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238A -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238A
KR20010078238A KR1020010004802A KR20010004802A KR20010078238A KR 20010078238 A KR20010078238 A KR 20010078238A KR 1020010004802 A KR1020010004802 A KR 1020010004802A KR 20010004802 A KR20010004802 A KR 20010004802A KR 20010078238 A KR20010078238 A KR 20010078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or
seat
side guard
backrest
safet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224B1 (ko
Inventor
갓사이겐조
이노우에게이지
Original Assignee
갓사이 겐조
앗프리카 갓사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갓사이 겐조, 앗프리카 갓사이(주) filed Critical 갓사이 겐조
Publication of KR2001007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은 연소자를 수용하는 서포트 공간을 형성하는 서포트부를 구성하는 시트부(100)와 등받이부(200)를 구비한다. 등받이부(200)의 양측에는, 연소자의 두부(머리부) 영역 및 견부(어깨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사이드 가드(210)가 설치된다. 시트부(100)와 등받이부(200)와의 사이에는, 등받이부(200)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구가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안전성 및 쾌적성이 우수한 차일드 & 주니어 시트(child & junior seat) 제공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Juvenile safety ca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연소자를 서포트하기 위한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차일드 & 주니어 시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에 있어서, 자동차에 구비되는 시트 벨트를 사용하여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을 고정하고,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에 설치된 안전 벨트에 의해 연소자(신생아, 영아, 유아, 아동을 포함)를 서포트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은 일반적으로 베이비 & 차일드 시트(baby & child seat)로 불리고, 자동차에 구비되는 시트 벨트를 사용하여 연소자와 함께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은 일반적으로 주니어 시트(junior seat)로 불리고 있다. 또한, 양쪽의 서포트 방법을 구비한 것으로서, 차일드 & 주니어 시트(child & junior seat)로 불리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종래부터, 베이비 & 차일드 시트의 개발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도로교통법의 개정에 따라, 아동기까지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착용의 의무가 부과되어, 아동기까지를 대상으로 한 차일드 & 주니어 시트의, 보다 안전성 및 쾌적성을 추구한 개발이 급선무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 및 쾌적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에 있어서는, 자동차내에서 연소자를 서포트하기 위한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으로서, 상기 연소자의 두부 영역 및 견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가드를 구비한다.
상기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외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한 사이드 가드를 설치함으로써, 연소자의 두부 영역 및 견부 영역의 성장에 따라서, 서포트 공간을 가장 적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가드는 상기 연소자의 상기 두부 영역과의 거리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자의 상기 견부 영역과의 거리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인 일실시예로서는, 상기 사이드 가드는 상기 사이드 가드의 하단부 영역이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상단부 영역이 상기 등받이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소자의 유아기로부터 아동기에 걸친 성장은, 두부의 성장 정도보다도 견부(어깨폭)의 성장 정도의 폭이 크다. 따라서, 사이드 가드의 견부에 접촉하는 영역인 하단부 영역이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연소자의 성장에 따라서, 연소자의 서포트 공간을 가장 적합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가드는 동시에 상호의 간격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동 링크 기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링크 기구는 상기 사이드 가드의 하단부 영역만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사이드 가드의 조절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가드는 각각 상부 사이드 가드 및 하부 사이드 가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소자의 두부 영역 및 견부 영역의 체형에 따른 적절한 공간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상태로 연소자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사이드 가드의 외측으로의 이동량보다도 상기 하부 사이드 가드의 외측으로의 이동량이 커지도록 설치된다.
연소자의 유아기로부터 아동기에 걸친 성장은 두부의 성장 정도보다도 견부(어깨폭)의 성장 정도가 크다. 따라서, 연소자의 성장에 따라서, 연소자의 서포트 공간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사이드 가드 및 상기 하부 사이드 가드에는 각각 동시에 상호의 간격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동 링크 기구가 설치된다. 이로써, 사이드 가드의 간격 조절의 조작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연소자의 신장의 성장에 따라서, 서포트 공간을 가장 적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시트부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상기 등받이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안내 영역과, 상기 등받이부의 선택된 높이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안내 영역은 상기 등받이부의 두께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레이트를 따라 등받이부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용이하게 등받이부의 높이 조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안내 영역의 사이에서,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하며 높이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결합 영역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영역에 결합함으로써 플레이트와 안내 영역과의 사이가 고정되어, 등받이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높이 조절에 있어서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결합 영역을 이동시킴으로써, 순차적으로 탄성부재가 결합 영역에 결합하기 때문에, 소망의 등받이부의 높이 위치에서 등받이부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가드는 상기 연소자의 상기 두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과 상기 견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사용자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안도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 child & junior seat)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사이드 가드(210)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를 도시하는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등받이부(200)를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IV로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사이드 가드(210)가 폐쇄된 상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정면도.
도 6은 사이드 가드(210)가 개방된 상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정면도.
도 7은 등받이부(200)의 하단 영역(250)의 배면도.
도 8은 도 7에서 VIII-VI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9는 시트부(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260)의 배면도.
도 10은 도 9에서 X-X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1은 플레이트(260)에 등받이부(20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XII-X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3은 등받이부(200)를 상방으로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XIV-XIV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5는 다른 높이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XVI로 표시된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7은 또다른 높이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사이드 가드(210U, 210D)가 폐쇄된 상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정면도.
도 19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사이드 가드(210U, 210D)가 개방된 상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정면도.
도 20은 차일드 & 주니어 시트(1)를 차일드 시트로서 사용한 경우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차일드 & 주니어 시트(1)를 주니어 시트로서 사용한 경우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일드 & 주니어 시트 100 : 시트부
111 : 스트부 본체 112 : 조절부재
200 : 등받이부 210 : 사이드 가드
211 : 두부 보호 패드 영역 212 : 견부 보호 패드 영역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이하, 차일드 & 주니어 시트라고 칭함)의 구조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개략적인 구성)
상기 차일드 & 주니어 시트(1)는 연소자를 수용하는 서포트 공간을 형성하는 서포트부를 구성하는 시트부(100)와 등받이부(200)를 구비한다. 시트부(100)는 시트부 본체(111)와, 자동차에 구비된 시트 벨트(도시되지 않음)의 부착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112)를 구비한다.
등받이부(200)는 헤드 가이드 영역(251)과 등받이 영역(253)을 구비하고, 자동차에 구비된 시트 벨트(도시되지 않음)를 통과시키기 위한 가이드 슬릿(252)이등받이부(2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200)의 양측에는, 연소자의 두부 영역 및 견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서, 외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사이드 가드(210)가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 가드(210)는 연소자의 두부 영역을 보호하는 두부 보호 패드 영역(211)과, 두부 보호 패드 영역(21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크게 신장하여, 연소자의 견부 영역을 보호하는 견부 보호 패드 영역(212)을 구비한다. 또한, 시트부(100)와 등받이부(200)의 사이에는, 등받이부(200)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구(후술)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사이드 가드(210)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를 도시하는,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등받이부(200)를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사이드 가드(210)를 외측으로 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구 및 등받이부(20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연소자의 두부 영역과 견부 영역의 성장 및 신장의 성장에 따라서 서포트 공간을 가장 적합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동 링크 기구(220A))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사이드 가드(210)의 설치 기구인 연동 링크 기구(22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도 1 중 IV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을 도시하고, 도 5는 사이드 가드(210)가 폐쇄된 상태의 차일드 & 주니어시트(1)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사이드 가드(210)가 개방된 상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는, 차일드 & 주니어 시트(1)가 쿠션 부재 등으로 덮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쿠션 부재 등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동 링크 기구(220A)에는 사이드 가드(210)를 지지하는 사이드 가드 프레임(221)이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가드 프레임(221)은 상단부측에서 등받이부(200)의 등받이 프레임(222)에 설치되는 피벗부(223)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사이드 가드(210)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개방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가드 프레임(221)의 중간 영역에는, 링크 바(226)의 일단이 피벗부(2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한편, 링크 바(226)의 타단은 등받이 프레임(222)에 설치되는 상하방향의 긴 구멍(229)을 따라서 이동하고, 위치조절의 선택이 가능한 조절 너트(228)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사이드 가드 프레임(221)에는, 사이드 가드(210)의 이동량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이드 가드(210)의 궤도에 따른 원호형상의 긴 구멍(224)이 설치되고, 상기 긴 구멍(224)에는 등받이 프레임(222)에 설치되는 축(225)이 통과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동 링크 기구(220A)에 있어서는, 조절 너트(228)가 긴 구멍(229)의 가장 위에 위치하는 경우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사이드 가드(210)는 가장 폐쇄된 상태가 된다. 한편, 조절 너트(228)를 긴 구멍(229)의 가장 아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바(226)에 의해 양측의 사이드 가드(210)가 동시에 벌어지게 된다.
상기 연동 링크 기구(220A)를 설치함으로써, 사이드 가드(210)의 조절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소자의 유아기에서 아동기에 걸친 성장은, 두부의 성장 정도보다도 견부(어깨폭)의 성장 정도가 크다. 따라서, 사이드 가드(210)의 견부에 접촉하는 영역인 하단부 영역이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연소자의 성장에 따라서, 연소자의 서포트 공간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한 일례로서, 좌우의 사이드 가드(210)가 연동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좌우의 사이드 가드(210)가 각각 독립하여,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이 조절 기구)
다음에,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등받이부(200)의 상하방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구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등받이부(200)의 하단 영역(250)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VII-V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시트부(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260)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X-X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등받이부(200)의 하단 영역(250)에는, 플레이트(26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규정하는 안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영역은 플레이트(260)의 폭과 대략 같은 폭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255a)과 상기 제 1 영역(255)보다도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영역(255b)을 구비한다. 또한, 배면측에는, 높이 방향으로 파형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결합영역(254)이 좌우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60)의 상부영역(261)에는, 설상(혀모양)의 탄성 플레이트(263)가 좌우에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263)의 선단부분에는, 결합영역(254)에 결합하는 볼록부(264)가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260)의 상단에는, 외부로 확대되는 폭 확대부(262)가 설치되고, 안내 영역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 영역의 제 1 영역(255a)과 제 2 영역(255b)의 경계부에서 폭 확대부(262)가 결합하여, 플레이트(260)로부터의 등받이부(200)의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1은 플레이트(260)에 등받이부(20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에서 XII-X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을 도시한다. 양 도면을 참조하면, 등받이부(200)가, 가장 낮은 상태에서는, 탄성 플레이트(263)의 볼록부(264)가 결합영역(254)의 최상단에 결합한다.
도 13은 등받이부(200)를 위쪽으로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에서 XIV-XIV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을 도시한다. 양 도면을 참조하면, 등받이부(200)는 상방으로 끌어올린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플레이트(263)의 볼록부(264)가 결합 영역(254)의 소정 영역에 결합하고, 탄성 플레이트(263)의 탄성력에 따라 등받이부(20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플레이트(260)의 시트부(100)에 대한 착탈은, 플레이트(260)의 하단에설치된 고정 핀(270)을 코일 스프링(271)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200)의 높이 조절에 있어서는, 탄성 플레이트(26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결합영역(254)이 구비된 등받이부(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순차 탄성 플레이트(263)가 결합영역(254)에 결합하기 때문에, 소망의 등받이부(200)의 높이 위치에 있어서, 등받이부(200)를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높이 조절 기구에 있어서는, 탄성력을 사용한 등받이부(200)의 고정방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200)의 하단 영역(250)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281)에 저항하여 인출 가능한 슬라이딩 핀(280)을, 플레이트(260)의 높이 방향에 복수개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282)에 삽입하여 등받이부(200)의 높이 조절을 행하는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기구를 병용한 높이 조절 기구의 채용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특징적 구성은, 사이드 가드의 구조 및 그 연동 링크 기구에 있기 때문에, 그 구조 및 기구에 관해서만 상술한다. 또한, 도 18은 본 실시예 에 있어서의, 사이드 가드가 폐쇄된 상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쿠션 부재 등을 떼어낸 상태를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연동 링크 기구(200B))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이드 가드는, 연소자의 두부 영역을 보호하는 상부 사이드 가드(210U)와 하부 사이드 가드(210D)를 구비한다. 상부 사이드 가드(210U)에는 상부 플레이트(221U)가 설치되고, 상부 사이드 가드(210U)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등받이 프레임(222)에 설치된 가이드 핀(242)이 상부 플레이트(221U)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241)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부 사이드 가드(210D)에는 하부 플레이트(221D)가 설치되고, 하부 사이드 가드(210D)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프레임(222)에 설치된 가이드 핀(244)이 하부 플레이트(221D)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243)에 결합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221U)와 하부 플레이트(221D)는 링크 바(231)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 바(231)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플레이트(231a)와 링크 플레이트(231b)를 갖는다.
링크 플레이트(231a)의 선단부분에는, 등받이 프레임(222)에 설치되는 상하방향의 긴 구멍(229)을 따라서 이동하며 위치 조절의 선택이 가능한 조절 너트(228)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링크 플레이트(231a)와 링크 플레이트(231b)의 교점 부분에는, 피벗부(232)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23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 플레이트(234)의 타단에는 피벗부(235)로부터 상부 플레이트(221U)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플레이트(231b)의 선단부분에는, 피벗부(236)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237)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 플레이트(237)의 타단에는 피벗부(238)로부터 하부 플레이트(221D)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동 링크 기구(220B)에 있어서는, 조절 너트(228)가 긴 구멍(229)의 가장 위에 위치하는 경우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의 사이드 가드(210U, 210D)는 가장 폐쇄된 상태가 된다. 한편, 조절 너트(228)를 긴 구멍(229)의 가장 아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바(231)에 의해 양측의 사이드 가드(210U, 210D)가 동시에 확대되어지게 된다. 이때, 링크 바(231)가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링크 플레이트(231a)와 링크 플레이트(231b)를 갖기 때문에, 피벗부(235)와 피벗부(238)의 이동량이 다르고, 상부 사이드 가드(210U)의 외측으로의 이동량(L1)보다도 하부 사이드 가드(210D)의 외측으로의 이동량(L2)쪽이 커지도록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연동 링크 기구(220B)를 설치함으로써, 사이드 가드(210U, 210D)의 조절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소자의 유아기로부터 아동기에 걸친 성장은, 두부의 성장 정도보다도 견부(어깨폭)의 성장 정도가 크다. 따라서, 사이드 가드(210U, 210D)의 견부에 접촉하는 영역인 하부 사이드 가드(210D) 쪽이 상부 사이드 가드(210U)보다도 외측으로 크게 개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연소자의 성장에 따라서, 연소자의 서포트 공간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한 일례로서, 좌우의 사이드 가드(210U, 210D)가 연동하는 기구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좌우의 사이드 가드(210U, 210D)가 각각 독립하여,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에 사용되는 사이드 가드로서, 사이드 가드(210)에 연소자의 두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과 견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두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과 견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에 다른 색을 붙여 각각의 영역이 명확하게 되도록 하는 구성이나, 두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과 견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의 경계 부분에 라인을 부가하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자의 두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과 견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의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안도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일드 & 주니어 시트(1)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팩트 실드(300)를 설치함으로써, 차일드 & 주니어 시트(1)를 자동차에 구비된 시트 벨트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임팩트 실드(300)와 시트부(100) 및 등받이부(200) 사이의 공간에 유아를 서포트 가능하게 하는 차일드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100)로부터 등받이부(200)를 떼어냄으로써, 시트부(100)만을 주니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이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에 의하면, 외측을 향하여 이동가능한 사이드 가드를 설치함으로써, 연소자의 두부 영역 및 견부 영역의 성장에 따라서, 서포트 공간을 가장 적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높이 조절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연소자의 신장의 성장에 따라 서포트 공간을 가장 적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의 안정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3)

  1. 자동차내에서 연소자를 서포트하기 위한 시트부(100)와 등받이부(20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에 있어서,
    상기 연소자의 두부 영역 및 견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등받이부(20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가드(210)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드(210)는 상기 연소자의 상기 두부 영역과의 거리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자의 상기 견부 영역과의 거리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드(210)는 상기 사이드 가드의 하단부 영역이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상단부 영역이 상기 등받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드(210)에는 동시에 상호의 간격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동 링크 기구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링크 기구는 상기 사이드 가드의 하단부 영역만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드(210)는 각각 상부 사이드 가드(210U) 및 하부 사이드 가드(210D)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이드 가드(210U)의 외측으로의 이동량보다도 상기 하부 사이드 가드(210D)의 외측으로의 이동량이 커지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이드 가드(210U) 및 상기 하부 사이드 가드(210D)는 각각 동시에 상호의 간격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동 링크 기구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시트부(100)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260)와,
    상기 등받이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260)를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260)를 안내하는 안내 영역(255a, 255b)과,
    상기 등받이부(200)의 선택된 높이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254, 264)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영역(255a, 255b)은 상기 등받이부의 두께의 범위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54)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안내 영역에는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64)와 다른 한쪽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재(264)가 결합하고, 높이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결합 영역(254)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드(210)는 상기 연소자의 상기 두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과 상기 견부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KR10-2001-0004802A 2000-02-07 2001-02-01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KR100403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9417 2000-02-07
JP2000029417 2000-02-07
JP2000-154768 2000-05-25
JP2000154768A JP2001294064A (ja) 2000-02-07 2000-05-25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238A true KR20010078238A (ko) 2001-08-20
KR100403224B1 KR100403224B1 (ko) 2003-10-23

Family

ID=2658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802A KR100403224B1 (ko) 2000-02-07 2001-02-01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78377B2 (ko)
EP (1) EP1122120A1 (ko)
JP (1) JP2001294064A (ko)
KR (1) KR100403224B1 (ko)
CN (1) CN1307989A (ko)
CA (1) CA2328519A1 (ko)
TW (1) TW5165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312A (zh) * 2020-11-19 2022-05-2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安全带调整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5675B1 (en) * 2000-05-08 2004-03-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Adjustable child seat for toddlers to small children
US6623074B2 (en) 2001-04-05 2003-09-23 Mattel, Inc. Vehicle seat
GB0124785D0 (en) * 2001-10-16 2001-12-05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US7066536B2 (en) 2002-02-11 2006-06-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eat
US6834915B2 (en) * 2002-03-04 2004-12-28 Baby Trend, Inc. Infant car seat system
JP4255751B2 (ja) * 2003-01-24 2009-04-15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ベルト案内補助具および車両用ジュニアシート
US6908151B2 (en) * 2003-03-07 2005-06-21 Meeker R&D, Inc. Adjustable and foldable booster car seat
DE602004023249D1 (de) * 2003-05-14 2009-11-05 Jane Sa Rückenlehne mit Kopfstütze für Kindersitze für Fahrzeuge
FR2856279B1 (fr) * 2003-06-19 2006-02-17 Lifestand Internat Sa Fauteuil verticalisateur a moyens amovibles de maintien des jambes
DE10329924B3 (de) * 2003-07-02 2005-02-10 Concord Kinderautositze Gmbh & Co. Kg Kindersitz
US7055903B2 (en) * 2004-01-09 2006-06-06 Cosco Management, Inc. Adjus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US7246852B2 (en) * 2004-03-10 2007-07-24 Cosco Management, Inc. Headrest actua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US7021710B2 (en) 2004-03-10 2006-04-04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vehicle seat with movable headrest
US8282165B2 (en) * 2004-04-28 2012-10-09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Reboard system
DE102004020902A1 (de) * 2004-04-28 2005-12-01 Recaro Gmbh & Co. Kg Babyschale
DE102004049754A1 (de) * 2004-10-08 2006-04-13 Takata-Petri Ag Kinderschutzsystem für Kraftfahrzeuge
GB0511393D0 (en) 2005-06-04 2005-07-13 Space Net Technology Ltd A seating system
GB2426698A (en) 2005-06-04 2006-12-06 Space Net Technology Ltd Push-chair with two closed support frames over which a flexible membrane is stretched
US7232185B2 (en) * 2005-09-15 2007-06-19 Wonderland Nursery Goods Co., Ltd. Adjustable head rest for child car seat
AU2007200053A1 (en) * 2006-01-12 2007-07-26 Hts Hans Torgersen & Sonn As Belt guide
JP4914072B2 (ja) 2006-01-23 2012-04-11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自動車用子供安全座席
JP4810301B2 (ja) * 2006-05-10 2011-11-09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高さ調整機構及び子供用椅子
GB0710548D0 (en) 2006-06-30 2007-07-11 Meeker R & D Inc Juvenile convertible car seat
US8141952B2 (en) * 2006-07-11 2012-03-27 Intier Automotive Inc Adjustable bolster assembly
DE102006043760B4 (de) * 2006-09-13 2008-06-19 Concord Gmbh Kindersitz für Fahrzeuge
US7568758B2 (en) 2007-01-03 2009-08-04 Kolcraft Enterprises High chairs and methods to use high chairs
CN101610700B (zh) * 2007-01-17 2011-09-21 Skjp控股公司 可调整的儿童约束设备
DE102007037378A1 (de) * 2007-08-08 2009-02-12 L & P Swiss Holding Company Seitenwangenverstellung
DE102008002822B4 (de) * 2008-04-15 2013-03-21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Kindersicherheitssitz zum Aufstellen auf und Fixieren an einem Fahrzeugsitz in einem Kraftfahrzeug
CN101670796B (zh) * 2008-09-10 2011-11-16 宝钜实业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WO2010045685A1 (en) * 2008-10-24 2010-04-29 Powmri Limited Removable child restraint and modular multiple child system using the same
US8272690B2 (en) * 2009-01-15 2012-09-25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vehicle seat with headrest-height controller
US8342604B2 (en) * 2009-02-04 2013-01-01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vehicle seat with seat-back channel cover
NL1036865C2 (en) * 2009-04-16 2010-10-19 Maxi Miliaan Bv Child vehicle seat.
FR2945486B1 (fr) * 2009-05-12 2011-05-27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JP5056945B2 (ja) * 2009-06-24 2012-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1954872B (zh) * 2009-07-20 2012-08-22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幼儿座椅的安全装置
NL2004671C2 (en) 2010-05-05 2011-11-08 Maxi Miliaan Bv A child vehicle seat.
JP5685509B2 (ja) * 2010-11-08 2015-03-18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1116372A (ja) * 2011-03-24 2011-06-16 Bridgestone Cycle Co 子供用椅子及び二輪車
WO2012158939A2 (en) * 2011-05-19 2012-11-22 Baby Trend, Inc. Child car seat
CN102275531B (zh) * 2011-05-23 2013-06-26 湖南大学 多功能儿童安全座椅
GB2549669B (en) * 2011-09-08 2018-04-11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CN102424028B (zh) * 2011-10-24 2013-07-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带有安全囊袋的儿童安全座
DE102012108054A1 (de) * 2011-12-21 2013-06-27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Fahrzeugsitzvorrichtung
DE202012102471U1 (de) * 2012-06-18 2012-09-07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US8905476B2 (en) * 2012-08-15 2014-12-09 Evenflo Company, Inc. Adjustment mechanism for juvenile product
EP2708407B1 (de) * 2012-09-17 2014-07-30 HAUCK GmbH & Co. KG Kindersitz, insbesondere Kindersicherheitssitz für Fahrzeuge
ITBO20130658A1 (it) * 2013-11-29 2015-05-30 Fabrizio Tonini Gruppo poggiatesta fissabile ad un sedile di un autoveicolo
CN104071043A (zh) * 2014-07-01 2014-10-01 傅观福 儿童及儿童身材安全乘坐功能座椅
FR3035833A1 (fr) * 2015-05-06 2016-11-11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presentant des elements de guidage de sangle ajustables
US10112508B2 (en) * 2015-08-05 2018-10-30 Evenflo Company, Inc. Harness booster car seat convertible to multiple separately usable configurations
IT201600083713A1 (it) * 2016-08-09 2018-02-09 Artsana Spa Seggiolone
AU2018200251B2 (en) * 2017-01-12 2019-03-14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safety seat including a removable belt-positioning seat
US10988056B2 (en) 2017-03-23 2021-04-27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 restraint headrest with side-wing mover
US10315539B2 (en) 2017-05-09 2019-06-11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 restraint with vehicle seatbelt management system
WO2019067588A1 (en) 2017-09-26 2019-04-04 Dorel Juvenile Group, Inc. ADJUSTABLE HEADREST FOR CHILDREN'S VEHICLE SEAT
DE102017126431A1 (de) * 2017-11-10 2019-05-16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Kindersitzvorrichtung
IT201900022221A1 (it) 2019-11-26 2020-02-26 Univ Degli Studi Di Modena E Reggio Emilia Sedile di veicolo con sistema di rilevamento passeggeri
US20230242015A1 (en) * 2022-01-28 2023-08-03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restraint system with posture fit mechanism
US20230373370A1 (en) * 2022-05-19 2023-11-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justable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5121D0 (en) * 1984-02-28 1984-04-04 Ase Uk Ltd Safety equipment for children
SE458517B (sv) 1987-08-18 1989-04-10 Akta Barnsaekerhet Ab Instaellbar bilbaelteskudde foer barn
FR2647727B1 (fr) * 1989-06-02 1994-10-28 Ampafrance Siege pour enfant de largeur reglable
JP3319757B2 (ja) * 1992-05-06 2002-09-03 ウィリアムズ,ゲイリー・アール 多位置型小児固定輸送装置
JP3295183B2 (ja) 1993-06-30 2002-06-2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JP3305498B2 (ja) 1993-07-07 2002-07-2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子供用座席装置
DE4329755A1 (de) 1993-09-03 1995-03-09 Ingbuero Prof Dipl Ing G Teckl Sicherheits-Autokindersitz
FR2750370B1 (fr) * 1996-06-28 1998-08-21 Ampafrance Siege pour enfant a accoudoirs mobiles
JP3288002B2 (ja) 1997-01-08 2002-06-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DE29721468U1 (de) 1997-08-07 1998-02-12 Keiper Recaro Gmbh Co Kinderfahrzeugsitz
DE19752536C1 (de) * 1997-11-27 1998-07-09 Daimler Benz Ag Kindersitz für Fahrzeuge
JPH11278116A (ja) 1998-01-27 1999-10-12 Aprica Kassai Inc 年少者用座席
US6030047A (en) * 1998-04-06 2000-02-29 Cosco, Inc.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GB9826622D0 (en) * 1998-12-04 1999-01-27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312A (zh) * 2020-11-19 2022-05-20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安全带调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6527U (en) 2003-01-01
CA2328519A1 (en) 2001-08-07
US20010011838A1 (en) 2001-08-09
EP1122120A1 (en) 2001-08-08
CN1307989A (zh) 2001-08-15
US6478377B2 (en) 2002-11-12
JP2001294064A (ja) 2001-10-23
KR100403224B1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224B1 (ko)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CA2591503C (en) An infant seat for motorcars
KR102205105B1 (ko) 머리 받침 높이 조절 메커니즘을 갖는 어린이 안전 시트
KR101866149B1 (ko) 폭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CA2126123C (en) Child safety seat for automobile
EP1053907B1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KR100338587B1 (ko)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프로텍터, 유아기구의프로텍터, 유아기구 및 신생아용 베드
US6030047A (en)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6491348B1 (en)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JP4348417B2 (ja) 自動車用子供座席
EP1737313B1 (en) Slideable armrest
KR19990067854A (ko) 유아용 시트
KR20080015613A (ko)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EP2325042B1 (en) Vehicle seat
JP448087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6979018B2 (en) Childcare instrument with adjustable ventilation
KR19990068041A (ko) 유아용 시트
CN216184663U (zh) 分体式头枕组件及儿童安全座椅
AU1825501A (en) Juvenile safety car seat
CA3224184A1 (en) Child safety seat
CN113895328A (zh) 头枕可伸缩的儿童安全座椅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JP4480871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1180410A (ja) 乗物用保護具
KR0131924B1 (ko) 헤드 레스트(head rest)를 이용한 어린이용 안전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