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613A - 치약 조성물 내의 주석의 착색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내의 주석의 착색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613A
KR20010080613A KR1020017006652A KR20017006652A KR20010080613A KR 20010080613 A KR20010080613 A KR 20010080613A KR 1020017006652 A KR1020017006652 A KR 1020017006652A KR 20017006652 A KR20017006652 A KR 20017006652A KR 20010080613 A KR20010080613 A KR 20010080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in
polyphosphate
composition
tin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글랜도르프윌리암마이클
바카로리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8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을 사용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치약 조성물은 이중 상(dual phase) 치약이고, 치약 용기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획 내에 함유되어 있다. 제1 치약 조성물이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폴리포스페이트의 유효량을 포함하고, 약 20% 이하의 총 수분 함량을 갖는다. 제2 치약 조성물은 주석 이온의 유효량을 포함한다.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주석 이온의 몰비는 약 0.2:1 내지 약 5:1이고, 치약 내의 주석 이온의 효능은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다. 치약 조성물은 다르게는 단일 상 치약일 수 있다. 단일 상 치약은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폴리포스페이트의 유효량 및 주석 이온의 유효량을 포함할 것이다. 단일 상 치약은 약 20% 이하의 총 수분 함량을 가지며, 주석 이온은 불화제일석(stannous fluoride)으로부터 제공되지 않고,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주석 이온의 몰비는 약 0.2:1 내지 약 5:1이고, 치약 내의 주석 이온의 효능은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치약 조성물 내의 주석의 착색 감소 방법{METHOD OF REDUCING STAINING OF STANNOUS IN DENTIFRICE COMPOSITIONS}
관련 출원에 대한 전후 참조
본 출원은 1996년 11월 21일자로 출원된 연속 출원 번호 제 08/754,57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리포스페이트를 사용하면 주석과 관련되는 착색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정한 폴리포스페이트 특히,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선형 폴리포스페이트는 주석의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주석의 착색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점도 밝혀졌다.
본원에 사용된 "주석"이라는 용어는 치약 안에 있는 주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것은 주석 염에 의해 제공되는 주석 이온을 지칭할 수도 있다. 주석 이온을 함유하는 주석 염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주석은 치은염 방지 및 치석 방지 효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주석은 호흡을 향상시키고 민감도를 완화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은 떫은 맛을 내고 사용자의 치아 표면에 착색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석의 착색을 감소시키기 위한 몇가지 이전의 시도들은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착색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주석의 효능 역시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예를 들어, 피로포스페이트, 디포스포네이트(AHP) 및 트리폴리포스페이트가 주석과 함께 치약에 사용되면, 주석의 효능은 저하된다. 이러한 효능의 저하는 심지어 주석이 피로포스페이트, 디포스포네이트 및 트리폴리포스페이트와 별개의 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폴리포스페이트가 피로포스페이트와 유사하게 거동할 것이라고 추측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리포스페이트가 주석에 의한 착색은 감소시키지만 주석의 효능을 현저히 저하시키지는 않는다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의 사용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및 선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석의 효능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치아 위에서 발생되는 착색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획 내에 함유되어 있는 두 가지 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정한 치약 조성물을, 최대한의 불소 및 폴리포스페이트를 구강에 전달시키도록 사용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치약 조성물은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하고 제한된 총 수분 함량을 가지는 반면, 제2 치약 조성물은 주석 이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안정한 단일 상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성물은 폴리포스페이트 및, 불화제일석(stannous fluoride) 이외의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된 주석 이온을 포함하고, 제한된 총 수분 함량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하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백분율은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비율은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전체 조성물의 몰비이다. 모든 측정은 다른 지시가 없는 한, 25℃에서 이루어진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을 사용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약 조성물은 이중 상(dual phase)의 치약이고, 치약 디스펜서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획에 함유되어 있다. 제1 치약 조성물은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폴리포스페이트를 유효량 포함하고, 약 20% 이하의 총 수분 함량을 갖는다. 제2 치약 조성물은 유효량의 주석 이온을 포함한다.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주석 이온의 몰비는 약 0.2:1 내지 약 5:1이고, 치약 내의 주석 이온의 효능은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 현저히 저하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치약 조성물은 단일 상의 치약일 수도 있다. 단일 상 치약은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폴리포스페이트의 유효량 및 유효량의 주석 이온을 포함할 것이다. 단일 상 치약은약 20% 이하의 총 수분 함량을 가지고, 주석 이온은 불화제일석으로부터 전달되지 않으며,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주석 이온의 몰비는 약 0.2:1 내지 약 5:1이고, 치약 내의 주석 이온의 효능은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의해 유발되는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페이스트 치약 또는 분말 치약의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치약"이라는 용어는 다른 지시가 없는 한, 페이스트, 겔 또는 액상 제형물을 의미한다. 치약 조성물은 깊게 줄무늬가 새겨지거나, 표면 줄무늬가 새겨지거나 다층 형상이거나, 겔이 페이스트를 둘러싸거나, 또는 이들을 임의로 조합한 형태와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다.
이중 상의 치약이 바람직하다면, 각각의 치약 조성물은 디스펜서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획에 함유되어 나란히 분배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디스펜서"라는 용어는 페이스트 치약을 분배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펌프, 튜브 또는 용기를 의미한다.
치약 조성물은 단일 상의 치약 조성물 또는 둘 이상의 치약 조성물의 조합일 수 있다. 치약 조성물은 일반적 투여 경로에서 특별한 치료제의 계통적인 투여를 위하여 의도적으로 삼켜지지 않고, 오히려 경구의 활성을 목적으로 모든 치아 표면 및/또는 구강 조직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구강 내에 머물게 되는 제품이다.
본원에 사용된 "수성 캐리어(acqueous carrier)"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임의의 안전한 유효 물질을 의미한다. 그러한 물질은 불소 이온 공급원, 치석 억제제, 항세균제, 연마성 광택 물질, 과산화물 공급원,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 증점물(thickenning materials), 습윤제, 물, 완충제, 계면활성제, 티타늄 디옥사이드, 향미계(flavor system), 감미제(sweetening agent), 색소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감소된"이라는 용어는 통계학적으로 현저한 감소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주석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것은 착색의 정도가 대조군과 비교해서 통계학적으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석의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주석의 효능이 대조군과 비교해서 통계학적으로 현저히 감소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석을 함유하는 대조군용 제품은 크레스트 검 케어(Crest Gum Car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수 구성 요소 뿐 아니라 선택적 구성 요소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필수 구성 요소 및 선택적 구성 요소는 하기 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주석 이온
본 발명은 주석 이온을 포함한다. 주석 이온은 일반적으로 치약에 첨가되는 주석 염에서 얻는다. 주석은 치은염, 플라크, 민감도의 감소에 도움이 되고, 호흡 개선의 이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약 조성물 내의 주석은 치약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효능을 제공할 것이다. "효능"은 플라크 글리콜리시스 리그로스 모델(Plaque Glycolysis Regrowth Model;PGRM)에 의해 측정되는 치은염의 상당량 감소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주석의 효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석에 의해 유발되는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포스페이트가 주석의 착색을 감소시킨다 하더라도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 주석의 효능이 감소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주석의 효능은, 크레스트 검 케어와 같은 치은염 감소 효과로 알려져 있는 주석 함유 치약이 나타내는 수준으로 유지된다.
전형적으로 주석에 의해 유발되는 치아 표면의 착색은 로벤 착색 지수(Lobene stain index)로서 알려진 임상 착색 지수로 측정된다. 또한 착색은 멕켈 착색 지수(Meckel stain index)라는 임상 착색 지수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형적으로 주석에 의해 유발되는 착색은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서 감소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언급된 바와 같이, 주석에 의해 유발되는 착색은 감소되지만 제거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로부터 생성되는 착색의 정도는 크레스트 검 케어와 같은, 주석을 함유하는 전형적인 치약에서 발견되는 착색의 정도보다 현저히 낮다.
주석 이온의 유효량이 치약 조성물에서 발견된다. 유효량은 약 3,000 ppm 내지 약 15,000 ppm으로서 정의된다. 주석이 3,000 ppm 미만일 때는 주석의 효능이 뚜렷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주석 이온은 약 5,000 ppm 내지 약 13,0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00 ppm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것은 치아 표면에 전달되는 주석 이온의 총량이다.
주석 염 특히, 불화제일석 및 염화제일석(stannous chloride)을 함유하는 치약은 본원에서 그 전체를 인용하고 있는, 마제티(Majet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04,597호에 기재되어 있다. 주석 염 치약의 다른 기재는 미국 특허 제5,578,293호에서 발견된다. 바람직한 주석 염은 불화제일석 및 염화제일석의 이수화물(dihydrate)이다. 다른 주석 염은 아세트산 주석을 포함한다. 조합된 주석 염은 최종 조성물의 약 0.25중량% 내지 약 11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주석 염은 약 0.5중량% 내지 약 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내지 약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폴리포스페이트 공급원
본 발명은 폴리포스페이트 공급원을 포함한다. 폴리포스페이트는 결석의 형성을 지연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폴리포스페이트는 실온에서 경구용 조성물 내의 이온성 불소와 반응하여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이온을 생성시킬 뿐 아니라, 조성물의 pH를 변화시킨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반응은 경구 표면에 안정한 이온성 불소 및 폴리포스페이트를 제공하는 경구용 조성물의 효능 및 효력을 저하시킨다. 폴리포스페이트를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폴리포스페이트의 가수분해를 감소시키도록 치약 조성물의 총 수분 함량이 조절되어야 한다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포스페이트는 비록 일부 고리형 유도체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주로 선형으로 정렬된 둘 이상의 포스페이트 분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피로포스페이트가 폴리포스페이트라 하더라도, 바람직한 폴리포스페이트는 약 4개 이상의 포스페이트 분자를 갖는 폴리포스페이트이다. 피로포스페이트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한다. 바람직한 무기 폴리포스페이트 염은 여러가지 폴리포스페이트 염들 중에서 테트라폴리포스페이트 및 헥사메타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테트라폴리포스페이트보다 큰 폴리포스페이트는 보통 무정질의 유리질(glassy) 물질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 XO(XPO3)nX로 표시되는 선형의 "유리질" 폴리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서 X는 나트륨 또는 칼륨이고, n은 평균적으로 약 6 내지 약 125이다. 소다포스(Sodaphos; n≒6), 헥사포스(Hexaphos; n≒13) 및 글라스 에이치(Glass H; n≒21)로서 상업적으로 알려져 있는, 에프 엠 씨(FMC) 코포레이숀에서 제조되는 폴리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포스페이트들은 단독으로 또는 각각의 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포스페이트 공급원은 본원에서 그 전체를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커크 앤드 오드머(Kirk & Othmer)의 문헌[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제4판, 제18권, Wiley-Interscience 발행(1996)] 및 상기 문헌에서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참고자료들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폴리포스페이트의 요구량은 주석의 착색을 감소시킬 유효량이다. 또한, 유효량은 치석도 감소시킬 것이다. 폴리포스페이트 공급원의 유효량은 전형적으로 치약 조성물 전체의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내지 약 1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중량% 내지 약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내지 약 13중량%일 것이다.
폴리포스페이트가 주석의 착색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주석 이온의 총 몰수에 대한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의 총 몰수의 비도 조절되어야 한다.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주석 이온의 몰비는 약 0.2:1 내지 약 5:1,바람직하게는 약 0.5:1 내지 약 3: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6:1 내지 약 2: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7:1 내지 약 1:1이다.
수성 캐리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조성물에 하나 이상의 수성 캐리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어서, 조성물의 제조에 바람직한 물리적 성질 및 미학적 성질에 근거하여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선택된다. 수성 캐리어는 전형적으로 치약 조성물의 약 40중량% 내지 약 99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내지 약 9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0중량% 내지 약 95중량%를 포함한다.
총 수분 함량
상업적으로 적합한 경구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은 바람직하게는 이온의 함량이 낮고 유기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치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본원의 조성물의 약 5중량% 내지 약 7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내지 약 50중량%의 물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물의 함량은 단일 상 치약 내의 물의 함량이거나, 이중 상 치약의 총 수분 함량일 수 있다. 치약 조성물이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면, 폴리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또는 상은, 일반적으로 약 0% 내지 약 20%의 낮은 총 수분 함량을 포함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총 수분 함량은 치약 조성물의 약 2중량% 내지 약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중량% 내지 약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내지 약 12중량%이다. 물의 양은 소르비톨, 실리카, 계면활성 용액 및/또는 색소 용액과 같은 다른 물질과 함께 도입되어 추가로 첨가되는 자유수를 포함한다.
불소 이온 공급원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자유 불소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용성 불소 공급원을 혼입시킬 수 있다. 가용성 불소 이온 공급원은 소듐 플루오라이드, 불화제일석, 인듐 플루오라이드 및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불화제일석은 가장 바람직한 가용성 불소 이온 공급원이다. 이 성분은 주석 이온 및 불소 이온 공급원 양쪽 모두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약 4 이상의 쇄 길이를 갖는 폴리포스페이트가 불소 이온 공급원과 동일한 상으로 존재한다면, 바람직한 불소 이온 공급원은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이다. 이것은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가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폴리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서 다른 불소 공급원보다 더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1960년 7월 26일자로 노리스(Norri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2,946,725호 및 1972년 7월 18일자로 위더(Widd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678,154호는 상기 불소 이온 공급원 뿐 아니라 다른 공급원도 개시한다. 양 특허는 본원에서 그 전체를 참고로 인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50 ppm 내지 약 3500 ppm, 바람직하게는 약 500 ppm 내지 약 3000 ppm의 자유 불소 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가용성 불소 이온 공급원을 함유할 수 있다. 원하는 양의 불소 이온을 전달하기 위해서, 불화제일석이 전체 치약 조성물의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중량% 내지 약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중량% 내지 약 0.6중량%의 양으로 총 치약 조성물내에 존재할 수 있다.
완충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완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완충제는 조성물의 pH를 약 pH 3.0 내지 약 pH 10의 범위로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제를 지칭한다.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의 상은 전형적으로 약 3.0 내지 약 5.5, 바람직하게는 약 3.25 내지 약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4 내지 약 4.5의 슬러리 pH를 가질 것이다. 폴리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치약의 상은 전형적으로 약 4.0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약 8,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의 슬러리 pH를 가질 것이다. 단일 상에 주석과 폴리포스페이트 모두를 함유하는 치약은 전형적으로 약 4 내지 약 7,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약 6,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5.5의 pH를 가질 것이다.
완충제는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세스퀴카보네이트, 보레이트, 실리케이트, 포스페이트, 이미다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완충제는 모노소듐 포스페이트,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벤조산,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 염, 소듐 카보네이트, 이미다졸, 피로포스페이트 염, 시트르산 및 소듐 시트레이트를 포함한다. 완충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 0.1중량% 내지 약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결석방지제
폴리포스페이트를 대체해서 또는 이와 조합해서 사용되는 선택적 제제에는 결석 형성과 관련된 칼슘 포스페이트 미네랄 침착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들이 포함된다. 포함된 제제는 피로포스페이트,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합성 음이온성 중합체[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예를 들어, 본원에서 그 개시 내용 전체를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가파(Gaffa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27,977호에 기술되어 있는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과 메틸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예컨대, 간트레쯔(Gantrez)); 및 폴리아미노 프로판 술폰산(AMPS)을 포함함], 아연 시트레이트 트리하이드레이트, 디포스포네이트(예컨대, EHDP; AHP), 폴리펩타이드(예컨대,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폴리글루탐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연마성 광택 물질
또한 연마성 광택 물질이 치약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연마성 광택 물질은 상아질을 과도하게 연마시키지 않는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전형적인 연마성 광택 물질은 겔 및 침전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알루미나; 오르토포스페이트, 폴리메타포스페이트 및 피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예는 디칼슘 오르토포스페이트 이수화물, 칼슘 피로포스페이트,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폴리메타포스페이트, 불용성 소듐 폴리메타포스페이트, 수화 알루미늄, 베타 칼슘 피로포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우레아와 포름알데히드의 입상 축합반응 생성물과 같은 수지성 연마 물질, 및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쿨리(Cooley) 등에게 1962년 12월 2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070,510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타의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연마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치약 조성물 또는 특정의 상이 약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면, 연마제 및 알루미나를 함유하는 칼슘은 바람직한 연마제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한 연마제는 실리카이다.
치아의 에나멜질 또는 상아질을 과도하게 연마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치아 세정 및 광택 성능이라는 독특한 이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리카 치아 연마제가 바람직하다. 본원의 실리카 연마성 광택 물질 뿐아니라 다른 연마제는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약 30 마이크론,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마이크론 사이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연마제는 본원에서 모두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1970년 3월 2일자로 파더(Pad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538,230호 및 1975년 1월 21일자로 디귤리오(DiGiulio)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862,307호에 기재되어 있는 실리카 제로겔과 같은 침전된 실리카 또는 실리카 겔일 수 있다. 더블유. 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W.R. Grace & Company)의 데이비슨 케미칼 디비젼(Davision Chemical Division)에서 "실로이드(Syloid)"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실리카 제로겔이 바람직하다. "제오덴트(Zeodent)"라는 상표명으로 제이. 엠. 후버 코포레이숀(J. M. Huber Corporation)에서 시판하는 것과 같은 침전된 실리카 물질, 특히 "제오덴트 119"라는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약에 유용한 실리카 치아 연마제의 형태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1982년 7월 29일자로 와슨(Wa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0,583호에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실리카 연마제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라이스(Rice)에게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89,160호; 제 5,603,920호; 제 5,651,958호; 제 5,658,553호; 및 제 5,716,601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치약 조성물 내의 연마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6중량% 내지 약 7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치약은 치약 조성물의 약 10중량% 내지 약 50중량%의 연마제를 함유한다.
과산화물 공급원
본 발명은 조성물 내에 과산화물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과산화물 공급원은 과산화수소, 과산화칼슘, 과산화우레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과산화물 공급원은 과산화칼슘이다. 하기의 양은 과산화물 원료의 양을 나타낸며, 단 과산화물 공급원이 과산화물 원료 이외의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약 0.01중량%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내지 약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중량% 내지 약 3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3중량% 내지 약 0.8중량%의 과산화물 공급원을 함유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
또한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은 수용성이고, 안정화되지 않으면 수성계에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다. 베이킹 소다로서도 잘 알려져 있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는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이다. 또한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은 완충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약 0.5중량% 내지 약 5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내지 약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내지 약 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내지 약 18중량%의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수성 캐리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페이스트 치약 형태이고, 바람직한 점조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일부 증점물 또는 바인더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증점제는 카복시비닐 중합체, 카라기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및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소듐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와 같은 셀룰로오즈 에테르의 수용성 염이다. 카라야 검, 잔탄 검, 아라비아 검 및 트라가칸스 검과 같은 천연 고무도 사용될 수 있다. 콜로이드성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또는 미분된 실리카가 증점제의 일부로 사용되어 텍스쳐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증점제는 치약 조성물의 약 0.1중량% 내지 약 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바람직한 조성물의 다른 선택적인 구성 요소는 습윤제이다. 습윤제는 크림 치약 조성물이 공기에 노출될 때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특정한 습윤제는 페이스트 치약 조성물에 바람직한 감미로운 향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적절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자일리톨 및 다른 식용성 다가 알코올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습윤제는 조성물의 약 0중량%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내지 55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흔히 거품 발생제로서 지칭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계면활성제는 광범위한 pH 범위에 걸쳐서 적절하게 안정되고 거품을 일으키는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amphoteric), 짝이온성(zwitterionic), 양이온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라디칼 내에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설페이트의 수용성 염(예컨대, 소듐 알킬 설페이트), 및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술폰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의 수용성 염을 포함한다.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소듐 코코넛 모노글리세라이드 술포네이트는 이 형태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이다. 다른 적절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릴 술포아세테이트, 소듐 라우로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레트 카복실레이트 및 소듐 도데실 벤젠술포네이트와 같은 사르코시네이트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적절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원에서 그 전체를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1976년 5월 25일자로 아그리콜라(Agricol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59,45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렌 옥사이드기(자연 상태에서 친수성임)와 자연 상태에서 지방족 또는 알킬-방향족일 수 있는 소수성 유기 화합물의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로서 넓게 정의될 수 있다. 적절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폴록사머(플루로닉(Pluronic)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됨),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트윈스(Tweens)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됨), 폴리옥실 40 수소화 비버 오일,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알킬 페놀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디아민의 반응 생성물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반응으로부터 유도된 생성물, 지방족 알콜의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장쇄의 3차 아민 옥사이드, 장쇄의 3차 포스핀 옥사이드, 장쇄의 디알킬 술폭사이드, 및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폴록사머가 주석의 떫은 맛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록사머 407은 가장 바람직한 계면활성제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족 치환체 중의 하나는 약 8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또 하나는 예컨대, 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수용성기를 함유하는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가지 형상일 수 있는, 지방족 2차 아민 및 3차 아민의 유도체로서 넓게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 특히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들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적절한 비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본원에서 그 전체를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1977년 9월 27일자로 기에스케(Giesk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51,23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약 0.25중량% 내지 약 12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내지 약 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내지 약 6중량%의 양으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티타늄 디옥사이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있다. 티타늄 디옥사이드는 조성물에 불투명도를 더하는 흰색 분말이다. 티타늄 디옥사이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0.25중량% 내지 약 5중량%가 포함된다.
또한, 색소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색소제는 바람직하게는 1%의 색소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색소 용액은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0.01중량% 내지 약 5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향미계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적절한 향미 성분은 동록유, 박하유, 스피아민트유, 정향유, 멘톨, 아네톨, 메틸 살리실레이트, 유칼립톨, 캐시어(Cassia), 1-멘틸 아세테이트, 세이지(sage), 유지놀, 파슬리유, 옥사논, 알파-이리손, 마조람, 레몬, 오렌지, 프로페닐 구아에톨, 시나몬, 바닐린, 에틸 바닐린, 헬리오트로핀, 4-시스-헵테날, 디아세틸, 메틸-파라-tert-부틸 페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냉각제도 향미계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바람직한 냉각제는 N-에틸-p-멘탄-3-카복사미드(상업적으로는 "WS-3"로서 알려져 있음)와 같은 파라멘탄 카복시아미드 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향미계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0.001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사용된다.
감미제가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감미제는 삭카린, 덱스트로오즈, 수크로오즈, 락토오즈, 자일리톨, 말토오즈, 레불로오즈, 아스파르탐, 소듐 시클라메이트, D-트립토판, 디하이드로칼콘, 아세술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색소제가 본 발명에 혼입될 수 있다. 감미제 및 색소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0.005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페이스트 치약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항미생물제와 같은 다른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제제들 가운데에는 할로겐화 디페닐 에테르, 페놀 및 그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 모노-알킬 할로페놀, 폴리-알킬 할로페놀 및 방향족 할로페놀, 레소시놀 및 그 유도체, 비스페놀 화합물 및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라이드, 벤조산 에스테르 및 할로겐화 카바닐라이드와 같은 수불용성 비-양이온성 항미생물제가 포함된다. 수용성 항미생물제는 여러가지 중에서 4급 암모늄 염 및 비스-비쿠아나이드 염을 포함한다. 트리클로산 모노포스페이트는 추가적인 수용성 항미생물제이다. 4급 암모늄 제제는, 4급 질소 상의 하나 또는 두개의 치환체(전형적으로 알킬기)가 약 8 내지 약 20개, 전형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의 탄소 쇄 길이를 갖는 반면, 나머지 치환체(전형적으로 알킬 또는 벤질기)는 전형적으로는 메틸 또는 에틸기와 같이 약 1 내지 약 7개의 탄소 원자 등의 작은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제제를 포함한다. 도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데실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도미펜 브로마이드, N-테트라데실-4-에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도데실 디메틸 (2-페녹시에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벤질 디메틸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4급화된 5-아미노-1,3-비스(2-에틸-헥실)-5-메틸 헥사 하이드로피리미딘,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및 메틸 벤제토늄 클로라이드가 전형적인 4급 암모늄 항세균제의 예이다. 다른 화합물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1980년 6월 3일자로 베일리(Bail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206,215호에 개시되어 있는 비스[4-(R-아미노)-1-피리디늄]알칸이다. 구리 비스글리시네이트, 구리 글리시네이트, 아연 시트레이트 및 아연 락테이트와 같은 다른 항미생물제도 포함될 수 있다. 엔도글리코시다아제, 파파인, 덱스트라나아제, 무타나아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효소도 유용하다. 상기 제제들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1960년 7월 26일자로 노리스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2,946,725호 및 1977년 9월 27일자로 기에스케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051,234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정한 항미생물제는 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산 모노포스페이트, 및 티몰과 같은 향유를 포함한다. 트리클로산 및 이러한 형태의 다른 제제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고 있는, 1991년 5월 14일자로 파란 주니어(Parran, J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15,466호 및 1990년 1월 16일자로 나비(Nab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94,2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수불용성 항미생물제, 수용성 제제 및 효소는 제1 치약 조성물 또는 제2 치약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4급 암모늄 제제, 주석 염 및 치환된 구아니딘은 제2 치약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제는 치약 조성물의 약 0.01중량% 내지 약 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치약 조성물은 페이스트, 겔,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형상 또는 조합일 수 있다. 이중 상의 치약이 바람직하다면, 제1 치약 조성물 및 제2 치약 조성물은 물리적으로 치약 디스펜서 내에서 분리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 치약 조성물은 페이스트이고, 제2 치약 조성물은 겔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펜서는 튜브, 펌프, 또는 치약을 분배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용기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이중 구획 패키지는, 모두 본원에서 그 전체를 인용하고 있는, 1985년 7월 9일자; 1987년 8월 18일자; 및 1989년 7월 18일자로 각기 모두 쉐퍼(Shaeff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28,180호; 미국 특허 제 4,687,663호; 및 미국 특허 제 4,849,213호에 기재되어 있다. 디스펜서는 입구를 통해서 각 치약 조성물을 대략 동일한 양으로 분배할 것이다. 조성물들이 일단 분배되면 내부적으로 혼합된다. 다르게는, 구강용 제형물은 동시에 사용되는 두가지 치약 조성물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분리되어 있는 두가지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하나의 키트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의해 유발되는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 따라서 발생하는 착색의 정도는 다를 수 있다.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의해 유발되는 착색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서 청구하고 있는 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그 방법은 주석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자의 치아 표면과 치약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투여하는 것은 치약으로 솔질하거나 치약 슬러리로 헹굼으로써 사용자의 치아 표면을 치약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사용자는 치약을 사용하는 임의의 사람 또는 그 보다 하등한 동물일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태양을 추가로 기술하거나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가능한 한 다양하게 변화시킨 것으로서,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제1 치약 조성물 제2 치약 조성물
성분 중량% 성분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물향미제글리세린폴리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소듐 라우릴 설페이트(a)실리카벤조산소듐 벤조에이트소듐 삭카린티타늄 디옥사이드잔탄 검글라스 에이치 폴리포스페이트 0.5002.7681.0036.4321.5008.004.0028.00.600.6000.301.0000.3015.00 소듐 하이드록사이드(b)색소물향미제글리세린소듐 글루코네이트염화제일석실리카소듐 삭카린폴록사머불화제일석 1.0000.30021.8401.00028.9924.1603.00023.0000.3015.5000.908
(a) 27.9% 용액(b) 50% 용액
실시예 2
제1 치약 조성물 제2 치약 조성물
성분 중량% 성분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물향미제글리세린벤조산프로필렌 글리콜소듐 라우릴 설페이트(a)실리카폴리옥실 40폴리옥시에틸렌소듐 삭카린티타늄 디옥사이드잔탄 검글라스 에이치 폴리포스페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소듐 벤졸레이트 0.502.7681.0032.2000.6008.0008.0019.2322.500.5000.301.00.3021.001.5000.600 소듐 하이드록사이드(b)색소물향미제글리세린소듐 글루코네이트염화제일석실리카소듐 삭카린불화제일석폴록사머 407 0.3500.30021.7421.00030.9004.3001.70023.0000.300.90815.500
(a) 27.9% 용액(b) 50% 용액
실시예 3
제1 치약 조성물 제2 치약 조성물
성분 중량% 성분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물향미제글리세린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소듐 라우릴 설페이트(a)실리카폴록사머 407소듐 벤조에이트소듐 삭카린티타늄 디옥사이드잔탄 검글라스 에이치 폴리포스페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벤조산 0.504.5001.0032.2000.50010.0006.00025.0003.0000.6000.3001.0000.30012.002.5000.600 염화제일석색소물향미제글리세린소듐 글루코네이트소듐 하이드록사이드(b)실리카소듐 삭카린폴록사머불화제일석 1.2000.30021.8401.00033.0322.4200.50023.0000.3015.5000.908
(a) 27.9% 용액(b) 50% 용액
제1 치약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물, 소듐 벤조에이트 및 삭카린을 혼합 용기에 넣는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잔탄 검 및 폴리옥시에틸렌을 글리세린 내에 분산시킨다. 이 글리세린 슬러리를 혼합 용기에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40℃ 이상으로 가열한다. 향미제, 프로필렌 글리콜, 폴록사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에 벤조산을 용해시킨 후, 혼합 용기에 첨가한다. 그런 다음, 티타늄 디옥사이드 및 실리카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다. 혼합 용기를 30℃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폴리포스페이트를 첨가한다.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한다.
제2 치약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물, 색소 및 글리세린을 주 혼합 용기에 넣고 50℃ 이상으로 가열한다.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불화제일석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염화제일석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삭카린 및 실리카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다. 폴록사머 및 향미제를 첨가하여 폴록사머가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30℃ 미만으로 반응조를 냉각시킨다.
실시예 4
성분 중량%
물향미제글리세린폴록사머 407염화제일석소듐 라우릴 설페이트(a)실리카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프로필렌 글리콜소듐 글루코네이트소듐 삭카린티타늄 디옥사이드잔탄 검글라스 에이치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옥시에틸렌 5.0001.00034.2006.0002.0006.00023.0000.5008.0002.4000.4001.0000.3008.0002.0000.200
(a) 27.9% 용액(b) 50% 용액
실시예 4를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물과 삭카린을 혼합 용기에 넣어 50℃ 이상으로 가열한다. 소듐 글루코네이트를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염화제일석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첨가하여 중화가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혼합한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잔탄 검 및 폴리옥시에틸렌을 글리세린에 분산시킨다. 이 글리세린 슬러리를 혼합 용기에 첨가하여 잘 혼합한다. 향미제, 프로필렌 글리콜, 폴록사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께 조합한 후, 혼합 용기에 첨가한다. 그런 다음, 티타늄 디옥사이드와 실리카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다. 혼합 용기를 30℃ 이하로 냉각시키고 폴리포스페이트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한다.

Claims (10)

  1. 치약 조성물을 사용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석 함유 치약 조성물의 착색 감소 방법으로서,
    치약 조성물이 치약 디스펜서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획 내에 함유되어 있고, 하기 a 및 b를 함유하는 방법:
    a.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폴리포스페이트 1% 내지 20%를 함유하고, 20% 이하의 총 수분 함량을 갖는 제1 치약 조성물; 및
    b. 주석 이온 3,000 ppm 내지 15,000 ppm을 포함하는 제2 치약 조성물
    (상기에서,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주석 이온의 몰비가 0.2:1 내지 5:1이고, 치약 내의 주석 이온의 효능이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다.)
  2. 제1항에 있어서, 주석 이온이 불화제일석(stannous fluoride)으로부터 제공되는 착색 감소 방법.
  3. 하기 a 및 b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을 사용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석 함유 치약 조성물의 착색 감소 방법:
    a. 4 이상의 평균 쇄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선형 폴리포스페이트 1% 내지 20%; 및
    b. 주석 이온 3,000 ppm 내지 15,000 ppm
    (상기에서, 치약 조성물이 20% 이하의 총 수분 함량을 가지고, 주석 이온이 불화제일석으로부터 전달되지 않고,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주석 이온의 몰비가 0.2:1 내지 5:1이며, 치약 내의 주석 이온의 효능이 폴리포스페이트에 의해서 감소되지 않는다.)
  4. 제3항에 있어서, 주석 이온이 염화제일석 이수화물로부터 제공되는 착색 감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치약이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착색 감소 방법.
  6.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약 조성물이 이중 상(dual phase) 치약 내의 제1 치약 조성물인 착색 감소 방법.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폴리포스페이트가 6 이상의 쇄 길이를 갖는 착색 감소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폴리포스페이트가 하기 식을 갖는 선형의 "유리질(glassy)" 폴리포스페이트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착색 감소 방법:
    XO(XPO3)nX
    [식에서, X가 소듐 또는 포타슘이고, n이 평균 6 내지 21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폴리포스페이트가 글라스 에이치(Glass H)인 착색 감소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폴리포스페이트 음이온:주석 이온의 몰비가 0.5:1 내지 3:1인 착색 감소 방법.
KR1020017006652A 1998-11-30 1999-11-23 치약 조성물 내의 주석의 착색 감소 방법 KR20010080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321698A 1998-11-30 1998-11-30
US09/203,216 1998-11-30
PCT/US1999/027809 WO2000032159A1 (en) 1998-11-30 1999-11-23 Method of reducing staining of stannous in dentifrice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613A true KR20010080613A (ko) 2001-08-22

Family

ID=2275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652A KR20010080613A (ko) 1998-11-30 1999-11-23 치약 조성물 내의 주석의 착색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135099B1 (ko)
JP (1) JP2002531387A (ko)
KR (1) KR20010080613A (ko)
CN (1) CN1149067C (ko)
AT (1) ATE325639T1 (ko)
AU (1) AU761437B2 (ko)
BR (1) BR9915609A (ko)
CA (1) CA2348892C (ko)
CZ (1) CZ20011721A3 (ko)
DE (1) DE69931277T2 (ko)
ES (1) ES2264828T3 (ko)
HU (1) HUP0104457A3 (ko)
ID (1) ID30427A (ko)
NO (1) NO20012625L (ko)
NZ (1) NZ511516A (ko)
TR (1) TR200101527T2 (ko)
WO (1) WO2000032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479501A (en) * 1999-11-12 2001-06-06 Procter & Gamble Company, The Improved dual phase stannous oral compositions
US6685920B2 (en) * 1999-11-12 2004-0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tecting teeth against erosion
WO2001034108A1 (en) * 1999-11-12 2001-05-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mproved stannous oral compositions
MXPA03000041A (es) * 2000-06-30 2003-10-15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orales que comprenden agentes microbianos.
US6648641B1 (en) 2000-11-22 2003-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method and product for treating teeth
EP1387662B1 (en) * 2001-05-15 2006-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ES2442253T3 (es) * 2007-02-23 2014-0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ones orales de polifosfato
JP5764865B2 (ja) * 2009-09-04 2015-08-19 ライオン株式会社 練歯磨剤組成物
JP7271431B2 (ja) * 2017-02-10 2023-05-11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少なくとも1種の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及びフッ化物を含有するオーラルケア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8400B (ko) * 1987-01-30 1991-03-23 Colgate Palmolive Co
WO1994000102A1 (en) * 1992-06-26 1994-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calculus compositions
US6190644B1 (en) * 1996-11-21 2001-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ntifric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phosphate and monofluorophosph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48892C (en) 2003-12-16
CN1328442A (zh) 2001-12-26
NO20012625D0 (no) 2001-05-29
EP1135099B1 (en) 2006-05-10
EP1135099A1 (en) 2001-09-26
CA2348892A1 (en) 2000-06-08
ES2264828T3 (es) 2007-01-16
NO20012625L (no) 2001-05-29
ID30427A (id) 2001-12-06
NZ511516A (en) 2003-08-29
DE69931277T2 (de) 2007-05-16
HUP0104457A3 (en) 2006-02-28
HUP0104457A2 (hu) 2002-04-29
CN1149067C (zh) 2004-05-12
WO2000032159A1 (en) 2000-06-08
TR200101527T2 (tr) 2001-10-22
DE69931277D1 (de) 2006-06-14
CZ20011721A3 (cs) 2001-10-17
AU761437B2 (en) 2003-06-05
ATE325639T1 (de) 2006-06-15
JP2002531387A (ja) 2002-09-24
BR9915609A (pt) 2001-08-14
AU3103100A (en) 200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7027B2 (en) Method of reducing staining of stannous in dentifrice compositions
AU757450B2 (en) Methods of reducing the astringency of stannous in dentifrice compositions
EP0949899B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phosphate and fluoride
US6190644B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phosphate and monofluorophosphate
US5820854A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oxyethylene
EP1448159B1 (en) Dentifrice compositions
EP1569609B2 (en) Method of protecting teeth against erosion
EP0867174B1 (en) Oral compositions forming a coacervate gel
CA2401752A1 (en) Stable dentrifice compositions comprising polyphosphate, fluoride, and stannous
EP1135099B1 (en) Method of reducing staining of stannous in dentifrice compositions
WO1998043603A1 (en) Dual phase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a basic phase and an acidic phase
MXPA01005399A (en) Method of reducing staining of stannous in dentifrice compositions
MXPA01005392A (en) Methods of reducing the astringency of stannous in dentifric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