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383A - 인성 및 연성이 개선된 섬유 강화 시멘트질 재료 - Google Patents

인성 및 연성이 개선된 섬유 강화 시멘트질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383A
KR20010080383A KR1020017005582A KR20017005582A KR20010080383A KR 20010080383 A KR20010080383 A KR 20010080383A KR 1020017005582 A KR1020017005582 A KR 1020017005582A KR 20017005582 A KR20017005582 A KR 20017005582A KR 20010080383 A KR20010080383 A KR 20010080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fibers
fiber
concrete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774B1 (ko
Inventor
리이더크라우스알렉산더
베르케니일에스.
Original Assignee
스티브 티. 트링커, 메기오 로버트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브 티. 트링커, 메기오 로버트,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filed Critical 스티브 티. 트링커, 메기오 로버트
Publication of KR2001008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04B20/0052Mixtures of fibres of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e.g. different leng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4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5Helical or coi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38Coating on discrete and individual rods, strand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7Synthetic resin or polymer in plural coatings, each of differen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8Surface characteri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8Physical dimen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영률을 고려하고, 부착력의 개선을 위해서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을 크게 하며 또한 상대적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작은 크랙 개구부 및 커다란 크랙 개구부에서 콘크리트의 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강철 섬유가 많은 부피(1 %) 사용되어야 할 필요를 없앨 수 있는 혼성 섬유 강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성 및 연성이 개선된 섬유 강화 시멘트질 재료{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materials with improved toughness and ductility}
수경성 시멘트 바인더 그리고 미세하고 거친 골재로부터 제조되는 콘크리트는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서 알려져 있다. 그것의 최대 인장강도를 넘어서게 되면, 크랙이 시작되어 전파된다. 굴곡 강도(flexural strength) 및 파쇄 인성(fracture toughness) 등의 개념은 콘크리트에서의 크랙 거동을 이해함에 있어 유용하다.
굴곡 강도는 임계 스트레스 강도 변수, 예를 들어 구조체의 크랙 개시를 저지하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최대로 지탱할 수 있는 부하에 비례하므로, 굴곡 강도는 굴곡 부하 하에서 크랙의 개시 또는 시작에 요구되는 최소 부하 또는 스트레스로서 측정된다.
파쇄 인성은 다른 면으로는 콘크리트의 구체적인 "파쇄 에너지", 예를 들어 개방된 크랙의 전파 또는 확산을 저지하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인성 특성은 크랙을 전파하거나 확산시키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에 비례한다. 이러한 특성은 개방된 크랙에 있어서 섬유-함유 콘크리트(fiber-containing concrete; FRC) 샘플을 변형시키거나 또는 편향시킴에 필요한 부하 및 편향량(amount of deflection)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성은 시험편의 편향량에 대한 부하량을 이어서 그려진 부하 편향 곡선(load deflection curve) 아래의 면적을 그 단면적으로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재료의 "연성"은, 파쇄 에너지G F 및 최대 부하에서의 저장 탄성 에너지G k 의 비에 직접 비례하는 특성 길이l ck 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비강화 콘크리트의 파쇄 인성 또는 에너지는 매우 낮아서, 대략 50 내지 200 N/m 이다. 이렇게 낮은 파쇄 인성은 신장 및 압축하의 콘크리트가 쉽게 부서지도록 하는 주요인으로서 작용한다. 비강화 콘크리트(인장되고 있는)의 파괴점(breaking point)에 도달하면 콘크리트는 깨지고 붕해된다. 그러나, 콘크리트에 비강화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를 그의 파쇄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강철, 폴리올레핀, 카본, 나일론, 아라미드 및 유리로 만들어진 다양한 섬유 들이 그러한 용도를 위해서 제안되어 있다.
논문(Flexural Characteristics of Steel Fibre and Polyethylene Fiber Hybrid-Reinfored Concrete", Kobayashi and Cho)에 의하면, 무질서적으로 배향된 상태의 폴리올레핀 섬유 및 불연속적인 강철을 콘크리트내로 분산시켜 제조된 강도와 인성 모두가 부여된 섬유-강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문헌(K. Kobayashi and R. Cho, Composites, Vol. 13(Butterworth & Co. Ltd. 1982), pp.164-168)) 참조.
상기 문헌에 의하면, 0.35㎜ × 0.7㎜ × 30㎜의 냉간 압연 강철을 전단시켜 제조된 강철 섬유 1 체적% 및 길이가 40㎜이고 (원형)지름이 0.9㎜인 폴리올레핀 섬유 1/3 체적%를 사용하였다. 강철 섬유는 크랙의 개시를 저지함으로써 굴곡 강도를 부여하고, 또한 폴리올레핀 섬유는 풀-아웃(pull-out) 저항 및 점탄성(viscoelastic ability)을 제공함으로써 파쇄 인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강철/폴리올레핀 시스템은 강철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중 어느 하나만 사용될 경우의 단점을 극복한다. 달리 말하자면, 강철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가 홀로 사용될 경우에 달성하지 못하는 제1-크랙 강도의 증가를 도모하고; 한편으로 폴리올레핀 섬유는 강철 섬유가 홀로 사용될 경우 달성하지 못하는 크랙 형성후의 강도 증가를 도모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의하면, 강철 섬유는 1 체적%로 사용되어야 하고, 그 이상일 경우 콘크리트에 있어서 유동성의 현저한 손실을 초래한다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문헌(WO 98/27022, J. Seewald)에 의하면, 30-200 ㎏/㎥의 무기(예를 들어 강철) 섬유(대략, 0.4-2.6 체적%)를 탄성계수가 낮은 소량의 유기 섬유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연성이 개선된 고강도 콘크리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에서는 폴리올레핀 섬유에 비해 강철 섬유를 7배나 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소개하고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Kobayashi and Cho의 문헌의 관심사임이 분명한 유동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개시가 없다.
본 발명은 시멘트질 재료의 섬유 강화 시스템, 특히 혼성 섬유-강화 시스템 그리고 인성 및 연성이 개선된 섬유 강화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네 개의 다른 콘크리트 시험샘플: 즉 보통(비강화) 콘크리트, 성분 A 섬유만을 갖는 것, 성분 B 섬유만을 갖는 것 그리고 성분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혼성 섬유-강화 콘크리트 샘플 등에 대한 부하 편향 곡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있어서 작은 크랙은 물론이려니와 커다란 변형이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는 특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작은 크랙 개구부 및 커다란 크랙 개구부 모두에서 콘크리트 인성 및 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강철 섬유를 많은 부피(1 %) 사용하게 되는 것 및 그에 부수되는 비용을 피하고 또한 유동성 손실이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혼성 섬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성 시스템은 두 개의 다른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데, 주된 고려사항은 그 섬유 성분들중 하나에 대하여 탄성계수가 높도록 하고 또한 섬유 표면적/섬유 체적의 비가 높게 하는 것이며, 이는 특정 재료로 만들어진 특정한 섬유를 선택하는 것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믿어진다. 실제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연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강철 섬유라도 채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비해서 실질적으로 적은 섬유 체적을 사용함으로써 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자들이 작은 크랙 개구부 및 커다란 크랙 개구부 모두에서 섬유-강화 콘크리트(FRC)의 거동을 고려함으로써 인성의 증대를 보다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섬유 시스템은: (A) 영률이 적어도 30 GigaPascals이고 두께에 대한 폭의 비율이 10-200이며 평균길이가 5-5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1성분; 및 (B)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율이 25-125(직경은 환산 직경, ACI 544.1R-5 참조)이고 평균길이가 10-10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2성분을 포함하고;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체적비가 적어도 1:2이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1:3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섬유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멘트질 조성물은 물론, 상기 섬유 시스템을 도입함에 의해서 시멘트질 재료의 연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어 "콘크리트"는 시멘트 바인더와, 통상 미세하고 거친 골재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일컫는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그 용어를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 석조 등 그 재료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섬유가 도입될 수 있는 어떠한 시멘트질 재료라도 모두 일컫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혼성 섬유 시스템, 콘크리트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예를 들어, 어떠한 시멘트질 재료)은 물론, 개선된 인성 및 연성을 갖는 시멘트질 조성물 또는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제1 섬유성분 A는 바람직하기로는 영률(ASTM C469(1994)에 의해 결정)이 적어도 콘크리트의 영률과 같아서, 콘크리트가 작은 크랙 개구부(예를 들어 미세 크랙 및 막 개시되는 크랙)에서 편향되는 것에 대한 저지능이 증대될 정도가 되어야한다. 이들은 두께에 대한 폭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인데, 이는 다시 섬유 체적에 대한 섬유 표면적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섬유 체적에 대한 섬유 표면적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곧 상대적으로 작은 투입량(0.1-0.4 체적%)을 사용함에 의해서 콘크리트의 인성 및 연성은 물론, 굴곡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섬유가 없는 콘크리트에 비해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섬유 성분 A는 "플랫 누들(flat noodle)" 또는 "플랫(flat)" 형상을 갖는다. 섬유 성분 A는 바람직하기로는 강철(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비정형 강철), 카본 또는 요구되는 계수, 즉, 적어도 30 GigaPascals(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35GPa, 및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40GPa)을 갖는 기타의 재료를 포함한다.
제2 섬유성분 B는 커다란 변형(예를 들어 보다 넓은 크랙 개구부)에서 FRC의 인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적이고, 이에 따라 크랙이 발생된 FRC 재료를 완전히 파쇄(예를 들어 완전히 부서짐 또는 파손)함에 필요한 파쇄 에너지를 증가시키는데 유효하다. 이들 섬유는 가로세로의 비(길이/환산직경)가 25-125(바람직하기로는 30-80)이고, 길이가 10-10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0-55㎚가 되기 때문에, 커다란 크랙 개구부에 걸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FRC 재료내의 파쇄 표면을 가로질러 스트레스를 옮기도록 되어 있고, 그럼으로써 콘크리트내에 그것들을 묻히도록 하여 파손력(breakage force)에 대한 저지능과, 파쇄 에너지에 대한 흡수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체적은 적어도 1:2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1:3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서 강철 및 폴리올레핀 섬유는 변형된 형태, 예를들어 갈고리단부형(hooked-end), 주름형(crimped), 트윈-콘드형(twin-coned) 또는 기타의 비직선형태를 가짐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의 형태와 섬유의 상대적인 (체적)퍼센티지(재료의 종류와는 무관)는 앞서 배경기술 부분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혼성 섬유 시스템과는 확연히 다르다.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대로, 섬유 재료에 있어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일례로, 본 발명의 섬유성분 A는, 예를 들어 두께에 대한 폭의 바율이 10 내지 200의 범위를 갖고, 또한 길이가 5-5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25㎚인 비정형 강철(예를 들어, 비결정형)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계수가 높은 카본 섬유 또한 본 발명의 섬유 시스템에서 성분 A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성분 A의 주된 목적은 작은 크랙 개구부에서 크랙 저지능을 증대하고 또한 매트릭스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요구되는 최소한의 영률(적어도 30 GPa)을 갖는 기타의 재료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섬유성분 B는 파쇄 표면을 가로질러(크랙 개구부를 가로질러) 스트레스를 옮길 수 있는 섬유일 것이 요구된다. 이들 섬유는 크랙 전파에 대한 저지능이 증대된 것이어야 하고, 이는 커다란 크랙 개구부에서 인성을 증대시킨다. 이것은 "크랙 브릿징 효과(crack bridging effect)"라 한다. 이들 섬유성분 B는 강철(바람직하기로는 풀-아웃 저지능이 증대된 갈고기단부형 강철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들 섬유의 투입량은 0.5 내지 5.0 체적%,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75 내지 2 체적%이다. 그들의 길이는 10-10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0-55㎚이어야 하고,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환산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율이 30-80이다. 콘크리트에서, 섬유성분 B의 체적이 섬유성분 A의 체적의 적어도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성분 A 및 B가 혼입될 경우, 콘크리트 시스템의 인성 및 연성을 하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시예 1
100㎜ ×100㎜ ×100㎜의 빔 형상으로 주조된 네개의 다른 콘크리트 샘플에 대하여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첫번째 샘플은 보통의 것(비강화 콘크리트); 두번째 샘플은 섬유성분 A(강철)만을 함유한 것; 세번째 샘플은 섬유성분 B(폴리올레핀)만을 함유한 것; 그리고 네번째 샘플은 섬유성분 A 및 B의 혼성 조합물을 함유한 것이다.
도 1은 일본의 요오크 편향 측정 시스템(Japanese Yoke deflection measuring system)을 이용하여 4개의 다른 시험샘플의 부하 치환 곡선(load displacement curves)을 나타낸 것이다. 보통의 콘크리트 빔의 파쇄 거동은 부서지기 쉽다는 것인데, 이는 최대 부하에 도달한 이후에 부하가 가파르게 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알 수 있다. 크랙 전파에 대한 크랙 저지능은 매우 작고, 따라서 부하 대 편향 곡선 아래의 면적에 비례하는 파쇄 인성이 매우 작게 된다.
두께에 대한 폭의 비율이 70이고, 길이가 30㎜인 비정형 강철 섬유 0.25 체적%가 콘크리트에 첨가되면, 굴곡인성은 물론 굴곡강도 모두, 강화 섬유가 없는 조절 콘크리트에 비해서 개선된다. 성분 A의 부하-운반 능력(load-carryingcapacity)은 빔의 편향성이 증가함에 따라 떨어진다.
길이가 51㎜인 폴리올레핀 섬유 1 체적%가 콘크리트에 첨가되면, 굴곡강도는 증가하지 않지만, 부하가 그 최대치의 50%까지 떨어진 이후, 편향성이 증대됨에 따라 인성이 증대된다. 이는 곧, 성분 B는 매우 작은 크랙 개구부에서는 연성을 증대시키지 않고, 단지 커다란 크랙 개구부에서만 연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성분 A 및 B 모두가 콘크리트에 첨가되면, 편향성이 크거나 작은 곳 모두에서 굴곡인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사실은 다른 섬유성분들을 조합함으로써 독자적인 각각의 성분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발휘함을 확인하는 것이지만, 더욱 중요한 점은, 작은 개구부 및 커다란 개구부 모두를 고려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소량의 섬유를 사용하는 혼성 시스템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갈고리단부형 강철 섬유는 섬유의 풀아웃에 대하여 높은 저지능을 발휘함으로써, 섬유 강화 콘크리트 빔으로 하여금 커다란 크랙 개구부에서도 많은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추가적인 잇점들은 메짐성(brittleness) 및 연성에 대한 설명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메짐성 또는 연성을 표현하는 몇가지 방법이 있다. 원래, 메짐성 수(brittleness number) b는 저장 탄성 에너지 및 완전한 파쇄에 이르는데 필요한 파쇄 에너지G F 의 비율에 비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σmax는 인장강도, E는 영률, 그리고 L은 시험편의 길이이다. 낮은 강도와 높은 파쇄에너지가 재료의 연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은 명백하다. 메짐성 수 b는 특성 길이l ch 에 반비례하고, 시험편의 형상을 고려하지 않고 재료 특성의 영향을 파악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특성 길이l ch 는 재료의 "연성"에 대한 척도(figure-of-merit)로서 사용된다.l ch 는 내열충격성에 대한 척도로서 하젤만(Hasselman)에 의해 정의된 변수R""에 밀접하게 관련된다.
변수R""은 크랙 개시 파쇄 에너지(GIc)에 대한 크랙 전파 파쇄 에너지(GF)의 비율에 비례한다.
크랙 개시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어윈(Irwin)에 따른 크랙 개시시 임계 스트레스 강도 인자(KIc)로부터 임계 에너지 방출율(GIc)을 산출하였다(선형 탄성 파쇄 메카닉스 이론이 최대 부하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함):
상기식에서, κ는 시편기하 의존적 변수이고 또P max 는 최대 하중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콘크리트에 대한l ch 는 파쇄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증가될 수 있다. 인장강도 또는 크랙 개시 에너지의 감소는 압축강도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압축강도를 감소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방정식 (4) 및 (5)는 강도가 변화하면 연성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파쇄 에너지(G F )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기본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소형 및 대형 크랙 변형시 파쇄 에너지 특징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자들은 소형 크랙 개구부에서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률 특징을 고려해야할 필요성과 큰 섬유 표면적 대 섬유 체적비와 상이한 혼성 섬유 시스템의 길이(보다 큰 크랙 변형을 연결하기 위해)를 가질 필요성을 검토하여 높은 강철 섬유 체적(1%)에 상관없이 그리고 섬유 강화 콘크리트(FRC)에서 이러한 높은 체적에 결부된 결점없이 FRC에서 인성과 연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려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자들은 크랙조절제(때때로 수축조절제로 칭함), 부식조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추가의 성분을 혼입시키는 것을고려하였다. 이러한 성분은 시멘트 및 콘크리트 공업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예컨대, 아질산 칼슘을 콘크리트에 혼합(및/또는 섬유상에 피복)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섬유(A 또는 B)를 사용하여(예컨대 강철, 탄소) 협지된 레바(rebar)를 갖는 콘크리트에 사용될 때 양극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아질산 칼슘은 또한 FRC의 강도, 인성 및 연성(통상의 콘크리트의 강도 뿐만 아니라)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섬유 강화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술한 섬유 성분 A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 성분중의 적어도 하나는 강철 및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섬유의 양극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그리고 강철 섬유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1 내지 2%(s/s 콘크리트중의 시멘트)의 아질산 칼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는, 크랙 조절 혼합물이 포함(및/또는 섬유상에 피복)될 수 있다. 예컨대 크랙 조절 혼합물은 미국 특허 5,556,460호; 미국특허 5,413,634호; 미국특허 5,618,344호; 미국특허 5,779,778호; 미국특허 5,326,397호; 미국특허 5,326,396호; 미국특허 5,389,143호; 미국특허 5,626,663호; 미국특허 5,604,273호; 미국 특허 5,622,558호; 미국특허 5,603,760호; 미국특허 5,571,319호 및 미국특허 5,679,15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미국특허는 모두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콘크리트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고 또 풀-아웃(pull-out) 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합한 섬유 코팅은 엔. 베르케 일행에 의한 미국특허 5,753,36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 또한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따라서, 공지된 부식 조절 혼합물, 섬유 코팅 및 크랙 조절 혼합물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혼성 섬유 계의 다른 실시예에 혼입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4)

  1. (a) 영률이 적어도 30 GigaPascals이고 두께에 대한 폭의 비율이 10-200이며 평균길이가 5-5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1성분 A; 및
    (b) 두께에 대한 길이의 비율이 25-125 이고 평균길이가 10-10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2성분 B를 포함하고;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체적비가 적어도 1:2인, 콘크리트 강화용 혼성 섬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성분 A의 섬유가 금속 및 카본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2성분 B의 섬유가 금속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성분 A의 섬유가 비정형 강철을 포함하고, 또한 제2성분 B의 섬유가 변형 금속, 폴리올레핀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2성분 B의 섬유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제2성분 B의 섬유가 갈고리단부형 강철 섬유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1성분 A의 섬유가 비정형 강철이고 또한 그 길이가 10-35㎜인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제2성분 B의 섬유가 폴리올레핀이고, 또한 그 길이가 20-55㎜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제1성분 A의 섬유가 비정형 강철을 포함하고, 제2성분 B의 섬유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또한 성분 A에 대한 B의 체적비가 적어도 3:1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위에 코팅되거나 또는 강화시키고자 하는 콘크리트내에 혼입되는 부식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위에 코팅되거나 또는 강화시키고자 하는 콘크리트내에 혼입되는 크랙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2. (a) 영률이 적어도 30 GigaPascals이고 두께에 대한 폭의 비율이 10-200이며 평균길이가 5-5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1성분 A; 및
    (b) 두께에 대한 길이의 비율이 25-125 이고 평균길이가 10-10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2성분 B를 포함하고;
    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체적비가 적어도 1:2인 섬유 시스템 및
    시멘트 바인더를 포함하는 시멘트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크랙 조절제, 부식방지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a) 영률이 적어도 30 GigaPascals이고 두께에 대한 폭의 비율이 10-200이며 평균길이가 5-5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1성분 A; 및
    (b) 두께에 대한 길이의 비율이 25-125 이고 평균길이가 10-100㎜인 섬유를 포함하는 제2성분 B(성분 B에 대한 성분 A의 체적비가 적어도 1:2임)를 혼입시킴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연성 증대방법.
KR1020017005582A 1998-11-03 1999-10-20 인성 및 연성이 개선된 섬유 강화 시멘트질 재료 KR100579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85,253 US6071613A (en) 1998-11-03 1998-11-03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materials with improved toughness and ductility
US09/185,253 1998-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383A true KR20010080383A (ko) 2001-08-22
KR100579774B1 KR100579774B1 (ko) 2006-05-15

Family

ID=2268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582A KR100579774B1 (ko) 1998-11-03 1999-10-20 인성 및 연성이 개선된 섬유 강화 시멘트질 재료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071613A (ko)
EP (1) EP1171656B1 (ko)
JP (1) JP4295923B2 (ko)
KR (1) KR100579774B1 (ko)
CN (1) CN1092724C (ko)
AT (1) ATE316179T1 (ko)
AU (1) AU746728C (ko)
BR (1) BR9914859B1 (ko)
CA (1) CA2348865C (ko)
DE (1) DE69929540T2 (ko)
ES (1) ES2257093T3 (ko)
HK (1) HK1042326B (ko)
MX (1) MX231954B (ko)
NZ (1) NZ511272A (ko)
TR (1) TR200101238T2 (ko)
WO (1) WO2000026452A1 (ko)
ZA (1) ZA200103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8159B1 (en) * 1999-08-30 2001-07-10 Polymer Group, Inc. Product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synthetic polymer fibers into cement mixtures
FR2810661B1 (fr) * 2000-06-21 2003-06-06 Rhodia Chimie Sa Ciment comprenant des particules anisotropes de polymere, pate cimentaire, materiau consoli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CA2427799A1 (en) * 2000-11-06 2002-05-10 Institute Of Paper Science And Technology, Inc. Fiber reinforced mineral-based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SG105543A1 (en) * 2001-04-25 2004-08-27 Grace W R & Co Highly dispersible reinforcing polymeric fibers
US6569525B2 (en) 2001-04-25 2003-05-27 W. R. Grace & Co.-Conn. Highly dispersible reinforcing polymeric fibers
US7192643B2 (en) 2001-08-22 2007-03-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ghened cementitious composites
US6898917B2 (en) 2002-08-15 2005-05-31 W. R. Grace & Co.-Conn. Avoiding cracking and curling in concrete flooring upon which water-based adhesives are employed
CN100348527C (zh) * 2003-09-19 2007-11-14 同济大学 一种防塑性开裂的混杂纤维水泥基复合材料
US20060201393A1 (en) 2005-03-11 2006-09-14 Pkl Corporation Shrinkage compensating concrete
US20060276088A1 (en) * 2005-06-01 2006-12-07 Polymer Group, Inc. Profiled Structural Concrete Fiber Material And Building Products Including Same, And Methods
TW201034995A (en) * 2009-03-20 2010-10-01 China Steel Corp Material formula for concrete pre-casting component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8480781B2 (en) 2009-06-29 2013-07-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ement containing multi-modal fibers for making thermal shock resistant ceramic honeycomb structures
DE102012106083A1 (de) 2012-07-06 2014-01-09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Faserverstärkter mineralischer Baustoff
US10246624B2 (en) 2013-03-15 2019-04-02 Forta Corporation Modified deformed reinforcement fibers, methods of making, and uses
US10550662B2 (en) * 2015-09-17 2020-02-04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nhibiting longitudinal propagation of cracks in wellbore cement
CN108069666A (zh) * 2018-02-01 2018-05-25 郑州大学 一种大骨料混杂钢纤维二级配混凝土及制备方法
CN111809267A (zh) * 2020-06-22 2020-10-23 北京中纺纤建科技有限公司 用于混凝土的高强高模非金属粗纤维及其制备方法
CN112661448B (zh) * 2020-12-25 2022-04-22 北京金隅混凝土有限公司 一种自密实顶升混凝土及其应用方法
CN114861254B (zh) * 2022-03-30 2023-05-1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桥梁用钢管钢纤维混凝土结构抗弯刚度的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162A (en) * 1980-01-11 1981-08-11 Mitsui Petrochemical Ind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its reinforced material
JP2756069B2 (ja) * 1992-11-27 1998-05-25 株式会社ペトカ コンクリート補強用炭素繊維
US5753368A (en) * 1996-08-22 1998-05-19 W.R. Grace & Co.-Conn. Fibers having enhanced concrete bonding strength
DE19654502A1 (de) * 1996-12-18 1998-06-25 Holzmann Philipp Ag Hochfester Beton mit verbesserter Duktilitä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6728C (en) 2006-03-02
HK1042326A1 (en) 2002-08-09
DE69929540T2 (de) 2006-11-16
EP1171656A4 (en) 2003-04-02
HK1042326B (zh) 2003-06-20
MXPA01004392A (en) 2001-07-01
ATE316179T1 (de) 2006-02-15
BR9914859B1 (pt) 2010-09-08
AU1905600A (en) 2000-05-22
CN1325465A (zh) 2001-12-05
MX231954B (en) 2005-11-09
WO2000026452A1 (en) 2000-05-11
EP1171656A1 (en) 2002-01-16
KR100579774B1 (ko) 2006-05-15
AU746728B2 (en) 2002-05-02
JP4295923B2 (ja) 2009-07-15
WO2000026452A8 (en) 2002-05-10
ES2257093T3 (es) 2006-07-16
US6071613A (en) 2000-06-06
TR200101238T2 (tr) 2001-08-21
CA2348865A1 (en) 2000-05-11
CN1092724C (zh) 2002-10-16
EP1171656B1 (en) 2006-01-18
CA2348865C (en) 2004-09-28
BR9914859A (pt) 2001-07-17
ZA200103308B (en) 2002-07-23
NZ511272A (en) 2003-02-28
JP2003513872A (ja) 2003-04-15
DE69929540D1 (de)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774B1 (ko) 인성 및 연성이 개선된 섬유 강화 시멘트질 재료
Balendran et al. Influence of steel fibres on strength and ductility of normal and lightweight high strength concrete
Kizilkanat et 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e behavior of basalt and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An experimental study
Mousavi et al. Combined effects of steel fibers and water to cementitious materials ratio on the fracture behavior and brittleness of high strength concrete
Guo et al. Fracture behaviors of a new steel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ith crumb rubber
Ghugal et al. Performance of alkali-resistant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Zhou et al. Size effect on flexural, splitting tensile, and torsional strengths of high-strength concrete
Ganesan et al. Tension Stiffening and Cracking of Hybrid Fiber-Reinforced Concrete.
Saikia et al. Performance of hybrid rebars as longitudinal reinforcement in normal strength concrete
Lee et al. Effect of steel fibres on fracture parameters of cementitious composites
Bentur et al. Fiber-matrix interfaces
Aldikheeli et al. The effects of fib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erated concrete
Choi et al. Flexural performance of ring-type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Li et al. Pseudo strain-hardening design in cementitious composites
Pehlivan Investigation of fracture parameters of concrete incorporating basalt fibers
Mangat et al. Steel fibre-cement matrix interfacial bond characteristics under flexure
Awadallah et al. Some parameters affecting shear behavior of high 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longitudinally reinforced with BFRP rebars
Krassowska et al. Failure mode of basalt fibre reinforced concrete beams
Hughes et al. Predicting the flexural strength of steel and polypropylene fibre-reinforced cement-based beams
Abubakar et al.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flexural and split tensile strengths of waste copper wire fiber reinforced concrete
Karthikeyan et al.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extile Reinforced Concrete (TRC)
Wei et al. Evaluation of cracking and serviceability performance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deep beams
Karzad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Gatabi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fiber-reinforced concrete flexural members under cyclic loading
Hughes Experimental test results for flexure and direct tension of fibre cement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