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931A - 수작업에 의해 인열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직포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수작업에 의해 인열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직포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931A
KR20010079931A KR1020017003870A KR20017003870A KR20010079931A KR 20010079931 A KR20010079931 A KR 20010079931A KR 1020017003870 A KR1020017003870 A KR 1020017003870A KR 20017003870 A KR20017003870 A KR 20017003870A KR 20010079931 A KR20010079931 A KR 2001007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adhesive
support
dtex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알렝
바르느레미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스까빠 따뻬 프랑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5488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799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스까빠 따뻬 프랑스 에스아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7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93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filaments or yarns secured together by chemical or thermo-activatable bonding agents, e.g. adhesives, applied or incorporated in liquid or soli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undling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7/00Presence of halogenated polymer
    • C09J2427/006Presence of halogenated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3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different layers or components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10T442/2746Heat-activatabl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10T442/2754Pressure-sensitiv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10T442/3195Three-dimensional weave [e.g., x-y-z planes, multi-planar warps and/or wefts,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포 지지체의 단위 폭 당 길이 방향 실(3)의 섬도가 지지체의 단위 길이 당 횡 방향 실(4)의 섬도보다 작은 것으로 2500 dtex/cm 이하이고, 길이 방향 실이 접착제에 의해 횡 방향으로 적소에 유지되어 있는 것인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테이프는 10 미만의 횡 방향 인열 응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조시 케이블의 다발을 스트랩핑하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수작업에 의해 인열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직포 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ADHESIVE TAPE COMPRISING A WOVEN POLYESTER SUPPORT DETACHABLE BY HAND}
접착 테이프의 중요한 특성은 이 접착 테이프가 수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인열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수작업 부착의 경우, 접착 테이프의 인열성(tearability)은 절단 도구의 사용을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손상의 위험 및 취급 시간을 줄여 준다.
접착 테이프의 인열성은 주로 지지체, 이것의 치밀성, 이것의 제조 방법과 연관이 있지만, 사용된 섬유의 유형과도 연관이 있다. 각 유형의 섬유는 접착 테이프의 부착 영역을 한정하는 기계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과, 특히 접착 테이프가 배치되는 주위 온도의 측면에서 연관이 있다.
수 십년 동안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면 직물 또는 비스코스 직물은 100℃ 내지 125℃의 온도(자동차 산업에서 채택되고 있는 분류법에 따른 열 분류 T2)에 대한 내온성을 가지며, 우수한 수작업 인열성을 갖는다. 이러한 직물의 내마모성은 적당한 정도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공지된 합성 섬유의 직물도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그 화학적 특성 및 외관에 의해 온도(150℃ 내지 175℃, 열 분류 T4)에 대한 우수한 내온성과 더불어 매우 우수한 내마모성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용도는 고온이 관찰되는 곳(엔진 보닛) 및 금속 부품에 대한 마찰이 일어 날 수 있는 곳의 부착과 연관이 있다.
제직 기법 이외의 다른 기법을 이용하는 제조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함께 수작업에 의한 우수한 인열성을 생성시키고, 온도(자동차에서 분류 T3)에 대한 우수한 내온성을 보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것으로는 말리와트(Maliwatt) 유형 및 말리블리스(Malivlies) 유형의 부직포를 제조하는 기법이 있다. 이러한 부직포 지지체를 사용한 접착 테이프는 EP 0668336 A, DE 4442092 A 및 DE 4442093 A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제조 방법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그러한 유형 기재의 내마모성이 직포 베이스의 것보다 낮다는 점이다.
하기 표 1은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상이한 유형의 공지된 접착 테이프의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온도의 분류는 자동차 온도 분류법을 참고한다.
지지체의 유형 직포 부직포
섬유의 유형 비스코스 또는 면 폴리에스테르 말리와트폴리에스테르 말리블리스폴리에스테르
온도의 분류 T2(100℃) T4(150℃) T3(125℃) T3(125)℃
내마모성 ** *** * *
인열성 *** 없음 ** ***
* : 보통** : 우수*** : 매우 우수
폴리에스테르 직물 베이스를 함유한 공지된 접착 테이프는 현재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는 다른 특정 제품과는 달리 수작업에 의한 인열성을 갖고 있지 않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매우 우수한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그러한 유형의 제품에 대한 인열성 형태가 실재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접착 테이프, 구체적으로 케이블의 다발을 테이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제조시에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사람이 수작업으로 테이프를 인열시키고자 하는 경우 접착제로 덮어 있지 않은 직물 테이프의 실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람이 수작업으로 동일한 테이프를 인열시키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 실의 파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작업에 의한 인열성을 특성으로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베이스를 함유하는 직포 지지체를 접착 테이프에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대부분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실로 제직된 직포 지지체 및 이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을 덮고 있는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일부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부분은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의 단위 폭 당 길이 방향 실의 섬도(titre)가 테이프의 단위 길이 당 횡 방향 실의 섬도보다 작은 것으로 2500 dtex/cm 이하이고, 길이 방향 실이 10 N 미만의 횡 방향 인열 응력을 테이프에 부여할 수 있도록 접착제에 의해 횡 방향으로 적소에 유지되어 있는 것인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단위 폭 또는 길이 당 실의 섬도는 실의 단위 섬도와 단위 폭 또는 길이 당 실의 갯수와의 곱이다. 통상적으로 지지체를 형성하는 직물의 날실인 길이 방향 실의 경우 그러한 특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횡 방향 인열 응력, 즉 존재하는 노치로부터 출발하는 횡 방향 라인을 따라 테이프를 인열시키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에 가해야 하는 수축 응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응력은 통상적으로 방법 AFERA4007에 의해 측정한다. 10 N보다 작은 값은 수작업에 의한 인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측면에서 횡 방향으로 길이 방향의 실을 고정시키는 것도 필요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 길이 방향 실은 복수의 실을 동시에 파열시키는 것이 필요할 정도로 테이프를 인열시키기 위해 수축 응력을 다른 측면에 가할 때 테이프의 측면 중 한 측면의 방향으로 함께 보다 밀접하게 이동하게 되는 데, 이것은 파열을 달성하기 위해 가해야 하는 힘을 배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고정화는 직포 지지체를 덮고 있는 접착제의 층에 의해 이루어지고, 각 실과의 그러한 접촉은 지지체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속적이거나, 또는 매우 짧은 간헐적인 점들만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도, 횡 방향의 실은 비교적 촘촘하고, 즉 단위 폭 당 갯수가 많은 데, 이것은 측면 방향에서 길이 방향 실의 위치 안정성에 기여한다.
실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특히 각각의 실을 구성하는 기본 필라멘트의 수는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 보충적 또는 대안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단위 길이 당 횡 방향 실의 섬도는 3000 dtex/cm 내지 4500 dtex/cm이다.
* 길이 방향 실은 보다 촘촘하고, 횡 방향 실보다 작은 단위 섬도를 갖는다.
* 지지체는 cm 폭 당 30 개 내지 50 개의 길이 방향 실을 포함한다.
* 지지체는 cm 길이 당 18 개 내지 27 개의 횡 방향 실을 포함한다.
* 길이 방향 실의 섬도는 약 40 dtex 내지 60 dtex이다.
* 횡 방향 실의 섬도는 150 dtex 내지 250 dtex이다.
* 접착제는 감압성이다.
* 지지체는 접착제에 대향하는 면이 비접착제 코팅으로 덮혀 있다.
* 지지체의 실은 벌크 상태로 염색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개시하고자 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다수의 필라멘트를 함유한 실을 사용하여 직물을 제조하고, 이어서 온도 150℃에 대한 내온성이 있는 염료에 의해 벌크 상태로 검정 염색하였다. 제직 과정은 단위 섬도가 50 dtex인 단위 센티미터 당 40 개의 날실과 단위 섬도가 167 dtex인 단위 센티미터 당 22 개의 씨실을 사용하여 공기 제트 또는 수 제트의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얻어진 직포 지지체는 한 면을 톨루엔 중에 용해되어 있는 수지에 의해 개질된 고무 베이스를 함유한 감압성 접착제로 덮고, 나머지 다른 면을 "역 롤"(실린더 대 실린더 전달에 의한 코팅)로서 공지된 기법에 의해 도포되는 비접착제 바니스로 덮었다. 그와 같이 덮어진 지지체를 날실과 평행하게 절단하여 얻은 접착 테이프는 매우 우수한 내온성(열 분류 T4) 및 우수한 내모성을 나타내었다.
도 1은 접착제로 덮혀 있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테이프(1)의 실의 거동을 도시한 것으로, 횡 방향 실은 사람이 테이프 가장자리(2)의 한쪽으로 길이 방향의 수축을 가함으로써 수작업으로 테이프를 인열시키고자 하는 경우 매우 밀접하게 되지 않는다. 가장자리(2)에 인접한 길이 방향 실(3)은 가장자리(5)의 반대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횡 방향 실(4)을 따라 팽팽해지고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실은 동시에 수축된 상태가 되는데, 이것은 단위 폭 당 tex 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테이프의 파열을 어렵게 만든다.
유사한 부재를 표시하기 위해 동일한 참고 번호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되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10)의 동일한 조건에서 실의 거동을 도시한 것이다. 길이 방향 실(3)은 접착제의 층에 의해, 그리고 횡 방향 실의 근소한 이격에 의해 횡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실은 수축 하에 응력을 받게 되어, 차례로 파열하게 된다.
하기 표 2는 상기 실시예의 접착 테이프의 경우(A), 비교예로서 코팅되어 있지 않은 그러한 테이프 지지체의 경우(B), 레이온으로 만든 직포 지지체를 함유한 것으로 번호 003으로 출원인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접착 테이프의 경우(C) 및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지지체를 함유한 접착 테이프 경우(D)에 대하여 방법 AFERA 4007로 측정한 횡 방향 인열 응력을 나타낸 것이다.
테이프 A B C D
횡 방향 인열 응력(N) 3.73 12.03 6.06 8.93
이러한 결과는 접착제로 덮혀 있지 않은 지지체와 공지된 접착 테이프의 각각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최적 인열성을 강조한다.
벌크 상태로 실을 검정 염색시키거나, 또는 다른 색상으로 염색시키는 과정은 실의 외관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150℃ 이하의 온도에 견디어 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 테이프를 허용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접착제는 유기 용매 중의 용액으로서 또는 수 중의 분산액으로서 고무 또는 아크릴 베이스를 함유한 감압성 접착제 또는 용매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감압성 접착제, 예를 들면 열 용융성 유형의 감압성 접착제 또는 자외선 방사나 전자 충격에 의해 가교 결합시킬 수 있는 감압성 접착제가 유리하다. 접착제는 임의의 공지된 기법, 예를 들면 스크래퍼를 사용하여 실리더 또는 플레인 표면에, 실린더 대 실린더에 도포하는 기법 또는 열 용융성 접착제의 경우 다이에 의한 기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대부분 에틸렌 폴리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실로 제직된 직포 지지체(1) 및 이 지지체의 적어도 한 면을 덮고 있는 접착제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일부(3)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부분(4)은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접착 테이프(10)에 있어서,
    테이프의 단위 폭 당 길이 방향 실의 섬도는 테이프의 단위 길이 당 횡 방향 실의 섬도보다 작은 것으로 2500 dtex/cm 이하이고, 길이 방향 실은 10 N 미만의 횡 방향 인열 응력을 테이프에 부여할 수 있도록 접착제에 의해 횡 방향으로 적소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단위 길이 당 횡 방향 실의 섬도는 3000 dtex/cm 내지 4500 dtex/cm인 것인 접착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실은 횡 방향 실보다 촘촘하고, 보다 작은 단위 섬도를 갖는 것인 접착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cm 폭 당 30 개 내지 50 개의 길이 방향 실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cm 길이 당 18 개 내지 27 개의 횡 방향 실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실의 섬도는 약 40 dtex 내지 60 dtex인 것인 접착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횡 방향 실의 섬도는 150 dtex 내지 250 dtex인 것인 접착 테이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감압성인 것인 접착 테이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접착제와 대향하는 면이 비접착제 층으로 덮혀 있는 것인 접착 테이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실은 벌크 상태로 염색되어 있는 것인 접착 테이프.
KR1020017003870A 1999-08-02 2000-08-01 수작업에 의해 인열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직포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KR20010079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0029A FR2797268B1 (fr) 1999-08-02 1999-08-02 Ruban adhesif sur tissu de polyester dechirable a la main
FR99/10029 1999-08-02
PCT/FR2000/002211 WO2001009263A1 (fr) 1999-08-02 2000-08-01 Ruban adhesif comprenant un support tisse en polyester dechirable a la m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931A true KR20010079931A (ko) 2001-08-22

Family

ID=954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870A KR20010079931A (ko) 1999-08-02 2000-08-01 수작업에 의해 인열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직포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90505B1 (ko)
EP (1) EP1074595B1 (ko)
JP (1) JP2003506521A (ko)
KR (1) KR20010079931A (ko)
DE (1) DE60031332T2 (ko)
ES (1) ES2269082T3 (ko)
FR (1) FR2797268B1 (ko)
WO (1) WO20010092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28B1 (ko) * 2010-08-26 2012-05-21 조남선 비닐하우스의 비닐지 보수용 점착 테이프
KR20180033561A (ko) * 2015-07-30 2018-04-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부분적으로 매립된 섬유를 갖는 웨브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8134B1 (fr) 1999-09-02 2002-07-05 Scapa Tapes France S A Ruban adhesif sur support non tisse dechirable a la main
DE10112375A1 (de) * 2001-03-15 2002-09-26 Tesa Ag Trägermaterial auf Vliesbasis insbesondere für ein Klebeband mit verbesserter Handeinreißbarkeit
US20050158539A1 (en) * 2003-06-25 2005-07-21 Andover Coated Products, In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US7272284B1 (en) * 2004-01-29 2007-09-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ndled cab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502005005029D1 (de) 2004-03-04 2008-09-25 Tesa Ag Hoch abriebfestes band für die bandagierung von kabelbäumen in automobilen
DE102004028825B4 (de) 2004-06-15 2022-07-14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Kabelbaum und Verwendung eines technischen Klebebandes
DE202005013009U1 (de) * 2005-08-16 2005-10-27 Certoplast Vorwerk & Sohn Gmbh Klebeband
EP1932892B1 (en) * 2006-12-13 2009-10-28 Scapa France Wire harnessing tape
DE202007006816U1 (de) 2007-05-11 2008-09-18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Handeinreißbares Gewebe-Klebeband
EP2045303A1 (en) * 2007-10-05 2009-04-08 Scapa France Abrasion-resistant adhesive tape
DE102008025979A1 (de) 2008-05-30 2009-12-03 Tesa Se Klebeband insbesondere für Außenanwendungen mit einem textilen Träger
KR20100134800A (ko) * 2008-04-30 2010-12-23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접착 테이프
EP2180025A1 (de) 2008-10-21 2010-04-28 tesa SE Textiler Träger, Klebeband damit und Kabelbaum damit
JP2011026717A (ja) * 2009-07-22 2011-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結束テープ用布帛及び結束テープ
DE102009041898A1 (de) * 2009-09-18 2011-04-07 Tesa Se Abriebfestes Gewebeklebeband
DE202009019193U1 (de) 2009-11-09 2018-06-22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Quereinreißbares Gewebeklebeband mit hoher Abriebfestigkeit
DE202009018980U1 (de) 2009-11-09 2015-02-02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Quereinreißbares Gewebeklebeband mit hoher Abriebfestigkeit
EP2322385B1 (de) * 2009-11-09 2015-02-25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Quereinreißbares Gewebeklebeband mit hoher Abriebfestigkeit
DE102011075160A1 (de) 2011-05-03 2012-11-08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lebebandes insbesondere zum Umwickeln von Kabeln aus einem offenen textilen Träger und einer darauf einseitig beschichteten Haftklebemasse
DE202011109202U1 (de) 2011-11-28 2012-03-01 Tesa Se Abreißhilfe zur Verbesserung des insbesondere manuellen Ablängens eines Klebebands
DE102012100055A1 (de) 2012-01-04 2013-07-04 Certoplast Vorwerk & Soh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handeinreißbaren textilen Klebebandes
DE202013102969U1 (de) 2013-07-05 2014-10-22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Klebeband
EP2824153B1 (de) 2013-07-08 2016-10-26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Kabelwickelband
US10858546B2 (en) 2013-07-08 2020-12-08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Cable wrapping tape
DE102013107157A1 (de) 2013-07-08 2015-01-08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Kabelwickelband"
US11225592B2 (en) * 2015-03-10 2022-01-18 certoplast Technische Klebebaender GmbH Method of making adhesive wrapping tape for bundling cables in cars
DE202016100057U1 (de) 2016-01-08 2016-01-25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Klebeband, insbesondere Wickelband zur Ummantelung von Kabeln in Automobilen
DE202016102701U1 (de) 2016-05-20 2016-06-06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Kabelwickelband
DE102016110149A1 (de) 2016-06-01 2017-12-07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Klebebandes
DE102016212483A1 (de) 2016-07-08 2018-01-11 Tesa Se Gewebeklebeband
DE202017100009U1 (de) 2017-01-03 2017-01-20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Klebeband, insbesondere Wickelband
EP3658640A1 (de) 2017-07-27 2020-06-03 Coroplast Fritz Müller GmbH & Co. KG Klebeband mit einer insbesondere nanopartikel enthaltenden klebstoffgrundierungsschicht
DE102017216840B4 (de) * 2017-09-22 2020-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torhaube aus Kunststoffmaterial mit wenigstens einem integrierten Funktionselement und Herstellverfahren
DE102018204733B4 (de) 2018-03-28 2020-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ckklapp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Heckklappe
DE202018103986U1 (de) * 2018-07-11 2018-07-20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Klebeband
US20230065871A1 (en) 2019-10-11 2023-03-02 Rene RAMBUSCH Adhesive tape for wrapping cables
DE202019105635U1 (de) 2019-10-11 2019-11-27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Klebeband
US11569006B1 (en) 2021-08-20 2023-01-31 Tesa Se Cover for a cable harness with different color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055Y2 (ko) * 1980-11-17 1986-06-17
JPS6228436A (ja) * 1985-07-29 1987-02-06 旭化成株式会社 引き裂き性に優れた粘着テ−プ用基布
JP2843043B2 (ja) * 1989-02-09 1999-01-0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織物
JP2532724Y2 (ja) * 1990-04-12 1997-04-16 株式会社 スリオンテック ワイヤーハーネス結束用布粘着テープ
US5698477A (en) 1990-04-12 1997-12-16 Sliontec Corporation Adhesive cloth tape for a wiring harness
JPH0551840A (ja) * 1991-08-19 1993-03-02 Asahi Chem Ind Co Ltd 粘着テープ用織物
DE59400018D1 (de) 1994-01-22 1995-11-02 Coroplast Fritz Mueller Kg Klebeband.
DE4442093C2 (de) 1994-11-25 1996-12-05 Beiersdorf Ag Klebeband auf Basis eines Malivlieses und dessen Verwendung
DE4442092C2 (de) 1994-11-25 1996-12-05 Beiersdorf Ag Rückseitenbeschichtetes Klebeband auf Nähvliesbasis und dessen Verwendung
JPH10121000A (ja) * 1996-10-21 1998-05-12 Diatex Co Ltd 粘着テー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528B1 (ko) * 2010-08-26 2012-05-21 조남선 비닐하우스의 비닐지 보수용 점착 테이프
KR20180033561A (ko) * 2015-07-30 2018-04-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부분적으로 매립된 섬유를 갖는 웨브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1332T2 (de) 2007-08-30
JP2003506521A (ja) 2003-02-18
DE60031332D1 (de) 2006-11-30
EP1074595B1 (fr) 2006-10-18
FR2797268A1 (fr) 2001-02-09
FR2797268B1 (fr) 2002-03-22
US6790505B1 (en) 2004-09-14
ES2269082T3 (es) 2007-04-01
EP1074595A1 (fr) 2001-02-07
WO2001009263A1 (fr) 200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9931A (ko) 수작업에 의해 인열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직포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US20040253889A1 (en) Adhesive tape comprising a polished support surface
JP4866533B2 (ja) 細長い材料、特にケーブル・ルーム(loom)を包むための織物支持体を含んでなる接着テープ
US2750030A (en) Hyper-streng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strapping tape
US20130017746A1 (en) Adhesive Tape with Textile Carrier for Cable Bandaging
US20150299522A1 (en) Self-Windable, Cross-Tearable, Textile Industrial Adhesive Tape having a Knitted Substrate
EP2231802B1 (en) Stretchable, hand-tearable, conformable, and cinchable reinforced adhesive tape articles
KR20100093004A (ko) 내마모성 접착 테이프
KR20100023773A (ko) 자동차에서 케이블 하니스를 피복하기 위한 고내마모성 테이프
DE202012103975U1 (de) Hoch abriebfestes technisches Klebeband mit doppellagigem Träger
CA2671758C (en) Wire harnessing tape
CA3060311A1 (en)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woven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H10510566A (ja) クニット型または多重クニット型のウエッブをベースにした裏側を被覆された接着テープ
JP7010847B2 (ja) ケーブルラッピングテープ
US20020146952A1 (en) Nonwoven backing especially for adhesive tape with improved hand tearability
US20150203721A1 (en) Adhesive tape, more particularly wrapping tape for bundling cables in cars
MX2012002321A (es) Cinta adhesiva para encintar cables.
CN105733467B (zh) 具有密针缝编无纺布的胶粘带
KR101274401B1 (ko) 자착식 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CA2825111A1 (en) Adhesive tape which can be used, in particular, for securing during transportation
JP2020063414A (ja) 長尺材料、特にケーブルハーネスをジャケッティングするための接着テープおよびジャケッティング方法
US20220275249A1 (en) Adhesive tape for jacketing elongated items such as more particularly cable harnesses and method for jacketing
JP2019194279A (ja)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11225592B2 (en) Method of making adhesive wrapping tape for bundling cables in cars
CN116981745A (zh) 粘合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