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724A -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의 인돌 및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함유하는 α-케토 옥사디아졸 - Google Patents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의 인돌 및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함유하는 α-케토 옥사디아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724A
KR20010078724A KR1020007013664A KR20007013664A KR20010078724A KR 20010078724 A KR20010078724 A KR 20010078724A KR 1020007013664 A KR1020007013664 A KR 1020007013664A KR 20007013664 A KR20007013664 A KR 20007013664A KR 20010078724 A KR20010078724 A KR 20010078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yl
compound
butyl
oxadiazolyl
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일 스프루스
알버트 지오르코스
Original Assignee
존 더블류. 갈루치 2세
코르텍, 인크.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89,587 external-priority patent/US6100238A/en
Application filed by 존 더블류. 갈루치 2세, 코르텍, 인크., 우에노 도시오,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존 더블류. 갈루치 2세
Publication of KR2001007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45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101,3,4-Oxadiazoles; Hydrogenated 1,3,4-ox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패혈증 쇼크 및 다중 장기 부전증과 같은 질환과 관련된 HNE 매개된 과정의 치료를 위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HNE)의 저해제로서 유용한, 치환된 몇몇 옥사디아졸 비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일련의 연구는 HNE가 심근 허혈 재관류 손상, 폐기종에 관련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HNE 매개 과정은 관절염, 치주 질환, 사구체신염, 피부염, 건선, 방광 섬유증, 만성 기관지염,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알쯔하이머병, 장기 이식, 각막 궤양 및 악성 종양의 침윤과 같은 기타 질병에도 관련된다.

Description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의 인돌 및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함유하는 α-케토 옥사디아졸 {Indole and Tetrahydroisoquinoline Containing α-Keto Oxadiazoles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본 발명은 현재 미국 특허 제 5,618,792호로 허여된 1994년 11월 2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345,820호의 일부 연속 출원인 1996년 12월 6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771,317호의 일부 연속 출원인 1997년 12월 4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985,05646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세린 프로테아제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치환된 몇몇 옥사디아졸 비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세린 프로테아제는 엘라스타제, 키모트립신, 카텝신 G, 트립신 및 트롬빈을 포함하는 효소군이다. 이들 프로테아제는 공통적으로 세린-195, 히스티딘-57 및 아스파르트산-102(키모트립신 넘버링 시스템)로 이루어진 촉매 트리아드(triad)를 갖는다.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HNE)는 다형핵성 백혈구(PMN)가 다양한 염증 자극에 반응하여 분비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이다. 이러한 HNE 방출 및 그의 세포외 단백질분해 활성은 고도로 조절되고, PMN의 정상적이며 유익한 기능이다. 정상적인 환경에서의 HNE의 분해 능력은 α1-프로테이나제 저해제(α-PI)의 비교적 높은 혈장 농도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자극된 PMN은 활성 산소 대사물질을 대량 생산하고 그중 일부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는 α- PI 내의 중요한 메티오닌 잔기를 산화시킬 수 있다. 산화된 α-PI는 HNE 저해제로서의 효능이 제한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프로테아제/항프로테아제 균형이 변경됨으로써 HNE가 국소의 조절된 환경에서 그의 분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프로테아제/항프로테아제 활성이 균형을 이루어도, 이러한 조절 대사의 파괴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여러 인간의 질병이 있다. HNE 활성의 부적절한 조절이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패혈증 쇼크 및 다중 장기 부전증에 원인이 되는 인자라는 것이 제안되었다. 일련의 연구 결과, PMN 및 호중구 엘라스타제가 심근 허혈 재관류 손상과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상보다 낮은 수준의 α1-PI를 갖는 사람은 폐기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HNE-매개된 과정은 관절염, 치주 질환, 사구체신염, 피부염, 건선, 방광 섬유증, 만성 기관지염,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알쯔하이머병, 장기 이식, 각막 궤양 및 악성 종양의 침윤과 같은 기타 질병과도 관련이 있다.
엘라스타제-매개된 문제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치료제 및 예방약으로서 HNE의 유효한 저해제가 요구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상기 식에서,
X 및 Y는 독립적으로 O 또는 N이고,
Rl은 알킬이고,
R2및 R3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O, S 또는 N (여기서, N은 H 또는 알킬로 임의로 치환됨)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고리를 형성하고,
n은 O 또는 l이고,
D는 직접 결합 또는 발린이고,
A는 -C(O)- 또는 -OC(O)-이고,
R4는 알킬 또는 하나 또는 두개의 N 원자로 치환된 아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l,2,4-옥사디아졸 (즉, X는 O이고, Y는 N임) 또는 l,3,4-옥사디아졸 고리 (즉, X는 N이고, Y는 O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양태에서, R1은 알킬, 예를 들어 t-부틸이다.다른 실시양태에서 R2및 R3은 독립적으로 알킬,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또는 H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이소프로필이고, R3은 H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R4는 알킬,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또는 t-부틸기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R4는 하나 또는 두개의 N 원자로 치환된 아릴기, 예를 들어 2-피리딜 또는 5-이미다졸릴기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임의로 치환된"이라는 용어는 치환시 1개 내지 전체가 치환됨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독립적으로"라는 용어는 치환체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알킬"이라는 용어는 C1-C15, 바람직하게는 C1-C8을 의미한다. 알킬기는 선형이거나 분지형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알킬옥시카르보닐이란 알킬-O-C(O)- (여기서, 알킬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을 의미한다. 알킬옥시카르보닐의 예에는 메틸옥시카르보닐, 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노일 및 t-부틸옥시카르보닐이 포함된다.
상기에 기재된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Boc 보호된 아미노 알콜 중간체의 합성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의 화합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린 프로테아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HNE)의 효능있는 저해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활성 부위 세린 잔기와 전이상태 중간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가역성(reversible) 저해제이다. 이 화합물은 분자량이 낮고, HNE에 대해 선택성이 높고, 생리학적 상태와 관련해 안정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HNE의 존재와 관련된 분해 효과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을 예방, 완화 및/또는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화합물은 생체내 다양한 인간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진단 시약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기재된 특정 실시양태 뿐만 아니라 하기 실시양태를 제공하지만 여기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양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다음과 같다 (개시된 실시양태가 2-메틸프로필기를 (S)-배열이라고 하였어도, 에난티오머상(enantiomerically) 순수한 (R) 및 라세미 (S) 배열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1
N-t-부틸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2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l,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l-(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3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S-(l,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4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 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 아미드
실시예 5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6
N-t-부틸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7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l-(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8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9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실시예 10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상기 실시양태의 구조는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간 엘라스타제의 저해에만 그 용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엘라스타제는 세린 프로테아제라고 공지된 효소군에 속하는 구성원이다. 또한, 이 효소군에는 예를 들어 키모트립신, 카텝신 G, 트립신 및 트롬빈이 포함된다. 이들 프로테아제는 공통적으로 세린-195, 히스티딘-57 및 아스파르트산-102(키모트립신 넘버링 시스템)로 이루어진 촉매 트리아드를 갖는다. 이러한 아미노산 잔기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밀한 수소 결합 네트워크로 인해서 세린-195 히드록실기는 아미드 기질의 카르보닐과 함께 사면체의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중간체가 분해되면서 유리 아민과 아실화된 효소가 방출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 이 새로이 형성된 에스테르가 가수분해되어 본래의 효소 및 카르복실산이 생성된다. 효소의 특이성을 특성화하도록 돕는 것은 카르복실 성분이다 . 카르복실 성분이 펩티드인 경우, 아미노산의 알파-치환체가 효소에 대한 특이성과 주로 관련이 있다. 섹터(Schechter) 및 베르거(Berger)의 문헌[Biochem. Biophy. Res. Commun., 27:157(1967)] 및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898(1968)]에서 인증된 명명법을 사용하면, 절단되는 기질내 아미노산 잔기는 N-말단에 대해서 P1…Pn라고 정의되고, C-말단에 대해서 P1'…Pn'라고 정의된다. 따라서, 펩티드 서브유닛의 P1잔기와 P1'잔기 사이의 결합은 끊어지기 쉬운 결합(scissile bond)이다. 기질의 서브유닛을 수용하는 결합 포켓(binding pocket)을 구성하는 효소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해서도 이와 유사한 명명법이 사용되고, 효소의 결합 포켓은 기질에 대해서 P1…Pn대신에 S1…Sn으로 표시된다.
세린 프로테이나제 특이성을 결정짓는 P1잔기의 특징은 잘 규명되어 있다. 프로테이나제는 P1잔기의 차이에 따라 엘라스타제, 키마제 및 트립타제의 세개의 하위 군(subclass)으로 분류된다. 엘라스타제는 발린과 같은 작은 지방족 잔기를 우선적으로 갖는 반면에, 키마제 및 트립타제는 각각 큰 방향족 소수성 잔기 및 양 하전된 잔기를 우선적으로 갖는다.
이러한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는 또다른 프로테이나제는 프로필 엔도펩티다제이다. 특이성을 결정짓는 P1잔기는 프롤린이다. 이 효소는 알쯔하이머병 환자의 기억력 상실의 진행에 관여한다. 근래에 α-케토 헤테로사이클로 이루어지는 저해제가 프로필 엔도펩티다제를 저해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Tsutsumi et al. J. Med. Chem., 37, 3492-3502(1994)]. 부연 설명하면, 여기서 정의된 α-케토 헤테로사이클은 효소의 P' 영역에서의 결합을 증가시킨다.
프로테이나제 특이성을 결정짓는 P1잔기
프로테이나제 군 대표적인 효소 P1잔기
엘라스타제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 작은 지방족 잔기
키마제 알파-키모트립신, 카텝신 G 방향족 또는 큰 소수성 잔기
트립타제 트롬빈, 트립신, 유로키나제, 혈장 칼리크레인,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플라스민 양 하전된 잔기
기타 프롤릴 엔도펩티다제 프롤린
P1잔기가 기질의 특이성을 우선적으로 결정짓기 때문에, 본 발명은 P1-Pn'의 변형, 특히 1,2,4-옥사디아졸 및 1,3,4-옥사디아졸을 포함하는 특정 알파-치환된 케토 헤테로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알파-치환체를 케톤으로 변경시키고 헤테로사이클상의 치환체를 어느 정도 변경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이성을 목적하는 프로테이나제에 맞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엘라스타제에 대해서는 작은 지방족 기).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의 효능은 당업계에 공지된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HNE 매개된 질환의 예는 다음과 같다:
-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HNE) 모델(AARD, 141:227-677(1990))에 따른 방법; 미니 돼지(minipig)에서의 엔도톡신 유도된 급성 폐 손상 모델(AARD, 142:782-788(1990))에 따른 방법; 또는 햄스터에서의 인간 다형핵성 엘라스타제-유도된 폐 출혈 모델(유럽 특허 공개 제 0769498 호)에 따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 허혈/재관류: 재관류 손상의 개 모델 (J. Clin. Invest., 81:624-629(1988))에 따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그의 염 및 그의 중간체를 본원에 기술된 방법 또는 화학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WO 96/16080을 참조).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Boc 보호된 아미노 알콜 중간체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이 중간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2-치환된 1,3,4-옥사디아졸 (3)은 예를 들면 염화티오닐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상응하는 산 (1)으로부터 메틸 에스테르를 생성시킨 후, 적합한 용매 중에서 히드라진으로 처리함으로써 히드라존산 (2)을 생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 에스테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또는 문헌[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R. Larock, VCH Publishers 1989, 966-972)]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트리에틸 오르토포르메이트 또는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와 TsOH의 반응 (2)에 의해서 목적하는 2-치환된 1,3,4-옥사디아졸 (3)이 생성된다.
표준 조건(예를 들면 저온에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부틸리튬 또는 기타 공지된 알킬 리튬 시약을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 추가로 MgBr·OEt2와 반응시킴)을 사용하여 중간체 (3')를 형성한 후, 이를 알데히드 (4)에 첨가하여 알콜 (5)을 얻을 수 있다.
알데히드 (4)를 도 1에 도시된 3가지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있다. 그중 한 방법에서는 Boc-Val-OH와 이소-프로필클로로포르메이트 사이에 형성된 중간체를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써 환원시켜 Boc-발리놀 (12)을 얻는다. 다음 단계에서 Boc-발리놀을 DMSO 중에서 SO3-Py로 산화시켜 알데히드 (4)를 얻는다. 또다른 방법에서는 Boc-Val-OH (11)로부터 제조된 웨인렙(Weinreb) 아미드 (13)를 취하고 이를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히드라이드(DIBAL)를 이용하여 환원시켜 알데히드를 얻는다. 별법으로, 아미노산의 에스테르(14)를 생성시킨 후, DIBAL로 환원시켜 알데히드 (14)를 얻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옥산 중의 염산을 사용하여 아민 (5)을 탈보호시켜 아미노 히드로클로라이드 (6)를 얻고, 이를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해 목적하는 산 (7)으로 커플링시켜 중간체 (8)를 얻는다. 스원(Swern) 산화법, 데스-마틴의 페리오디난(Dess-Martin's Periodinane) 또는 문헌[Oxidation in Organic Chemistry (M. Hudlicky, ACS Monograph 186(1990)]에 기술된 기타 산화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케톤 (9)를 얻는다.
본원에서 기술된 화합물을 순수한 화합물로서 투여할 수도 있지만, 활성 성분을 약학 조성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함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의 기타 치료 및/또는 예방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담체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혼화성이고 투여 대상에게 해로운 것이 아니어야 한다는 점에서 "허용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근육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를 포함)에 적합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서는 개별 단위 제형으로서 간편하게 제공되거나, 약학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활성 화합물을 액체 담체, 고체 매트릭스, 반고체 담체,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조합하고, 이어서 경우에 따라 생성물을 목적하는 전달 시스템으로 성형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은 각각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카세제(cachet) 또는 정제와 같은 개별 단위 제형; 분말 또는 과립;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볼러스(bolus), 지제(electuary) 또는 패이스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및 캡슐은 결합제, 충전제, 윤활제, 붕해제 또는 습윤제와 같은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코팅될 수 있다(예를 들면 장용성 코팅).
경구용 액체 제제는 예를 들면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용액, 유화액,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의 형태일 수 있고, 사용 전에 물 또는 기타 적합한 비히클에 타서 사용하기 위한 건조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 유화제, 비-수성 비히클(식용 오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보존제와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주사, 예를 들면 볼러스 주사 또는 연속 주입)용으로도 제제화될 수 있으며, 앰퓰, 기충전된 주사기, 소형 볼러스주입 용기 또는 다회-투여 용기 내에 보존제와 함께 담긴 단위 투여 제형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의 현탁액, 용액 또는 유화액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별법으로, 활성 성분은 사용 전에 적합한 비히클, 예를 들면 발열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멸균수에 타서 사용하는, 멸균 고체의 무균 단리 또는 용액으로부터의 동결건조에 의해 얻어진 분말 형태일 수 있다.
표피에 국소 투여하기 위해서, 화합물은 연고, 크림 또는 로션으로서, 또는 경피 패치제의 활성 성분으로서 제제화될 수도 있다. 적합한 경피 전달 시스템이 예를 들면 피셔(Fisher) 등의 미국 특허 제 4,788,603호 또는 바와스(Bawas) 등의 미국 특허 제 4,931,279 호, 제 4,668,504 호 및 제 4,713,22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연고 및 크림은 예를 들면, 적합한 증점제 및/또는 겔화제가 첨가된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와 제제화될 수 있다. 로션은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와 제제화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종 이상의 유화제, 안정화제, 분산제, 현탁제, 증점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한다. 활성 성분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140,122호, 제 4,383,529호 또는 제 4,051,84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온영동법(iontophoresis)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구강 내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에는, 활성 성분을 향미 베이스, 통상적으로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tragacanth) 내에 포함하는 로젠지제와 같은 단위 제형; 활성 성분을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와 같은 불활성 베이스 내에 포함하는 트로키제(pastille); 점착성 겔 및 활성 성분을 적합한 액체 담체 내에 포함하는 구강세정제(mouthwashes)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천연 겔, 합성 중합체 겔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특정 친수성 중합체 매트릭스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활성 성분을 서서히 방출하도록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향미제, 착색제, 항균제 또는 보존제와 같은 기타 보조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치료에 사용되도록 요구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활성 염 또는 유도체의 양은 선택된 특정 염뿐만 아니라 투여 경로, 치료할 질환의 성질, 환자의 연령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담당 의사 또는 임상의의 판단에 따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적합한 투여량은 약 0.5 내지 약 100 ㎎/㎏/일, 예를 들면 1일당 체중 1 ㎏당 약 1 내지 약 75 ㎎, 예를 들면 1일당 환자의 체중 1 ㎏당 3 내지 약 50 ㎎의 범위 내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0 ㎎/㎏/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일의 범위에 있다.
화합물은 편리하게는 단위 제형으로서 투여되는데, 예를 들면 단위 제형당 활성 성분을 0.5 내지 1000 ㎎, 편리하게는 5 내지 750 ㎎, 가장 편리하게는 10 내지 500 ㎎ 포함하는 형태로 투여된다.
이상적으로는 활성 성분은 약 0.5 내지 약 7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0 μM의 최대 혈장 농도에 이르도록 투여되어야 한다. 이는 예를 들면, 활성 성분을 임의로 식염수 중 0.05 내지5% 용액으로서 정맥내 주사하거나, 활성 성분을 약 0.5 내지 500 ㎎ 함유하는 볼러스로서 경구 투여하여 달성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약 0.01 내지 5.0 ㎎/㎏/hr을 제공하기 위해 연속 주입하거나 활성 성분을 약 0.4 내지 15 ㎎/㎏ 함유하는 간헐적 주입에 의해 목적 혈액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목적하는 투여량을 1회 투여하거나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 투여, 예를 들어 소단위-투여량(sub-dose)을 하루에 2, 3, 4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누어 투여함으로써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소단위-투여량 자체를 더욱 분할하여 투여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흡입기로부터 여러번 흡입하는 방법 또는 안구에 여러번 적하하는 방법과 같이 개별적으로 여러번 넓은 시간 간격을 두고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의 특정 실시양태과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이를 추가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따르고, 본 발명의 관련 분야 내의 공지된 또는 통상적인 실시에 포함되고, 이제까지 기술된 필수 사항에 적용되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따르는 것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 사용 또는 변형을 망라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려는 것이지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 그의 염 및 그의 중간체를 본원에서 기술된 방법 또는 화학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서 정의된 공정의 최종 단계는 2°알콜을 케톤으로 산화시키는 것이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알콜에서 케톤으로의 산화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후 염기를 사용하는 스원 산화법으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스원 산화법의 변형법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허용된다.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아세트산 무수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또는 설퍼 트리옥사이드와 같은 기타 친전자성 분자가 옥살릴 클로라이드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만쿠소(Mancuso) 등의 문헌[Synthesis 165(1981)]을 참조). 별법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의 미국 특허 제 5,618,79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N-클로로숙신이미드(NCS) 사용후 염기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데스-마틴 시약과 같은 페리오디난과 같은 기타 산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문헌[앰 후들릭키(M.Hudlicky), Oxidation in Organic Chemistry, ACS Monograph 186(1990)]에 기술된 또다른 방법들이 적당할 수도 있다.
기호들은 당업자들이 잘 알고 있는 표준 의미를 가지며, 예를 들면 ㎖는 밀리리터, g는 그램, TLC는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Rf는 TLC 플레이트상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화합물이 이동한 거리 대 용매 머리가 이동한 거리의 비,1H NMR은 양성자 핵 자기 공명, DMSO-d6은 듀테로디메틸설폭사이드이고 CDCl3는 듀테로클로로로포름이다.
실시예 1
N-t-부틸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2차 알콜인 N-t-부틸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중 하나를 사용하여 산화시켰다. 중간체인 N-t-부틸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 t-부틸카르보히드라존산
메틸 트리메틸아세테이트 (230㎖)와 히드라진 모노히드레이트 (170㎖)의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톨루엔으로 수시간에 걸쳐 공비시키고,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4회 추출시켰다.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하기 물리적 데이타를 나타내는 t-부틸카르보히드라존산 (176g)을 수득하였다.
TLC: Rf=0.59, 클로로포름:메탄올(10:1)
1H NMR(DMSO-d6):δ8.78(1H,brs), 4.15(2H, brs), 1.08(9H,s).
B. 2-t-부틸-1,3,4-옥사디아졸
t-부틸카르보히드라존산 (176g),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 (250㎖)와 p-톨루엔설폰산 모노히드레이트(4.3g)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가열하고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증류시켜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트리메틸 오르토포르메이트를 제거하고(50℃/43mmHg), 잔여물을 120℃/23mmHg에서 증류시켜 하기 물리적 데이타를 나타내는 2-t-부틸-1,3,4-옥사디아졸(131g)을 수득하였다.
TLC: Rf=0.68, 클로로포름:메탄올(10:1)
1H NMR(DMSO-d6):δ9.12(1H,s), 1.36(9H,s).
C.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1-올
-78℃에서 아르곤 대기 중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1650㎖) 중 2-t-부틸-1,3,4-옥사디아졸 (62.1g)의 용액에 헥산중 n-부틸리튬 용액 (1.6M, 307.8㎖)을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78℃에서 40분동안 교반하고,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127.2g)를 첨가하고, 이렇게 얻은 혼합물을 -45℃로 가온시켰다. 1시간 30분이 지난 후, -45℃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60㎖) 중 2-(S)-[N-(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알(90g)을 적가하고 -15℃로 가온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여 급냉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시켰다. 추출물을 물로 3회 세척하고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그 잔여물을 실리카겔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머크(Merck) 7734)(에틸 아세테이트:헥산=1:20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하기 물리적 데이타를 나타내는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1-올 (78.6g)을 수득하였다.
TLC: Rf=0.42,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
1H NMR(CDCl3):δ5.16-4.90(2H,m), 4.67(1H,m), 4.23(1H,m), 3.90(1H,m), 3.66(1H,m), 1.98(1H,m), 1.42, 1.41 및 1.36(총 18H, 각 s), 1.13-0.90(6H,m).
D.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
0℃에서, 디옥산 (200㎖) 중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틸부탄-1-올 (76.3g)의 용액에 디옥산 (1000㎖)중 4N 염산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응고시켰다. 이렇게 얻은 고체를 벤젠으로 수시간에 걸쳐 공비시켜 하기 물리적 데이타를 나타내는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 (66.1g)를 수득하였다.
TLC: Rf=0.30, 클로로포름:메탄올(10:1)
1H NMR(CDCl3):δ8.50-8.10(2H,br), 7.10-6.80(1H,br), 5.55-5.35(1H,m), 3.95-3.60(2H,m), 2.10(1H,m), 1.41(9H,s), 1.20-1.00(6H,m).
E. N-t-부틸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
N-t-부틸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실산 및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l,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l-(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l-(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l-(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l,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실산과 1-[2-(5-t-부틸)-l,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S-(l,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S-(l,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l,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실산과 1-[2-(5-t-부틸)-l,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 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 아미드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린-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l,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실산 및 1-[2-(5-t-부틸)-1)-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S-(l,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t-(피리딜-3-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 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S-l,2,3,4-테트라히드로-3-이소퀴놀린카르복실산 및 l-[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N-t-부틸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t-부틸옥시카르보닐-S-(2,3-디히드로-1H-인돌)-2-(S)-N-[l-(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t-부틸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t-부틸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카르복실산 및 1-[2-(5-t-부틸)-l,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l-(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S-(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카르복실산 및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8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카르복실산 및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9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카르복실산 및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스원 산화법과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시켜 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중간체인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l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히드록시메틸)-2-(S)-메틸프로필]아미드를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카르복실산 및 1-[2-5-t-부틸)-1,3,4-옥사디아졸릴]-2-(S)-아미노-3-메틸부탄-1-올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커플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시험관내에서의 엘라스타제 저해 실험
다음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본원에서 기술된 화합물들의 저해 활성을 결정하였다. 프로토콜에서 사용된 엘라스타제는 인간 객담(HSE)에서 유래된 것이다. 시판 HSE(875U/㎎ 단백질, SE-563, 미국 미주리주 엘라스틴 프로덕트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Elastin Product Co.,Inc.)를 식염수로 1000U/㎖가 되게 희석시켜 HSE 효소의 모액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전에 0℃에서 2U/㎖가 되게 추가로 희석시켰다.
0.2M HEPES-NaOH 완충액(pH 8.0) 100㎕, 2.5M NaCl 40㎕, 1%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20㎕, 증류수 8㎕, 저해제가 DMSO에 용해되어 있는 용액 10㎕ 및 N-메톡시숙시닐-Ala-Ala-Pro-Val-p-니트로아닐린(농도 100, 200 및 400μM)의 용액 2㎕을 혼합함으로써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37℃에서 10분동안 배양시켰다. 여기에 HSE(인간 객담에서 유래된 엘라스타제)의 효소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렇게 얻은 혼합물을 하기와 같이 속도 분석하였다.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p-니트로아닐린으로 인한 광학 밀도(SPECTRA MAX 250, 몰레큘라 디바이스(Molecular Devices))를 405㎚에서 37℃에서 측정하여, p-니트로아닐린의 생성 속도가 선형인 기간 동안 반응 속도를 측정하였다. 효소 용액을 첨가한 직후에 30초 간격으로 10분동안 속도 mO.D/분을 측정하였다. 로그-로짓(log-logit) 방법을 사용하여 IC50값을 결정하였고 딕손(Dixson) 플롯(plot) 방법을 사용하여 K1값으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12 엘라스타제의 생체외 저해
저해제를 적절한 비히클과 함께 경구투여하고 60분 후에, 3.8 % 시트르산 나트륨 용액 0.1 ㎖가 담긴 주사기를 사용하여 복부 대동맥을 통해 혈액 샘플(0.9 ml)을 채혈하였다.
혈액 샘플을 하기와 같이 처리하였다. 행크(Hank) 완충액 중 식균된 지모산 현탁액 60 ㎕ (최종 0.1 내지 1 mg/ml)를 37 ℃에서 5분 동안 예비 인큐베이션한 전혈 (540 ㎕)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같은 온도에서 30초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시험관을 빙수에 담가서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4 ℃에서 10분 동안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각각의 생성된 상등액 (본 발명의 샘플) 20 ㎕의 엘라스타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37 ℃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2 M tris-HCl 완충액(pH 8.0) 100 ㎕
2.5 M NaCl 40 ㎕
증류수 36 ㎕
50 mM 기질(*) 용액 4 ㎕
샘플 20 ㎕
*N-메틸숙시닐-Ala-Ala-Pro-Val-p-니트로아닐린
기질 대신 1-메틸-2-피롤리딘과 혼합된 시험 샘플을 (-) 기질로 하였다. 샘플 대신 염수와 혼합된 시험 샘플은 블랭크로 하였다. 본 발명의 샘플 중 남아있는 엘라스타제 활성을 p-니트로아닐린의 양에 관한 표준 곡선을 기준으로 24시간 동안의 p-니트로아닐린의 총 생산량으로서 (+)기질의 흡광도((-)기질의 흡광도 + 블랭크의 흡광도)로 계산하였다.
동물 5 내지 6마리의 시험 샘플을 기초로 하여 평균 활성을 계산하였다. 채혈 60분 전에, 3, 10 또는 30 mg/kg의 물질을 24시간 금식한 동물에게 강제 구강 투여하였다. 광학 밀도는 SPECTRA MAX 250 (Molecular Devices)으로 측정하였다.

Claims (42)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화학식>
    상기 식에서,
    X 및 Y는 독립적으로 O 또는 N이고,
    Rl은 알킬이고,
    R2및 R3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함께 O, S 또는 N (여기서, N은 H 또는 알킬로 임의로 치환됨)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5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사이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하고,
    n은 O 또는 l이고,
    D는 직접 결합 또는 발린이고,
    A는 -C(O)- 또는 -OC(O)-이고,
    R4는 알킬 또는 하나 또는 두개의 N 원자로 치환된 아릴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N이고, Y가 O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2가 이소프로필이고, R3가 H인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R1이 t-부틸인 화합물.
  5. 제4항에 있어서, n이 1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D가 직접 결합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R4-A-가 알킬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R4-A-가 t-부틸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N-t-부틸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10. 제7항에 있어서, R4-A-가 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12. 제6항에 있어서, R4가 두개의 N 원자로 치환된 아릴이고, A가 -C(O)-인 화합물.
  13. 제12항에 있어서, R4-A-가 이미다졸-5-카르보닐인 화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15. 제5항에 있어서, D가 발린인 화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R4가 알킬이고, A가 -OC(O)-인 화합물.
  17. 제16항에 있어서, R4-A-가 메틸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18. 제17항에 있어서,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19. 제15항에 있어서, R4가 하나의 N 원자로 치환된 아릴이고, A가 -C(O)-인 화합물.
  20. 제19항에 있어서, R4-A-가 피리딜-3-카르보닐인 화합물.
  21. 제20항에 있어서,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S-(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22. 제4항에 있어서, n이 0인 화합물.
  23. 제22항에 있어서, D가 직접 결합인 화합물.
  24. 제23항에 있어서, R4-A-가 알킬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25. 제24항에 있어서, R4-A-가 t-부틸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26. 제25항에 있어서, N-t-부틸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27. 제24항에 있어서, R4-A-가 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28. 제27항에 있어서, N-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29. 제23항에 있어서, R4가 두개의 N 원자로 치환된 아릴이고, A가 -C(O)-인 화합물.
  30. 제29항에 있어서, R4-A-가 이미다졸-5-카르보닐인 화합물.
  31. 제30항에 있어서, N-(이미다조일-5-카르보닐)-(2,3-디히드로-l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32. 제22항에 있어서, D가 발린인 화합물.
  33. 제32항에 있어서, R4가 알킬이고, A가 -OC(O)-인 화합물.
  34. 제33항에 있어서, R4-A-가 메틸옥시카르보닐인 화합물.
  35. 제34항에 있어서, N-(메틸옥시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l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36. 제32항에 있어서, R4가 하나의 N 원자로 치환된 아릴이고, A가 -C(O)-인 화합물.
  37. 제36항에 있어서, R4-A-가 피리딜-3-카르보닐인 화합물.
  38. 제37항에 있어서, N-(피리딜-3-카르보닐)-L-발릴-(2,3-디히드로-1H-인돌)-2-(S)-N-[1-(2-[5-(t-부틸)-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2-(S)-메틸프로필]아미드인 화합물.
  39. 하나 이상의 세린 프로테아제의 저해를 필요로 하는 수용자에게 유효량의 제1항의 화합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세린 프로테아제의 저해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세린 프로테아제가 엘라스타제인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엘라스타제가 인간 호중구 엘라스타제인 방법.
  42. 하나 이상의 제1항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07013664A 1998-06-03 1999-06-03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의 인돌 및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함유하는 α-케토 옥사디아졸 KR20010078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NOTFURNISHED 1987-05-22
US09/089,587 US6100238A (en) 1994-11-21 1998-06-03 Indole and tetrahydroisoquinoline containing Alpha-keto oxadiazoles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PCT/US1999/012352 WO1999062514A1 (en) 1998-06-03 1999-06-03 INDOLE AND TETRAHYDROISOQUINOLINE CONTAINING α-KETO OXADIAZOLES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724A true KR20010078724A (ko) 2001-08-21

Family

ID=2678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664A KR20010078724A (ko) 1998-06-03 1999-06-03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의 인돌 및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함유하는 α-케토 옥사디아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93368A4 (ko)
JP (1) JP2004517028A (ko)
KR (1) KR20010078724A (ko)
WO (1) WO1999062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9008493A (es) * 2007-02-09 2009-08-20 Irm Llc Compuestos y composiciones como inhibidores de la proteasa activadora de canal.
BR112022004861A2 (pt) 2019-09-17 2022-06-07 Univ Duke Alvelestat para uso no tratamento de rejeição de transplante, síndrome de bronquiolite obliterante e doença de transplante versus hospedeiro
IL297211A (en) 2020-04-16 2022-12-01 Mereo Biopharma 4 Ltd Methods involving the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 albalstat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mediated by alpha-1 antitrypsin deficiency
TW202325294A (zh) 2021-10-20 2023-07-01 英商梅瑞奧生物製藥4有限公司 用於治療纖維化之嗜中性球彈性蛋白酶抑制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6757D0 (en) * 1992-03-27 1992-05-13 Ferring Bv Novel peptide receptor ligands
US5618792A (en) * 1994-11-21 1997-04-08 Cortech, Inc. Substituted heterocyclic compounds useful as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human neutrophil elast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3368A1 (en) 2001-04-25
EP1093368A4 (en) 2002-11-13
WO1999062514A1 (en) 1999-12-09
JP2004517028A (ja)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8638B2 (en) Peptoid and nonpeptoid containing α-keto oxadiazoles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JP2003535022A6 (ja) 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としてのアルファー‐ケトオキサジアゾール含有ペプトイド及び非ペプトイド
US6004933A (en) Cysteine protease inhibitors
US5801148A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proline analogs
US6001814A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6001813A (en) Val-pro containing α-keto oxadiazoles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US5430150A (en) Retroviral protease inhibitors
JPH08503475A (ja) 抗変性活性剤としてのカルボキシ−ペプチジル誘導体
AU750369B2 (en) Cysteine protease inhibitors
US5827860A (en) Peptidyl heterocycl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thrombin related disorders
US5214056A (en) 1,3,2-dioxathiolane oxide derivative
US6015791A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cycloheptane derivatives
US6100238A (en) Indole and tetrahydroisoquinoline containing Alpha-keto oxadiazoles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KR20010078724A (ko)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의 인돌 및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을 함유하는 α-케토 옥사디아졸
US6001811A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N-substituted derivatives
US6150334A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tripeptoid analogs
EP1114822A2 (en) Indoles and tetrahydroisoquinolines containing alpha-keto oxadiazoles as serine protease inhibitors
JP2526084B2 (ja) 新規なチアゾリジン誘導体
US5990158A (en) Carboxylic acid derivative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erapeutic age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US6608175B2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
JP2003505008A (ja) α−ケトヘテロ環類を含有する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
KR20010052518A (ko)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로서의 알파-케토 옥사디아졸
US5998379A (en) Serine protease inhibitors-proline analogs
US20050154048A1 (en) Novel acyl hydrazino thiophene derivatives, process for preparing them, their use as medicinal product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novel use
KR100426545B1 (ko)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