉, 잠금해제구조에 의한 잠금구조를 해제하는 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플러그(2)가 잭(3)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플러그(2)와 잭(3) 사이의 연결이 광케이블(4)에 과도한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장시간 지속되면, 광케이블(4)이 연결된 전자기기측의 손상 및/또는 광케이블(4)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에 따라, 잠금갈고리(33)의 끝이 둥글고, 잠금갈고리수용부(15)의 끝쪽의 측벽(side wall)이 테이퍼면(15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케이블(4)의 파손 및 전자기기의 손상을 일으키기에 충분히 높은 장력이 광케이블(4)에 인가되면, 잠금구조의 잠금갈고리(33)가 테이퍼면(15a)을 따라 늘어나고, 따라서, 잠금상태가 강제적으로 해제된다. 그 결과, 광케이블(4)에 장력이 인가된 경우라도, 광케이블(4)의 파손 및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잭(3) 안에 플러그(2)를 삽입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6a,6b,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플러그(2)가 잭(3)에 삽입되면, 잠금갈고리(33)는 플러그주몸체(11)의 끝부분의 외주를 따라 이동하고, 또한 잠금해제갈고리(34)도 하우징(21)의 외주를 따라 이동한다.
이어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2)를 삽입방향으로 더 밀면, 잠금갈고리(33)가 플러그주몸체(11)에 의해 바깥쪽으로 늘어나면서 이동하고, 잠금해제갈고리(34)는 하우징(21)에 의해 바깥쪽으로 늘어나면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2)를 잭(3)의 특정위치까지 밀면, 잠금갈고리(33)가 잠금갈고리수용부(22)에 잠기게 되고, 잠금해제갈고리(34)는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23)에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 의하면, 잭(3)에 플러그(2)를 삽입하는데 있어서, 플러그(2)를 잭(3)안으로 미는 단순동작에 의해 플러그(2)가 잭(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넥터(1)를 위해 이용되는 플러그의 구조는 도 2a,2b,2c에나타낸 플러그(2)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a,7b는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1)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 2a,2b,2c에 나타낸 플러그(2)의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같은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7a,7b,7c에 나타낸 플러그(40)는 돌출부(24)가 하우징(21)의 내주면 상의 상하부위치에 형성되고, 플러그(40)의 장축방향으로 돌출부(24)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함몰부(16)가 플러그주몸체(1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술한 구조에서 얻은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a,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4)를 테이퍼화함으로써, 하우징(21) 내에 플러그주몸체(11)를 조립하는 일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a,2b,2c,5a,5b,5c,5d,6a,6b,6c에 나타낸 돌출부(14)도 테이퍼화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잠금갈고리수용부 및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는 플러그(2)에 제공되고, 잠금갈고리(33) 및 잠금해제갈고리(34)는 잭(3)에 제공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잠금갈고리 및 잠금해제갈고리는 각각 플러그 및 잠금갈고리수용부에 제공될 수도 있고, 잠금해제갈고리수용부는 잭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적합한 커넥터의 구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자기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정한 용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설명은 단지 예로서 기술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권리범위에서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연결부로서의 플러그를 이 연결부가 연결되는 피연결부로서의 잭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막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며, 플러그 상에 제공된 하우징이 잭으로부터 플러그의 제거방향으로 이동할 때 잠금수단을 해제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가 잭에 연결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잭에 잠기게 되고, 신호케이블이 당겨질 경우에도 잭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되며,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는 경우에, 뽑기방향으로 플러그를 미끄러게 이동시는 것에 의한 잠금해제수단의 이동에 의해 잭과 플러그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결과적으로 잭으로부터 플러그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및 잭 중 하나의 같은 암에 형성된 잠금갈고리와 잠금해제갈고리를 제공하고, 또한 잠금해제갈고리가 맞물리는 연동홈(engagement groove)과, 플러그 및 잭 중 다른 하나에 잠금갈고리가 잠기게 되는 잠금홈을 제공함으로써 잠금구조 및 잠금해제구조를 간단히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갈고리의 끝부분이 둥글게 되어 있고, 잠금홈의 돌출된 쪽의 벽면이 특정한 경사를 가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러그가 잭에 삽입된 상태로 잭쪽의 광장치의 개구창 또는 컨덕터와 플러그쪽에서의 컨덕터가 확실히 접하게 되어, 신호를 확실히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값의 장력이 신호케이블에 인가될 경우, 잭과 플러그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신호케이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신호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삽입 및 제거되는 피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장치로서,
    상기 피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신호케이블이 결합되는 연결주몸체수단으로서, 상기 신호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연결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연결부의 상기 잠금수단이 끼워지는 끼움부(fitting portion)를 포함하는 연결주몸체수단과;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의 돌출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의 외주면에 제공된 하우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잠금상태가 상기 하우징수단의 이동에 따른 상기 피연결부의 상기 잠금해제수단의 이동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연결부의 상기 잠금수단 및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같은 암수단(arm means)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하우징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에 제공된 끼움부와 상기 잠금수단 사이의 끼움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에 제공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연결주몸체수단의 외주부에 제공된 잠금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연결부의 상기 잠금수단의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는 부분이 곡면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잠금홈의 한쪽면이 특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신호케이블과 결합되며 대응소자(counter element)에 연결되어질 연결소자로서, 상기 연결소자가 상기 대응소자에 연결된 후에 상기 연결소자가 상기 대응소자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거방지수단을 상기 대응소자가 포함하고 있는 연결소자로서,
    상기 신호케이블의 한쪽 단부에 연결된 플러그주몸체수단과;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플러그주몸체의 돌출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의 외주측(outer peripheral side)에 제공된 하우징수단과;
    상기 연결소자가 상기 대응소자에 연결될 때 상기 대응수단의 상기 제거방지수단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신호케이블이 당겨졌을 때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이 상기 대응소자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하우징수단이 상기 대응소자로부터 상기 연결소자가 제거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대응소자의 상기 제거방지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끼워맞춤에 의한 상기 대응소자와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 사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자의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플러그주몸체수단의 외주부에 제공된 잠금홈(locking groo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소자.
  7. 신호케이블의 한쪽 단부와 결합되는 연결주몸체와, 상기 연결주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상기 연결주몸체부의 돌출방향에 평행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주몸체의 외주측에 제공된 하우징을 가지는 연결플러그가 삽입되고 제거되는 연결소자로서,
    상기 신호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플러그의 제거를 막는 잠금수단과;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하우징이 특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잠금수단에 의한 상기 연결플러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 및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같은 암수단(arm means)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하우징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해제수단이 상기 연결플러그에 제공된 끼움부(fitting portion)와 상기 잠금수단 사이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소자.
KR1020010009462A 2000-02-28 2001-02-24 연결장치 및 연결소자 KR20010085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5990 2000-02-28
JP2000-055990 2000-02-28
JP2001-019776 2001-01-29
JP2001019776A JP2001319731A (ja) 2000-02-28 2001-01-29 接続装置、接続プラグ、接続ジャ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569A true KR20010085569A (ko) 2001-09-07

Family

ID=2658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462A KR20010085569A (ko) 2000-02-28 2001-02-24 연결장치 및 연결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019175A1 (ko)
EP (1) EP1128485A1 (ko)
JP (1) JP2001319731A (ko)
KR (1) KR20010085569A (ko)
CN (1) CN13114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333B1 (ko) * 2001-12-06 2006-02-2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162A (ja) * 2002-06-21 2004-01-29 Sharp Corp メカニカルロック式コネクタ
KR100456272B1 (ko) * 2002-11-13 2004-11-09 양관숙 광접속모듈
DE102004042671B4 (de) * 2004-09-01 2014-02-13 Neutrik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Klinkensteck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02006001630A1 (de) 2006-01-11 2007-07-12 Neutrik Aktiengesellschaft Steckerbuchse
JP4550844B2 (ja) * 2006-03-22 2010-09-22 株式会社ビスキャス 電力ケーブルの導体接続構造
US8111803B2 (en) * 2009-04-29 2012-02-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energy sensitive computed tomography using checkerboard filtering
KR101689727B1 (ko) * 2010-08-13 2016-12-2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고전압용 커넥터
TWM427697U (en) * 2011-11-14 2012-04-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product
JP5705791B2 (ja) * 2012-06-11 2015-04-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US9825413B2 (en) * 2014-12-15 2017-11-21 Piotr Nawrocki Security cable
CN105774592B (zh) * 2016-05-23 2018-05-04 江苏迅电畅达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止拉扯功能的充电桩
CN105977695A (zh) * 2016-06-22 2016-09-28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高压密封连接器
DE202018103940U1 (de) * 2018-07-10 2019-10-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eckverbinderanordnung
JP2021190231A (ja) * 2020-05-27 2021-12-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CN113948916B (zh) * 2021-09-26 2024-03-1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直插拔水密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236A (en) * 1983-07-18 1985-09-10 Cordis Corporation Quick lock/quick release connector
US5121454A (en) * 1989-11-24 1992-06-0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333B1 (ko) * 2001-12-06 2006-02-2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8485A1 (en) 2001-08-29
US20020019175A1 (en) 2002-02-14
JP2001319731A (ja) 2001-11-16
CN1311449A (zh) 200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563B1 (ko) 커넥터 플러그
KR20010085569A (ko) 연결장치 및 연결소자
CN203054267U (zh) 防尘装置和连接器组件
US6132234A (en) Coaxial plug connector for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particular in motor vehicles
US7025636B2 (en) Adaptor for making broken connectors serviceable
US5199897A (en) Electrical connectors
JPH08213103A (ja) 電気コネクタ
WO2006092904A1 (ja) コネクタ用ブーツ及びコネクタ組立体
EP1028496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and metal spring
EP0848458B1 (en) Connector with engagement detection means
JP3272850B2 (ja) コネクタ
US5209678A (en) Telecommunications front access coaxial jack and plug assembly with releasable locking feature
US6964526B2 (en) Optical plug and optical connector provided with the optical plug
US5672075A (en) Round terminal-receiving connector
JP4756568B2 (ja) 光ファイバ用コネクタ組立体の保護装置
US11598923B2 (en) Fiber optical connector
JP2000147323A (ja) コネクタプラグ
US5926597A (en) Connector for optical fiber
KR950012746B1 (ko) 접속 디바이스
CN218334557U (zh) 一种新型连接器
JP2595880Y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217036B2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KR200173234Y1 (ko) 컨넥터의 록장치
JPH0745907Y2 (ja)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ソケット
JP3162635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