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713A -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713A
KR20010077713A KR1020000005707A KR20000005707A KR20010077713A KR 20010077713 A KR20010077713 A KR 20010077713A KR 1020000005707 A KR1020000005707 A KR 1020000005707A KR 20000005707 A KR20000005707 A KR 20000005707A KR 20010077713 A KR20010077713 A KR 20010077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ower line
data
radio frequency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353B1 (ko
Inventor
김영길
김성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3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4Setting up communications; Call and signal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선 제어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구성으로는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유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타를 유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데이타를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에 유선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의한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어느 각도에서나 자유로이 원격제어수단(28)을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되며. 또한 현재 공존하는 두가지 가정자동화를 위한 통신포맷, 즉 전력선방식과 홈알에프방식을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어느 포맷을 적용한 목표기기라도 모두 제어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ine control using radio frequency}
본 발명은 전력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선 제어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위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의 가정화를 위해 각종 정보매체로부터 도래하는 외부 정보나 가정내의 영상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내부 정보를 전력선으로부터 통신제어하는 방식이 논의 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선을 통신 제어 방법은 각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전력선을 그대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도1은 전력선 제어 시스템을 보인 일예로서, 여기서는 개별 제어 대상기기(14, 이하 목표기기라 칭함)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5)이 전력선(1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목표기기(14)는 전력선 모뎀(12)과 마이콤(13)이 포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수단에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하거나, 버튼터치 형태로 목표기기를 on 하거나 off하는 동작등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홈알에프(Home RF)라는 가정내 통신방식이 제안되어, 가정내의 각종기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이 논의 되고 있다. 이러한 홈알에프 방식은 가정내의 각종기기를 규격화된 무선통신포맷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주로 한정된 영역내의 전기기기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력선을 이용한 방법은 모든 기기가 전력선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적외선 리모콘 방식을 적용해야 하므로 제어에 번거로운 점이 있다. 또한 홈알프 방식은 근거리에서 직접 제어하는 방식으로 보이지 않는 목표기기는 제대로 제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가지 방식의 통신 포맷이 모두 존재함에 따라 서로다른 통신포맷을 지원하는 경우는 상호간의 제어가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방식만을 적용한 기기를 구입하여야 하므로 원하는 기기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것으로, 목표기기의 제어를 사용자가 더욱더 편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 전력선 제어 방법을 보인 개념도
도2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도3은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
11 전력선 14,A,B,C,D 목표기기
23,29 어댑터 28 원격제어수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구성으로는
첫번째,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유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타를 유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데이타를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에 유선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유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타를 유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통신변환부와, 변환된 데이타를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에 유선을 통해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번째,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전력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타가 전력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전력선을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타를 전력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데이타를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에 전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번째,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전력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방식과 유선방식 상호 데이타간에 변환이 가능한 제1,2어댑터를 구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 어댑터는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데이타를 전력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데이타를 전력선을 통해 제2어댑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동작하고, 제2어댑터는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 전력선 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전력선 데이타를 무선 주파수 데이타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무선주파수 데이타를 원하는 목표기기로 송출하는 과정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도2 내지 도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본발명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목표기기 A,B,C는 전력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력선 모뎀(21A,21B,21C)과 이를 제어하는 마이콤(22A,22B,22C)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편에는 전력선에 연결되어 본발명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일종의 통신 어댑터(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어댑터(23)는 일측에 무선 수신부(24)를 구비하고 있어 무선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내부에는 무선주파수 방식으로 수신된 데이타를 전력선에 맞게 변환하는 통신변환부(25)와 상기 변환된 데이타를 전력선을 통해 목표기기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부(2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23)의 내부에는 수신된 데이타가 존재시 상기 통신변환부(25)를 수행시키고, 수신된 데이타가 어느 목표기기를 타겟으로 어떠한 제어(예를들어 on/off)를 수행하는 지를 해석하여 정보전송부(26)로 그 결과를 출력하는 마이콤(27)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통신은 현재 널리 알려진 홈알에프(Home RF)관련 규격화된 포맷을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외선 리모콘시 제어기기에 직접 리모콘의 적외선을 출력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어느 각도에서나 자유로이 원격제어수단(28)을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된다. 또한 현재 공존하는 두가지 가정자동화를 위한 통신포맷, 즉 전력선방식과 홈알에프방식을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어느 포맷을 적용한 목표기기라도 모두 제어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3은 본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경우는 목표기기(A,B,C,D)중 특정기기(D)는 전력선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홈알에프 방식에 의한 제어만을 지원하는 기기로 가정 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목표기기(D)의 거리 또는 환경이 상호 분리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어(가, 나 지역) 사용자가 사용한 무선주파수가 충분히 도달 할 수 없는 경우로 가정한 경우이다.
이경우 목표기기(D)의 제어를 사용자가 원할시 사용자는 인근의 통신 어댑터(23)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어댑터(23)는 사용자가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D)가 전력선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판단한 후, 전력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제어정보를 또 다른 통신 어댑터(29)에 전송한다. 따라서 이를 수신한 어댑터(29)는 전력선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홈알에프 방식에 맞게 변환하여무선주파수로 송출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목표기기(D)는 사용자기 원하는 제어방식에 맞게 동작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가)지역에 존재하는 목표기기(D)가 사용자의 제어정보를 무선주파수로 바로 수신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댑터(29)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지 않아도 바로 동작을 수행하면 될 것이다.
제2실시예를 만족하는 어댑터(23,29)는 홈알에프 무선데이타를 전력선방식 데이타로 변환하는 것과 함께 그 역으로도 변환이 가능하게 설계되어져 있어야 한다. 즉, 위 예의 경우 어댑터(23)은 전력선방식 데이타로 변환하는 경우이고, 어댑터(29)는 홈알에프 방식 무선데이타로 변환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양방식의 데이타를 상호간에 변환할 수 있는 변환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발명에 의한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어느 각도에서나 자유로이 원격제어수단(28)을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되며. 또한 현재 공존하는 두가지 가정자동화를 위한 통신포맷, 즉 전력선방식과 홈알에프방식을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어느 포맷을 적용한 목표기기라도 모두 제어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유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타를 유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데이타를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에 유선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방식은 홈알에프(Home RF)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 방법
  3.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유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타를 유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통신변환부와
    변환된 데이타를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에 유선을 통해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 장치
  4.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전력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타가 전력선을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전력선을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타를 전력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데이타를 제어를 원하는 목표기기에 전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 방법
  5. 무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전력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목표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방식과 유선방식 상호 데이타간에 변환이 가능한 제1,2어댑터를 구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
    제1 어댑터는 무선 주파수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데이타를 전력선 통신 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데이타를 전력선을 통해 제2어댑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동작하고,
    제2어댑터는 전력선을 통해 전송된 전력선 데이타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전력선 데이타를 무선 주파수 데이타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무선주파수 데이타를 원하는 목표기기로 송출하는 과정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 방법
KR1020000005707A 2000-02-08 2000-02-08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8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707A KR100683353B1 (ko) 2000-02-08 2000-02-08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707A KR100683353B1 (ko) 2000-02-08 2000-02-08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713A true KR20010077713A (ko) 2001-08-20
KR100683353B1 KR100683353B1 (ko) 2007-02-15

Family

ID=1964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707A KR100683353B1 (ko) 2000-02-08 2000-02-08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3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48A (ko) * 2002-04-01 200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방법
KR100605619B1 (ko) * 2002-08-29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절전 장치
KR100628919B1 (ko) * 2001-12-22 2006-09-27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원격 제어 학습 리모콘
KR100672113B1 (ko) * 2005-03-02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703A (ja) * 1996-09-27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中継器
JPH10145266A (ja) * 1996-11-07 1998-05-2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電力線を用い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6175860B1 (en) * 1997-11-26 2001-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multi-rate wireless/wired computer net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19B1 (ko) * 2001-12-22 2006-09-27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원격 제어 학습 리모콘
KR20030079048A (ko) * 2002-04-01 2003-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방법
KR100605619B1 (ko) * 2002-08-29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절전 장치
KR100672113B1 (ko) * 2005-03-02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353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14831A (ja) 赤外線通信装置及び方法
MXPA05010408A (es) Sistema de monitoreo de operacion.
KR100683353B1 (ko)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전력선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1168627A5 (ko)
KR20060039791A (ko) 무선 프로젝터 시스템
JP2000200122A (ja) 無線lan装置
KR20200067067A (ko) Plc 무선 입출력 모듈
JPH0511508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リピータ装置
KR100580382B1 (ko) 멀티플직렬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컴퓨터시스템
KR20040045658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286900Y1 (ko)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KR100430483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리모콘의 적외선 신호 전송장치
KR200391206Y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
JPH06236666A (ja) 映像・音響機器インターフェースボックス
KR20030048576A (ko) 무선을 이용한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JPH10210576A (ja) リモコン送信能力可変装置
KR20000041980A (ko) 컴퓨터 주변 장치를 위한 무선 중계 장치
JP2002345053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S62185420A (ja) デ−タ伝送方式
DE69735916D1 (de) Übertragungsgerät
JPS63164724A (ja) ホ−ムバスシステム
KR20040032240A (ko)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39668A (ko)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06231070A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19990054505A (ko) 무선 제어가 가능한 디지탈 감시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