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786A -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786A
KR20010079786A KR1020017003107A KR20017003107A KR20010079786A KR 20010079786 A KR20010079786 A KR 20010079786A KR 1020017003107 A KR1020017003107 A KR 1020017003107A KR 20017003107 A KR20017003107 A KR 20017003107A KR 20010079786 A KR20010079786 A KR 20010079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traightening
ram
folding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282B1 (ko
Inventor
마울홀게르
스타우브안드레아스
조스트마르쿠스
이펠미카엘디
Original Assignee
드레이어 론니 알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레이어 론니 알,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드레이어 론니 알
Publication of KR20010079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Abstract

에어백 모듈용의 에어백(2)을 접는 방법은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에어백의 가스 입구 개구(6)로부터 시작하여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는 단계를 포함한다. 에어백은 곧바르게 펴진 상태에서, 또는 곧바르게 펴는 조작 도중에,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가이드 슬리브(18)내로 밀려진다. 그 후 에어백은 함께 밀려지며, 접혀지는 과정에서 가이드 슬리브 내부에서 그 종축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밀려진다. 에어백 모듈용의 에어백을 접는 장치는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기 위해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가이드 슬리브를 갖는 가스 입구 개구를 거쳐 에어백내로 밀려질 수 있는 곧바르게 펴기 램(10)을 갖는다. 가이드 슬리브는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곧바르게 펴기 램은 곧바르게 펴기 축을 따라서 밀려질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의 내측 단면 표면적은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면 표면적보다 크며, 에어백을 함께 밀기 위해 가이드 슬리브내에서 곧바르게 펴기 축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접기 램(20, 30)을 갖는다.

Description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AN AIRBAG}
에어백 모듈내의 에어백은 덮개 뒤의 에어백 하우징내에 대체로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충돌할 경우 에어백은 팽창된다(즉, 가스로 충전된다). 에어백은 전개되어 자동차 탑승자의 충격을 감쇠할 수 있는 가스로 충전된 쿠션을 형성한다. 지금까지, 에어백이 편평하게 펼쳐진 후 사전결정된 지점에서 접혀져서 접혀진 구성을 이루도록 에어백의 접는 공정이 수행되어 왔다. 그 후 이러한 접혀진 구성은 에어백 모듈 내에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에 부근에 배치되고, 에어백 돌출 방향으로 위치된다(즉, 접혀진 에어백은 가스 발생기와 자동차 탑승자 사이에 위치한다).
에어백을 접는데 지금까지 사용된 방법은 많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무엇보다도 전체의 에어백이 편평하게 펼쳐져야 하기 때문에, 에어백을 접기 위해 매우 큰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자동화된 에어백 접기에서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설치가 요구되며, 상이한 에어백 형태와 특정한 접기 절차의 경우에 개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그러한 복잡한 접기는 제한된 속도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모듈용의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에어백 접기를 보다 신속하게 행하며 장치내의 설치 공간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개시된 특징을 갖는 방법과 청구범위 제 18 항에 개시된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종속항으로부터 양호한 실시예가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에어백은 우선 에어백의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되는 곧바르게 펴기 축(straightening axis)의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진다(straightened out). 곧바르게 펴진 상태에서 또는 곧바르게 펴는 조작 도중, 에어백은 외부 가이드 장치내로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밀려지거나 당겨지며, 그 후 접기 방법에 따라 에어백은 외부 가이드 장치내에 그 종축 방향(즉,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함께 밀려진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접기 조작을 위해, 에어백은 편평하게 펼쳐지는 것보다는 오히려 축을 따라서 곧바르게 펴지며 그에 따라 삼차원 배치가 된다. 후속되는 접기 조작이 특별한 방식은 아니다(즉, 에어백은 정밀한 사전결정된 접는 선을 따라 접혀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에어백이 외부 가이드 장치내에서 함께 밀려짐으로써 접기 조작은 임의적이 된다. 에어백은 아코디온(accordion)의 방식으로 접혀지며, 접는 선은 임의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접기 방법에 의해 에어백은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접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전결정된 접는 선을 따르는 다수의 별개의 정밀하게 규정된 접기 조작이필요 없게된다. 또한, 에어백이 편평하게 펼쳐지지 않고 대신 선을 따라 정돈되므로 상기 방법은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접기 방법은 중앙 영역으로부터 시작되는 주된 접는 선을 갖는 접기 패턴을 생성하며, 접기 패턴은 곧바르게 펴기 축의 부근에 위치하며 반경방향의 외부로 직선으로 에어백의 외주부까지 연장된다.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지향되는 재료의 전방 층상에 주된 접는 선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있어서, 접기 조작을 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자동차 탑승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재료의 후방 층상에, 바람직하게는 주된 접는 선은 본질적으로는 동심적으로 에어백 및/또는 가스 입구 개구의 외주부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곧바르게 펴기 축은 에어백의 전방 표면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에어백의 전방 표면은 에어백이 자동차에 설치될 때 에어백 팽창시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지향되는 에어백의 충돌 표면이 된다. 곧바르게 펴기 축이 상기 전방 표면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므로, 무엇보다도 전방 표면이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이동하고 자동차 탑승자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접기 조작과, 다른 한편으로는, 에어백에 대한 특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어백 전개의 확보가 또한 가능하다.
접기 조작 도중, 에어백은 그 가스 입구 개구의 영역내에 편의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접기 조작 도중, 가스 입구 개구가 자유로이 유지되고 그 뒤 가스 공급 장치 또는 가스 발생기상에 끼워지도록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에어백은 접기 램(foliding ram)에 의해 외부 가이드 장치내에서 함께 밀려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기 램은 그 종축을 따라(즉,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내에서) 외부 가이드 장치내에서 이동하며, 펴진 에어백을 함께 밀어 에어백이 아코디온 방식으로 접혀지게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정밀한 접는 선이 사전결정되지 않고 개개의 접는 선 또는 주름이 저절로 발생된다. 접는 선이 정밀하게 사전결정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뒤 단계에서 만족스럽고 정밀하게 제어된 에어백 돌출이 확보된다.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기 위해, 곧바르게 펴기 램(straightening ram)은 에어백내로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되는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부 표면을 통해, 가스 입구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한 에어백 섹션의 내부에 당접한다. 이에 의해 에어백은 완전한 정도로 곧바르게 펴진다. 밀려진 곧바르게 펴기 램에 의해, 곧바르게 펴기 램의 이동이 에어백내에 배치된 제한 밴드, 파열 시임(tear seam)등의 결과로서, 또는 에어백 자체의 외부 덮개에 의해 한정될 때까지 에어백이 곧바르게 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곧바르게 펴기 램은 에어백의 그 뒤의 주된 전개 방향과 상응하는 곧바르게 펴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된 전개 방향으로 에어백이 곧바르게 펴짐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후속되는 밀기 조작 도중, 에어백이 팽창되는 나중의 단계에서 다시 펼져져야하는 조작에 역 순서로 에어백의 접기 조작이 발생하는 것이 확보된다.
후속되는 접기 조작 도중 발생되는 접기 패턴에 있어서, 주된 접는 선(즉, 접기 조작 도중 발생된 주름)이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본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지는 중앙 영역이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부 표면과 부딪히는 에어백의 영역이 된다. 그 후 그 영역에서는 본질적으로 어떠한 접는 선도 형성되지 않는다. 접는 선은 이 영역의 중심 지점을 향해 정확하게 방사상의 형태로 연장된다. 그러나, 곧바르게 펴기 램의 원형 단부 표면이 또한 본질적으로 원형이고 접촉 표면의 외주부로부터 시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직선으로 에어백의 외부 원주로 본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 표면의 외주부상에 접선방향으로 접는 선이 접하도록 접는 선을 연장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에어백의 곧바르게 펴기 조작 도중, 곧바르게 펴기 램은 동시에 외부 가이드 장치내로 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을 펴고 슬리브내로 미는 조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발생하므로, 이에 의해 접기 조작에 필요한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곧바르게 펴기 램이 그를 둘러싸는 에어백과 함께 외부 가이드 장치내로 밀려지는 작용에 의해, 예컨대 에어백의 외주부 또는 외부 영역에 있는 제한 밴드 또는 시임의 결과로서 완전한 정도로 펴지지 않을 수 있는 에어백의 편평한 영역이 외부 가이드 장치내에 곧바르게 펴기 방향 또는 안으로 밀기(pushing-in)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배치되는 상황이 달성된다.
일단 곧바르게 펴기 램이 안으로 밀려지면, 위치설정 장치가 에어백의 외부를 따라, 곧바르게 펴기 램에 평행하게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하여 전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어백이 접혀지기 전에, 가스 입구 개구를 둘러싸는 에어백의 후방 영역이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하여 위치됨을 의미한다. 일단 에어백이 가이드 장치내에서 함께 밀려지고 접혀지면, 에어백 팽창시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지향되는 에어백 부분이, 접혀진 에어백 조립체내의 외부상에 또는 전개 방향에서 볼 때 전방에 위치됨이 확보된다. 이는, 팽창 조작 도중, 에어백의 이러한 부분이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매우 신속하고 방해받지 않고 펼쳐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자동차 탑승자에 대한 충분한 보호가 매우 신속하게 확보될 수 있다.
위치설정 장치는 곧바르게 펴기 램과 동심적인 슬리브로서, 또는 곧바르게 펴기 램의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바(bar)의 형태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장치는 에어백이 그 후방 영역의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하여 올바르게 위치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적소에 위치될 수 있는 에어백의 그러한 부분이 위치설정 장치와 곧바르게 펴기 램 사이에 유착되거나 손상입지 않고 수용될 수 있고 가능한 한 부드럽고 균일하게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슬리브 또는 바 및 곧바르게 펴기 램 사이의 거리의 치수가 정해져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 에어백이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되어 곧바르게 펴지면, 에어백이 곧바르게 펴질 때 에어백은 곧바르게 펴기 램의 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부 가이드 장치내로 당겨지며, 따라서 곧바르게 펴기 램은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동된다. 이에 의해 임의의 추가적인 방법 또는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추가적인 위치설정 장치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이에 의해 달성된다. 에어백의 전방측 부분인 가이드 장치내로 에어백이 당겨질 때, 가스 입구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상기 전방측은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의근처의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해 위치된다. 또한, 에어백의 주변 연결 시임은 에어백의 전방측의 근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일단 에어백이 가이드 장치내로 함께 밀려지면, 에어백의 전방측과 주변 시임의 영역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에어백이 접혀지는 상황이 달성된다. 이것은 에어백이 충전되어 전개될 때, 상기 영역이 전개 방향에서 볼 때,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그에 따라 충돌시 자동차 탑승자가 접촉하게 되는 상기 영역이 먼저 펼쳐지게 되어, 양호한 보호 작용이 매우 신속하게 달성됨을 의미한다.
에어백을 함께 미는 작업 도중, 곧바르게 펴기 램의 안으로 미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접기 램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곧바르게 펴기 램은 동일한 속도로 후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 순서의 결과로서, 에어백은 가스 입구 개구를 향해 접혀진다. 이에 의해, 대체로 가스 입구 개구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에어백 전방 표면 부분이 이미 접혀진 에어백 위로 최종적으로 밀려진다. 이는, 에어백의 그 뒤의 전개 동작시, 우선적으로 전방 표면의 이러한 비교적 작고 가벼운 부분이 가속되며 그후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이동됨을 의미한다. 전방 표면, 또는 전방 표면의 부분의 이러한 이동이, 전개 도중, 에어백의 여전히 접혀진 영역에 의해, 속도가 느려지며, 이에 따라 에어백의 반경방향 및/또는 주변 방향으로의 펼쳐짐이 신속하고 넓게 발생된다.
또한, 함께 밀림 조작 도중, 접기 램이 곧바르게 펴기 램의 안으로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며, 곧바르게 펴기 램은 전혀 이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차에 있어서, 에어백은 그 전방 표면을 향해 함께 밀려지고접혀진다. 이것은 또한 전방 표면이 전체 접기 조작 도중 곧바르게 펴기 램과 부딪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에어백의 전방 표면은 에어백의 접혀진 부분상에 최종적으로 놓이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그 사이에, 에어백의 나머지는 에어백이 부딪히는 곧바르게 펴기 램의 외벽을 따라 그 전방 또는 단부측까지 함께 밀려지고 접혀진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에어백은 가스 입구 개구의 영역내의 접기 램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이러한 부분이 아코디온 방식으로 접혀지고 전방 표면의 반대쪽에 있는 에어백의 단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는 가스 입구 개구에의 접근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그 뒤의 단계에서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상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곧바른 펴기 조작 후에 또한 함께 밀림 조작 도중,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부 표면과 부딪히는 에어백 섹션의 외부는 접기 램 또는 에어백 모듈의 덮개 부분과 계속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에어백의 일부분(바람직하게는 그 전방 표면의 일부분)이 접기 조작 도중 곧바르게 펴기 램 및 접기 램 또는 에어백 모듈의 덮개 부분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기 조작 후에, 에어백의 이러한 부분이 마침내 접혀진 에어백 구성상에 놓이고 가스 발생기의 바로 옆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에어백의 그 뒤의 팽창 조작 도중, 우선적으로 덮개 또는 접기 램 및 곧바르게 펴기 램 사이에 고정되었던 이러한 섹션이 방해받지 않고 동작되며, 그에 따라,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에어백은 균일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펼쳐지게 된다. 에어백이 에어백 모듈의 덮개내에 직접 접혀지는 경우 에어백은 곧바르게 펴기 램과 덮개 사이에 고정된다. 그 뒤의 단계에서, 그 후 덮개는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 탑승자를 향해 지향되며 상응하는 파열 시임을 갖는데 이러한 파열 시임을 통해 에어백이 차량 탑승자의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접기 (folding-up) 조작 후에 적절한 가스 공급 장치 또는 가스 발생기가 후방측으로부터 덮개내로 도입된다. 다른 방법 실시예는 에어백을 에어백 하우징내에서 접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은 우선 가스 입구 개구의 주변 영역에서 에어백 하우징상에 부착된다. 이러한 접기 방법에 있어서, 에어백 영역은 곧바르게 펴기 램과 접기 램 사이에 고정되며 접기 램은 에어백 하우징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상기 에어백의 내부로 고정된 영역이 최종적으로 에어백의 이미 접혀진 다른 영역상에 놓이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최후로, 에어백 모듈의 덮개가 에어백의 이 영역 위로 끼워진다.
곧바르게 펴기 램이 그 단부 표면을 거쳐 부딪히는 에어백의 섹션은 에어백 전방 표면의 중심부분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곧바르게 펴기 램이 에어백을 편심되게 또는 비대칭으로 곧바르게 펴는 것 또한 가능하며, 에어백에 비대칭적인 우선 출구 방향을 주는 것은 가능하다. 이에 의해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부 표면과 부딪히는 에어백 섹션이 함께 밀기 및 접기 조작 도중 규정된 방식으로 고정되고 인도되는 것이 확보된다. 접기 조작 후에,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부 표면과 부딪히는 에어백 섹션은 에어백 모듈의 덮개 바로 뒤에 위치한다. 그 뒤의 에어백 전개 도중 에어백의 이러한 섹션은 우선 덮개를 관통하여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 전방 표면의 중앙 영역인 것이 바람직한 에어백의 이러한 섹션이 우선 자동차 탑승자와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영역 주위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 영역은 실질적으로 차례차례(즉, 그 중앙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자동차 탑승자와 접촉하게 되며, 에어백은 자동차 탑승자 주위로, 바람직하게는 얼굴주위로 구른다. 자동차 탑승자가 정밀하게 규정된 방식으로 점차적으로 에어백과 접촉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에어백과 자동차 탑승자 사이의 마찰이 회피되게 된다. 에어백의 전개시, 자동차 탑승자가 정밀하게 규정된 위치에 있지 않다면[소위 이탈 위치(out-of-position)에 있는 경우], 이것은 특히 중요하다. 이것은 종래의 접혀진 에어백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예컨대 전개 도중 자동차 탑승자의 뺨 아래에 에어백이 고정되어지는 위험을 감소시키며 자동차 탑승자의 목이 늘어나는 것을 최소화한다. 전개의 초기에 에어백의 하우징내에 여전히 위치된 에어백의 접혀진 부분의 억제 작용은 전방 표면의 진행을 늦춘다. 이에 의해 에어백의 이러한 영역은 상응하게 작은 깊이로 돌출되며, 그 후 에어백은 자동차 탑승자의 전방에서 반경방향으로 신속하게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에어백 전개시 자동차 탑승자에 대한 손상의 위험이 감소된다.
함께 밀기 조작 도중 스페이서(spacer)가 에어백내에, 바람직하게는 가스 입구 개구의 부근에 배치된다. 접기 조작 후에야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가 에어백내로 도입되는 경우 스페이서가 필요하다. 스페이서는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에 필요한 설치 공간을 자유롭게 유지한다. 따라서 에어백은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으며 그 뒤의 설치 상태에서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 주위로 배치되게 된다.
곧바르게 펴기 램이 스페이서의 기능을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스 발생기용의 공동은 곧바르게 펴기 램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유지되므로 스페이서를 도입하는 임의의 추가적인 방법 단계가 필요 없다.
에어백은 외부 가이드 장치로부터 에어백 모듈용 하우징 또는 덮개내로 밖으로 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을 덮개 또는 에어백 하우징 내로 도입하는 도중, 에어백이 사전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접기 조작 도중 에어백이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하우징 또는 덮개내로 밀려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어백이 슬리브내로 함께 밀려지고 하우징 또는 덮개내로 가압되는 것 때문에, 에어백이 덮개 또는 하우징내로 직접 접혀지므로, 이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을 에어백 하우징 또는 덮개내로 도입하는 추가적인 조작이 회피된다.
에어백을 접는 장치는,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기 위해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가스 입구 개구를 통하여 에어백내로 밀려지는 곧바르게 펴기 램을 포함하고, 또한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되고 곧바르게 펴기 램이 곧바르게 펴기 축을 따라 밀려질 수 있는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하며, 가이드 슬리브의 내부 단면 표면적이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면 표면적보다 크며, 특히 에어백이 곧바르게 펴기 램과 가이드 슬리브의 내벽 사이에서 접혀질 수 있는 정도만큼 크고, 또한 에어백을 함께 밀기 위해 곧바르게 펴기 축을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내로 이동될 수 있는 접기 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상기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 에어백을 접기 위해 필요한 모든 동작이 동일한 축을 따라(즉, 에어백이 그것을 따라 곧바르게 펴지는 축을 따라) 발생되므로 극도로 콤팩트한 형상이 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가능한 한 장치의 공간 절약 배치를 위해, 곧바르게 펴기 축은 가능한 한 수직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슬리브와 램은 둥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에어백 또는 에어백 하우징 또는 에어백 모듈 덮개의 특정한 형태에 적합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소정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고정된 표면은 에어백 하우징 또는 에어백 모듈 자체의 덮개보다 훨씬 클 필요는 없으며, 그 이유는 에어백을 접기 위해, 에어백이 평평하게 펼쳐질 필요가 있기보다는 오히려, 에어백이 축(즉, 에어백 하우징 또는 덮개에 수직인 방향의 선)을 따라서 곧바르게 펴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이 가이드 슬리브내로 정돈되므로,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면 표면적은 가이드 슬리브의 단면 표면적보다 작으며, 그에 따라 곧바르게 펴진 에어백이 곧바르게 펴기 램과 가이드 슬리브의 내벽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접기 램은 가이드 슬리브의 내부 단면 표면적과 상응하는 단면 표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기 램이 그 종축을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내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이 경우에서는 접기 램과 가이드 슬리브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확보된다. 그러나, 접기 램은 가이드 슬리브의 내벽에 매우 근접하게 접촉하므로 에어백 영역이 접기 램과 가이드 슬리브의 내벽 사이의 갭내로 통과되는 것이 불가능하며, 결국 에어백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장치가 방해받을 수 있다.
접기 램은 그 중심에 곧바르게 펴기 램이 관통 연장되는 개구를 갖는 것이바람직하다. 덮개 캡 또는 덮개내에서 접기 조작 도중, 이러한 배치가 에어백이 먼저 그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되어 곧바르게 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후 마찬가지로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되어, 에어백의 반대측을 향해(즉, 전방 표면을 향해) 함께 밀려지게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곧바르게 펴기 램을 따라서 접기 램이 이동되며, 곧바르게 펴기 램은 접기 램의 개구내에서 안내되어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장치가 에어백을 가스 입구 개구의 영역내로 양호하게 부착하기 위해 편의상 제공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이 접기 조작 도중 단단하게 유지되게 되며,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에 연결되기 위해 접혀진 에어백의 가스 입구 개구에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다.
부착 장치가 접기 램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접기 램이 곧바르게 펴기 램을 따라 위치될 때, 함께 밀기 및 접기 완료 조작을 위해, 밀기에어백이 접기 램상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그의 일부 섹션이 에어백 하우징상의 그 뒤의 부착을 위해 자유로이 접근 가능해진다. 에어백을 부착하는 이러한 섹션이 가스 입구 개구의 부근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에어백은 가스 공급 장치 또는 가스 발생기상에 정확하게 고정된다.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하우징 또는 덮개를 가이드 슬리브와 접촉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장치가 또한 가능하다. 이는 가이드 슬리브가 에어백 하우징 또는 덮개로 가압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에어백의 접기 조작 도중, 에어백이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하우징 또는 덮개내로 직접 가압되거나 접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그 뒤의 단계에서, 접혀진 에어백을 에어백 하우징 또는 덮개내로 도입시키는 조작이 가능하다.
곧바르게 펴기 램으로부터 동축으로, 동심원으로 또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슬리브 또는 다수의 바의 형태로서 위치설정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해 위치시키기 위해, 곧바르게 펴기 램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에 의해 에어백이 접혀지기 전에 에어백의 소영역(sub-region)이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에어백이 전개될 때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지향되는 에어백 영역이 접혀진 조립체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는, 에어백의 팽창 도중, 이러한 영역이 먼저 제한 없이 펼쳐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자동차 탑승자에 대하여 최대한 가능한 수준으로 보호가 신속하게 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접기 장치 및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접기 장치 및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접기 장치 및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따른 접기 장치 및 방법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에 따른 접기 장치 및 방법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우선 에어백(2)은 가스 입구 개구(6)를 갖는 에어백 하우징(4)상에 부착된다. 에어백은 하우징(4)내의 상응하는 개구(8) 부근에서 에어백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뒤의 단계에서,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두 개의 개구를 통하여 도입될 수 있다. 그 후 곧바르게 펴기 램(straightening ram)(10)이 가스 입구 개구(6)와 개구(8)를 통하여 에어백의 내부로 도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곧바르게 펴기 램은 본질적으로 에어백 하우징(4) 및 특히 개구(8)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한다. 곧바르게 펴기 램이 에어백내로 충분한 범위만큼 밀어졌을 때, 그 전방 또는 단부 표면(12)을 통해, 에어백의 측면(14)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측면은 가스 입구 개구(6)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에어백(20)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즉,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그것을 따라 이동되는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은 에어백(2)의 전방 표면(14)의 중앙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에어백이 완전한 범위(더 이상 펴질 수 없는 범위)로 곧바르게 펴질 때까지 에어백(2)내로 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앞서 곧바르게 펴기 램은 임의의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는 것 또한 가능하다. 더 곧바르게 펴는 작업은 예컨대 에어백내에 배치된 시임(seam) 또는 제한 밴드등에 의해 제한된다. 이는 완전한 범위로 펴지지 않는 에어백(2)의 영역이 있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들은 에어백(2)의 주변 시임(16)의 부근에 있는 주면 영역(15)이며, 상기 주변 시임에 의해 서로 봉합된 두 층의 직물 또는 재료로 구성된다.
도 1b는 방법의 제 2 단계를 도시하며, 가이드 슬리브(18)가 펴진 에어백과 함께 곧바르게 펴기 램(10) 위로 밀어 넣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주변 시임(16)의 부근에 있는 에어백(2)의 펴지지 않은 영역(15)도 또한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가이드 슬리브(18)는 곧바르게 펴기 램(10)과 곧바르게 펴기 축(11)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된다. 또한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경우와 같이, 가이드 슬리브(10)는 원형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즉, 가이드 슬리브는 원형 튜브이다). 그러나, 가이드 슬리브와 곧바르게 펴기 램이 특정한 에어백 또는 특정한 에어백 하우징(4)의 각각의 형태에 적합할 수 있는 다른 형태가 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가이드 슬리브(18)는 곧바르게 펴기 램(10)위로, 곧바르게 펴기 램의 이동 방향의 반대로, 에어백 하우징(4)을 향해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이 에어백의 곧바르게 펴기 작업 도중 일어나는 것 또한 가능하며, 그에 따라 순서가 보다 빨라진다. 가이드 슬리브(18)가 완전한 범위까지 밀려지고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완전한 범위까지 에어백내로 밀려지면, 그에 따라 에어백은 완전한 범위로 곧바르게 펴지게 되고, 에어백은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벽과 램(10)의 외주부 사이에 위치된다. 접기 램(20)은 에어백 하우징(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이드 슬리브(18)의 단부에 배치되며 접기 램의 전방 영역(22)은 가이드 슬리브의 내부로 정밀하게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접기 램(20)은 마찬가지로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접기 작업에서, 접기 램(20)은, 가이드 슬리브(18)내에서, 접기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과 에어백 하우징(4)을 향해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기 램의 전방 영역(22)은 우선적으로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과 접촉하게 되며, 전방 섹션은 접기 램(20)과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 사이에서 고정된다. 그 후 접기 램(20)은 에어백 하우징(4)을 향해 더 이동되고,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동일한 속도로 후퇴된다(즉, 접기 램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방식에 있어서, 접기 램(20)과 곧바르게 펴기 램(10) 사이에 고정된 에어백의 전방 표면(14)은 에어백 하우징(4)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접기 램의 외주부 및/또는 그 전방 영역(22)은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벽과 직접 부딪힌다. 에어백 하우징의 방향으로의 이동 도중, 접기 램은 에어백의 모든 부분을 차례로 운반하고 에어백 하우징의 방향으로 밀어서, 결국 에어백의 모든 부분을 하우징내로 밀어 넣는다. 결과적으로, 본질적으로 아코디온 형상(accordion-like)의 에어백 접기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기는 정밀하게 사전결정된 것은 아니다(즉, 정밀한 접는 선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그 뒤의 전개가 또한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따라서 정밀하게는 접기 조작의 역순으로 발생되므로, 에어백(2)은 그 뒤의 전개중에 어려움 없이 펼쳐지도록 에어백은 접혀진다. 이에 의해, 전개 도중 펼쳐지는 에어백(2)이 구속되지 않아, 전개가 신속하게 어떠한 마찰 발생 없이 일어날 수 있도록 보장될 수 있다.
도 1c는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제 3 단계를 도시한다. 도 1c에서는, 접기 램(20)은 가이드 슬리브(18)내로, 그 단부 또는 전방 표면(22)을 통하여, 인접한 에어백 하우징(4)까지 바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2)은 그 전체가 아코디온 형상으로 접힌채로 에어백 하우징내로 가압된다. 이러한 조작시,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동시에 운반되므로, 이 때 곧바르게 펴기 램은 여전히 에어백 하우징(4)내에 위치되며 접혀진 에어백(2)으로 둘러싸이고, 그에 따라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그 뒤의 단계에서 도입되는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를 위한 공동을 형성하는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한다. 전체 접기 조작 도중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은 접기 램(20)의 전방 표면(22)과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 사이에서 인도되며, 그에 따라 접혀진 상태로, 가스 발생기용의 공동 바로 위에 위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그 뒤의 전개 작동중 에어백(2)의 이러한 전방 섹션(14)이 먼저 움직이고 그 후 에어백의 다른 섹션을 당기게 되는 소망의 효과가 달성된다. 이에 의해, 차후의 전개 작업중에 전방 섹션(14)이 먼저 자동차 탑승자와 접촉하게 되고 에어백(2)의 다른 섹션이 전방 섹션(14)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자동차 탑승자 주위로 말리게 되는 소망의 효과가 달성되며, 이 효과가 자동차 탑승자의 피부와 에어백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게 되며, 그에 따라 예컨대 찰과상 과 같은 손상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팽창 작업 도중 우선적으로 이동하는 전방 섹션(14)이 여전히 접혀져 있는 에어백(2)의 유지력에 의해 속도가 늦추어지며, 이것이 바람직한 에어백의 반경방향 펴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에어백이 에어백 하우징내로 접혀지고 자동차의 내부로부터 에어백 모듈을 덮는 덮개가 그 뒤에 에어백 하우징상에 위치되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에어백은 에어백 모듈의 덮개내로 직접 접혀지며 그 후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가 후방측으로부터 적절한 운반기구를 통해 상기 덮개상에 끼워진다. 하기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도 2a는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제 1 단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의 덮개(24)는 아래쪽으로 배향되는 전방측(26)을 가지며, 상기 전방측은 그 뒤에 자동차의 내부의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지향된다. 공동(28)이 덮개(24)의 후방측을 향해 형성되며, 접혀진 에어백과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가 상기 공동내에 도입된다. 가이드 슬리브(18)는 후방측을 향해 개방된 상기 공동(28)의 외주부상에 끼워진다. 덮개(24)의 이러한 배향[즉, 그 전방측(26)이 아래로 향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에 의해 특히 공간을 절약하는 접기 조작 및 특히 공간을 절약하는 접기 장치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배향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환상의 접기 램(30)이 제공되며, 이것은 그 내부에 개구(32)를 갖는데, 개구(32)를 통해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연장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개구내로 인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2)은 그 가스 입구 개구(6)의 영역내의 접기 램(30)상에 부착된다. 도 2a에 도시된 제 1 단계에서는, 곧바르게 펴기 램(10), 접기 램(30) 및 에어백(2)은 가이드슬리브(18) 외부에 위치된다.
도 2b는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제 2 단계를 도시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우선적으로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접기 램(30)의 개구(32)를 통하여 이동되며, 그 후 그 단부측(12)을 통하여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전방 섹션은 가스 입구 개구(6)의 반대쪽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이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기 램(10)을 더 이동시키면 에어백은 곧바르게 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가이드 슬리브를 지나므로 에어백(2)의 일부가 이미 가이드 슬리브(18)내로 당겨지거나 밀려있다.
도 2c는 순서의 제 3 단계를 도시한다. 에어백(2)은 완전한 정도로 곧바르게 펴지게 된다. 즉, 에어백 형상(즉, 재료의 층 또는 시임과 제한 밴드 등의 길이)의 결과로서, 곧바르게 펴기 램은 더 이상 이동될 수 없을 정도로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접기 램(30)에 대하여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따라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접기 램(30)에 대한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두 개 모두 가이드 슬리브(18)내로,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따라 함께 밀려진다. 도 2c는 곧바르게 펴기 램(10), 접기 램(30) 및 펴진 에어백(2)이 완전한 정도로 가이드 슬리브(18)내로 밀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은 커플링(24)과 직접 접촉하게 이동하며 커플링과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 사이에 고정된다. 이후에, 접기 램(30)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하여 이동되며[즉, 접기 램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상에서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위치된다], 그에 따라 접기 램은 덮개(24)를 향해 이동한다.이 방법에 있어서, 곧바르게 펴기 램(10)과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벽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백(2)은 함께 밀려지고, 아코디온의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접혀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결정된 어떠한 정밀한 접는 선도 없다(즉, 접는 작업은 임의적으로 발생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펼쳐짐이 접기 조작과 같은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에어백은 그 뒤 전개 작업 도중 어려움 없이 펼쳐질 수 있다.
도 2d는 에어백(2)이 함께 밀려지고 접기 램(30)에 의해 완전한 정도로 접혀진 단계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그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즉,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의해 여전히 덮개(24)에 대해 가압된다]. 에어백 하우징의 일부로서 설계될 수도 있는 접기 램(30)의 변위에 의해 에어백(2)이 덮개(24)의 공동(28)내로 완전한 정도까지 밀려지거나 접혀진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그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므로, 곧바르게 펴기 램은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며 그 뒤의 단계에서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가 도입될 수 있는 접혀진 에어백내에 공동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그 후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은 가스 발생기 또는 가스 공급 장치 위로 바로 위에 위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에어백의 전개 도중 이러한 전방 섹션이 우선 움직이게 되고 또한/또는 가속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가이드 슬리브(18)는 덮개(24)로부터 제거되고 접혀진 에어백(2)은 접기 램(30)과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의해 덮개에 계속하여 고정된다. 도 2f를 참조하면, 곧바르게 펴기 램(10)과 접기 램(30)은 그 후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후퇴된다. 즉, 곧바르게 펴기 램과 접기 램은덮개로부터 해제되고 후퇴되며, 그에 따라 접혀진 에어백만이 덮개(24)의 공동내에 잔류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위치되었던 지점에, 가스 발생기(36)가 도입될 수 있는 공동이 남는다. 가스 발생기(36)는 캐리어(38)에 결합되며, 이 캐리어(38)를 통해 가스 발생기가 덮개상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는 완전한 에어백 모듈이 생성된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g에 도시된 방법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상응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4), 가이드 슬리브(18), 에어백(2), 접기 램(30) 및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배치는 도 2a에 도시된 배치와 상응하다. 가이드 슬리브(18)는 덮개(24)의 전방측(26)의 반대쪽에 위치된 공동(28)의 개방측상에 끼워진다. 가스 입구 개구의 영역에서는, 에어백(2)은 환상 형태인 접기 램(30)상에 부착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접기 램(30)의 개구(32)를 통하여 연장된다. 도 2b와 상응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우선 곧바르게 펴기 축의 방향으로, 접기 램(30)의 개구(32)를 통하여, 에어백(2)의 내부로 이동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그 단부측(12)을 통하여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전방 섹션은 에어백(2)의 가스 입구 개구(6)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을 더 이동시키면, 에어백(2)은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2)은 완전한 정도로, 즉, 에어백의 내부에서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과 후방측 사이에 배열된 제한 밴드(도시되지 않음)가 완전한 정도까지 곧바르게 펴지게 되고 에어백(2)이 더 곧바르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정도로 곧바르게 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 3 방법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위치설정 장치(40)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위치설정 장치(40)는, 곧바르게 펴기 램(30)과 마차가지로, 접기 램(30)내의 상응하는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별개의 바(bar) 또는 추가적인 슬리브의 형태로 설계된다. 일단 에어백(2)이 곧바르게 펴지면, 위치설정 장치(40)는 접기 프레임(30)을 통하여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며, 에어백(2)의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하여 곧바르게 펴기 램에 평행하게 전진된다. 위치설정 장치(40)는 접기 램(30)을 중심으로 본질적으로 동심원되게 연장되며 곧바르게 펴기 램(10)으로부터 이격되어 에어백(2)의 부분이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해 균일하게 위치되도록 곧바르게 펴기 램과 위치설정 장치(40)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곧바르게 펴기 장치(40)의 이동시, 에어백의 후방 영역[즉, 가스 입구 개구(6)를 둘러싸는 에어백의 영역]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해 위치된다.
도 3d에 도시된 단계에 있어서, 도 2c와 유사한 방식으로, 곧바르게 펴기 램(10), 접기 램(30), 위치설정 장치(40) 및 에어백(2)은 그 후 가이드 슬리브(18)내로 밀려진다. 에어백의 전방 섹션(14)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과 덮개(24)의 내부 사이에 고정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장치(40)는 그 후 접기 램(30)을 통해 뒤로 당겨진다[즉, 위치설정 장치(40)는 접기 램(30)과 가이드 슬리브(18)에 의해 규정된 공간으로부터 당겨진다]. 이에 의해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태와 상응하는 상태가 달성되며, 유일한 추가사항은 가스 입구 개구(6)를 둘러싸는 에어백(2)의 부분이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해 균일하게 위치된다는 것이다. 그 후 접기 램(30)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을 따라서,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18) 내부에서 덮개(24)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에어백(2)은 덮개(24)의 방향으로 함께 밀려지며 무작위로 접혀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2)은 덮개(24)의 공동내로 동시에 가압된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리브(18), 곧바르게 펴기 램(10) 및 접기 램(30)은 그 후 덮개(24)로부터 제거되며 접혀진 에어백(2)은 그 내에 위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2)내에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이전에 위치되었던 공동(34)이 노출되며, 이 공동(34)내로 가스 출구 개구가 위치되는 가스 발생기(36) 또는 가스 발생기(36)의 적어도 일부분이 그 후 도입된다. 접기 작업 전에 곧바르게 펴기 램에 대해 에어백(2)을 위치시키는 작용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내에, 에어백이 충전된 상태일 때 자동차 탑승자를 향해 지향되는 영역(즉, 전방측)이 덮개(24)의 바로 뒤의 상부 또는 외측에 위치되며, 가스 발생기(36)가 배치되는 공간(34)에 바로 인접하게 된다. 이 영역이 에어백이 가스로 충전될 때 우선적으로 펼쳐진다. 또한, 에어백(2)의 외주 영역은 위치설정 장치(40)에 의해 들려져서 접기 램(3)이 가이드 슬리브(18)내로 도입될 때 에어백(2)의 구속 또는 걸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제 4 실시예가 도 4a 내지 도 4h를 참조하여개시되며, 이 경우에는 에어백(2)이 덮개(24)내로 직접 접혀지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접히고 그 후 덮개(24)내로 밀려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2)은 먼저 가스 입구 개구(6)의 영역내의 부착 플레이트(fastening plate)(42)상에 부착된다. 부착 플레이트(42)는 환상 형태를 가지며 본질적으로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부 직경과 상응하는 외부 직경을 갖는다. 부착 플레이트(42)는 그 내부에서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관통 연장되는 개구(44)를 갖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접기 램(20)이 가이드 슬리브(18)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기 램(20)은 우선 가이드 슬리브(18)의 제 1 단부에 위치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부착 플레이트(42)를 통하여 에어백(2)의 내부로 이동되며,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은 에어백(2)의 전방 섹션(14)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은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따라 곧바르게 펴진다. 에어백(2)은 에어백(2)의 내부에 배치된 그 외측 케이싱 또는 제한 밴드(도시되지 않음)로 인해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할 때까지 완전한 범위로 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는 곧바르게 펴기 램(10)을 위한 개구(44)를 중심으로 본질적으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부착 플레이트(42)내의 상응하는 개구를 통해 인도되는 바 또는 슬리브의 형태인 위치설정 장치(40)가 또한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위치설정 장치(40)는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평행하게, 에어백(2)의 가스 입구 개구(6)로부터 시작하여 전진된다. 가스 입구 개구(6)로부터 연장되는 에어백(2)의 후방 섹션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해 위치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곧바르게 펴진 에어백(2)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해 위치된 에어백(2)의 후방 섹션과 함께 가이드 슬리브(10)내로 밀려진다. 안으로 밀기 조작은 접기 램(20)이 우선적으로 위치되는 단부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8)의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발생한다. 가이드 슬리브(18)내로의 안으로 밀기 조작 도중, 곧바르게 펴기 램(40), 부착 플레이트(42) 및 위치설정 장치(40)는 본질적으로 서로 상대적인 그들의 위치를 유지한다. 가이드 슬리브(18)내로의 안으로 밀기 조작 후에, 에어백(2)의 전방 표면(14)은 접기 램(20)의 단부 표면(40)과 전방 표면(22)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장치(40)는 그 후 가이드 슬리브(18)와 부착 플레이트(42)에 의해 접해지는 공간으로부터 당겨진다. 그 후 접기 램은 부착 플레이트(42)를 향해,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부에서 이동되며, 이와 상응하게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부착 플레이트(42)내의 개구(44)를 통하여 동시에 뒤로 이동된다(도 4f 참조).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2)은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부에서, 부착 플레이트(42)의 방향으로 함께 밀려지며, 곧바르게 펴기 램(10) 주위로서 무작위로 접혀진다. 이러한 접기 조작후에,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접기 램(20)이 뒤로 이동되어 가이드 슬리브(18) 밖으로 당겨지면, 에어백 모듈의 덮개(24)는 접기 램(20)이 초기에 위치된 가이드 슬리브의 측면상에 끼워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덮개(24)내의 공동(28)은 가이드 슬리브(18)를 향해 개방된다. 가이드 슬리브(18)내의 곧바르게 펴기 램(10) 및 접혀진 에어백(2)과 함께, 부착 플레이트(42)는 그 후 덮개(24)를 향해이동되며, 접혀진 에어백은 덮개(24)의 공동(28)내로 밀려진다. 이러한 이동 도중, 곧바르게 펴기 램(10)과 부착 플레이트(42)는 본질적으로 서로 상대적인 그들의 위치를 유지한다.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가이드 슬리브(18), 곧바르게 펴기 램(10) 및 부착 플레이트(42)는 덮개(24)로부터 제거된다. 접혀진 에어백(2)은 덮개(24)의 공동(28)내에 잔류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이전에 위치했었고 가스 발생기(36)가 도입될 수 있는 공동(34)이 접혀진 에어백(2)내에 잔류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러한 방법의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 접기와 본질적으로 상응한 접기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장치의 제 5 실시예가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여 개시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42)는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부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부착 플레이트(42)는 가이드 슬리브의 단부에 위치된다.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연장되는 개구(44)가 부착 플레이트(42)의 내부에 제공된다. 에어백(2)은 우선 가스 입구 개구(6)의 영역내의 부착 플레이트상에 부착되어 에어백(2)이 가이드 슬리브(18)의 외부에 위치되게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개구(44)를 통하여 에어백(2)내로 이동되며,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은 에어백(2)의 전방 표면(14)의 내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라 곧바르게 펴진다.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플레이트(42)는 가이드 슬리브(18)의 내부에서,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가이드 슬리브(18)의 반대쪽 단부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부착 플레이트(42)와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한다[즉, 곧바르게 펴기 램(10)도 또한 가이드 슬리브(18)내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에어백(2)이 곧바르게 펴졌을 때 그 이동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착 플레이트(42)와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이러한 이동의 결과로서, 에어백(2)은 가이드 슬리브(18)내로 곧바르게 펴진 상태에서 당겨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의 전방 섹션(14)을 둘러싸는 에어백(2)의 부분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해 자동적으로 위치된다. 또한, 에어백(2)의 주변 시임(16)의 영역은 슬리브내로 당겨지는 마지막 부분이며, 그에 따라 에어백(2)이 전체적으로 펴진 형태에서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해 위치되고 주변 시임(16)의 영역이 전방 섹션(14)의 부근에 배치된다. 도 4의 접기 램(20)과 본질적으로 상응하는 접기 램(20)이 그 후 가이드 슬리브(18)내로, 부착 플레이트(42)(도 5d에 도시됨)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가이드 슬리브(18)의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밀려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2)의 전방 표면(14)은 접기 램(20)의 전방 표면(22)과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기 램(20)은 가이드 슬리브(18)내로 더 이동되며, 동시에, 동일한 이동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가이드 슬리브(18)로부터, 부착 플레이트(42)내의 개구(44)를 통하여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2)은 곧바르게 펴기 램(10)과 가이드 슬리브(18) 사이의 공간내에 함께 밀려지며, 이 경우에 에어백은 무작위로 접혀진다. 그 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던 바와 같이, 접기 램(20)은 가이드 슬리브(18)로부터 당겨지며, 부착플레이트(42)와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접혀진 에어백(2)을 가이드 슬리브(18)상에 끼워진 덮개(도 5f에 도시됨)내의 공동(28)내로 민다. 도 4h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단계에 따르면, 그 후 가이드 슬리브(18), 부착 플레이트(42) 및 곧바르게 펴기 램(10)은 덮개(24)로부터 제거되며, 접혀진 에어백(2)은 덮개(24)내의 공동(28)내에 잔류한다. 그 후 가스 발생기(36)가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의해 접혀진 에어백(2)내에 형성된 공동(34)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접기 방법은 에어백이 접혀진 상태일 때, 전방 섹션(14)과 주변 시임(16)의 영역이 상부(즉, 에어백의 전개 방향에서 볼 때 전방)에, 또한 가스 발생기(36)가 배치되는 공동(34)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효과를 달성한다. 이는, 에어백이 팽창될 때, 이러한 영역이 우선적으로 펴지며, 그에 따라 에어백의 필수적인 보호 작용이 매우 신속하게 달성됨을 의미한다.

Claims (23)

  1. 에어백을 접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2)은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에어백(2)의 가스 입구 개구로부터 시작하여 곧바르게 펴지고,
    상기 에어백(2)은 곧바르게 펴진 상태에서 또는 곧바르게 펴는 조작 도중,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외부 가이드 장치(18)내로 밀려지거나 당겨지며,
    그 후 상기 에어백은 함께 밀려지고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외부 가이드 장치(18)내에서 그 종축 방향으로,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접혀지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곧바르게 펴기 축(11)은 본질적으로 에어백(2)의 전방 표면(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기 조작 도중, 상기 에어백(2)이 그 가스 입구 개구(6)의 영역내에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에어백을 접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2)이 접기 램(20, 30)에 의해 외부 가이드 장치(18)내에서 함께 밀려지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2)을 곧바르게 펴기 위해,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상기 에어백내로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가스 입구 개구(6)로부터 시작하여 밀려지며, 그 단부 표면(12)을 통하여, 가스 입구 개구(6)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에어백(2)의 섹션의 내부에 당접하게 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곧바르게 펴기 조작 도중,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동시에 상기외부 가이드 장치(18)내로 밀려지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일단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안으로 밀려지면, 위치설정 장치(40)가 상기 에어백의 외부를 따라,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에 평행하게, 상기 가스 입구 개구(6)로부터 시작하여 전진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장치(40)는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과 동심적인 슬리브로서 또는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의 주위에 배열되는 다수의 바(bar)의 형태로 설계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 상기 에어백이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가스 입구 개구(6)로부터 시작하여 곧바르게 펴지면, 상기 에어백은 에어백이 펴질 때의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외부 가이드 장치(18)내에서 당겨지며, 그에 따라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이 상기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10. 제 4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함께 미는 조작 도중, 상기 접기 램(20)이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을 안으로 미는 방향과 반대로 이동되며,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이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후퇴되는 것이 바람직한
    에어백을 접는 방법.
  11. 제 4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함께 미는 조작 도중, 상기 접기 램(30)은 곧바르게 펴기 램(10)을 안으로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은 전형 이동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에어백을 접는 방법.
  12. 제 4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곧바르게 펴기 조작 후, 또한 함께 밀기 조작 도중,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의 단부 표면(12)에 부딪히는 상기 에어백의 섹션의 외부는 상기 접기 램(20) 또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덮개(24)의 일부분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그 단부 표면(12)을 통해 부딪히는 에어백의 섹션을 상기 에어백의 전방 표면(14)의 일부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인
    에어백을 접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함께 미는 조작 도중, 스페이서가 상기 에어백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 입구 개구(6)의 부근에 배치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15. 제 14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스페이서의 기능을 취하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외부 가이드 장치(13)로부터 에어백 모듈용의 에어백 하우징(14) 또는 덮개(24)내로 밀려지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이 상기 접기 조작 도중 상기 에어백 모듈용의 상기 에어백 하우징(4) 또는 덮개(24)내로 밀려지는
    에어백을 접는 방법.
  18. 에어백을 접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곧바르게 펴기 위해, 곧바르게 펴기 축(11)의 방향으로 가스입구 개구(6)를 통하여 상기 에어백내로 밀려질 수 있는 곧바르게 펴기 램(10)과,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가이드 슬리브(18)로서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18)를 통해 곧바르게 펴기 축(11)을 따라 밀려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측 단면 표면적이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의 단면 표면적보다 크며, 특히 상기 에어백이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벽 사이에서 접혀질 수 있게 하는 범위만큼 큰 상기 가이드 슬리브와,
    상기 에어백을 함께 밀기 위해, 상기 곧바르게 펴기 축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접기 램(20, 30)을 포함하는
    에어백을 접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기 램(20, 30)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8)의 내측 단면 표면적과 상응하는 단면 표면적을 갖는
    에어백을 접는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기 램(30)이 바람직하게는 그 중심에 개구(32)를 가지며, 상기 곧바르게 펴기 램(10)이 상기 개구(32)를 통해 연장되는
    에어백을 접는 장치.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바람직하게는 그 가스 입구 개구(6)의 영역내에 부착시키기 위해 부착 장치기 제공되는
    에어백을 접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장치가 상기 접기 램(30)상에 제공되는
    에어백을 접는 장치.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하우징(4) 또는 덮개(24)를 상기 가이드 슬리브(18)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에어백을 접는 장치.
KR10-2001-7003107A 1998-09-14 1999-09-07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 KR100417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2026.9 1998-09-14
DE19842026 1998-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786A true KR20010079786A (ko) 2001-08-22
KR100417282B1 KR100417282B1 (ko) 2004-02-11

Family

ID=788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107A KR100417282B1 (ko) 1998-09-14 1999-09-07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27838B1 (ko)
EP (1) EP1112201B1 (ko)
JP (1) JP3495988B2 (ko)
KR (1) KR100417282B1 (ko)
AU (1) AU744520B2 (ko)
BR (1) BR9912149A (ko)
CA (1) CA2339160C (ko)
DE (1) DE69925844T2 (ko)
ES (1) ES2243073T3 (ko)
WO (1) WO20000154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09B1 (ko) * 2010-04-12 2011-02-17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파이프 조인트 어셈블리를 구비한 온수 보일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4970B (en) * 2000-07-25 2003-10-22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lding an air bag
US6619015B2 (en) * 2000-12-21 2003-09-1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bag f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lding
EP1772255B1 (en) * 2000-12-21 2008-07-02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folding apparatus and method
GB2371025B (en) * 2001-01-12 2004-05-12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lding an air-bag
US20020098963A1 (en) * 2001-01-22 2002-07-25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ushion into an air bag module
WO2002085677A1 (en) * 2001-04-20 2002-10-31 Eduard Capdevila Bag turning device
US6823645B2 (en) * 2001-08-23 2004-11-30 Key Safety Systems, Inc. Radial tube air bag folding apparatus and method
US6588179B2 (en) * 2001-08-31 2003-07-08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n airbag
US20030047926A1 (en) * 2001-09-13 2003-03-13 Johannes-Alexander Varcus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folding of an inflatable airbag
DE10145381A1 (de) * 2001-09-14 2003-08-07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sowie gefalteter Gassack
DE10204642B4 (de) 2002-02-05 2010-08-12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Airbagmodul mit einer Grundplatte, Verfahren zum Strecken eines Gassacks eines Airbagmoduls und Vorrichtung zum Ausführen des Verfahrens
DE10204643C1 (de) * 2002-02-05 2003-10-16 Breed Automotive 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Gassacks eines Airbagmoduls
US20040053764A1 (en) * 2002-09-12 2004-03-18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Toroidal air bag folding apparatus
DE10255119B3 (de) * 2002-11-26 2004-05-06 Berger Seiba-Technotex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s Airbags in eine Umhüllung
US6951532B2 (en) * 2003-05-09 2005-10-04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of folding an airbag containing sensor tapes integrated within the airbag
US20050035578A1 (en) * 2003-08-14 2005-02-17 Robert Arwood Airbag module configured for low risk deployment
DE102005013010A1 (de) * 2004-12-02 2006-06-0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JP2006176076A (ja) * 2004-12-24 2006-07-06 Takata Corp エアバッグ塊、その形成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20070007755A1 (en) * 2005-07-07 2007-01-11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Airbag pre-fold technique
KR101301137B1 (ko) * 2005-07-15 2013-09-03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의 포개 접는 장치 및 포개 접는 방법
ATE457247T1 (de) * 2007-11-27 2010-02-15 Delphi Tech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alten eines luftsacks
KR101713569B1 (ko) * 2010-10-08 2017-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폴딩 장치 및 폴딩 방법
WO2019209950A1 (en) * 2018-04-26 2019-10-31 Key Safety System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folding an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2276C2 (de) * 1993-06-17 1996-07-11 Petri Ag Gassack, Verfahren zu seiner Falt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Faltverfahrens
US5456651A (en) * 1993-11-08 1995-10-10 Automated Solutions, Inc. Automatic bag folding apparatus
EP0815309B1 (de) * 1994-12-09 1999-04-28 PHOENIX AIRBAG GmbH & Co. KG Verfahren zum wenden und endausformen von aufblasbaren körpern
DE19535565C2 (de) * 1995-09-12 2002-09-05 Takata Petri Ag Verfahren zur Faltung eines Gassack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Faltverfahrens
DE19536625C2 (de) 1995-09-22 2003-08-14 Takata Petri Ag Verfahren zur Faltung eines Gassack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r Faltung
DE19546232B4 (de) 1995-09-22 2004-05-19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es für ein Airbagmodul
JPH09301103A (ja) * 1996-05-17 1997-11-25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DE19633387A1 (de) * 1996-08-19 1998-02-26 Takata Europ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bringen eines Luftsackes einer Airbagvorrichtung in einem Behälter und Airbagvorrichtung mit einem zu einem Paket gefalteten Luftsack
DE19648654A1 (de) 1996-11-15 1998-05-20 Petri Ag Gassack für ein Airbagmodul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ltung eines Gassacks
US5755078A (en) * 1996-12-04 1998-05-26 Omega Autom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lding an inflatable cushion
DE29811042U1 (de) * 1998-06-19 1999-02-11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uftsack-Faltvorrichtung
DE19831613A1 (de) 1998-07-14 2000-01-20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aufblasbaren Luftsa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09B1 (ko) * 2010-04-12 2011-02-17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파이프 조인트 어셈블리를 구비한 온수 보일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44520B2 (en) 2002-02-28
US6327838B1 (en) 2001-12-11
ES2243073T3 (es) 2005-11-16
KR100417282B1 (ko) 2004-02-11
AU5811799A (en) 2000-04-03
CA2339160C (en) 2005-01-25
EP1112201B1 (en) 2005-06-15
JP2002524349A (ja) 2002-08-06
EP1112201A1 (en) 2001-07-04
CA2339160A1 (en) 2000-03-23
DE69925844D1 (de) 2005-07-21
BR9912149A (pt) 2001-09-25
JP3495988B2 (ja) 2004-02-09
DE69925844T2 (de) 2006-05-11
WO2000015467A1 (en) 200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9786A (ko) 에어백을 접는 방법 및 장치
KR100242917B1 (ko) 측방 충돌 에어백 모듈
KR100194484B1 (ko) 에어 백
US5765863A (en) Airbag cushion having compression-deployed section
KR100798582B1 (ko) 팽창식 결합 커튼 접기용 장치 및 접는 방법
US5492367A (en) Method and system for folding an air bag
JPH1120587A (ja) エアバッグ装置
EP0593010B1 (en) Folded air bag
EP1889759B1 (en) Airbag device
KR102596090B1 (ko) 루프 에어백 장치
KR100351223B1 (ko) 팽창성 외부 편향기가 부착된 보호 조립체
JP4650499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11623596B2 (en) Air 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338856B2 (ja)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用のガスバッグ、ガスバッグを折り畳む方法及び装置
CN112236335B (zh) 车辆驾驶座安全气囊装置
WO2006015779A1 (de) Airbagmodul zum schutz eines kraftfahrzeuginsassen
JP2002037008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11321529A (ja) 車両のサイド窓ガラスを覆うことができる膨張可能な保護用のクッション
JP5951232B2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US5346252A (en) Inflator and method of assembly
KR102434041B1 (ko) 에어백 장치
KR20160028862A (ko)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