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979A -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 Google Patents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979A
KR20010081979A KR1020000083561A KR20000083561A KR20010081979A KR 20010081979 A KR20010081979 A KR 20010081979A KR 1020000083561 A KR1020000083561 A KR 1020000083561A KR 20000083561 A KR20000083561 A KR 20000083561A KR 20010081979 A KR20010081979 A KR 20010081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ing
drill head
drilling rod
brittle material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젠우베
비르슈테트헨닝
Original Assignee
마쯔자끼히로시
신에쯔 세끼에이 가부시키가이샤
게르하르트 빌스마이어
헤래우스 크바르츠글라스 게엠베하 & 컴파니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자끼히로시, 신에쯔 세끼에이 가부시키가이샤, 게르하르트 빌스마이어, 헤래우스 크바르츠글라스 게엠베하 & 컴파니 케이지 filed Critical 마쯔자끼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1008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 B23B31/1107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for conic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08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with 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 B23B31/1107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for conical parts
    • B23B31/1122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for conical parts using cylindrical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1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56Differential screw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1Tool having crystalline cutting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rilling Tool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 헤드 (2) 가 드릴링 토오크 전달용의 포지티브-로크 연결부에 의해 드릴링 로드 (3) 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1) 에 관한 것이다. 정확한 상대위치의 설정을 위해, 드릴 헤드 (2) 는 도시된 작동상태에서 드릴링 로드 (3) 의 대응 리세스 (11) 안의 중심으로 결합하는 원뿔형 형상부 (10) 를 갖는다. 임의의 축방향 풀림을 억제하기 위한 보호수단으로서, 중공의 암나사로서 구성된 고정장치 또는 어레스트 (15,20) 가 설치되고, 이 고정장치 또는 어레스트는 드릴 헤드 (2) 의 나사부 (16) 및 드릴링 로드 (3) 의 나사부 (17) 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나사부 (16,17) 는 역류 피치를 갖는다. 어레스트 (15) 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드릴 헤드 (2) 와 드릴링 로드 (3) 는 간단히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거나 상호 분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어레스트 (15) 에 의한 연결부는 외부의 영향에 대해 최적의 보호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드릴링 장치 (1) 에 의하면, 과도한 마모없이, 그리고 복잡한 취급없이 구멍뚫기를 높은 정확도로 수행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DRILLING DEVICE FOR BRITTLE MATERIALS}
본 발명은, 드릴 헤드가 포지티브-로크 연결부에 의해 드릴링 로드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드릴링 장치는 예컨대 유리재료를 드릴링하는데 사용된다. 고유의 기초 상태는 동일한 드릴링 장치의 사용을 대부분 제외한 금속재료를 가공하기 위한 것과는 기본적으로 다르다. 우선, 취성재료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손상을 방지하도록 드릴 헤드를 구성할 필요가 있는데, 이 드릴 헤드는 통상적으로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다르게 되어 있는 수개의 드릴 비트를 갖는다. 또한,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의 연결부는 취성재료를 가공함에 있어 특수한 상황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과 당면한 두 가지의 기본적인 목표가 있는데, 하나는 드릴 헤드를 정확히 안내하여 재료가공의 공차를 엄밀히하는 것이고,다른 하나는 드릴 헤드의 취급을 간단히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간행물 DE-GM 19 13 317 호로부터는, 슬롯과 페더 구성에 의해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를 연결하는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부의 구성은 정밀성이 요구된다는 측면에서 드릴링 장치의 조건에 충분히 부합하지는 않는다. 특히, 드릴 비트의 간단한 교체를 위해, 보어와 드릴링 축 사이에 공차 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는 드릴링 공정중에 불가피하게 호칭값의 일탈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이와는 반대로, DE 44 34 025 A1 호는 변화된 연결부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는 드릴링 로드가 드릴 헤드의 고정을 위한 대응 나사부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이 경우, 드릴 헤드는 2 개의 원통형 베어링 영역 및 전방의 스톱부에 의해 정렬된다. 여기서 또한, 용이한 장착을 위해 공차 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는 특히 비교적 낭비적인 드릴 헤드의 구조면에서, 그리고 취성재료의 가공조건이 증가하는면에 있어서, 드릴링 공정중에 정밀도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나사 연결부는 상당한 유지 및 관리 비용을 필요로 하며, 굵은 입자의 재료에 기인하여 퇴적물 및 드릴 헤드 표면에 대한 손상을 일으키게 되는 마모를 방지하는 데에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정밀성의 성취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가공에서 입증된 연결부, 예컨대 척을 기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거가 비교적 용이하지 않은 치핑 (chippings) 을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재료를 가공함에 있어서는 실패하기 쉽다; 이것은 또한, 퇴적물 또는 침입 입자에 기인한 연결부의 손상때문에 실패하기 쉬우며, 따라서 신뢰적인 연속적인 사용이 배제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한편으로는 재료의 가공에 있어 높은 정밀도를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취급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는,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의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 은 드릴 헤드가 드릴링 로드에 장착되기 이전의 드릴링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드릴링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A-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도 1 및 도 2 의 연결부를 변형한 또다른 연결부를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에 설치한 드릴링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드릴링 장치 2 : 드릴 헤드
3 : 드릴링 로드 4 : 전방 단부
5 : 드릴 비트 (drill bit) 6 : 안내 스트립
7 : 단부 8 : 연장부
9 : 원통형 단면부 10 : 원뿔형 형상부
11 : 리세스 (리셉터클) 12 : 돌출부
13 : 리세스 14 : 장착 틈새
15 : 어레스트 (arrest) 16 : 드릴 헤드의 나사부
17 : 드릴링 로드의 나사부 18 : 오목부
19 : 드릴링 장치 20 : 어레스트
21 : 단부면 22 : 드릴 헤드
23 : 단부면 24 : 중공 보디부 (hollow body)
25 : 내벽 26 : 형성요소
27 : 원통형 단면부 28 : 오목부
29 : 중공 공간부 30 : 저지 보디부 (obstructing body)
31 : 개구부 32 : 잠금 나사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 따른 드릴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나머지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의 포지티브-로크 연결부를 드릴링 토오크를 확실히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실질적으로 원뿔형인 형상부를 설치하며, 이 원뿔형 형상부를 상기 드릴 헤드가 드릴링 로드상에서 중심위치를 확립할 수 있도록 대응 리셉터클안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드릴링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드릴 헤드는, 드릴링 토오크의 전달과 무관하게, 원뿔형 형상부에 의해 높은 정밀도로 위치하여 중심위치를 설정하게 되며, 드릴링 토오크는 포지티브-로크 연결부에 의해 전달된다. 따라서, 드릴 헤드의 고정을 위해 나사가 필요치 않으며, 드릴 헤드가 오로지 원뿔형 형상부에 의해서 위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공차도 후속의 드릴링 공정의 정밀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취급이 매우 간단하여, 드릴 헤드의 변경에 따른 비용 및 제작공정시의 드릴링 장치의 가동 중지 시간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포지티브-로크 연결부의 구성이 계속적인 작동에 있어 재료의 치핑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유지및 관리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경우에 따라, 원뿔형 형상부의 세척도 이동하는 부품이나 언더컷이 없기 때문에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드릴링 장치에 있어서, 포지티브-로크 연결부는, 드릴 헤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이 돌출부를 수용하는 드릴링 로드의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예컨대 캠으로서 구성된 돌출부는 드릴 헤드의 고정시에 드릴링 로드의 리세스 안으로 포지티브-로크 결합하며, 이에 의해 드릴링 토오크를 신뢰성있게 전달한다. 드릴링 헤드와 드릴 로드간의 접촉영역이 드릴 헤드의 작동시에 서로에 대해서 자동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리세스와 드릴링간의 공차 수단은 여기서는 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모따기 장치로서 구성된 이송장치는 추가로 단순한 연결부의 수행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간단한 실시형태의 연결부에 있어서, 포지티브-로크 연결부는 발톱형 커플링 (claw coupling) 을 갖는다. 표준 부품으로서 이용되는 이러한 연결부는 실제적인 드릴링 장치의 사용에 있어 설치가 간단하며 신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톱형 커플링은 작동위치에서 자동으로 어레스팅 (arresting) 을 행하는 예컨대 적어도 2 개의 비가동 또는 심지어는 가동 발톱을 가지는데, 이에 의해, 예컨대 드릴 헤드를 드릴 구멍으로부터 빼낼 때에 드릴 헤드가 드릴링 로드로부터 축방향으로 릴리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축방향 상대이동을 억제하는 보호수단으로서 어레스트를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 어레스트 또는 고정장치는, 주로 상기 돌출부와 리세스간의 접촉 또는 물림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들 돌기부와 리세스간의 접촉 또는 물림이 풀리게 되면 드릴링 모멘트의 신뢰적인 전달이 더 이상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파지장치 또는 체결장치로서 구성된 어레스트는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의 연결부를 보호하여 그 연결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웨지 (wedge) 로서 구성된 정지 보디부, 또는 연결부를 관통하는 잠금 핀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어레스트는, 드릴 헤드의 나사부 또는 드릴링 로드의 나사부와 연동하는 슬리브를 갖는다.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의 연결에 이어, 상기 슬리브는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를 서로에 대해서 논-포지티브하게 조임으로써, 임의의 우발적인 풀림을 억제한다. 이와 동시에, 중공의 암나사로서 구성된 슬리브는 연결부를 에워싸게 되며, 이에 의해 임의의 침입 입자에 대한 밀봉 또는 적어도 개선된 보호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슬리브는, 각각의 나머지 부품의 방향에 있어서의 축방향 이동은 제한되면서, 드릴 헤드 또는 드릴링 로드에서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고정을 위해, 슬리브는 연결부상에 미끄러지고 회전에 의해 각각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슬리브의 반대편 단부는 스토퍼에 놓여진다.
본 발명의 특히 실용적인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어레스트가 드릴 헤드의 나사부 및 드릴링 로드의 나사부와 동시에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두 개의 나사부는 역류 피치를 갖는다. 어레스트가 역류 나사부와 나사결합함으로써, 드릴헤드가 드릴링 로드에 대하여 용이하게 조여지며, 또한 이러한 어레스트에 의해 양호한 밀봉효과 및 연결부의 개선된 보호효과가 달성된다. 연결부의 나사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어레스트를 간단히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를 분리하면 된다. 이 때문에, 퇴적입자의 고착력에 대항하여 연결부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나사결합의 해제가 비교적 손쉽다.
상기 어레스트는, 필요한 회전운동의 실현을 위해, 상업적으로 유용한 공구의 적용을 허용하는 다각형의 외면을 가지는 단면형상을 가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추천할만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어레스트는 전체의 축방향 거리에 걸쳐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그 외면에 갖는다. 이 때문에, 이 오목부는, 동시에, 채널로서 기능하는 오목부를 따르는 드릴링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동시에, 오목부에 결합하는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오목부는 주로 드릴링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거나 또는 경사지거나 나선으로 배치되어 드릴링 유체의 흐름을 도울 수도 있다. 다수의 오목부에 의하면, 상기 유리한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특히 실용적인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어레스트는 드릴 헤드의 외측 반경방향 치수에 대해 홈가공된다. 이 때문에, 드릴링 액체의 흐름에 대한 영향이 아주 작아지며, 어레스트와 드릴 구멍의 벽 공간의 접촉 및 어레스트 또는 벽 공간에 대한 각각의 잠재적인 손상이 회피된다.
더욱이, 상기 어레스트는, 저지 보디부, 특히 볼에 의해 충진됨으로써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의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는 중공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의 외주상에 설치된 오목부를 동축으로 덮는 형성요소를 가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드릴 헤드 또는 드릴링 로드는 단지 홈으로서 구성된 오목부를 필요로 하며, 축방향 고정을 위해 구비된 고정장치 또는 어레스트는 저지 보디부를 위한 대응 안내 스트립을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어레스트는 기존의 드릴링 장치의 새로운 개선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특히 간단한 실시형태에서는, 어레스트는 단일의 암나사로서 구성된다. 이 단일의 암나사는, 예컨대 자유회전이 가능하며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드릴 헤드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의 잠금후, 드릴링 로드의 나사부상에 상기 단일의 암나사를 간단히 나사결합함으로써 드릴 헤드를 축방향으로 고정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드릴 헤드의 교환시에 발생되는 제작 및 취급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어레스트는, 드릴 헤드가 제 1 형성요소를 구비하고, 이 제 1 형성요소가, 작동상태에서 드릴링 로드의 제 2 형성요소와 함께, 저지 보디부, 특히 볼에 의해 충진되는 중공 공간부를 형성하며, 이 중공 공간부가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간의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드릴 헤드의 드릴링 로드로의 간단한 축방향 고정이 이루어져 취급이 손쉬워지며, 고정장치가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의 일체부로서 구성되어 추가의 부품이 불필요해진다. 여기서는, 중공 공간부가 잠금가능한 개구부를 통해 저지 보디부로 충진되어,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의 축방향 변위가 실질적으로 서로를 덮는 두 개의 형성요소에 의해 저지되며, 따라서 드릴 헤드와 드릴링 로드의 상대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전적으로 포지티브-로크 연결부에 의해 드릴링 토오크가 전달된다. 저지 보디부를 도입하여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고, 동시에 드릴링 토오크의 전달을 가능토록 하는 실시형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기본적인 원리의 설명을 위해 도면에는 두 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었는 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드릴 헤드 (2) 와 드릴링 로드 (3) 가 상호 연결되기 이전의 드릴링 장치 (1) 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드릴 헤드는 그 전방 단부 (4) 에 수개의 드릴 비트 (5) 와 수개의 안내 스트립 (6) 을 가지는데, 이들 드릴 비트 각각은 드릴 구멍의 점진적인 연장을 위해 그 직경이 상이하게 되어 있으며, 안내 스트립은, 드릴링 유체 (도시되지 않음) 와 협동하여, 압력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드릴 구멍 (도시되지 않음) 의 내벽에서 지지체 역할을 한다. 더욱이, 드릴링 로드 (3) 에 대면하는 드릴 헤드 (2) 의 단부 (7) 는, 원통형 단면부 (9) 와 원뿔형 형상부 (10) 를 가지는 연장부 (8)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뿔형 형상부 (10) 는 드릴링 로드 (3) 의 대응 리세스 (11) 안으로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릴링 로드 (3) 안에서의 드릴 헤드 (2) 의 중심잡기가 가능하다. 드릴링 토오크의 전달을 위해, 드릴 헤드 (2) 의 원통형 단면부 (9) 는 캠으로서 구성된 수개의 돌출부 (12) 를 외면에 가지고 있다. 이들 돌출부 (12) 는 드릴링 로드 (3) 의 대응 리세스 (13) 안으로 침입하여 드릴링 토오크의 전달기구를 형성한다. 드릴 헤드 (2) 대 드릴링 로드 (3) 에 있어서의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드릴링장치 (1) 는 중공의 암나사로서 구성된 어레스트 (arrest : 15) 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어레스트는 드릴 헤드 (2) 의 제 1 나사부 (16) 및 드릴링 로드 (3) 의 제 2 나사부 (17) 와 동시에 나사결합한다. 두 나사부 (16,17) 는 역류 피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레스트 (15) 를 회전시킴으로써 드릴링 로드 (3) 및 드릴 헤드 (2) 는 서로에 대해서 조여지는 것이 가능하다. 드릴 헤드 (2) 의 교환을 위해서는, 어레스트 (15) 를 타방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릴 헤드 (2) 와 드릴링 로드 (3) 를 서로 분리시키고, 리세스 (11) 로부터 원뿔형 형상부 (10) 를 빼내면 된다. 이를 위해, 어레스트 (15) 는 홈으로서 구성된 수개의 오목부 (18) 를 그 외면에 구비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나사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공구의 적용이 간단해지고, 드릴링 유체의 유동을 위한 단면이 증가하게 된다.
도 2 는 드릴링 로드 (3) 와 드릴 헤드 (2) 가 연결된 드릴링 장치 (1) 의 작동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연장부 (8) 의 원통형 단면부 (9) 에 설치된 돌출부 (12) 는 드릴링 로드 (3) 의 리세스 (13) 안으로 침입하여, 드릴링 토오크를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한 포지티브-로크 (positive-lock) 연결부를 형성하고 있다. 드릴 헤드 (2) 와 드릴링 로드 (3) 간에 있어서 중심이 잡히게 되는 중심방위는, 드릴 헤드 (2) 의 원뿔형 형상부 (10) 를 드릴링 로드 (3) 의 리셉터클 (11) 에 대하여, 즉 리세스에 대하여 유격없이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드릴 헤드 (2) 의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작동상태에 있어 중공의 암나사로서 구성된 어레스트 (15) 를 드릴 헤드 (2) 및 드릴링 로드 (3) 의 역류 피치 (16,17) 상에서, 즉 나사부상에서 조여, 이들 드릴 헤드 및 드릴링 로드를 서로 나사고정한다. 이와 동시에, 포지티브-로크 연결이 재료의 부스러기나 드릴링 유체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므로, 장치의 마모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도 3 은 도 2 의 A-B 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드릴 헤드 (2) 와 드릴링 로드 (3) (도시되지 않음) 간의 포지티브-로크 연결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드릴 헤드 (2) 의 연장부 (8) 는, 원통형 단면부 (9) 의 외주에 고르게 설치되어 있는 예컨대 4개의 돌출부 (12)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돌출부 (12) 는 이것에 대응하여 형성된 드릴링 로드 (3) 의 리세스 (13) 안으로 침입하여, 그들의 접촉공간에서 드릴링 토오크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전달기구를 형성하고 있다. 결합시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장착 틈새 (14) 를 설치한다. 더욱이, 드릴 헤드 (2) 의 나사부 (16) 를 가지는 어레스트 (15) 가 도시된다. 어레스트 (15) 의 외부 공간은 홈으로서 구성된 복수의 오목부 (18) 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는 드릴링 장치 (19) 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어레스트 (20) 가 변화한 관점에서, 도 1 과 도 2 에 대하여 주로 연결부가 변해 있다. 여기서, 어레스트 (20) 는 드릴링 로드 (3) 에 대면하는 그의 단부면 (21) 이 드릴링 로드 (3) 의 나사부 (17) 와 연동한다. 중공의 보디부 (24) 로서 구성된 상기 어레스트 (20) 는, 드릴 헤드 (22) 에 대면하는 그의 단부면 (23) 에 있어서 내벽 (25) 에 설치된 형성요소 (26) 를 갖는다. 도시된 작동상태에 있어서, 이 형성요소 (26) 는 드릴 헤드 (22) 의 원통형 단면부 (27) 의 원주상에 설치된 오목부 (28)로 꼭 들어맞게 덮혀 있다. 원형 단면을 가지며 오목부 (28) 와 형성요소 (26) 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환형의 중공 공간부 (29) 에 있어서, 어레스트 (20) 의 개구부 (31) 안으로는 볼 (ball) 로서 구성된 저지 보디부 (30) 가 충진되어 잠금 나사 (32) 에 의해 로크되어 있다. 따라서, 드릴 헤드 (22) 와 드릴링 로드 (3) 간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가 억제된다. 드릴링 토오크의 전달을 위해, 드릴 헤드 (22) 는 드릴링 로드 (3) 의 리세스 (13) 안으로 침입하는 수개의 돌출부 (12) 를 가지며, 한편으로는 드릴 헤드 (22) 의 원뿔형 형상부 (10) 가 드릴링 로드 (3) 의 리셉터클 (11) 에 맞닿음으로 인하여, 드릴 헤드 (22) 와 드릴링 로드 (3) 간의 유격없이 중심 위치설정이 확립된다.
돌출부 (12) 와 리세스 (13) 간의 확실한 포지티브-로크 연결을 통해 드릴링 토오크를 전달함과 동시에 원뿔형 형상부 (10) 를 통해 정확한 중심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 유닛과, 어레스트, 즉 고정장치 (20) 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풀림 (loosening) 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 유닛으로 분리하고 있으므로, 드릴 헤드 (2,22) 와 드릴링 로드 (3) 간에는, 취성재료를 드릴링하기 위한 특별한 조건에 최상으로 부합하는 커플링 (coupling) 이 달성된다. 이 때문에, 드릴링 장치 (1,19) 의 마모를 증가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제작과 취급에 소요되는 잉여 지출을 초래하지 않고서 처음으로 구멍을 높은 정확도로 뚫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도한 마모없이, 그리고 복잡한 취급없이 구멍뚫기를 높은 정확도로 수행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드릴 헤드가 포지티브-로크 연결부에 의해 드릴링 로드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릴 헤드 (2,22) 와 드릴링 로드 (3) 간의 포지티브-로크 연결부는 드릴링 토오크를 확실히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원뿔형인 형상부 (10) 가 설치되며, 이 원뿔형 형상부는 상기 드릴 헤드 (2,22) 가 드릴링 로드 (3) 상에서 중심위치를 확립할 수 있도록 대응 리셉터클 (11) 안으로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로크 연결부는, 드릴 헤드 (2,22) 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12) 와, 이 돌출부 (12) 를 수용하는 드릴링 로드 (3) 의 리세스 (13)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로크 연결부는 발톱형 커플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링 장치 (1,19) 는, 상기 드릴 헤드 (2,22) 와 드릴링 로드 (3) 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축방향 상대이동을 억제하는 보호수단으로서 어레스트 (1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트 (15,20) 는, 드릴 헤드 (2,22) 의 나사부 (16) 또는 드릴링 로드 (3) 의 나사부 (17) 와 연동하는 슬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트 (15) 는 드릴 헤드 (2) 의 나사부 (16) 및 드릴링 로드 (3) 의 나사부 (17) 와 동시에 연동하고, 이들 두개의 나사부 (16,17) 는 역류 피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트 (15,20) 는 전체의 축방향 거리에 걸쳐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18) 를 그 외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트 (15,20) 는 드릴 헤드 (2,22) 의 외측 반경방향 치수에 대해 홈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트 (20) 는, 저지 보디부 (30), 특히 볼에 의해 충진됨으로써 드릴 헤드 (22) 와 드릴링 로드 (3)간의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는 중공 공간부 (29) 가 형성되도록, 상기 드릴 헤드 (22) 의 외주상에 설치된 오목부 (28) 를 동축으로 덮는 형성요소 (26)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트 (15,20) 는 나사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11. 전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릴링 장치 (1,19) 는 드릴 헤드 (22) 가 제 1 형성요소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는 어레스트를 포함하고, 이 제 1 형성요소는, 작동상태에서 드릴링 로드 (3) 의 제 2 형성요소와 함께, 저지 보디부 (30), 특히 볼에 의해 충진되는 중공 공간부 (29) 를 형성하며, 이 중공 공간부는 드릴링 로드 (3) 에 대한 드릴 헤드 (22) 의 임의의 축방향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KR1020000083561A 1999-12-29 2000-12-28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KR20010081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3636.2 1999-12-29
DE19963636A DE19963636C2 (de) 1999-12-29 1999-12-29 Bohreinrichtung für spröde Werkstoff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79A true KR20010081979A (ko) 2001-08-29

Family

ID=793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561A KR20010081979A (ko) 1999-12-29 2000-12-28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02605B1 (ko)
EP (1) EP1112813A3 (ko)
JP (1) JP2001232630A (ko)
KR (1) KR20010081979A (ko)
DE (1) DE19963636C2 (ko)
MY (1) MY1335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7016U1 (de) * 2002-05-03 2002-08-14 Gleason Works Innenverzahntes Honrad
SE531412C2 (sv) * 2005-12-30 2009-03-3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rgborrverktyg, bergborrkrona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n konisk kavitet hos en bergborrkrona
DE102006021715A1 (de) * 2006-05-10 2007-11-15 Keusch, Siegfried, Dipl.-Ing. Ausbohrwerkzeug
EP1894650A1 (de) * 2006-08-30 2008-03-05 Rego-Fix AG Spannzangenreduktion mit Auszugsvorrichtung
DE102006056447B4 (de) * 2006-11-28 2015-02-12 Max Hobe 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es mit einem Werkzeug
DE102010004526B4 (de) * 2010-01-14 2014-05-22 Kennametal Inc. Zerspanungswerkzeug
DE102013209243A1 (de) * 2013-05-17 2014-11-20 Ecoroll Ag Werkzeugtechnik Spanende Werkzeugmaschine, Werkzeugsatz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ylinders mit einer Sack- und/oder Stufenbohrung
DE102013218884B4 (de) * 2013-09-19 2015-05-21 Kennametal Inc. Spanendes Werkzeug
CN106312789B (zh) * 2015-06-17 2018-08-14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珩磨刀柄结构以及加工中心
DE102016113373A1 (de) * 2016-07-20 2018-01-25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system und Verbindungselement
CN107414107A (zh) * 2017-06-30 2017-12-01 王俊霞 一种车床加工刀架结构
CN107971864A (zh) * 2017-11-29 2018-05-01 芜湖瑞和机电有限公司 一种电机主轴孔口精磨设备
CN109454551B (zh) * 2018-11-28 2020-11-17 武汉钢铁有限公司 分体式砂轮动平衡调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05470U1 (de) * 1984-08-02 Werkzeugmaschinenfabrik Adolf Waldrich Coburg Gmbh & Co, 8630 Coburg Werkzeughalter für Bohr-, Fräs- und dgl. Werkzeugmaschinen
DE854136C (de) * 1941-09-12 1952-10-30 Reinhold Graf Spannfutter
DE1913317U (de) * 1965-02-02 1965-04-08 Wallram Hartmetall Gesteins- und mineralbohrer mit mehreren stufenmeisseln.
CH574295A5 (ko) * 1974-10-18 1976-04-15 Merz Ag
DD120603A1 (ko) * 1975-06-10 1976-06-20
EP0048578A3 (en) * 1980-09-19 1982-07-14 S.A.T. Tooling Systems Limited Tool holder and cutting tool for use with the tool holder
DE3314231A1 (de) * 1983-04-20 1984-10-25 Eugen Fahrion Gmbh & Co, 7300 Esslingen Schnellwechseleinrichtung mit einem drehend antreibbaren werkzeug, insbesondere fraeswerkzeug
DE3434076A1 (de) * 1984-09-17 1986-04-17 Hilti Ag, Schaan Werkzeughalter fuer bohr- und meisselwerkzeuge
DE3744091A1 (de) * 1987-12-24 1989-07-13 Hilti Ag Werkzeughalter fuer bohr- und meisselgeraete und werkzeug
DD275638A1 (de) * 1988-09-21 1990-01-31 Schmalkalden Werkzeug Spanneinrichtung fuer auswechselbare werkzeugkoepfe
DE9408297U1 (de) * 1994-05-20 1994-08-04 Geisler Und Kuper Gmbh Diamant Kupplung für eine Bohreinrichtung
SE509218C2 (sv) * 1994-08-29 1998-12-21 Sandvik Ab Skaftverktyg
DE4434025C2 (de) * 1994-09-23 1996-10-10 Heraeus Quarzglas Verfahren zum Bohren spröder Werkstoffe, Bohr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Verwendung des Bohrers
DE4444853B4 (de) * 1994-12-16 2006-09-28 Hilti Ag Handgerät zur materialabtragenden Bearbeitung mit elektroakustischem Wandler für die Erzeugung von Ultraschallschwingungen
JP2980822B2 (ja) * 1995-01-27 1999-11-22 トクデンコスモ株式会社 穴明け工具
JPH11500967A (ja) * 1995-03-03 1999-01-26 コメート プレツィジオーンスヴェルクツォイゲ ローベルト ブロイニ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穿孔工具
GB9522651D0 (en) * 1995-11-04 1996-01-03 Xcalibre Equipment Ltd Drill chuck
DE19757242A1 (de) * 1997-12-22 1999-07-01 Beck August Gmbh Co Bohrwerkzeug für Bohrungen in Voll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2813A3 (de) 2003-10-01
JP2001232630A (ja) 2001-08-28
DE19963636C2 (de) 2002-02-28
EP1112813A2 (de) 2001-07-04
MY133593A (en) 2007-11-30
US6402605B1 (en) 2002-06-11
DE19963636A1 (de)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1979A (ko) 취성재료용의 드릴링 장치
US10259049B2 (en) Tool holder having a collet holder and a tool insert for use in a tool holder
KR100211555B1 (ko) 평행력 장전 베어링을 지니는 콜릿 척
US5106166A (en) Cutting bit holding apparatus
US5888031A (en) Drilling device
KR920010884B1 (ko) 공구 커플링
JP6185569B2 (ja) ねじ込み式器具用の器具レセプタクル
KR100254909B1 (ko) 키레스드릴척
US11135657B2 (en) Interface between a collet holder and a tool adapter
US20030164597A1 (en) Interchangeable blade cutting tool and blade section installed thereon
US4402531A (en) Fire hydrant nozzle assembly
US6176655B1 (en) Drill and a chuck for receiving the drill shank
US20120189397A1 (en) Device for sealing
US11311948B2 (en) Rotary drill tool with insert centring surfaces
KR100230701B1 (ko) 스패너
KR900010272A (ko) 축에 동력전달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
US5933916A (en) Handle cushioning insert
US20130129414A1 (en) Modular interface arrangement for tools
US5174696A (en) Plug-in holder for centering drill bit
JPH02185339A (ja) ジョイント
JP2010506737A (ja) 工具カップリング
KR101098270B1 (ko) 공구의 인터페이스
US6148690A (en) Cam follower mounting assembly
US20160237846A1 (en) Access port for a casing of a gas turbine engine and plug for plugging the access port
JPH06509515A (ja) コレット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