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099A -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099A
KR20010078099A KR1020010003822A KR20010003822A KR20010078099A KR 20010078099 A KR20010078099 A KR 20010078099A KR 1020010003822 A KR1020010003822 A KR 1020010003822A KR 20010003822 A KR20010003822 A KR 20010003822A KR 20010078099 A KR20010078099 A KR 20010078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distance
fixed shaft
support member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501B1 (ko
Inventor
후로모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7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Abstract

줄 얽힘을 용이하게 해소해 주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일 아암(34)의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아암부(40a)는 고정축 커버(46)와 베일(41)의 접합점인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외주부까지의 최대 거리인 제1 거리(R1)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외주부까지의 거리(R1a, R1b)는 바깥쪽을 향하여 제1 거리(R1)보다 서서히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거리(R1b)는 거리(R1a)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Device for guiding fishline of spinning reel}
본 발명은 낚싯줄 안내 기구, 특히 제1 및 제2 로터 아암의 선단에 낚싯줄 안내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는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및 제2 로터 아암의 선단에 장착되어 로터와 더불어 회전하고 또한 줄 개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및 제2 베일 지지부재와, 제1 베일 지지부재 선단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과, 고정축의 타단에 고정된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 커버에 일단이 부착된 베일과, 라인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베일의 타단은 제2 베일 지지부재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이 베일의 일단은 고정축 커버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축 커버와 베일의 접합부에는 단차가 있다.
이러한 낚싯줄 안내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을 스풀에 감을 때에 베일을 줄 감기 자세 쪽으로 요동시켜 핸들을 돌린다. 그러면 낚싯줄은 베일로 유도되어 고정축 커버를 사이에 두고 라인 롤러의 외주면으로 안내되어 접촉한다. 그리고 낚싯줄은 라인 롤러에 안내되고 방향이 바뀌어 스풀 외주에 감긴다.
종래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특히 경량의 루어를 캐스팅한 후에 핸들을 돌리면 느슨해진 낚싯줄이 고정축 커버와 베일의 접합부의 단차에 걸리고, 또한 이 낚싯줄이 접합부와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 사이에 감겨 줄 얽힘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이처럼 고정축 커버 및 베일의 접합부와 제1 지지부재의 외주부 2군데에서 낚싯줄이 걸리면 낚싯줄을 감으려고 할 때 그 2점 사이에 장력이 가해져서 더 강고하게 얽히게 되어 마침내는 낚싯줄을 감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낚싯줄 얽힘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베일 아암의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베일 아암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로터 4...스풀
31...제1 로터 아암 32...제2 로터 아암
34...베일 아암 40...제1 베일 지지부재
42...제2 베일 지지부재 41...베일
43...고정축 44...라인 롤러
46...고정축 커버 P...기준점
R1...제1거리 R2...제2거리
발명1에 관련된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는 제1 및 제1 로터 아암의 선단에 낚싯줄 안내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로서, 제1 및 제2 로터 아암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부재와, 제1 베일 지지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과, 고정축의 타단에 제1 베일 지지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축 커버와,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된 라인 롤러와 제2 베일 지지부재와 적어도 고정축 및 고정축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양단이 고정되어 스풀의 둘레 방향 바깥쪽으로 만곡되어 배치되고 고정축 커버를 사이에 두고 낚싯줄을 라인 롤러에 인도하는 베일을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는, 외주부와 소정의 기준점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1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외주부와 기준점의 거리가 바깥쪽을 향해 제1 거리보다 서서히 작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낚싯줄 안내 기구에서는, 예를 들어 낚싯줄 얽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임의의 위치를 소정의 기준점으로 정하고, 이 기준점에서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까지의 사이의 최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를 정의하여, 이 구형체 내에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는 낚싯줄이 안내 가능한 바깥쪽을 향하여 기준점과 외주부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작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기준점에서 낚싯줄 얽힘을 일으켜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에서 낚싯줄이 걸릴 경우에도 감기 동작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의 걸림 위치가 기준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마침내는 빠지며 그와 동시에 기준점에서의 낚싯줄 얽힘도 해소된다. 그리하여 낚싯줄 얽힘의 해소가 용이해진다.
발명2에 관련된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기준점은 제1 베일 지지부재의 내주부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를 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 또는 원활한 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려워진다.
발명3에 관련된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기준점은 고정축 커버와 베일의 접합점이다. 이 경우는 낚싯줄 얽힘을 일으키기 쉬운 고정축 커버와 베일의 접합점을 기준점으로 정함으로써, 기준점에서 낚싯줄 얽힘을 일으켰을 경우에도 낚싯줄 얽힘의 해소가 쉬워진다.
발명4에 관련된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1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측면부는 측면부와 기준점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2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측면부와 기준점간의 거리가 바깥쪽을 향하여 제2 거리보다 서서히 작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와 마찬가지로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측면부에 있어서도 낚싯줄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5에 관련된 낚싯줄 안내 기구는 발명4의 낚싯줄 안내 기구에 있어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짧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에 있어서 낚싯줄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으면 최대 거리가 짧은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측면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낚싯줄 얽힘을 방지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및 릴 본체의 구성〕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으로서 로터(3)의 앞 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핸들(1)은 T자 형상의 손잡이부(1a)와 선단에 손잡이부(1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L자 형상의 크랭크 아암(1b)을 가지고 있다.
릴 본체(2)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에 개구를 가지는 릴 몸통(2a)과 릴 몸통(2a)에서 비스듬하게 상방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T자 형상의 낚싯대 부착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통(2a)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기구 장착용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 이동시켜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4)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로터(3)의 제1 로터 아암(31) 및 제2 로터 아암(3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부에 스풀(4)의 중심부가 드래그 기구(60, 도2 참조)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축(10)과, 핸들 축(10)과 더불어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 축(10)의 양단은 베어링을 통해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 축(10)의 양단에는 나사 방향 및 직경이 다른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양 암나사부에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앞 부분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너트(3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2)의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을 통해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5)의 거의 바로 아래쪽에 평행으로 배치된 나사축(21)과, 나사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에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사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고정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아암(31) 및 제2 로터 아암(32)과,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기 위한 낚싯줄 안내 기구로서의 베일 아암(34)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아암(31) 및 제2 로터 아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선단 중심 부분이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3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선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베일 아암의 구성〕
베일 아암(34)은 제1 로터 아암(31) 및 제2 로터 아암(32)의 선단에 낚싯줄 안내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아암(34)은 제1 로터 아암(31) 및 제2 로터 아암(32)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베일 지지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부재(42)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부재(40)는 제1 로터 아암(31)의 바깥쪽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베일 지지부재(42)는 제2 로터 아암(32)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아암(34)은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부재(42)를 연결하는 베일(41)과, 제1 베일 지지부재(40)에 선단이 고정된 고정축(43, 도5 참조)과, 고정축(43)에 지지된 라인 롤러(44)와, 고정축(43)을 덮는 고정축 커버(46)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부재(40)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로터 아암(31)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부(40a)와, 아암부(40a)의 선단에 일체로 성형된 링 형상의 장착부(40b)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40b)에는 단차가 부착된 관통공(40c, 도5 참조)이 형성되고 있고, 관통공(40c)에는 고정축(43)을 제1 베일 지지부재(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52)가 관통하고 있다.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아암부(40a)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 커버(46)와 베일(41)의 접합점(단차가 생긴 점)인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외주부까지의 최대 거리인 제1 거리(R1)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외주부까지의 거리(R1a, R1b)는 바깥쪽을 향하여 제1 거리(R1)보다 서서히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거리(R1b)는 거리(R1a)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40a)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측면부(상방에서 본 단면에 있어서의 외주부)까지의 최대 거리인 제2 거리(R2)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측면부까지의 거리(R2a)는 바깥쪽을 향하여 제2 거리(R2)보다 서서히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거리(R2)와 제1 거리(R1)는 동일한 길이이다.
베일(41)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베일 지지부재(42) 및 고정축 커버(46)에 양단이 코킹 고정된 철사 형상의 부재로서, 스풀(4)의 둘레 방향 바깥쪽에 볼록하게 만곡하여 배치되어 있다. 베일(41)은 베일 아암(34)이 낚싯줄 개방 자세에서 낚싯줄 안내 자세로 복귀했을 때에 낚싯줄을 고정축 커버(46)를 통해 라인 롤러(44)에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축(43)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 커버(46)와 일체로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고정축(43)은 고정축 커버(46)와 일체의 기단에서 제1 베일 지지부재(40)를 향하여 연장하고 있으며, 선단이 고정 볼트(5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라인 롤러(44)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된 통 형상의 안내부(44a)와 안내부(44a)의 내주 쪽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베어링(44b, 44c)을 가지고 있다. 안내부(44a)는 이 2개의 베어링(44b, 44c)을 통해 고정축(4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6)는 고정축(43)의 기단에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장착부(40b)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6)는 정점이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대략 원추 형상의 부재로서, 고정축(43)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릴 후방에서 또한 스풀(4)의 내경 방향 바깥쪽으로 정점이 향하고 있다. 고정축 커버(46)의 정점에서 낚싯줄 안내 쪽으로 치우쳐 베일(41)이 코킹 고정되어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이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시 등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는 베일 아암(34)을 낚싯줄 개방 자세로 넘어뜨린다. 이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부재(42)는 요동된다. 이 결과 낚싯줄은 낚시 뭉치의 자중에 의하여 스풀(4)의 선단 쪽으로부터 차례로 풀려 나간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베일 아암(34)을 낚싯줄 감기 자세 쪽으로 돌린다. 이는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반전 기구(미도시)의 기능에의하여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핸들(1)의 회전력은 핸들 축(10) 및 마스터 기어(11)를 통해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에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앞 부분에서 로터(3)에 전달됨과 동시에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3)에 의하여 오실레이팅 기구(6)에 전달된다. 이 결과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스풀(4)이 전후로 왕복 이동된다.
감기 시작할 때에 베일(41)에 접촉한 낚싯줄은 베일(41)에 의하여 고정축 커버(46)에 안내된다. 고정축 커버(46)에 안내된 낚싯줄은 라인 롤러(44)에 안내되고 또한 라인 롤러(44)에서 방향이 바뀌어 스풀(4) 외주에 감긴다.
이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아암부(40a)는 낚싯줄이 얽히기 쉬운 고정축 커버(46)와 베일(41)의 접합점을 기준점(P)으로 정하여, 이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외주부 및 측면부까지의 최대 거리인 제1 거리(R1) 및 제2 거리(R2)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준점(P)에서 아암부(40a) 외주부 및 측면부까지의 거리(R1a, R1b 및 R2a)는 바깥쪽을 향하여 제1 거리(R1) 및 제2 거리(R2)보다 서서히 짧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준점(P)에서 낚싯줄 얽힘을 일으켜 아암부(40a) 외주부 및 측면부에서 낚싯줄이 걸릴 때에도, 감기 동작에 의하여 아암부(40a) 외주부 및 측면부의 걸림 위치가 기준점(P)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마침내는 빠져 버리고, 이와 동시에 기준점(P)에서의 낚싯줄 얽힘도 해소된다. 그리하여 감기 동작을 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낚싯줄 얽힘을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을 예로 설명했지만, 리어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이나 드래그를 가지지 않는 스피닝 릴이나 레버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 등 임의의 스피닝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축(43)과 고정축 커버(46)는 일체 성형되어 있었으나, 고정축(43)과 고정축 커버(46)를 별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 베일(41)은 고정축 커버(46)에 고정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베일(41)을 고정축(43)에 고정시켜도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거리(R2)와 제1 거리(R1)는 동일한 길이였으나 제2 거리(R2)가 제1 거리(R1)보다 짧아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거리(R1a, R1b 및 R2a)를 제1 거리(R1) 및 제2 거리(R2)와 동일하게 하여 아암부(40a) 외주부 및 측면부가 동일 구면 상에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는 외주부와 소정 기준점간의 최대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깥쪽을 향해 외주부와 기준점간의 거리가 최대 거리보다 서서히 짧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감기 동작을 하기만 하면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에서의 걸림 위치가 기준점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마침내는 빠져 버리며, 이와 동시에 기준점에서의 낚싯줄 얽힘도 해소된다. 따라서 낚싯줄 얽힘의 해소가 용이해진다.

Claims (5)

  1. 제1 및 제2 로터 아암의 선단에 낚싯줄 안내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로서,
    상기 제1 및 제2 로터 아암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베일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베일 지지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타단에 상기 제1 베일 지지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축 커버와,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에 상기 낚싯줄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된 라인 롤러와,
    상기 제2 베일 지지부재와 적어도 상기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스풀의 둘레 방향 바깥쪽으로 만곡하여 배치되며, 상기 고정축 커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낚싯줄을 상기 라인 롤러로 인도하는 베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외주부는, 상기 외주부와 소정의 기준점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1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외주부와 상기 기준점의 거리가 바깥쪽을 향하여 상기 제1 거리보다 서서히 작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제1 베일 지지부재의 내주부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고정축 커버와 상기 베일의 접합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일 지지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측면부와 상기 기준점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2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형체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측면부와 상기 기준점간의 거리가 바깥쪽을 향하여 상기 제2 거리보다 서서히 작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20010003822A 2000-02-07 2001-01-26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KR100656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29353 2000-02-07
JP2000029353A JP3759570B2 (ja) 2000-02-07 2000-02-07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099A true KR20010078099A (ko) 2001-08-20
KR100656501B1 KR100656501B1 (ko) 2006-12-12

Family

ID=1855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822A KR100656501B1 (ko) 2000-02-07 2001-01-26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05955B2 (ko)
EP (1) EP1121855B1 (ko)
JP (1) JP3759570B2 (ko)
KR (1) KR100656501B1 (ko)
CN (1) CN1158917C (ko)
AT (1) ATE264614T1 (ko)
DE (1) DE60102844T2 (ko)
MY (1) MY126119A (ko)
SG (1) SG89375A1 (ko)
TW (1) TW4677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3494B2 (ja) * 2001-01-24 2010-09-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2223672A (ja) * 2001-02-01 2002-08-1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892697B2 (ja) * 2001-10-09 2007-03-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934512B2 (ja) * 2002-08-28 2007-06-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4121166A (ja) * 2002-10-07 2004-04-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US7083133B2 (en) * 2003-04-18 2006-08-01 Shimano Inc.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G110185A1 (en) * 2003-09-11 2005-04-28 Shimano Kk Rotor for spinning reel
TWI261496B (en) * 2005-01-21 2006-09-11 Okuma Fishing Tackle Co Ltd Reel
US7296764B2 (en) * 2005-02-25 2007-11-20 Okuma Fishing Tackle Co., Ltd. Spinning reel
US20070040030A1 (en) * 2005-08-16 2007-02-22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Contactless proximity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CN102550511A (zh) * 2011-12-29 2012-07-11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钓鱼卷线器的导线轮轴结构
JP2021087419A (ja) * 2019-11-26 2021-06-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案内機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3207A (en) 1971-12-15 1973-07-03 R Mcmickle Spinning reel with controllably rotatable bail
US3771741A (en) 1972-05-30 1973-11-13 L Stein Fish line restrainer
US4941626A (en) 1989-10-27 1990-07-17 Abu Garcia Produktion Ab Bail mechanism in an open-face fishing reel of the fixed-spool type
US5782418A (en) * 1995-04-28 1998-07-21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having an obliquely oriented line guide roller
JP3333096B2 (ja) * 1996-03-07 2002-10-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433011B2 (ja) * 1996-06-12 2003-08-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236784A (ja) * 1999-02-22 2000-09-0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501B1 (ko) 2006-12-12
SG89375A1 (en) 2002-06-18
US20010011689A1 (en) 2001-08-09
JP2001218542A (ja) 2001-08-14
US6405955B2 (en) 2002-06-18
ATE264614T1 (de) 2004-05-15
CN1158917C (zh) 2004-07-28
TW467720B (en) 2001-12-11
DE60102844T2 (de) 2005-03-24
JP3759570B2 (ja) 2006-03-29
CN1307800A (zh) 2001-08-15
EP1121855A1 (en) 2001-08-08
MY126119A (en) 2006-09-29
DE60102844D1 (de) 2004-05-27
EP1121855B1 (en)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7585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KR100656501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US5984220A (en) Spinning reel having a narrow reel body housing
KR100905061B1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기구
KR20040019947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EP1407662B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US7077349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392604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90506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352620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125843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4726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54225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8253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01703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123857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125843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4081154A5 (ko)
JP200135286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328977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